• 제목/요약/키워드: North Korea-Russia relations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18초

북·러 관계의 변화 동향과 시사점 고찰 - 포괄적 전략 동반자 협정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hange Trends and Implications of North Korea-Russia Relations: Focusing on the Comprehensive Strategic Partnership Agreement)

  • 이강경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24권3호
    • /
    • pp.209-218
    • /
    • 2024
  • 최근 북·러관계는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을 계기로 변곡점을 맞이하였으며, 향후 군사적·지정학적 차원에서 한반도와 동아시아 안보환경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된다. 2023년 9월 김정은 조선로동당 총비서의 러시아 방문과 2024년 6월 러시아의 푸틴 대통령의 방북을 계기로 '북·러 포괄적 전략 동반자 협정'이 체결되었다. 북·러 관계의 발전적 변화는 향후 한반도와 동아시아 지역의 안보환경에 큰 파장을 초래할 것으로 전망된다. 북한과 러시아가 자동군사개입으로 해석될 수 있는 조항을 명문화하며 준군사동맹을 형성함에 따라 현재 진행중인 우크라이나 전쟁에 대한 북한의 군수지원 정당성이 확보되었고, 향후 한반도 문제에 대해 러시아가 군사적으로 개입할 수 있는 실체적 근거가 마련되었다. 또한 양국 간 방위능력을 강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공동조치를 실행하기 위한 제도적 장치가 마련됨으로써 러시아의 군사기술이 북한에 이전될 수 있는 가능성도 커졌다. 러시아가 유엔 안보리 상임이사국의 지위를 이용하여 국제사회의 대북제재를 무력화하고 대규모 경제지원을 단행할 경우 북한은 국제적 고립을 탈피함과 동시에 전략적 자율성을 강화하게 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북·러 관계의 역사적 변화과정을 살펴보고, 2024년 6월 북·러 정상회담 이후 체결된 '포괄적 전략 동반자 협정'의 주요 내용과 함의를 고찰하였다.

북중러 삼각관계와 3개의 양자관계의 최근 변화와 전망 (Recent Changes and Prospects in the China-Russia-North Korea triangle and the three bilateral relationships)

  • 김재관
    • 분석과 대안
    • /
    • 제8권3호
    • /
    • pp.7-44
    • /
    • 2024
  • 이 글은 미중 전략경쟁과 우크라이나 전쟁 발발 이후 확산되고 있는 신냉전 다극화 시대 동북아 안보환경의 변화와 전망을 시도하고 있다. 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미중러 전략적 신삼각관계가 변화가 동북아 안보환경에 전례 없이 크게 영향을 미치기 시작했다. 이 글의 분석 대상은 미중 전략경쟁과 우크라이나 전쟁이라는 두 가지 요인이 동북아 안보환경에 어떤 변화를 초래했는지이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북중러 삼각관계와 3개의 양자관계인 중러, 북중, 북러 관계의 최근 변화와 전망이다. 이 연구주제를 분석하기 위해 3가지 변수를 설정하여 연구디자인을 했다. 즉 독립변수, 매개변수, 종속변수이다. 독립변수는 미중관계의 변화와 미러관계의 변화이다. 촉진요인인 매개변수는 미중 전략경쟁과 우크라이나 전쟁이다. 한편으로 미중관계의 대립이 전략경쟁을 초래했고, 다른 한편으로 미러관계의 갈등이 우크라이나 전쟁을 초래했다. 또한 두 독립변수는 두 매개변수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밖에 없다. 특히 미중러 세 강대국의 국내 정치적 요인이 크게 작용하여 두 개의 매개변수를 초래했다고 가정한다. 독립변수와 매개변수가 작용하여 동북아 안보위기를 촉진시키고 있다. 그 결과 종속변수로서 동북아 안보환경의 위협요인들이 출현하게 되었다. 북중러 삼각관계와 그 내부 3개의 양자관계의 변화, 북방삼각 대 남방삼각 대립 등이다. 첫 번째 매개변수인 전략경쟁이 작동하여 동북아 안보환경의 여러 변화를 초래했다. 즉 중러관계의 준동맹화, 북중관계의 회복 및 강화, 한미일 삼각안보 협력 강화, 북중러 삼각협력의 필요성 증대 등이다. 두번째 매개변수인 우크라이나 전쟁은 중러관계의 강화, 북러 관계의 급진전과 재동맹화, 한미일 삼각동맹화 촉진, 북중러 삼각협력의 등장 등이다.

한국과 러시아간 경협 발전에 관한 연구 : 주요 산업들과 EAEU-FTA 추진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Economic Cooperation between Korea and Russia : Focusing on Major Industries and Promotion of EAEU-FTA)

  • 윤준모
    • 무역학회지
    • /
    • 제46권5호
    • /
    • pp.13-30
    • /
    • 2021
  • The government of Vladimir Putin, which has been ruling Russia for a long period since 2000, has recently strived for the balanced development of underdeveloped regions and sustainable economic growth. Therefore, along with energy development in the Far East and Siberian regions, the government is promoting development projects on logistics and distribution infrastructure. It is also expanding the construction of innovative districts to develop cutting-edge technologies in the outskirts of Moscow. Amid these moves, South Korea is pushing for the New Northern Policy aimed at widening economic cooperation with European and North Asian countries to expand the scope and influence of the country's trade market. The previous year of 2020, marked the 30th anniversary of establishment of diplomatic relations between South Korea and Russia. In this context, this study was initiated to propose various measures for promoting economic cooperation and expanding trade between South Korea and Russia. Therefore, this study examined Russia's political and economic environment and explored its major industrial environment with a focus on the energy industry, innovative districts and infra facility. The study also examined the progress of a FTA between the Eurasian Economic Union, in which Russia currently takes the lead, and South Korea and recommended several measures to upgrade and accelerate economic cooperation between the two countries through research on a range of topics.

СЕВЕРО-ВОСТОЧНАЯ АЗИЯ В ПОВОРОТЕ РОССИИ НА ВОСТОК (Northeast Asia in Russia's Pivot to the East)

  • Kanaev, Evgeny
    • 분석과 대안
    • /
    • 제1권1호
    • /
    • pp.44-64
    • /
    • 2017
  • Russia's push in the Asia-Pacific region stems from its interests that have the national, regional and global dimensions. In their turn, the aims of this policy are civilizational, geopolitical, economic and prospective, with a long-term outlook. In the course of their achievement, cooperation with Northeast Asia's countries will play one of the key roles owing to the factors of geographic proximity, Northeast Asia's economic potential, risk hedging and a growing influence Northeast Asia exerts upon the global development. A new cooperation paradigm between Russia and the states of Northeast Asia should be based upon establishing and cementing self-reproducing ties. This is the central aim of Russian initiatives in relations, with Japan, the Republic of Korea,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Mongolia and China. However, numerous obstacles ranging from Russia's absence in the regional free trade agreements and supply-production chains of value-added production to the permanent international instability generated by Pyongyang's missile-nuclear developments hamper the practical implementation of this task. Realizing the necessity to give an additional impetus to this new cooperative paradigm, Russia has to develop directions with an apparent consolidating effect. The most promising may be the establishment of a permanent security forum based upon Northeast Asia Peace and Security Mechanism chaired by the Russian Federation. The urgency of this measure and its expected support stem from the necessity to strengthen security in Northeast Asia, a task neither the US-led hub-and-spoke system nor ASE-AN-led multilateral dialogue venues have been able to resolve. The issues addressed at the security forum must include the unification of approaches to North Korean nuclear issue and producing a document specifying actions of the claimants on the disputed maritime territories in the "direct contact" situations. At the expert level, Russia has elaborated on the idea to establish such a forum outlining the spectrum of the key directions of cooperation. With the urgency in the establishment of this dialogue venue, its agenda has to be coordinated with the agendas of the existing security systems presented by the US alliances and the ASE-AN-led multilateral negotiations. The practical implementation of this initiative will strengthen security in Northeast Asia as its challenges will be resolved in the pre-emptive way based on coordinated approaches. Therefore, Russia as the Eurasian state will be one of the role players in the advent of the Asian century.

  • PDF

Китай и глобальное лидерство (China and global leadership)

  • Mikheev, Vasily;Lukonin, Sergey;Ignatev, Sergei
    • 분석과 대안
    • /
    • 제1권2호
    • /
    • pp.31-43
    • /
    • 2017
  • The article is devoted to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analysis of Chinese global leadership. The concept of leadership is applied as a methodology, which involves identifying the main factors, such as strategic power, the attractiveness of political institutions, the ability to provide acceptable ideas and the presence of allies that contribute to a comprehensive analysis of the country's leadership potential. The authors also describe the relevance of Chinese global leadership and analyze its domestic, economic and international causes. Moreover, the ''Belt and Road'' initiative is defined as the main mechanism for providing the influence of China on the global level which is now being changed its quantitative component, namely the increasing attention to the security aspects of this initiative. In addition to that,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China maintains its economic and political positions in Africa, Central Asia and South-East Asia. Africa has a special role in the Chinese ''Belt and Road'' initiative as a recipient of Chinese investments and a site for the deployment of China's naval facilities to protect the trade routes. On the regional level, China will strive to become a leader of the trade and economic processes in the Asia-Pacific region, the South China Sea and the North Korea nuclear program issues. The American factor in modern international relations, namely so-called "Trump factor", which means the U.S. withdrawal from the Trans-Pacific Partnership and the Paris Agreement, will cause demand for Chinese leadership in the Asia-Pacific region and in the world as well. However, in this case a number of questions arise: is China prepared for this? Is Beijing able to bear greater responsibility? Does China have the potential for this? The article concludes that China will not become global leaders in the next 20-30 years, because of internal (political reforms) and foreign policy reasons (doctrinal formulation of foreign policy initiatives, military-political and economic power, international posture and relations with other states). The authors believe that the implementation of Chinese leadership is possible not on the condition of confrontation between China and the United States, but on the establishing of constructive relations between these countries. The last meeting between Trump and Xi Jinping showed a trend for creating channels for dialogue between Beijing and Washington, which can become the basis for interaction. An important place in the work is given to the analysis of development and forecasting the evolution of Russian-Chinese and U.S.-China relations. As for Russia, Moscow should conduct a policy that will not allow it to become a ''junior partner'' of China.

  • PDF

북한 공역의 통일 후 지위 (The Status of North Korean Airspace after Reunification)

  • 권창영
    • 항공우주정책ㆍ법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287-325
    • /
    • 2017
  • 20세기 이후 항공우주 군사과학기술의 발달과정에 비추어 보면, 국가의 존립과 번영을 위해서 하늘은 매우 중요하다. "하늘을 지배하는 자, 세계를 지배한다!"는 격언이 제공권(制空權)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이 글은 남북의 통일 과정과 통일 이후 공역(空域, airspace)의 지위에 관한 최초의 연구로서, 이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영공(領空)은 영토와 영해의 상공으로 국경선과 영해선에 의하여 그 수평적 범위가 결정된다. 국경문제에 관하여 역사적 진실규명을 통한 재조정의 시도보다는 현질서의 수용이 가장 합리적이고, 통일전후과정에서 인접 국가의 지지를 받을 수 있으며, 동북아 평화를 위해서 통일한국은 북한과 중국 러시아 사이의 기존 국경협정을 그대로 존중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현재 북한이 동해 황해에 설정한 직선기선은 국제법상 직선기선이 적용될 수 있는 사정을 갖추지 못하였기 때문에 이를 폐기하고, 통일한국은 국제법에 부합하는 기선을 다시 정하여 그 바깥쪽 12해리의 선까지에 이르는 수역을 영해로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둘째, 비행정보구역(Flight Information Region)은 항공기의 안전하고 효율적인 비행과 항공기의 수색 구조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국제민간항공기구(ICAO)에서 획정한 구역이므로 국제법상 효력이 있다. 현재 한반도 일대에는 남한이 관할하는 인천 FIR과 북한이 관할하는 평양 FIR로 나누어져 있다. 급변사태가 발생하여 북한에서 일시적으로 평양 FIR의 관제권을 행사할 수 없는 경우에는 원칙적으로 남한이 평양 FIR의 관제권을 행사하고, 부득이한 경우에는 ICAO가 일시적으로 이를 행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일한국에서는 FIR의 체계적 관리와 통제, 항로개설 관리의 효율성 등을 감안하여, ICAO의 승인을 얻어 평양 FIR을 폐지하고 인천 FIR로 통합하여 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셋째, 방공식별구역(Air Defense Identification Zone)은 국가안전보장 목적상항공기의 용이한 식별, 위치 확인 및 통제가 요구되는 공역으로서, 해당 국가가 일방적으로 설정한다. 미국은 1951. 3. 22. 전시포고령에 의하여 한국방공식별구역(KADIZ)을 일방적으로 설정하였는데, 국방부는 2013. 12. 8. 이어도 상공을 포함하는 지역까지 확장한 새로운 KADIZ를 선포하였다. 현재 북한의 군사경계수역은 동해 황해 등 해상경계선으로만 설정되어 있는 점, 중국 러시아와의 관계에서 ADIZ로서 기능을 수행하기에 부족한 점에 비추어 보면, 통일한국이 이를 승계할 의무는 없다. 한반도의 경우에는 종심(縱深)이 짧기 때문에 영공보다 외곽에 ADIZ 경계선을 설정하여야 ADIZ 본래 목적을 달성할 수 있으므로, 통일한국의 인천 FIR과 일치하는 경계선으로 통일한국의 KADIZ를 새로 설정하여 이를 선포하는 것이 타당하다. 다만, 인접국가의 ADIZ와 중첩되거나 경계선을 같이하여 완충지역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군사적 긴장감이 고조될 수 있으므로, 동북아 평화를 위해서는 상호간 협상을 통하여 해상에서는 인접국가의 ADIZ 사이에 완충공간을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