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on-dental hygiene students

검색결과 91건 처리시간 0.023초

치위생과 학생 및 비치위생과 학생의 구강건강 인식에 관한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he Knowledge of Oral Health between Dental Hygiene Students and Non-dental Hygiene Students)

  • 이경희;권현정;윤혜정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121-127
    • /
    • 2007
  • 현 대학생의 구강보건에 관한 기본적인 지식과 관심 및 치위생과 및 비치위생과 학생의 구강건강인식을 비교 분석할 목적으로 2006년 6월부터 2007년 5월까지 조사를 실시하고, 비교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구강보건에 관한 인식도를 살펴본 결과, 치위생과 학생의 구강보건 지식경로는 학교수업이 80.0%로 가장 많았고, 비치위생과 학생들의 경우에는 TV 또는 라디오의 건강프로그램이 42.7%로 가장 많았다. 구강위생을 유지해야 하는 이유에 대해서는 치위생과 학생들의 경우에는 치아우식증 예방이라고 응답한 경우가 80.9%로 가장 많았고, 비치위생과 학생들의 경우에는 치주질환 예방이 52.4%로 가장 많았으며, 치위생과 학생과 비치위생과 학생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 < 0.001). 2. 치아우식증에 관한 인식도를 살펴본 결과, 치아우식증 예방법에 대해서는 치위생과 학생과 비치위생과 학생들 모두 규칙적인 잇솔질이 가장 많았고, 치아우식증의 발생원인에 대해서는 치위생과 학생과 비치위생과 학생들 모두 불충분한 잇솔질이 가장 높은 빈도를 나타냈으며, 치위생과 학생과 비치위생과 학생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 < 0.001). 3. 불소에 관한 인식도에 대해 살펴본 결과, 불소인지 여부에 대해 치위생과 학생들은 불소를 알고 있는 경우가 93.6%로 나타났고, 비치위생과 학생들은 55.3%로 나타났으며, 불소의 치아우식 예방인지 여부에 대해 치위생과 학생들은 예방할 수 있다고 응답한 경우가 85.5%로 가장 많았고, 비치위생과 학생들은 잘 모르겠다가 51.0%로 가장 많았으며, 치위생과 학생과 비치위생과 학생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 < 0.001). 4. 구강건강상태에 대한 인식도에 대해 살펴본 결과, 본인의 치아 상태에 대하여 치위생과 학생과 비치위생과 학생들 모두에서 보통이라고 응답한 경우가 가장 많았으며, 본인의 치아건강에 대한 관심도에 대해서는 치위생과 학생과 비치위생과 학생들 모두에서 "조금 있다"라고 응답한 경우가 가장 많았고, 치위생과 학생과 비치위생과 학생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 < 0.001). 본인의 치아우식 발생 원인에 대해 치위생과 학생과 비치위생과 학생들 모두에서 불충분한 잇솔질, 당분 과다섭취 순으로 나타났다. 5. 구강진료의 인식도에 대해 살펴본 결과, 진료 시의 동통에 대해서는 치위생과 학생과 비치위생과 학생들 모두에서 견딜만한 정도와 극도로 아프다 순으로 나타났으며, 치과 진료시의 어려움에 대해서는 치위생과 학생들과 비치위생과 학생들 모두에서 비용, 두려움, 시간 순으로 나타났으며, 치위생과 학생과 비치위생과 학생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 < 0.01). 치과방문 시의 느낌에 대해서는 치위생과 학생과 비치위생과 학생들 모두에서 다소걱정이다, 두렵다 순으로 나타났다.

  • PDF

치위생과 학생과 비보건계열 학과 학생의 잇솔질 습관 (Toothbrushing habits of dental hygiene students and students majoring non-health related field)

  • 정미경;이은숙;김지화;김민지;한동헌;김진범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726-739
    • /
    • 2009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differences in time, frequency, and methods of toothbrushing according to knowledge acquirement of oral health between first and third year dental hygiene students who had relatively sufficient oral health education and students majoring non-health related field who had less opportunities of oral health education, to emphasize importance and necessity of the education, and to present basic data for development of effective programs of oral health education. Methods : 2,032 dental hygiene students and students majoring non-health related field attending 12 universities in Korea had been selected as subjects and were asked to complete a self-administered survey time, frequency, and methods of toothbrushing. The SPSS 12.0 program was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of the collected data, and the significance of difference by groups was tested by using chi-square test, the one-way ANOVA and independent t-test. The mean frequency of toothbrushing per day and the rate of toothbrushing before and after meal were analyzed by using of multiple comparisons through the Scheffe test as post hoc test. Results : The rate of toothbrushing after lunch was 60.2% in third year and 39.2% in first year dental hygiene students, 20.3% in students majoring non-health related field, respectively. The mean frequencies per day of dental hygiene students were 3.33 times in third year and 2.85 times in first year dental hygiene students, 2.46 times in students majoring non-health related field, respectively. The rate of toothbrushing after meal among total frequency of toothbrushing per day was 85.36% in third year and 84.81% in first year dental hygiene students, 77.90% in students majoring non-health related field, respectively. As for the methods of toothbrushing, 'Turning up and down' was 68.8% in third year and 43.1% in first year dental hygiene students, 30.6% in students majoring non-health related field, respectively. Conclusions : Oral health education through dental hygiene course may improve the oral environment management of dental hygiene students and oral health education on toothbrushing should be strengthened for the students majoring non-health related field.

  • PDF

치위생과와 비보건학과 일부 여대생의 손톱 내 불소농도 차이 (Fluoride concentration in the finger nails of dental hygiene and nonhealth-relate some female students)

  • 오나래;박의정;윤성욱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147-153
    • /
    • 2016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fluorine concentration within finger nails and the level of dentifrice in dental hygiene students and non-health majoring students. Methods: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was completed by seventy female college students living in Daegu and Gyeongbuk that are not supplied with fluoridation from May to June, 2014. Informed consent was approved by institutional review board (IRB).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11 items) and oral health behavior including number of toothbrushing, duration of toothbrushing, number of mouth rinsing, and amount of dentifrice. A dentist and a dental hygienist examined directly the subjects by the guideline of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The oral examination included decayed tooth, healthy tooth, and filled tooth. The nail samples were obtained from seventy female students. Results: Comparing the dental hygiene students and non-health majoring students, 62.5% of dental hygiene students used approximately 1300mg of dentifrice and 55.2% of non-health majoring students used 1800mg or more of dentifrice. The non-health majoring students used more dentifrice (p<0.01). The fluorine concentration within nails was $1.9905{\mu}l/g$ in dental hygiene students and $3.2149{\mu}l/g$ in non-health majoring students. The fluorine concentration within nails in the dental hygiene students was significantly lower(p<0.01). Conclusions: The accumulation of fluoride in human body is not fully caused by dentifrice. However, The accumulation may occur due to toothbrushing so that it is necessary to educate the students about the right use of the dentifrice.

일부광역시의 치위생과 학생과 일반대학 학생의 치과위생사에 대한 인식도 조사 연구 (Awareness of Dental Hygienists in Dental Hygiene and Non-Dental Hygiene Students)

  • 오한나;박영남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23-29
    • /
    • 2012
  • 본 연구는 치위생과 학생과 일반대학 학생을 대상으로 치과위생사에 대한 이미지와 인지도를 조사하고, 분석하여 대학생활 중에 치과위생사에 대한 올바른 인식을 형성 시키는 것이 필수적이라고 생각하여 광주광역시에 위치한 G대학의 3년제 치위생과와 J 대학의 4년제 학생들에게 설문지를 배부 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치과위생사의 일반적인 인식에 대해 조사한 결과, 치과위생사라는 직업에 관해서는 치위생과 학생들은 97.5%, 일반대학생들은 80.6%가 인지하고 있었고(p<0.001), 치과위생사의 의료법상의 위치에 관한 인식은 치위생과 학생들은 의료기사가 52.8%로 가장 높았으며 일반대학 학생들은 의료보조자가 48.8%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사회적 지위는 두 집단 모두에서 '보통이다'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p<0.001). 2. 치과위생사의 주요 업무에 관한 인식에 대해 조사한 결과, 치위생과 학생들은 X-ray촬영과 스켈링이 42.3%로 가장 높았고, 일반대학 학생들이 생각하는 주요업무는 치과의사의 진료보조 업무가 32.9%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3. 치과위생사의 이미지에 관한 인식은 치위생과 학생들은 '전문직이다'라는 인식(4.05)이 가장 높았고, 부정적 이미지(3.05)가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일반학과 학생에서도 '전문직이다'라는 인식(3.43)이 가장 높았고, 부정적 이미지(2.91)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모든 항목에서 치위생과 학생과 일반대학 학생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치위생과 학생들과 일반대학 학생들의 치과위생사에 대한 의료법상 위치에 관한 인식과 주요 업무에 대한 인식 정도가 다르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일반대학 학생들에게 바람직한 치과위생사의 이미지를 정립하고 치과위생사에 대한 올바른 인식과 업무에 대한 인지도를 높이기 위한 홍보 및 교육이 모두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치위생(학)과와 비보건계 학생들의 생명윤리의식에 관한 비교 (Comparison of Bioethical Perception between Dental Hygiene Students and Non-Health Students)

  • 안용순;김명희;한지형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1-6
    • /
    • 2012
  • 본 연구는 치위생(학)과와 비보건계 학생들의 생명윤리의식 비교를 통해 치위생(학)과 생명윤리교육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경기지역 2개 대학의 778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개별자기기입법에 의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SAS 9.2 (SAS Institute Inc., Cary, NC, USA)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치위생(학)과 학생들의 생명윤리의식 평균이 88.49로 비보건계 학생들에 비해 약 0.89 점이 높았지만, 그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2. 전체 학생의 경우 가족 중 의료관련 직종이 있는 학생이 없는 학생에 비해 생명윤리의식이 높았고, 종교유형에 따라 개신교가 가장 높았으며 종교 없음이 가장 낮았다. 3. 치위생(학)과 학생의 생명윤리의식의 경우 여자가 높았으며, 종교유형에 따라 천주교와 불교, 천주교와 종교 없음에서 차이가 있었다. 4. 치위생(학)과 학생들이 비보건계 보다 치명적 선천적질병아동을 사망하도록 내버려두는 것에 더 많이 반대하였다. 5. 치위생(학)과 학생들이 비보건계 보다 장기이식거부, 장기매매, 동물 대체 장기 사용에 더 많이 반대 하였고 장기 매매로 인한 의료 부조리 가능성이 더 높다고 응답하였다. 이상의 결과 국민의 구강건강을 다루게 되는 치위생(학)과 학생들의 좀 더 바람직한 생명윤리관 형성과 향상을 위해서는 치위생(학)과의 생명윤리에 대한 교육과정 개발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치위생 전공자와 일반 학생의 구강건강관리 실태에 관한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he Behavior Status of Oral Health between Dental Hygiene and Non-dental Hygiene Students)

  • 박일순;이경희;윤혜정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175-182
    • /
    • 2008
  • 치위생 전공자와 일반 학생의 구강건강실태를 비교 분석하고 구강보건교육의 필요성을 알아보기 위해 서울과 광주 지역의 2개 대학을 대상으로 2006년 6월부터 2007년 5월까지 자기 기입식 설문지를 배부 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통한 비교 분석으로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구강건강 관리 실태를 조사한 결과, 칫솔질 횟수에서는 치위생 전공자들은 3회가 가장 많았고, 일반 학생들은 2회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p < 0.01), 칫솔질 시간은 치위생 전공자들이 1-2분, 3분, 4분 이상 순으로 나타났고, 일반 학생들은 1-2분, 3분, 1분 미만 순으로 나타났다(p < 0.05). 2. 스켈링에 대한 인식에 대해 살펴본 결과, 스켈링 경험은 치위생 전공자들의 경우 "경험이 있다"가 50.9%로 가장 많았고, 일반 학생들은 "경험이 없다"가 56.8%로 가장 많았다(p < 0.001). 3. 구강보건 교육을 받은 경험에 대해 살펴본 결과, 치위생 전공자들은 경험이 있는 경우가 많았고, 일반 학생들은 경험이 없는 경우가 많았다(p < 0.001). 이상의 결과를 살펴볼 때, 전반적인 구강건강관리 실태는 구강보건교육의 경험이 많은 치위생 전공자가 일반 학생보다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를 통해 수업시간에 계속적으로 구강보건교육을 받고 실시요령을 익히는 사람들에게서 직접적인 구강건강관리가 달라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에 일반학생들에게도 구강보건에 관한 교육의 기회를 확대시켜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치위생과 재학생의 학습유형에 따른 비교과 교육에 대한 수요 비교 (A study on the demands of dental hygiene students on extracurricular programs, according to learning style)

  • 김명은;김희경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9권6호
    • /
    • pp.1047-1058
    • /
    • 2019
  • Objective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extracurricular program needs according to the learning styles of dental hygiene students, and to develop and organize non-subject programs that strengthen student competencies. Method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dental hygiene students from three colleges located in Chungbuk, Chungnam, and Ulsan, respectively. The survey tools were composed of learning style, a non-subject field, and non-subject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Lastly, 313 data points were analyzed. Results: Learning styles of subjects were as follows: assimilators, divergers, convergers, and accommodators, at 44.6%, 33.0%, 16.0%, and 6.4%, respectively. Preference of the non-subject field, according to learning style, showed that accommodators were higher than divergers on startup, and the difference was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5). Preference of non-subject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ccording to learning style, shows that both divergers and convergers prefer special lectures, while assimilators prefer tours, and convergers prefer experience/exercise. The results had achieved statistical significance (p<0.05). Conclusions: This study shows that dental hygiene students had different learning styles, and their learning methods varied depending on learning style. Therefore, a method should be identified to develop and run non-subject programs suitable for each learning style.

치위생계열 학생과 비 치위생계열 학생의 생명의료윤리 의식 (Consciouess of Biomedical Ethics in Dental Hygiene Students and Non-Dental Hygiene Students)

  • 윤성욱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5호
    • /
    • pp.470-478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바람직한 윤리가치관을 확립하여 치위생계열 학생을 양성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자는 대구 경북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대학의 치위생계열 대학생 97명, 비치위생계열 학생100명을 선정하였다. 자료분석은 치위생계열학생과 비치위생계열학생의 생명의료윤리 의식을 조사하기 위하여 SPSS/win 17.0을 사용하여 t-test, ANOVA, Scfeffe 검정, 상관관계분석을 하였다. 치위생계열 학생의 윤리의식에 대한 평균점수는 2.87점이었고 비치위생계열 학생의 평균 점수는 2.82점 이었다. 치위생 및 비 치위생학생의 생명의료윤리의식 차이를 볼 때 치위생계열 학생은 태아진단, 신생아생명권, 태아의 생명권, 뇌사에 대하여 높게 나타났고 반면 장기의식에 대한 인식은 낮게 조사되었다, 생명의료윤리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치위생 계열 학생은 윤리적 가치관과 생명의료윤리 가치관 확립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고 비치위생계열 학생은 종교와 생명의료윤리 인지정도가 생명의료윤리의식에 영향의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치위생계열 학생의 생명의료윤리 의식을 촉진할 수 있는 중요한 변수들에 대한 교육프로그램을 고안하여 지속적인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는 것으로 사료되어 진다.

치기공과 및 치위생과 학생의 대면/비대면 강의 품질 인식 수준과 만족도 (Satisfaction and quality recognition of face-to-face and non-face-to-face lectures among students in the departments of dental technology and dental hygiene)

  • 김창희;김형미;권은자
    • 대한치과기공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379-387
    • /
    • 2020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explore methods to improve the quality recognition and satisfaction level of non-face-to-face lectures among students in the departments of dental technology and dental hygiene. Methods: This survey was conducted to assess the status and preference of non-face-to-face lectures and the level of awareness and satisfaction regarding the quality of these lectures among 179 students of dental technology and 295 students of dental hygiene. Statistical analyses were performed using frequency analysis, independent sample t-test, one-way ANOVA (post-hoc Duncan), Welch analysis (post-hoc Games-Howell),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Factors that affected the ability to assess the quality of non-face-to-face lectures were the department, the method of non-face-to-face lectures, the most preferred method for conducting lectures, the level of awareness regarding the quality of face-to-face lecture, and satisfaction level. It has 71.5% explanatory power. Moreover, factors that influenced the satisfaction level of non-face-to-face lectures included the department, grade, the highest satisfied non-face-to-face teaching method, the most effective theoretical non-face-to-face teaching method, the most preferred teaching methods, and the ability to assess quality of face-to-face lectures. It has 46.8% explanatory power. Conclusion: Non-face-to-face classes should be designed and developed for web-based programs to improve the motivation and achievement level of the students and encourage interaction between the professors and students. Our findings suggest that educators should strive to achieve optimal educational effects by efficiently combining face-to-face and non-face-to-face lectures.

일부지역 대학생들의 흡연 실태조사 (A study on the smoking status of the university students in some regions)

  • 이민영;유자혜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0권5호
    • /
    • pp.917-924
    • /
    • 2010
  • Objectives :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was to investigate the smoking state of students in Y university, located in Youngdong-gun, Choungbuk. Methods :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ward 311 number of students in the university. The questionnaire basically consists of the status of smoking, the behavior of smoker and non-smoker. Results : 58.2% of the male respondents were current smoker, but 72.4% of the females were non-smoker. 58.2% of the current smokers were 22 to 25 aged group. The highest rate of time to begin with smoking was in 15 to 18 years old and the most of people consumed 11 to 20 pieces of cigarettes per day. 48.9% of the students have an experience to keep no smoking more than one month. There were reverse correlation(r=-.335) between the status of smoking and sex, and positive correlation(r=.264) between the status of smoking and an age. Of the people experiencing non-smoking, 55.3% were smoking 'everyday' and 44.7% were 'sometimes'. The biggest part of the reason why stopped smoking was for 'the advices of other people'(25.5%), and 'Harm to health' and 'Social atmosphere of non-smoking'(21.3%) were following. Conclusions : In the university students, current smokers among male students were still high smoking rate. Therefore Dental Hygiene students in the same University have to provide the quit smoking education and oral health care methods for current smok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