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orth Korea Geographic Information

검색결과 56건 처리시간 0.026초

A Study on the Inter-Korean Cooperation for Natural Disaster Damage Reduction Using Spatial Information

  • Lee, Sunmin;Song, Taejung;Lee, Moung-Jin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163-177
    • /
    • 2019
  • As inter-Korean relations progress, the issue of natural disasters which could directly affect the lives of the people in both Koreas, has not yet been discussed. Considering the current status of inter-Korean relations and the ongoing disaster-related damage in North Korea, it is imperative to establish a technical plan at the pan-governmental level to reduce the damage from natural disast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cure the Korea Peninsula against natural disasters by organizing South Korea's science and technologies related to natural disasters in order to reduce the damage, and to evaluate the applicability of said technologies. The situation of natural disasters in North Korea for 17 years has been summarized and reclassified based on eight types of natural disasters. Technologies related to natural disasters in South Korea were also investigated and reclassified. Based on the data, a priority evaluation was performed and the prioritization of technology application for each natural disaster type in North Korea was calculated through a quadrant analysis. As a result, the three major categories of high-priority technologies were classified as natural disaster monitoring with remote sensing and spatial information technology, construction of research basis and database based on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 and integrated management of complex natural disasters.

RapidEye 위성영상과 구글 어스를 활용한 북한 DMZ의 산림현황 및 산림황폐지 변화 분석 (The Analysis of Changes in Forest Status and Deforestation of North Korea's DMZ Using RapidEye Satellite Imagery and Google Earth)

  • 권수경;김은희;임중빈;양아람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113-126
    • /
    • 2021
  • 본 연구는 위성영상을 바탕으로 북한 DMZ의 산림현황을 분석하고 산림황폐지의 변화를 분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생육기·비생육기 RapidEye 위성영상을 활용하여 북한 DMZ의 토지피복을 분류하였다. 토지피복을 입목지(침엽수림, 활엽수림, 혼효림), 산림황폐지(산간나지, 개간산지, 무립목지), 비산림지로 분류하고 산림 및 산림황폐지 면적을 생태지리구획에 따라 집계하였다. 연안-배천지구, 법동-평강지구, 회양-금강지구, 통천-고성지구의 산림황폐율은 14.24%, 16.75%, 5.98%, 16.63%로 각각 산출되었으며, 북한 DMZ 내 산림황폐화 주요 원인은 산불과 산지전용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구글 어스 영상을 통해 산림황폐지 변화를 분석하였으며, 산림황폐지 면적은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향후 본 연구 결과는 북한 DMZ의 산림공간정보를 제공함으로 써 남북접경지역의 산림협력 전략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다중 위성 강우자료를 이용한 유출 평가 (Runoff Estimation Using Rainfalls Derived from Multi-Satellite Images)

  • 김주훈;김경탁;최윤석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107-118
    • /
    • 2014
  • 본 연구는 전지구 위성 강우자료와 글로벌 지형자료를 이용하여 유출분석을 수행하여 계측자료가 부족한 지역에 대한 강우-유출 관계를 파악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사용된 위성 강우자료는 CMORPH와 GSMaP_NRT자료를 사용하였고, 글로벌 지형자료는 GTOPO30 및 GLCC자료를 이용하였다. 유출분석을 위한 도구는 IFAS를 이용하였다. 강우 정확도 평가에서 관측강우자료와의 상관계수는 CMORPH 및 GSMaP_NRT에서 0.37 및 0.30로 분석되었다. IFAS를 이용한 유출분석에서 매개변수를 보정하지 않은 경우에도 위성 강우자료를 이용한 모의 첨두유출량이 관측유출량과의 상대오차가 낮았다. 따라서 계측자료가 없는 유역에서의 적용성이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향후 대표적인 비접근 지역인 북한지역에 대하여 위성강우 및 글로벌 지형자료를 이용하여 유출분석에 활용할 계획이다.

Sea surface circulation and ie variability in the North East Asian Seas by remote sensing (Topex/Poseidon)

  • Yoon, Hong-Joo;Yoon, Yong-Hoon
    • 한국GIS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GIS학회 2003년도 공동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08-111
    • /
    • 2003
  • Altimeter data from the Topex/Poseidon (T/P) were analyzed to study the sea surface circulation and its variability in the North East Asian Seas. Long term averaged T/P sea level time series data where compared with in situ sea level measurements from a float-operated type tide gauge around of south Korea and Japan. Tf data are a large contaminated by 60-day tidal aliasing effect, very near the alias periods of M2 and S2. When this 60-day effect is removed, the data agree well with the tide gauge data with 4.6 cm averaged RMS difference. The T/P derived sea level variability reveals clearly the well-known, strong current-topography such as Kuroshio. The T/P mean sea level of North Pacific (NP) was higher than Yellow Sea (YS) and East Sea (ES). The T/P sea level variability, with strong eddy and meandering, was the largest in eastern part of Japan and this variability was mainly due to the influence of bottom topography in Kuroshio Extension area.

  • PDF

북한지역 토지자산 추정에 관한 연구: 프레임워크 개발 및 탐색적 적용 (Estimating Land Assets in North Korea: Framework Development & Exploratory Application)

  • 임송
    • 경제분석
    • /
    • 제27권2호
    • /
    • pp.71-123
    • /
    • 2021
  • 본 연구는 북한당국이 발표하는 지역별 토지가격이나 토지의 특성에 관한 자료들이 없는 조건에서 북한지역의 토지가격과 토지자산의 규모를 추정하는 방법론과 모형을 제시하고 이를 이용하여 북한 시가화지역 전체를 대상으로 시장가격 기준의 토지자산 규모를 실험적으로 추정하였다. 우선 관련 사회경제적 변수를 이용가능하면서 최근의 북한과 소득수준의 격차가 상대적으로 크지 않았던 것으로 평가되는 남한의 1970년대 중후반, 그리고 도시화 수준이 유사했던 1980년대 초반 남한의 시, 군, 구별 실거래가격을 기준으로 시가화지역 토지에 대한 지가결정함수를 도출하였다. 다음으로 북한지역에 대한 지리정보분석을 통해 도출되는 지가결정요인의 대리변수들을 대입하여 2015년경 북한 시가화지역 토지의 시, 군, 구역별 상대가격비율을 산출하였다. 더 나아가서 최근 북한지역 일부 도시들을 대상으로 조사된 주택거래가격과 본고에서 추정한 상대가격비율을 결합하여 북한전역을 대상으로 시가화지역의 토지자산 규모를 추정하였다. 추정결과 북한 시가화지역의 토지가격은 시, 군, 구역별 상대가격비율로 볼 때 평양시 동대원구역이 100으로 제일 높고 양강도 풍서군이 1.70으로 가장 낮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한편 시가화지역의 토지자산 규모는 2015년 기준 216억 달러로 추정되었는데, 이는 동년 북한GDP의 1.2~1.3배에 달하는 규모이다. 이 비율은 남한의 1978~1980년과 비슷한데, 해당시기의 남한의 경제성장률이 평균 6%인데 반해 북한은 1%대 수준인 것을 고려하면 상당히 높은 것으로 보인다.

지난 40년간 한반도 기온의 시·공간적 분포 변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hanges of the Spatio-Temporal Distribution of Temperature in Korea Peninsular During the Past 40 Years)

  • 김남신;김경순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29-38
    • /
    • 2013
  • 본 연구는 한반도 기온변화를 분석하여 기후대의 변화와 도시지역에서의 기온분포의 시 공간적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분석에 사용된 자료는 1974년부터 2007년까지 34년간 남북 기상관측소에서 수집된 자료를 활용하였다. 기온은 고도와 선형관계를 갖기 때문에 고도별 월별 기온단열감율을 계산하여 역거리가중법으로 500m 해상도의 분포도를 작성하였다. 도시화 지역에서의 자료는 연도별 인구변화와 기온변화를 비교분석하였다. 온량지수로 구분한 기후대는 남부기후구가 90년대 이후 위도가 크게 상승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도시지역의 평균기온상승은 80년대와 90년대에 $0.5{\sim}1.2^{\circ}C$ 상승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기온 상승은 서울과 광역시 그리고 시단위 지역에서 나타났는데 이들 지역은 80년대와 90년대에 인구증가와 더불어 도시화와 산업화의 속도가 빠르게 진행된 지역이다. 북한의 경우는 평양, 안주시, 개천시, 혜산시에서도 인구증가와 더불어 기온상승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금강산(내금강) 관광을 위한 남북연결 교통망에 관한 연구 (Restoration of The Transportation Network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for Mt. Geumgang Tourism)

  • 홍길종;배선학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51-64
    • /
    • 2019
  • 금강산은 조선 시대 이전부터 한반도를 대표하는 명승지였으며, 남북 분단 이후에는 개성공단과 함께 남북교류의 상징이 되었다. 금강산 관광코스는 크게 내금강과 외금강으로 구분되는데, 조선시대와 일제 강점기의 금강산 관광 경로는 서울에서 가까운 내금강으로 진입하여 외금강을 거쳐 동해로 빠져나가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현대아산에서 운영한 금강산 관광코스는, 북한이 외금강 위주로 개방함으로 인하여, 고성에서 외금강으로 접근하는 관광 경로가 활용되었다. 북한은 금강산 관광코스 중 일부만 현대아산에 개방하였지만, 향후 금강산 관광이 재개된다면 2007년 내금강 일부 구간 개방과 같이 금강산 관광 지역을 추가로 개방할 가능성이 크다. 이 경우 남한에서 내금강으로 접근할 수 있는 추가적인 교통망 연결이 필요하다. 최적의 대안은 금강산철도 구간의 복원이었지만, 임남댐의 건설로 인하여 금강산철도 구간의 복원이 불가능하게 된 현실을 고려할 때, 양구와 금강읍을 연결하던 국도31호선을 복원하는 것이 가장 현실적인 대안이다. GIS를 이용한 내금강 연결도로 분석 결과, 기존 국도31호선, 국도31호선과 인접하여 양구 두타연에서 문등리를 통과하는 노선, 인제에서 출발하여 국도31호선으로 합류하는 노선 등 모두 3개의 노선이 확인되었다. 이들 노선 중 도로 길이, 지형특성, 군사시설배치 등을 고려할 때 두타연-문등리-금강읍 구간이 남한에서 내금강으로 연결할 수 있는 현실적인 대안이 될 수 있다.

위성영상과 GIS를 이용한 북한 서한만 지역의 간석지 분광특성 및 변화 탐지 (Analyzing the spectral characteristic and detecting the change of tidal flat area in Seo han Bay, North Korea using satellite images and GIS)

  • 조명희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44-54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위성영상자료(ASTER, KOMPSAT EOC, Landsat TM/ETM+)와 GIS 공간분석을 이용하여 비 접근 지역인 북한 서한만 일대의 간석지를 추출하였다. 특히 위성영상의 분광특성 분석을 통하여 미지형(micro-landform)을 분류하고 경년에 따른 간석지 면적의 변화를 비교 분석 하였다. 이를 위하여 우선 Landsat TM/ETM+의 multi 밴드를 이용하여 한반도에 분포하고 있는 8개의 간석지(서한만, 광량만, 해주만, 강화만, 아산만, 가로림만, 줄포만, 순천만)를 대상으로 분광특성을 분석하고 그 결과를 기반으로 ISODATA clustering 방법을 이용하여 북한 서한만 지역의 미지형 간석지의 미지형 특성을 추출하였다. 또한 경년에 따른 간석지 면적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고지형도(1918-1920)를 디지털 자료로 변환하여 북한 서해안 전역의 간석지 GIS DB를 구축하였으며 최근의 시기별 다양한 위성영상 자료를 활용하여 작성된 간석지 분포도와 비교분석함으로서 비 접근 지역의 북한 서한만 일대 간석지 면적의 변화를 탐지 하였다. 아울러 간석지 미지형 분류와 경계구분에 효과적인 밴드를 제시하였으며 또한 위성영상자료 활용에 있어서 단일밴드인 우리나라 KOMPSAT EOC영상을 이용한 간석지 추출방법으로 high frequency pass filter method 통한 효율적인 간석지 분류 기법을 제시하였다.

  • PDF

공간정보(GIS) 기반 극한지 자원 개발 최적 위치 선정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a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GIS)-Based Optimal Site System for Developing the Extreme Cold Region)

  • 김세원;양병윤;김영석
    • 한국지반신소재학회논문집
    • /
    • 제22권4호
    • /
    • pp.63-71
    • /
    • 2023
  • 남·북극을 포함한 극한지는 풍부한 자원이 매장되어 있지만 접근성이 어렵고, 국내와 전혀 다른 건설 환경 때문에 자원개발 사업 추진에 많은 제약이 있다. 최근 지구온난화로 극한지의 접근성이 용이해짐에 따라 자원개발 플랜트 건설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지역에서의 자원개발 건설 활동을 위해서는 사업추진의 리스크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사전 입지 분석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극한지 건설 활동에서 고려해야 할 주요 요인들을 분석하여, 공간정보(GIS,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기반의 건설환경 플랫폼 및 최적 입지 선정 시스템을 새롭게 개발하였다. 오일샌드 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캐나다 앨버타주(Alberta) 대상으로 개발 시스템을 적용한 결과, 현재 운용되고 있는 오일샌드 플랜트 채굴 지역과 일치함을 확인하였다.

조선왕조실록의 적조(HABs) 고찰 (A Study of Red Tide(HABs) in the Annals of the Joseon Daynasty)

  • 민승환;서영상;박종우;황재동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120-140
    • /
    • 2013
  • 조선왕조실록을 통해 14세기 말부터 19세기 초까지 적조(HABs) 발생상을 분석하였다. 적조기사는 모두 81건으로 표로 정리하고, 적조지도를 구축하였다. 해역별 발생횟수는 남해 62건, 동해 50건 그리고 황해 22건으로 나타났다. 남해와 동해에 접한 경상도에서는 82건으로 가장 많았다. 경상남도에서 함경북도까지의 적조발생은 두 가지 형태로 나타났는데 첫 번째는 3월 강원도에서 시작되어 4월 함경남도에서 발생이 증가하고 5, 6월에는 중심이 함경북도로 북상하는 형태이다. 두 번째는 8월 경상남도를 중심으로 발생하다 9월에는 경상북도에서 발생이 증가하는 형태이다. 월별 발생 수는 8월이 가장 높았다. 그 외는 대부분 4~9월에 나타났다. 그 중 조개류를 먹고 인명 피해가 발생한 사례는 2~6월 진해, 거제, 통영에서 나타났다. 수산물 피해는 7~9월 경상도연안 전반에서 나타났다. 적조가 대규모로 발생한 시기는 1394~1451년, 1654~1706년으로 나타났고, 적조의 소규모 발생은 1493~1534년, 1588~1609년 이었으며, 공통적으로 홀수 해(1399, 1403, 1413, 1681년)에 대발생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