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ormal tissue cells

검색결과 637건 처리시간 0.027초

Bleomycin 유도 폐 섬유화에 있어서 성장인자 및 Cytokine의 역할 (Role of Growth Factors and Cytokines on Bleomycin Induced Pulmonary Fibrosis)

  • 이용희;정순희;안철민;김성규;조상호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4권4호
    • /
    • pp.871-888
    • /
    • 1997
  • 연구배경 : 특발성 폐 섬유화확 병인론으로 폐포염과 폐에 침윤한 염증세포 및 폐 조직자체의 실질세포들이 성장인자를 포함한 다양한 cytokine을 분비하여 실질조직을 구성하는 세포에 손상을 야기함으로써 종국에는 섬유화를 초래하는 것으로 이해하고 있다. 그러나 이들에 대한 개괄적인 연구가 부족하고 매개체 각각에 대한 단편적인 논문들뿐이어서 본 연구에서는 BLM유도 폐 손상및 섬유화의 발생기전에 있어서 IL-1, IL-6, TNF-$\alpha$와 TGF-${\beta}_1$, PDGF, bFGF들의 역할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방 법 : Wistar백서를 정상대조군, BLM투여군, BLM과 비타민 E병합투여군으로 나누었고 BLM 투여후 제 1, 2, 3, 4, 5, 7, 14, 21, 28일에 각각 도살한 다음 기관지폐포 세척술을 시행하여 시기별 총 세포수, 세포 구성성분비율을 살펴보았고 TGF-${\beta}_1$, PDGF, bFGF, IL-1, IL-6, TNF-$\alpha$에 대한 면역조직화학 염색, TGF-${\beta}_1$ mRNA에 대한 동소보합결합검사를 시행, 각 매개체의 생성소, 발현분포 및 정도를 분석하였다. 결 과 : BLM 투여후 1~7 일에 중성구와 기관지상피세포에서 생성된 IL-1, IL-6는 폐손상부위로 원하는 것으로 생각되며 7일이내에 기관지상피세포에서의 IL-1, IL-6 의 양성발현은 기관지상피세포가 BLM 유도 폐 섬유화시 기도주변에서 일어나는 염증 및 면역반응을 항진 및 유지시키는 간접증거로 생각된다. TNF-$\alpha$는 BLM투여후 1~5일에는 기관지상피세포, 중성구가 주생성소로 폐손상부위로의 염증세포의 이동에 주요역할을 하는 것으로 생각되며 7~28일에는 대식세포가 주생성소로서 섬유화를 촉진시키는 것으로 생각된다. TGF-${\beta}_1$은 기관지 상피세포, 대식세포가 주생성소로서 섬유모세포가 표적세포로 생각되며 섬유모세포가 세포외 기질을 생성하도록 자극하고 대식세포에서 유리된 PDGF와 함께 섬유모세포의 증식을 자극한다. 대식세포 및 섬유모세포에서 유리된 bFGF는 TGF-${\beta}_1$과 함께 교원질과 같은 세포외기질의 생성을 자극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비타민 E와 BLM 병합투여군의 경우 6가지 성장인자 및 cytokine의 발현세포는 같았으나 발현세포수는 극히 미미하였고 trichrome염색상 섬유화도 미약하였다. 결 론 : BLM으로 인한 혈관내피 및 폐포상피세포 손상이후 침윤한 중성구 및 기관지 상피세포가 IL-1, IL-6, TNF-$\alpha$를 분비하여 BLM투여 1~7 일에 많은 수의 중성구를 동원하도록 유도하며 이들이 유리하는 다양한 효소 및 산소유리기가 폐의 정상구조를 파괴하여 섬유화를 시작하게 하는 것으로 생각한다. 손상이 진행됨에 따라 BLM투여 7~28 일에 대식세포가 유리하는 TGF-${\beta}_1$, PDGF, bFGF, TNF-$\alpha$는 섬유모세포를 자극, 이들의 증식을 유도하고 또한 세포외기질의 생성증가를 유도하여 폐 섬유화를 진행시키는 것으로 사료되며 TNF-$\alpha$는 BLM투여후 전 기간에 걸쳐 다수의 세포에서 발현된 점으로 미루어 섬유화에 있어서 TGF-${\beta}_1$ 못지않은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또한 비타민 E가 BLM유도 폐 손상으로 인한 폐 섬유화의 정도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생각한다.

  • PDF

비소세포폐암에서 DR5 TRAIL 수용체와 p53에 관한 면역조직화학적 분석 (Immunohistochemical Analysis for the Expression of DR5 TRAIL Receptor and p53 in Non-small Cell Lung Cancer)

  • 이계영;이정현;김순종;유광하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64권4호
    • /
    • pp.278-284
    • /
    • 2008
  • 연구배경: TRAIL 은 death 수용체(DR4, DR5)와 decoy 수용체(DcR1, DcR2)라는 독특한 수용체 시스템 덕분에 정상세포는 보호하고 종양선택적 살상능을 가진 유망한 항암제로 주목받고 있다. DR5 TRAIL 수용체는 wild-type p53 세포에서 DNA 손상항암제인 doxorubicine에 의해 발현 유도되는 p53-조절 death 수용체 유전자로 처음에 발견되었다. 폐암 조직에서 이러한 DR5와 p53 발현에 관연 연구 보고는 많지 않다. 본 연구에서 비소세포폐암 조직에서 면역조직화학적 방법을 이용하여 DR5 발현과 p53과의 상관관계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방법: Avidin-biotinylated horseradish peroxidase complex를 이용하여 89예의 수술적 절제된 비소세포폐암 포르말린 고정조직에서 면역조직화학적 염색을 시행하였다. 1차 항체로는 anti-DR5 polyclonal antibody (Pro Sci Inc., Poway, CA)와 anti-p53 monoclonal antibody (DO-7, Novocastra, Inc, Manhasset, NY)를 이용하였다. DR5 발현에 대한 면역조직화학적 판정은 면역염색의 범위와 강도를 합산하여 다음과 같이 판정하였다; 0, non-staining; 1+, weak and diffuse(>50%) or focal (<50%) or moderate and focal; 2+, strong and focal or moderate and diffuse ; 3+, strong and diffuse. 2+ 이상을 고발현(high expression)으로 분류하였다. p53 발현 정도에 따른 p53 wild type과 mutant type의 구분은 3+의 강양성인 경우를 mutant type으로 판정하였고, 나머지 0, 1+, 2+ 발현은 wild type p53으로 판정하였다. 결과: 주변 정상폐조직에서의 DR5발현은 기관지점막에서 89%의 고발현율을 보였으나, type I, II 폐상피세포, 림프구, 평활근세포 등의 정상 세포에서는 거의 발현되지 않았다. 폐암 조직에서 DR5 고발현율은 편평상피암에서 28% (15/53), 선암에서 47% (15/32), 대세포암에서 50% (2/4)의 빈도를 보여 전반적으로 36%의 고발현율을 보였다. DR5 고발현율은 임상병기, 생존기간 등 임상 지표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여주지 못하였지만 p53 발현과는 유의한 역상관관계를 보여주었다. 결론: 비소세포폐암 조직에서 면역조직화학적 분석을 통하여 DR5 발현이 기관지점막을 제외하고는 종양 선택적임을 확인하였고 p53 발현과 유의한 역상관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DR5가 p53 조절 유전자임을 in vivo에서 확인한 유력한 증거일 수 있다고 생각된다.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에서 Conserved T 세포 수용체의 CDR3 motif를 표현하는 제2형 콜라겐 특이 T세포주의 형성과 유지 (Generation and maintenance of type II collagen-specific T-cell line expressing conserved TCR-CDR3 motifs among patients with rheumatoid arthritis)

  • 김승훈;조미라;윤지희;박성환;조철수;황수연;김호연
    • IMMUNE NETWORK
    • /
    • 제1권1호
    • /
    • pp.61-69
    • /
    • 2001
  • Background: To determine the molecular structure of type II collagen-specific T-cell receptors associated with rheumatoid arthritis (RA). Methods: We generated CII-specific T-cell lines of 8 RA patients by prolonged in vitro culture with bovine CII (bCII) and the immunogenic peptide (256-270) of human CII. The proliferation response towards CII stimulation was measured from the uptake of 3H-thymidine. Changes in the secretion of Th 1 and Th2 cytokines in the culture supernatent were measured by ELISA. The TCR clonotypes of these T-cells were examined by RT-PCR/SSCP analyses of all 22 $V_{\beta}$ chains. Results: T-cells from patients' tissue exhibited strong proliferation index upon CII stimulation, which was maintained up to 6 months in the culture. The secretion of INF-$\gamma$from these T-cells increased along with the duration of culture time, while the amount of IL-4 production did not show significant changes. The SSCP band patterns of patients' T-cells appear as discrete bands unlike the smeary streak produced from normal samples. Some SSCP bands, each representing selected expansion of a TCR containing certain subtype of $V_{\beta}$ peptides, appeared to be identical in more than one patients. Among these, the expansion of SSCP band representing the $V_{\beta}$ 14 CDR3 region persisted after switching the antigen to the immunogenic human peptide (256-270). Conclusion: CII-reactive T-cells expressing distinct CDR3 motifs are selectively expanded in the peripheral blood and synovial fluid of RA patients, and their persistent proliferation upon CII stimulation, as well as the production Th 1-type cytokines, may play pivotal roles in RA pathogenesis.

  • PDF

Desalinated underground seawater of Jeju Island (Korea) improves lipid metabolism in mice fed diets containing high fat and increases antioxidant potential in t-BHP treated HepG2 cells

  • Noh, Jung-Ran;Gang, Gil-Tae;Kim, Yong-Hoon;Yang, Keum-Jin;Lee, Chul-Ho;Na, O-Su;Kim, Gi-Ju;Oh, Won-Keun;Lee, Young-Don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4권1호
    • /
    • pp.3-10
    • /
    • 2010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desalinated underground seawater (named as 'magma seawater', MSW) of Jeju Island in Korea on lipid metabolism and antioxidant activity. MSW was collected from underground of Han-Dong in Jeju Island, and freely given to high fat diet (HFD)-fed C57BL/6 mice for 10 weeks. Although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body weight changes and plasma lipid levels, hepatic triglyceride levels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he MSW group than in the normal tap water (TW)-drunken control group. Furthermore, the activity of fatty acid synthase (FAS) was significantly decreased and carnitine palmitoyltransferase (CPT) activity was increased in MSW group compared to TW group. Similarly, real-time PCR analysis revealed that mRNA expressions of lipogenic genes were lowered in MSW group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In a morphometric observation on the liver tissue, accumulation of fats was remarkably reduced in MSW group. Meanwhile, in vitro assay, t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measured by using diphenylpicrylhydrazyl (DPPH) was increased in MSW group. The 2'-7'-dichlorofluorescein diacetate (DCF-DA) staining followed with fluorescent microscopy showed a low intensity of fluorescence in MSW-treated HepG2 cells, compared to TW-treated HepG2 cells, which indicated that the production of reactive oxygen species by tert-butyl hydroperoxide (t-BHP) in HepG2 cells was decreased by MSW treatment. The antioxidant effect of MSW on t-BHP-induced oxidative stress in HepG2 cells was supported by the increased activities of intracellular antioxidant enzymes such as catalase and glutathione reductase. From these results, we speculate that MSW has an inhibitory effect on lipogenesis in liver and might play a protective role against cell damage by t-BHP-induced oxidative stress.

위암에서 발견된 돌연변이형 Fas 단백의 기능적 결함 (Functional Defect of the Fas Mutants Detected in Gastric Cancers)

  • 박원상;조용구;김창재;박조현;김영실;김수영;남석우;이석형;유남진;이정용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3권4호
    • /
    • pp.186-190
    • /
    • 2003
  • Purpose: The balance between cell proliferation and apoptosis is crucial for homeostatic maintenance in a cell population. Decreased apoptosis or uncontrolled proliferation can lead to cancer. The Fas receptor signal through a cytoplasmic death domain is very important in the apoptotic pathway. To identify the effect of the death domain of the Fas gene in the development and/or progression of gastric cancer, we examined the apoptotic potential of five known Fas mutants detected in gastric cancers. Materials and Methods: A wild-type Fas gene was cloned with cDNA from normal liver tissue and full length Fas was sequenced. Mutants of the gene were generated with sitedirected mutagenesis by using the wild-type gene and specific primers. Wild- and mutant-type genes were transfected to HEK293 cells. Forty-eight hours after transfection the cells were stained with DAPI and cell death was counted under fluorescent microscopy. Results: In wild-type Fas-transfected cells, the percentage of apoptotic cells was $85.9\pm3.6\%$, and significant cell death and classic morphologic signs of apoptosis were observed. However, the percentages of apoptotic cells transfected with N239D, E240G, D244V, and R263H of tumor-derived mutant Fas were $29.5\pm2.08\%,\;28.5\pm3.34\%,\;25.225\pm2.06\%,\;and\;36.625\pm4.49\%$, respectively.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inactivation of Fas caused by mutations in the death domain of the Fas gene may be one of the possible escape mechanisms against Fas-mediated apoptosis and that inactivating mutation of the Fas may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r progression of gastric cancers.

  • PDF

Regional Distribution of Interstitial Cells of Cajal, (ICC) in Human Stomach

  • Yun, Hyo-Yung;Sung, Ro-Hyun;Kim, Young-Chul;Choi, Woong;Kim, Hun-Sik;Kim, Heon;Lee, Gwang-Ju;You, Ra-Young;Park, Seon-Mee;Yun, Sei-Jin;Kim, Mi-Jung;Kim, Won-Seop;Song, Young-Jin;Xu, Wen-Xie;Lee, Sang-Jin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and Pharmacology
    • /
    • 제14권5호
    • /
    • pp.317-324
    • /
    • 2010
  • We elucidated the distribution of interstitial cells of Cajal (ICC) in human stomach, using cryosection and $c-Kit$ immunohistochemistry to identify $c-Kit$ positive ICC. Before $c-Kit$ staining, we routinely used hematoxylin and eosin (HE) staining to identify every structure of human stomach, from mucosa to longitudinal muscle. HE staining revealed that the fundus greater curvature (GC) had prominent oblique muscle layer, and $c-Kit$ immunostaining $c-Kit$ positive ICC cells were found to have typical morphology of dense fusiform cell body with multiple processes protruding from the central cell body. In particular, we could observe dense processes and ramifications of ICC in myenteric area and longitudinal muscle layer of corpus GC. Interestingly, $c-Kit$ positive ICC-like cells which had morphology very similar to ICC were found in gastric mucosa. We could not find an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istribution of ICC between fundus and corpus, except for submucosa where the density of ICC was much higher in gastric fundus than corpus. Furthermor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ensity of ICC between each area of fundus and corpus, except for muscularis mucosa. Finally, we also found similar distribution of ICC in normal and cancerous tissue obtained from a patient who underwent pancreotomy and gastrectomy. In conclusion, ICC was found ubiquitously in human stomach and the density of ICC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muscularis mucosa of both fundus/corpus and higher in the submucosa of gastric fundus than corpus.

인체의 폐암과 정상 폐조직에서 Peroxiredoxin 및 Thioredoxin의 발현 양상 (Expression of Peroxiredoxin and Thioredoxin in Human Lung Cancer and Paired Normal Lung)

  • 김영선;박주헌;이혜림;심진영;최영인;오윤정;신승수;최영화;박광주;박래웅;황성철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9권2호
    • /
    • pp.142-150
    • /
    • 2005
  • 연구배경 : Peroxiredoxin (Prx) 은 최근에 알려진 항산화제로 세포의 증식과 분화, 세포사멸이나 발암과정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현재까지 폐암을 비롯한 각종 질병에서의 이들 Prx단백의 역할은 잘 규명되어 있지 않다. 이에 본 연구는 폐암 조직과 정상폐조직에서 Prx 단백의 발현 양상과 분포를 연구하여 이들의 병태 생리학적인 의미를 찾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아주대학교 병원에서 폐암으로 진단된 환자의 폐암조직과, 동일 환자의 정상 폐조직에서, 1 차원전기영동 (reducing 조건과 non-reducing 조건에서의 SDSPAGE) 혹은 2차원전기영동을 시행한 후 Western blot으로 Prx, Trx 및 TR의 발현 양상을 분석 하였으며, 백서의 정상 폐조직과, 환자의 폐암 조직에서 anti-Prx rabbit polyclonal 항체로 하여 면역조직화학염색법을 통해, Prx 단백의 분포를 관찰하였다. 결 과 : 면역조직화학염색법 결과 백서의 정상 폐조직에서는 Prx I, II, III 및 V 유형이, 주로 기관지상피세포, 폐포상피세포 및 폐포대식세포에서 발현되고 있음을 관찰하였다. 인체 폐암조직에서는, 정상 폐조직 부위에 비해서 Prx I 과 Prx III 유형 및 Trx단백의 발현이 선택적으로 증가되어 있고, 특히, 2차원 전기영동을 통한 프로티옴 분석에서 산화된 형태의 Prx I 과 Prx II가 증가 한 것을 비롯하여, 분자량과 등전점(pI)이 약간 변화된 형태의 Prx III가 폐암조직에 존재함을 알 수 있었다. 한편, 폐암 조직의 non-reducing 전기영동 후 Western blot에서는, monomer와 dimer 사이의 중간 크기에 해당하는 약 40 kDa과 200 kDa 이상 크기의, 항 Prx 항체와 반응하는 단백 띠 (reactive bands)가 관찰되었다. 결 론 : 폐암 조직에서 관찰되는 Prx I 과 Prx III 유형 및 Trx의 과발현 양상은, 종양 세포들이 주변의 미세 환경으로부터 겪는 여러 스트레스에 대하여 단백질을 보호하고 세포의 생명력을 유지하는데 있어 주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2007년 봄 인천만 갯벌에 있어 폭풍으로 인한 갯벌의 침식작용에 의해 대기 중으로 노출된 바지락 (Ruditapes philippinarum)의 조직병리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Pathologic condition of the stranded Manila clam Ruditapes philippinarum by storm-originated sediment erosion in spring 2007 in Incheon Bay off the west coast of Korea)

  • 박광재;양현성;정희도;최광식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47-154
    • /
    • 2013
  • In Incheon bay, mass mortalities of Manila clam associated with winter storms have been reported. In the present study we have monitored pathologic condition of the clams stranded on the tidal flats by the winter storms occurred in late March to early April in 2007. The field surveyed indicated that mortality of the Manila clam in the study areas ranged 10-15%. Condition index, a ratio of tissue weight to the shell weight, of the stranded clams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non-stranded normal clams collected from the same locations (p < 0.05), indicating that the stranded clams were comparatively in poor physiological condition. Perkinsus olseni, the protozoan parasite was observed most of clams used in the analysis and the infection prevalence ranged 77-90%. The infection intensity of P. olseni determined using Ray's fluid thioglycollate medium (RFTM) cultivation and the 2M NaOH digestion assay indicated that the clams collected during late March and early April in 2007 involved 67,182-1,124,727 P. olseni cells/g tissue. The infection intensity of clams from Gung-Pyeung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intensities observed from Dae-Bu and Young-Heung (p < 0.05). No clear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the infection intensities of P. olseni in the non-stranded normal clams and the stranded clams. The stranded Manila clams were also infected with trematode parasite with the prevalence ranged 5 (Young-Heung) to 12.5% (Dae-Bu). The trematode-infected clams exhibited castrated follicles in the gonad, a typical sign of trematode infection. It was believed that mass mortality of Manila clam observed in this study was associated with the poor physiological condition as indicated by CI, although impacts of the parasite infection cannot be ruled out.

애기장대 (Arabidopsis thaliana)의 엽육원형질체로부터 효율적인 식물체 재분화와 이들의 형태적 특성 (Efficient Plant Regeneration from Mesophyll Protoplast of Arabidopsis thaliana and Morphological Characterization of Regenerants)

  • 김명덕;김준철;진창덕;임창진;한태진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27-132
    • /
    • 1999
  • 4주 배양된 애기장대의 엽육조직으로부터 원형질체를 분리하여 2.0mg/L NAA, 0.5mg/L BAP및 9% mannitol이 포함된 MS 액체배지에서 $25^{\circ}C$, 암조건에서 배양하였다. 원형질체 유래 microcolonies를 dehydration시켜 배양하였을 때 non-dehydration에 비해 7배의 높은 캘러스 유도율을 나타내었다. Dehydrated microcolonies들 중에서 50개의 캘러스를 선별하여 0.05 mg/L NAA, 7mg/L 2-iP가 첨가된 MS배지에서 광조건으로 배양하였을 때 점차적으로 녹화되기 시작하였으며 배양 4주 후부터 전체적으로 녹화된 SF캘러스에서 green spots이 형성되었다 Shoot형성률은 식물생장조절물질의 종류에 따라 3.5%~56%로 나타났다. 재분화된 shoot는 식물생장조절물질이 첨가되지 않은 MS배지에서 뿌리를 유도하였으며 이들을 토양에 이식하여 완전한 재분화 식물체를 얻을 수 있었다. Shoot 형성과정을 조직학적인 측면에서 관찰한 결과, 배양초기에는 신장된 무정형의 세포가 대부분이었으나 배양이 진전됨에 따라 주위 세포들과 구별이 뚜렷한 도관요소 (tracheary element)와 분열조직군 (meristemoid)이 형성되면서 shoot primodia가 shoot로 발달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재분화 식물체는 형태적으로 normal type이 78%이고 abnormal type이 22%였다.

  • PDF

흰쥐의 직장과 방광에 X-선 조사와 마이크로파 온열요법의 효과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Effect of Combined X-ray and Microwave Hyperthermia on the Rectum and Urinary Bladder of Rats)

  • 이경자;이정식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4권2호
    • /
    • pp.115-128
    • /
    • 1986
  • 온열요법은 암치료에 있어서 방사선과 병용하였을 때 상호보완 작용을 하여 방사선에 저항성이 높은 세포주기의 S-기에 민감하게 작용하며 세포의 준치사손상의 회복을 저지시킴으로써 방사선의 효과를 상승시킬 수 있다. 저자는 100Watt, 2450MHz의 마이크로파 온열기구를 제작하고 조직등가인 판톰을 이용하여 예비측정과 방열조사 조건 및 방법을 계획한 후 생물학적 반응을 관찰하기 위하여 흰쥐 102마리를 이용하여 온열요법, X-선조사 (6Gy-15Gy) 및 선 조사와 온열요법을 병행하여 직장과 방광의 조직학적 소견을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100Watt, 2450MHz의 소형마이코로파 온열발생장치로서 조직을 $40{\sim}50^{\circ}C$로 유지하여 1시간 이상 가열할 수 있었다. 2) 조직온열분포는 깊이 3cm, 직명 2-10cm의 넓이에 $40{\sim}44^{\circ}C$의 온도분포를 계속 유지할 수 있었다. 3) 온열요법 단독으로는 직장의 점막하층의 부종을 볼 수 있었으나 방광의 조직학적 변화는 볼 수 없었다. 4) 점막상피괴사는 직장에 X-선조사 6Gy의 15일군에서, 방광에 8Gy의 15일군에서 각각 나타나기 시작하였으며, 근층괴사는 직장에 X-선조사 8Gy의 15일군에서, 방광에 10Gy의 60일군에서 각각 나타났다. 5) X-선조사와 온열요법병행군에서 직장과 방광의 조직학적변화 (점막과 근층의 괴사)를 관찰하여 열증강율은 1.0으로 증가되지 않음으로서 직장과 방광의 내용선량의 변화가 없음을 시사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