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ormal canine brain

검색결과 10건 처리시간 0.034초

Common plasma protein marker LCAT in aggressive human breast cancer and canine mammary tumor

  • Park, Hyoung-Min;Kim, HuiSu;Kim, Dong Wook;Yoon, Jong-Hyuk;Kim, Byung-Gyu;Cho, Je-Yoel
    • BMB Reports
    • /
    • 제53권12호
    • /
    • pp.664-669
    • /
    • 2020
  • Breast cancer is one of the most frequently diagnosed cancers. Although biomarkers are continuously being discovered, few specific markers, rather than classification markers, representing the aggressiveness and invasiveness of breast cancer are known. In this study, we used samples from canine mammary tumors in a comparative approach. We subjected 36 fractions of both canine normal and mammary tumor plasmas to high-performance quantitative proteomics analysis. Among the identified proteins, LCAT was selectively expressed in mixed tumor samples. With further MRM and Western blot validation, we discovered that the LCAT protein is an indicator of aggressive mammary tumors, an advanced stage of cancer, possibly highly metastatic. Interestingly, we also found that LCAT is overexpressed in high-grade and lymph-node-positive breast cancer in silico data. We also demonstrated that LCAT is highly expressed in the sera of advanced-stage human breast cancers within the same classification. In conclusion, we identified a possible common plasma protein biomarker, LCAT, that is highly expressed in aggressive human breast cancer and canine mammary tumor.

Canine Mesenchymal Stem Cells Derived from Bone Marrow: Isolation, Characterization, Multidifferentiation, and Neurotrophic Factor Expression in vitro

  • Jung, Dong-In;Ha, Jeong-Im;Kim, Ju-Won;Kang, Byeong-Teck;Yoo, Jong-Hyun;Park, Chul;Lee, Jong-Hwan;Park, Hee-Myung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5권6호
    • /
    • pp.458-465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haracterize canine mesenchymal stem cells (MSCs) derived from bone marrow (BM) for use in research on the applications of stem cells in canine models of development, physiology, and disease. BM was harvested antemortem by aspiration from the greater tubercle of the humerus of 30 normal beagle dogs. Canine BM-derived MSCs were isolated according to methods developed for other species and were characterized based on their morphology, growth traits, cell-surface antigen profiles, differentiation repertoire, immunocytochemistry results, and neurotrophic factor expression in vitro. The canine MSCs exhibited a fibroblast-like morphology with a polygonal or spindle-shaped appearance and long processes; further, their cell-surface antigen profiles were similar to those of their counterparts in other species such as rodents and humans. The canine MSCs could differentiate into osteocytes and neurons on incubation with appropriate induction media. RT-PCR analysis revealed that these cells expressed NGF, bFGF, SDF-1, and VEGF.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isolating canine MSCs from BM, stem-cell technology can be applied to a large variety of organ dysfunctions caused by degenerative diseases and injuries in dogs. Furthermore, our results indicated that canine MSCs constitutively secrete endogenous factors that enhance neurogenesis and angiogenesis. Therefore, these cells are potentially useful for treating dogs affected with various neurodegenerative diseases and spinal-cord injuries.

8 MHz 라디오파를 이용한 자입식 온열치료 -조직등가물질을 통한 온도분포 및 개 뇌실질의 조직병리 변화에 관한 연구- (Interstitial Hyperthermia by Radiofrequency Needle Electrode System : Phantom and Canine Brain Studies)

  • 이형식;추성실;성진실;서창옥;김귀언;노준규;김영수;김선호;정상섭;한은경;김태승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9권1호
    • /
    • pp.27-35
    • /
    • 1991
  • 8MHz 라디오파를 이용한 자입식 온열치료를 위한 기초실험의 일환으로 조직등가물을 이용하여 다양한 needle electrode의 배열을 통한 적정 온도분포를 규명하고자 하였고, 직접 개의 뇌실질에 자입 온열요법을 시도하여 이에 따른 조직 병리학적 소견을 관찰하고자 하였다. 조직등가물 실침에서 저자들은 needle electrode 1 cm 간격의 정방형 배치에서 횡단면상 $90\%$ relative SAR 분포가 약 1.25 cm 반경의 균일한 원형으로 관찰됨을 알 수 있었고 종단면상 needle electrode의 길이에 따라 균일한 온도분포가 이루어짐을 관찰할 수 있었다. 정상 개의 뇌실질에 자입하여 직접 정방형의 중심을 $43^{\circ}C$로 유지하며 50분간 온열요법을 시행한 후 관찰한 조직 병리학적 소견은 liquefactive necrosis, pyknosis of neuronal element 및 Polymorphonuclear leukocytes들이 회백질에서 급성기에 관찰 되었고 liquefactive necrosis 주위에 lipid-laden macrophage들이 관찰됨이 공통적인 특징 이었으며 후기 변화로 괴사조직 주위로 신경교세포의 증식이 관찰되었다.

  • PDF

Effect of clomipramine in a dog with cataplexy

  • Jeong, Soo-Yeon;Kang, Min-Hee;Park, Hee-Myung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53권2호
    • /
    • pp.129-131
    • /
    • 2013
  • A 5-year-old, castrated male, Maltese was presented with history of acute flaccid paralysis. The dog was presented with sudden loss of muscle tone and involuntary movements of hind limbs. Neurologic examination revealed reduced postural reaction in the bilateral hind limbs. MRI of brain showed moderate hydrocephalus, but other examination results were normal. Based on the characteristic episodes and examination results, canine cataplexy was suspected. Treatment was initiated with clomipramine as cataplexy control. Clinical signs resolved with 3-month medication. This case demonstrates therapeutic diagnosis of cataplexy. To the author's knowledge, this is the first report of cataplexy treating with clomipramine.

개의 아토피성 피부염에서 분리한 Staphylococcus intermedius 균의 세균단백질의 면역반응 (Immune Response of Bacterial Proteins of Staphylococcus intermedius from Canine Atopic Dermatitis)

  • Park, Hee-myung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20-22
    • /
    • 2004
  • 개의 아토피성 피부염의 주된 세균성 감염은 Staphylococcus intermedius에 의해 발생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아토피성 피부염을 가지고 있는 환견의 혈청과 정상견의 혈청을 이용하여 체액성 면역반응을 유발하는 주된 세균단백질을 규명하는데 있다. 건국대학교 수의과대학 부속동물병원에 내원한 아토피성 피부염 및 표재성 세균성 농피증을 앓고 있는 환견의 혈청 및 정상견의 혈청을 분리하여 본 실험에 사용하였으며 아토피성 피부염을 가지고 있는 환견에서 S. intermedius 균을 분리하였다. Brain heart infusion 액체배지 조건 및 $37^{\circ}C$ 배양조건에서 호기상태로 증균시켰으며 증균후 포도상구균을 PBS완충액에 부유시킨후 원심분리하고 최종적으로 lysostaphin을 이용하여 세균단백질을 분리하였다. 수거한 세균단백질은 SDS-PAGE을 이용하여 단백질을 전기영동하였으며 영동후 nitrocellulose membrane을 이용하여 단백질을 이동시켰다. Western blot은 anti-dog-IgG, 아토피성 피부염의 혈청 및 정상혈청을 이용하였다. 결론적으로 아토피성 피부염의 혈청을 이용해 확인한 S. intermedius의 주요 세균단백질은 18, 31, 75, 및 110 kDa이였다. 현재의 연구결과로 볼 때 아토피성 피부염에 감염된 대부분의 환견은 S. intermedius의 세균단백질에 대한 체액성 면역반응이 유발된다고 생각된다.

초급성 뇌경색을 일으킨 개에서 Gd-조영제의 주입이 뇌의 확산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Gd-DTPA on Diffusion in Canine Brain with Hyperacute Stroke)

  • 김범수;정소령;신경섭
    • Investigative Magnetic Resonance Imaging
    • /
    • 제6권2호
    • /
    • pp.158-165
    • /
    • 2002
  • 목적: 체내에 주입된 Gd-DTPA가 뇌의 확산강조 자기공명영상 신호강도 및 현성확산계수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대상 및 방법 : 성숙한 잡견 5마리에 대하여 동맥내 도관삽입에 의한 좌측 내경동맥 색전방법을 이용하여 초급성 뇌경색 동물모델을 만들었다. 색전 후 1시간째 확산강조영상을 시행하고, Gd-DTPA를 주입한 다음 다시 90분까지 11회의 추가 확산강조영상을 얻었다. 관심영역을 설정하여 측정한 초급성 뇌경색부위와 반대측 정상부위의 확산강조영상 신호강도 및 현성확산계수를 분석하였다. 결과: 뇌경색은 색전 후 1시간에 시행한 확산강조 자기공명영상에서 잡견 5마리 모두에서 발견되었다. 확산강조영상에서 초급성 뇌경색부위의 신호강도는 Gd-DTPA 주입 여부와 관계없이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증가하였으나, 관류가 유지된 정상부위의 신호강 도는 Gd-DTPA 주입 후 2분에 시행한 첫 검사에서 오히려 저하된 후, 시간경과에 따라 다시 증가하였다. 현성확산계수는 초급성 뇌경색부위에서 Gd-DTPA주입여부에 관계없이 시간 이 경과함에 따라 지속적으로 감소되었으나, 관류가 유지된 반대측 정상부위에서는 변화하지 않았다. 결론: 체내에 주입된 Gd-DTPA는 초급성 뇌경색부위 및 정상부위의 현성확산계수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나, 정상부위에서는 조영제 주입 직후 초기의 자화율효과에 의해 확산강조영상의 신호 강도를 저하시켰다. 조영제 주입 후 시행한 확산강조영상 신호 강도의 정량적인 측정이 필요한 연구 혹은 임상 증례에 대하여는 현성확산계수를 측정함으로써 Gd-DTPA의 자화율효과에 의한 영향을 배제하여야 할 것이다.

  • PDF

Comparison of bone subtraction CT angiography with standard CT angiography for evaluating circle of Willis in normal dogs

  • Soyon An;Gunha Hwang;Rakhoon Kim;Tae Sung Hwang;Hee Chun Lee
    • Journal of Veterinary Science
    • /
    • 제24권5호
    • /
    • pp.65.1-65.9
    • /
    • 2023
  • Background: Bone subtraction computed tomography angiography (BSCTA) is a useful alternative technique for improving visualization of vessels surrounded by skull bone. However, no studies have compared computed tomography angiography (CTA) and BSCTA for improving the visibility of canine cerebral blood vessels. Objectives: To evaluate the potential benefit of BSCTA for better delineation of brain arteries of the circle of Willis (CoW) in dogs by comparing BSCTA with non-subtraction computed tomography angiography (NSCTA). Methods: Brain CTA was performed for nine healthy beagle dogs using a bolus tracking method with saline flushing. A total dose of 600 mgI/kg of contrast agent with an iodine content of 370 mgI/mL was injected at a rate of 4 ml/s. Bone removal was achieved automatically by subtracting non-enhanced computed tomography (CT) data from contrast CT data. Five main intracranial arteries of the CoW were analyzed and graded on a scale of five for qualitative evaluation. Results: Scores of basilar artery, middle cerebral artery, and rostral cerebral artery in the BSCTA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in the NSCTA group (p = 0.001, p = 0.020, and p < 0.0001, respectively). Scores of rostral cerebellar artery (RcA) and caudal cerebral artery (CCA)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between the two groups. However, scores of RcA and CCA in the BSCTA group were higher than those in the NSCTA group. Conclusions: BSCTA improved visualization of intracranial arteries of the CoW with close contact to bone. Thus, it should be recommended as a routine scan method in dogs suspected of having brain vessel disease.

3T 능동차폐형 자기공명영상 장비로부터 얻어진 개의 자기공명영상 (Canine MR Images from 3T Active-Shield MRI System)

  • Choe, Bo-Young;Park, Chi-Bong;Kang, Sei-Kwon;Chu, Myoung-Ja;Kim, Euy-Neyng;Lee, Hyoung-Koo;Suh, Tae-Suk
    • 한국의학물리학회지:의학물리
    • /
    • 제12권2호
    • /
    • pp.113-124
    • /
    • 2001
  • 목적: 수의 영상진단을 위하여 3T 능동차폐형 자석을 장착한 전신용 자기공명영상장비를 이용하여 고해상도의 개 두뇌, 척추, 복부 및 골반 자기공명영상을 획득하였다. 대상 및 방법: 128 MHz의 공명주파수를 갖는 RF코일을 사용하여 정상 개 및 환축으로부터 스핀에코와 고속 스핀에코 펄스시퀀스를 적용하였다. 전형적인 펄스시퀀스의 매개변수는 512$\times$512 matrix, 20 cm FOV, 3 mm 절편두께, 1 NEX를 사용하였다. 특히 T1 강조영상을 위하여 TR=500 ms, TE=10 혹은 17.4 ms을 사용하였으며, T2 강도영상을 위하여 TR=4000 ms, TE=108 ms을 사용하였다. 결과: 3T의 신호대잡음비는 기존 1.5T에 비하여 2.7배 정도 향상되었다. 본 연구에서 획득한 고해상도의 자기공명영상은 기존의 20cm FOV, 5m의 절편두께와 256$\times$256 해상도의 영상에 비하여 4배이상 증가하였다 3T 자기공명영상은 매우 미세한 혈관 구조물을 표출하는데 도움을 주며, 또한 백질과 회질의 상당한 대조도를 제공하여 주었다. 결론: 본 연구결과에서 3T로부터 얻은 자기공명영상은 기존 1.5T 영상에서 얻은 영상에 비하여 더 높은 해상도와 민감도를 제공하여 주었다. 3T 고자장 자기공명영상에 나타난 증가된 신호대잡음비는 생체 조직단위의 영상을 획득하는데 유용하였다. 이러한 고해상도의 자기공명영상은 비침습적인 방법으로서 미세조직의 이상유무를 진단하는데 있어서 향후 더욱 임상에 도움을 주리라 예상한다. 향후 자기공명영상은 수의 진단방사선분야에 새로운 장을 열어줄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 PDF

고 선량율 근접 및 온열치료 병용 삽입관의 제작과 특성 (Fabrication of Combined Probes for Interstitial hyperthermia and Brachyradiotherapy)

  • 추성실;김성규
    • 한국의학물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의학물리학회 2004년도 제29회 추계학술대회 발표논문집
    • /
    • pp.85-87
    • /
    • 2004
  • 원격조정 아프터로딩 시스템에 사용하는 폴리에틸렌 삽입관에 금박을 입혀 라디오파(RF) 안테나로도 병행사용할수 있는 열 방사선 병용삽입관 을 제작하였다. 30W의 RF 전력으로 15분간 한천 판톰에 가열하였을 때 폴리에틸렌관은 약 5oC 상승하였으나 금박으로 코팅 된 폴리에틸렌관은 약 20${\circ}$C 상승하여 RF 안테나로 대용할 수가 있었다. 한천 팬텀 중앙부에 길이가 2 cm 인 4개의 전극을 1 cm 간격으로 정사각형이 되도록 삽입하여 가열하였을 때 90%등온곡선이 반경 1.25 cm 의 원형으로 균일하게 분포되었고 2 cm 간격으로 삽일 하였을 때 1.75 cm 반경으로 거의 4 각형의 균일한 분포를 얻었다. 개의 뇌 실질에 정방형의 중심을 43${\circ}$C로 50분간 온열 요법을 시행한 후 관찰한 조직병리학적 소견에서 의미있는 변화를 보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