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Recent Changes and Prospects in the China-Russia-North Korea triangle and the three bilateral relationships

북중러 삼각관계와 3개의 양자관계의 최근 변화와 전망

  • Jae-kwan Kim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김재관 (전남대학교)
  • Received : 2024.09.22
  • Accepted : 2024.10.12
  • Published : 2024.10.31

Abstract

This article attempts to analyze the changes and prospects of the Northeast Asian security environment in the era of New-Cold War & multipolarity that has been spreading since the outbreak of the US-China strategic competition and the war in Ukraine. Since the war in Ukraine, changes in the new strategic triangle between the United States, China, and Russia have begun to have an unprecedented impact on the Northeast Asian security environment. This article analyzes how the two factors, the U.S.-China strategic competition and the war in Ukraine, have led to changes in the Northeast Asian security environment. More specifically, the recent changes and prospects of the China-Russia-North Korea triangle and the three bilateral relationships, China-Russia, China-North Korea, and Russia-North Korea. To analyze this research topic, the research design is based on three variables: independent, mediating, and dependent variables. The independent variables are changes in U.S.-China relations and changes in U.S.-Russia relations. The mediating variables are the US-China strategic competition and the war in Ukraine. On the one hand, the confrontation between the U.S.-China relationship led to a strategic competition, and on the other hand, the conflict between the U.S.-Russia relationship led to the war in Ukraine. In addition, the two independent variables can only be influenced by the two mediating variables. In particular, we assume that the domestic political factors of the three major powers, the United States, China, and Russia,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causing the two mediating variables. The independent variables and mediating variables work together to promote the Northeast Asian security crisis. As a result, threats to the Northeast Asian security environment have emerged as the dependent variable. The dependent variables are the North Korea-China-Russia triangle, changes in the three bilateral relationships within the triangle, and the confrontation of Northern Triangle versus Southern Triangle. The first mediating variable, strategic competition, has led to several changes in the Northeast Asian security environment: the quasi-alliance of Sino-Russian relations, the restoration and strengthening of North Korea-China relations, the strengthening of trilateral security cooperation between the United States, Japan and South Korea, and the increasing necessity of Sino-Russian-North Korean trilateral cooperation. The second mediating variable, the war in Ukraine, has led to the strengthening of Sino-Russian relations, re-alignment of North Korea-Russia relations, the promotion of the US-Japan-ROK triangular alliance, and the emergence of the China-Russia-North Korea triangular cooperation.

이 글은 미중 전략경쟁과 우크라이나 전쟁 발발 이후 확산되고 있는 신냉전 다극화 시대 동북아 안보환경의 변화와 전망을 시도하고 있다. 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미중러 전략적 신삼각관계가 변화가 동북아 안보환경에 전례 없이 크게 영향을 미치기 시작했다. 이 글의 분석 대상은 미중 전략경쟁과 우크라이나 전쟁이라는 두 가지 요인이 동북아 안보환경에 어떤 변화를 초래했는지이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북중러 삼각관계와 3개의 양자관계인 중러, 북중, 북러 관계의 최근 변화와 전망이다. 이 연구주제를 분석하기 위해 3가지 변수를 설정하여 연구디자인을 했다. 즉 독립변수, 매개변수, 종속변수이다. 독립변수는 미중관계의 변화와 미러관계의 변화이다. 촉진요인인 매개변수는 미중 전략경쟁과 우크라이나 전쟁이다. 한편으로 미중관계의 대립이 전략경쟁을 초래했고, 다른 한편으로 미러관계의 갈등이 우크라이나 전쟁을 초래했다. 또한 두 독립변수는 두 매개변수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밖에 없다. 특히 미중러 세 강대국의 국내 정치적 요인이 크게 작용하여 두 개의 매개변수를 초래했다고 가정한다. 독립변수와 매개변수가 작용하여 동북아 안보위기를 촉진시키고 있다. 그 결과 종속변수로서 동북아 안보환경의 위협요인들이 출현하게 되었다. 북중러 삼각관계와 그 내부 3개의 양자관계의 변화, 북방삼각 대 남방삼각 대립 등이다. 첫 번째 매개변수인 전략경쟁이 작동하여 동북아 안보환경의 여러 변화를 초래했다. 즉 중러관계의 준동맹화, 북중관계의 회복 및 강화, 한미일 삼각안보 협력 강화, 북중러 삼각협력의 필요성 증대 등이다. 두번째 매개변수인 우크라이나 전쟁은 중러관계의 강화, 북러 관계의 급진전과 재동맹화, 한미일 삼각동맹화 촉진, 북중러 삼각협력의 등장 등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가와시마 신 & 모리 사토루 저, 이용빈 역. (2021). 미중 신냉전? 코로나 19 이후의 국제관계. 서울: 한울출판사. 
  2. 고미 요지. (2014). 북한과 중국. 파주: 한울. 
  3. 김재관, 문익중, 박상남, 신종호 & 최필수. (2022). 미중전략경쟁 시대 한국의 대외전략 51문답. 서울: 차이나하우스. 
  4. 미어샤이머(John J. Mearsheimer) 저, 이춘근 역. (2021). The Great Delusion: 미국 외교의 거대한 환상. 서울: 김앤길북스. 
  5. 박정호, 강부균, 현승수 & 제성훈. (2022). 미.중.러 전략경쟁 시기 러시아의 대중국 관계 발전과 정책시사점. 서울: 대외경제정책연구원. 
  6. 션즈화. (2017). 최후의 천조: 모택동.김일성 시대의 중국과 북한. 서울: 선인. 
  7. 슌지 히라이와 저, 이종국 역. (2013). 북한.중국관계 60년: '순치관계'의 구조와 변용. 선인. 
  8. 이삼성. (2023). 동아시아 대분단체제론. 서울: 한울출판사. 
  9. 이정철, 백준기, 김재관 & 이남주. (2013). 러시아-북한-중국 삼각관계의 전략적 함의: '미국요인'과 한국에의 시사점. 서울: 대외경제정책연구원. 
  10. 이종석. (2000). 북한-중국관계, 1945-2000. 서울: 중심. 
  11. 제성훈, 박정호, 박상남, 김재관, 공민석, 조형진, 윤성욱 & 현승수. (2023).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과 세계질서의 변화(공저). 코리아컨센서스연구원. 
  12. 정진위.(1985). 북방3각관계: 북한의 대 중.소관계를 중심으로. 법문사. 
  13. 최명해. (2009). 중국.북한관계: 불편한 동거의 역사. 서울: 오름. 
  14. 김연철. (2023). 김정은 집권기 북.중.러 삼각관계: 세 개의 양자관계의 역동성. 한국과 국제정치. 제 39권 제 4호. 
  15. 김재관. 2013. 21세기 미국의 재균형 전략과 북중러 삼각관계에 대한 영향 고찰. 동북아연구 제 28권 2호. 
  16. 김재관. (2020/2021) . 시진핑-푸틴 집권기 중러관계의 신추세에 관한 연구: 경제 및 군사협력을 중심으로. 중소연구. 제 44권 4호. 
  17. 김창진. (2019). 냉전시기 소련-북한의 비대칭 동맹과 북한의 자주외교, 슬라브 연구. 35권 4호. 
  18. 김한권. (2018). 미.중 사이 북한의 외교와 중국의 대응. 국립외교원 외교안보연구소 주요국제문제분석 2018-45. 
  19. 김한권. (2023) 북⋅러 정상회담에 대한 중국의 대응 및 전망: 북.중.러 협력에 대한 중국의 우려. 주요국제문제분석 2023-29. 서울: 국립외교원 외교안보연구소. 
  20. 백준기, 김재관, 차태서, 정주영 & 제성훈. (2023). 신냉전담론: 현실과 허구사이. 코리아컨센서스연구원 연례 학술회의. 
  21. 신상진. (2020). 미.중 전면적 전략경쟁시대 중국의 대북정책과 북.중관계: 미중관계와 북중관계의 연관성. 국방연구. 12월 제 63권 제 4호. 
  22. 이남주. (2024). 동북아 신냉전과 한중일 정상회담, 성균 차이나 브리프. 07. 01. Vol. 72. 
  23. 이동규 & 김지연. (2023). 북러 군사밀착과 중국: 북중러 3각 연대로 나아가는가? 이슈브리프. 2023-29호. 아산정책연구원. 12.20. 
  24. 장덕준. (2024). 우크라이나 전쟁과 북중러 관계. 외교. 제 148호 (2024.1). 
  25. 장세호 외. (2024). 러북 정상회담 결과 평가 및 대 한반도 파급 영향. 국제안보전략연구원. INSS 전략 보고. June. No. 275. 
  26. 차두현. (2024). 북러 밀착관계와 「북러 포괄적인 전략적 동반자관계에 관한 조약」의 함축성. 아산정책연구원, 이슈브리프 2024-19. 
  27. 황성우. (2023). 한미일 대 북중러 진영 구조 연구. 슬라브학보. 제 38권 제 4호. 
  28. 강명구. (2024). 트럼프 2.0...한반도에 밀려 올 거센 파도. 오마이뉴스. 07.22. 
  29. 강영진. (2024). 북한, 처음으로 중국 영화.드라마도 시청 금지 지시. 뉴시스. 08. 29. 
  30. 김창현. (2024). 화들짝 놀란 한미 정상, 북러 협정에 뭐가 들었길래, 질적으로 완전히 다른 군사동맹의 탄생. 오마이뉴스. 7월 15일. 
  31. 길윤형. (2022). 푸틴, 미국 '일극체제' 깨뜨리는 "다극체제화는 불가역적 과정. 한겨레신문. 6월 30일. 
  32. 노민호. (2023). 중.러.북, 내년에 합동 군사훈련 가능성... 차두현 아산硏 연구위원 "한미일과의 대립 구도 뚜렷해질 것," 뉴스 1. 12.21. 
  33. 문장렬. (2023). 북.중.러가 노리는 다극화...신냉전 돌파구는 있다. 한겨레. 9월 23일. 
  34. 반길주 & 이종윤. (2024). 북러 밀착, 북중 소원? 전략적 모호성과 전략적 자율성 관측. 파이낸셜 뉴스. 07.11. 
  35. 성기영. (2023). 열병식 외교 의미와 향후 전망. 이슈브리프. 455호 08.08. 
  36. 심영구. (2024). 북한, 진짜 중국 배신했나...무력 충돌 시 러시아 '자동군사개입' 부활의 진실. SBS. 07.15. 
  37. 이민석. (2024). 美민주, 공화 모두 당 강령서 '北비핵화' 삭제했다. 조선일보. 08.20. 
  38. 이벌찬. (2023). 러시아의 답례...중국에 블라디보스토크항 사용권 줬다. 중국, 165년 만에 항구 쓰게 돼. 조선일보. 05.16, 
  39. 이승현. (2024). 北, 북러 '포괄적 전략동반자관계 조약' 전문 발표. 통일뉴스.06. 20. 
  40. 이종원. (2024). 中, 北에 잔인한 통보...예사롭지 않은 상황. YTN. 07.15. 
  41. 정영교, 박현주. (2024). 김정은 "中 눈치 보지 말라"...푸틴 만난 뒤 외교관에 1호 지시. 중앙일보.07. 31. 
  42. 최원기. (2024). 미중진영대결과 지정학적 중간국. 파이낸셜뉴스. 07.25. 
  43. 최현준. (2024). 푸틴이 중국에 간 이유...미.유럽 제재 '틈새' 중.러 무역 2년새 63% ↑, 한겨례. 05. 16. 
  44. 최현준. (2024). '미국과 패권 경쟁' '우크라 전쟁 지원'...중-러 끈끈함의 이면. 한겨례신문. 05. 16. 
  45. 허민. (2024). 김정은, '우의탑' 헌화..."북중 친선 굳건히 계승". 문화일보. 07. 27. 
  46. 홍완석. (2024). 러시아 탈아입아와 푸틴의 방북 함의. RIO (Russia In & Out) No. 2. 2024.06. 
  47. Gaddis, John Lewis. (2005). Strategies of Containment : A Critical Appraisal of American National Security Policy During the Cold War . Oxford Univ Press. 
  48. Fleitz, Fred ; Keith Kellogg, Michael Waltz, Chad Wolf, Rick Perry, Robert Lighthizer, Robert Wilkie, Morgan Ortagus, Ellie Cohanim, Sam Faddis. (2024). An America First Approach to U.S. National Security . America First Press. Kindle Edition.
  49. Lukin, Alexander. (2018). China and Russia : The New Rapprochement. Cambridge: Polity Press. 
  50. Lo, Bobo. (2008). Axis of Convenience: Moscow, Beijing and the New Geopolitics .London: Royal Institute of International Affairs. 
  51. Rozman, Gilbert. (2014). The Sino-Russian Challenge to the World Order: National Identities, Bilateral Relations, and East versus West in the 2010s. .Stanford: Stanford University Press. 
  52. Bassin, Mark. (2023). From Russia-Eurasia to Greater Eurasia: The Evolution of a Geopolitical Imaginary. NAHF Forum: The Emergence of a New Cold War and the Clash of Civilization. 
  53. Bennett, Bruce W. (2023). North Korea, Russia and China: The Developing Trilateral Imperialist Partnership. Sep 13, 2023. https://www.rand.org/pubs/commentary/2023/09/north-korea-russia-and-chinathe-developing-trilateral.html; (검색일: 2024. 08.13). 
  54. Brands, Hal & Gaddis, John Lewis. (2021). "The New Cold War," Foreign Affairs, 100(6). 
  55. Economy, Elizabeth. (2024). China's Alternative Order: And What America Should Learn from It. Foreign Affairs 103 (3). 
  56. Hoshino, Masahiro & Shunji Hiraiwa. (2020). Four Factors in the Special Relationship between China-North Korea: a Framework for Analyzing the China-North Korea Relationship under Xi Jinping and Kim Jong-un. Journal of Contemporary East Asia Studies, 9(1). 
  57. Kim, Jae-kwan. (2023). An Inquiry into Dynamics of Global Power Politics in the changing world order after the war in Ukraine. Analyses & Alternatives 2023-7(3). 
  58. Klinger, Bruce. (2024). The China-Russia-North Korea Partnership: A Triple Threat That Can't Be Ignored. The Heritage Foundation, Mar 18, https://www.heritage.org/global-politics/commentary/the-china-russia-north-korea-partnership-triple-threat-cant-be-ignored; (검색일: 2024.07.15.). 
  59. Lankov, Andrei. (2023). China-Russia Relations in the New Cold War Era. NAHF Forum: The Emergence of a New Cold War and the Clash of Civilization. 
  60. Mastro, Oriana Skylar. (2024). The Next Tripartite Pact? China, Russia, and North Korea's New Team Is Not Built to Last. February 19, https://www.foreignaffairs.com/china/next-tripartite-pact; (검색일: 2024.07.15.). 
  61. Mearsheimer, John J. (2021). The Inevitable Rivalry. Foreign Affairs, 100(6). 
  62. Patricia Kim, M. (2023). The Limits of the No-Limits Partnership: China and Russia Can't Be Split, but They Can Be Thwarted. Foreign Affairs 102(2). 
  63. Rozman, Gilbert. (2014) Asia for the Asians Why Chinese-Russian Friendship Is Here To Stay. Foreign Affairs, October 29. 
  64. Sharma, Abhishek. (2023). The Growing China-North Korea-Russia Axis and South Korea's Response. Diplomat, 2023.10.06., https://thediplomat.com/2023/10/the-growing-china-north-korea-russia-axis-and-south-koreas-response.(검색일: 2024년 7월 10일) 
  65. 王海运. (2019). 中俄关系 70 年:回顾与展望. 俄罗斯学刊 . 2019 年 第4 期. 
  66. 袁鵬. (2020). 新冠疫情與百年變局. 現代國際關係, 第 5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