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on-Majors

검색결과 237건 처리시간 0.024초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통한 2030대 여성의미술치료 키트 참여 경험 연구 (Studying Women's Experiences with Art Therapy Kits in the 2030s through Focus Group Interviews)

  • 김보현;박보람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5호
    • /
    • pp.275-290
    • /
    • 2023
  • 우리는 2030대 여성의 미술치료 키트 참여 경험 고찰과 도출된 결과를 통해 미술치료 키트를 수정 및 보완하는 것이 목적이다. 우리는 개발한 미술치료 키트를 2030대 여성들이 1개월간 체험한 후, 예술심리치료 전공자 8명, 비전공자 5명인 2개의 동질 집단을 구성하여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근거이론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최종적으로 100개의 전환된 의미단위, 16개의 하위 구성요소, 5개의 구성요소를 도출하였다. 국내에 미술 혹은 미술치료 기반 키트 개발 및 경험에 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으로 우리는 미술치료 키트 경험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에 의의가 있다. 또한, 연구 참여자들은 감정 탐색 및 인식을 위한 몰입을 통해 축적된 미술치료 키트 결과물을 기반으로 자신과 감정에 대한 통찰을 경험하였고, 이러한 경험은 참여자들이 미술치료 키트 개발의 필요성과 가치를 인식하는 것으로 연결되었다. 개별적이고 독창성이 있는 미술치료 키트의 결과물은 자신을 인식하는 증거물이 되어 미술치료 키트가 감정 탐색 및 인식의 도구와 감정의 변화 및 해소를 통한 치료적 효과가 있음을 확인한 점에서 의미가 있다.

비도시권 고등학교 학생을 위한 진로교육 비즈니스 모형에 관한 탐색적 연구 (An Exploratory Study on the Business Model for Career and Academic Counseling in Non-Urban High Schools)

  • 박성택;조민우;김태웅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2호
    • /
    • pp.47-58
    • /
    • 2017
  • 진로 및 학업상담교육은 학생들과의 지속적이고 일관성있는 상호작용과정이라 할 수 있다. 그렇지만 진로교육은 단순히 전공, 대학 및 직업에 대한 조언이나 상담수준에 머무르지 않는다. 학생들의 장기적인 진로관련 효능감 제고를 위해서는 진로교육 상담교사와의 지속적이고 개인적인 접촉이 요구된다. 그러나 통계조사에 의하면 비도시지역의 고등학교의 경우 대도시의 학교와는 달리 진로교육 및 상담을 전담하는 교사들의 배치율이 낮아 진로교육과 관련한 또 다른 문제에 봉착하고 있다. 본 논문은 이와 같은 상황을 다소나마 보완할 수 있는 현업전문가의 교육기부를 전제로 하는 진로교육프로그램을 제안한다. 구체적으로 대도시 MBA 동문회의 지원을 전제로 하는 사회적 기업 창업을 통해 지속가능한 서비스 제공 프로세스를 설계하고자 한다. MBA 재학생 및 동문들의 스킬, 지식, 역량 등을 활용하여 진로교육 및 상담교육 과정을 운영한다. 결론으로 비도시지역의 고등학교 학생들의 진로에 대한 동기 유발과 지속적인 관심유발을 제고할 수 있는 사회적 책임 측면에서의 편익을 강조하는 것으로 마무리하고자 한다.

비전공자 학부생의 훈련데이터와 기초 인공신경망 개발 결과 분석 및 Orange 활용 (Analysis and Orange Utilization of Training Data and Basic Artificial Neural Network Development Results of Non-majors)

  • 허경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15권2호
    • /
    • pp.381-388
    • /
    • 2023
  • 스프레드시트를 활용한 인공신경망 교육을 통해, 비전공자 학부생들은 인공신경망의 동작 원리을 이해하며 자신만의 인공신경망 SW를 개발할 수 있다. 여기서, 인공신경망의 동작 원리 교육은 훈련데이터의 생성과 정답 라벨의 할당부터 시작한다. 이후, 인공 뉴런의 발화 및 활성화 함수, 입력층과 은닉층 그리고 출력층의 매개변수들로부터 계산되는 출력값을 학습한다. 마지막으로, 최초 정의된 각 훈련데이터의 정답 라벨과 인공신경망이 계산한 출력값 간 오차를 계산하는 과정을 학습하고 오차제곱의 총합을 최소화하는 입력층과 은닉층 그리고 출력층의 매개변수들이 계산되는 과정을 학습한다. 스프레드시트를 활용한 인공신경망 동작 원리 교육을 비전공자 학부생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그리고 이미지 훈련데이터와 기초 인공신경망 개발 결과를 수집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12화소 크기의 소용량 이미지로 두 가지 훈련데이터와 해당 인공신경망 SW를 수집한 결과를 분석하고, 수집한 훈련데이터를 Orange 머신러닝 모델 학습 및 분석 도구에 활용하는 방법과 실행 결과를 제시하였다.

IT 융합교육을 위한 비전공자 코딩교육의 발전방안 (A Study on Coding Education of Non-Computer Majors for IT Convergence Education)

  • 피수영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10호
    • /
    • pp.1-8
    • /
    • 2016
  • 코딩교육은 융합형 교육의 효과적인 도구로 문제해결 방법을 기획하고 설계하는 과정 등을 통해 문제해결 능력, 논리적 사고능력, 창의적 사고능력 등을 키울 수 있다. 코딩교육을 위한 연구는 주로 초.중등 학생들을 대상으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지금 현시점에서는 코딩교육을 전혀 받지 못한 대학생들의 교육이 시급한 실정이다. 코딩교육의 필요성을 인지하고 대학에서도 교양필수로 교과목을 지정하여 교육하려는 시도를 하고 있지만 어떻게 교육을 할 것인지에 대해 고심하고 있는 실정이다. 보편적 교육으로서의 코딩교육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시점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비전공자들을 대상으로 코딩교육을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해 플립러닝을 적용한 앱인벤터를 활용한 교육과정을 제시하였다. 교육의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설문조사와 개인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코딩교육을 통해 비전공자 학습자들의 전공영역과 융합하여 다양한 문제들을 컴퓨팅 사고력 기반으로 해결해 나갈 수 있는 문제해결 능력을 향상시킬 것으로 기대한다.

대학생의 e헬스 리터러시가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eHealth Literacy on Health Promoting Behaviors among University Students)

  • 황아름;강현욱
    • 한국학교보건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165-174
    • /
    • 2019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influence of eHealth literacy on health promoting behaviors, thereby providing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interventions for health promoting behaviors among university students.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242 university students aged 19 and over in a university located in K province in South Korea. Participants responded to structured questionnaires in September 2018. eHealth literacy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s were measured by eHealth Litaracy (EHL) and a translated version of the Health Promoting Lifestyle Profile (HPLP-II), respectively. The correlation between eHealth literacy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s were analyzed using Pearson's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arried out to examine the influence of eHealth literacy on health promoting behaviors. Results: The participants had a moderate level of eHealth literacy with the greatest score recorded in the sub-domain of functional eHealth literacy and the lowest in the sub-domain of critical eHealth literacy. Female students and students who majored in healthcare had higher levels of eHealth literacy than male students and those with non-healthcare majors. The degree of health promoting behaviors was moderate or lower with the highest score being in the sub-domain of interpersonal support and the lowest in the sub-domain of health responsibility. Health promoting behaviors had significant relationships with eHealth literacy, exercise hours, subjective health status, and health concerns.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revealed that the participants engaged more in health promoting behaviors when they had greater eHealth literacy (β=.18, p<.001), interest in their own health (β=.33, p<.001), exercise hours (β=.18~.23, p<.001), and subjective health status (β=.17~.18, p=.007~.031). Conclusion: In order to facilitate health promoting behaviors of university students, interventions for health promoting behaviors need to be developed including strategies to improve competencies relevant to critical eHealth literacy and to increase exercise hours.

대학 원격수업에 대한 교수자와 학습자의 인식 - M 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Professors and Learners on the Remote Learning of University Education - Focused on the Cases of M University -)

  • 이헌수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23권3호
    • /
    • pp.377-395
    • /
    • 2020
  • 본 연구는 대학에서 진행한 비대면 수업에 대한 교수자와 학습자의 인식을 알아보기 위하여 M대학교에 재직하고 있는 교수 194명과 M대학교 재학하고 있는 대학생 1,543명을 연구대상자로 선정하였다. 또한, 동영상 콘텐츠 제작 방식을 활용한 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알아보기 위하여 수학교육과 학생 23명과 이공계 학생 80명을 연구대상자로 선정하였다. 한 학기 동안 수업동영상을 활용하여 온라인으로 수업을 진행한 후 학기말에 학생들의 각 교과목에 대한 강의평가를 조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원격수업 유형 중 학생들이 선호하는 수업방식은 강의 자료를 활용한 음성녹음 방식이나 수업 동영상 콘텐츠 제작 방식이다. 둘째, 동영상 콘텐츠를 활용한 온라인 수업은 자기주도 학습능력이 뛰어난 학생들에게 학습 만족도가 높은 수업방식이다. 셋째, 교수자의 많은 사전 준비와 학습자에 대한 세심한 배려는 온라인 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수업 만족도를 향상시킨다.

전공 여부에 따른 대학생의 유전자재조합식품의 인식, 지식 및 구매 태도에 관한 비교 연구 (A Study on the Genetically Modified Foods Recognition, Knowledge and Purchase Attitude of University Students according to Their Majors)

  • 장재선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79-86
    • /
    • 2016
  • This study was analyzed to provide fundamental data of food safety education way on the recognition, knowledge and purchase attitude of GMO foods. Data was collected from 270 University students in the Gyeong-gi region through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reliability and factor analysis, the knowledge and purchase attitude of GMO foods showed 0.742 and 0.832 in Cronbach alpha coefficient, 0.791 and 0.831 in KMO.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recognition and intake possibility and purchase will, safety and absorption to a GMO foods between the specialty person and non-specialist (p<0.05). By the kind of GMO foods it appeared highly by the order corn (70.0%), tomato (67.5%), beans (63.3%) and potato (51.3%).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general knowledge of GMO foods (p<0.05), where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question 'There were no genes in ordinary beans' by a presence of a specialty (p>0.05). After the purchase attitude difference to the GMO foods was analyzed by a presence of a specialty, I appeared most highly in the question to which I say 'I think a GMO foods is ethical.' by a negative question and 'I think a GMO foods is mass-produced, and it's possible to make a food problem decrease.' by an affirmative question. Therefore, the purchase attitude of GMO food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s of University students according to their major (p<0.05). Based on this study, it is considered that provision of detailed and continuous education must be accomplished by raising the recognition of GMO foods and its acceptance level, allowing a proper understanding of GMO foods to be conveyed and assisting subjects from receiving the information they desire effectively by various education mediums.

상위권 대학 이공계열 학생들의 학업부진 원인과 대처 방안 탐색: A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Exploring the Causes of and Potential Solutions for Low Academic Achievement of Students Majoring in Sciences and Engineering at Prestigious Korean Universities: Case Study of A University)

  • 박알뜨리;이지연;이희원
    • 공학교육연구
    • /
    • 제23권1호
    • /
    • pp.10-25
    • /
    • 2020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causes of academic weakness and to find the ways to cope with it for the students majoring in science and engineering at the top university in Korea. For this purpose, a questionnaire was conducted for students who experienced academic warning and poor academic performance at A university, and a total of 207 students responded. The resul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majoring in science and engineering or not and the characteristics and differences of each group were analyzed. In addition,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five students who had experienced academic warning and poor academic performance. As a result, the group majoring in science and engineering had a relatively low level of difficulty in forming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relatively high degree of participation of activities in their departments. The group majoring in science and engineering have a tendency to choose careers that are connected with their majors, and therefore, their response was relatively low due to lack of career goals. However, the group majoring in science and engineering had difficulty in academic performance due to the difference in basic courses and the level of recognition about self-learning strategy needed for university study was relatively low compared with the group majoring in non-science and engineering. When they experienced academic problems, they said that their interest, support, and positive feedback from professors helped them recover their motivation and continue their studies. Through these results, it was confirmed that intervention and support are needed considering the academic situation and characteristics of the students majoring in science and engineering.

뷰티계열 대학생의 재학 중 일 경험과 전공 만족도가 전공 일치 첫 일자리에 미치는 영향 (An Effect Analysis of Impact of the Major Satisfaction Level And Job Experience Had Been Done During Undergraduate on the First Job in Beauty Major Undergraduate Students)

  • 황해정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0권11호
    • /
    • pp.288-295
    • /
    • 2020
  • 뷰티 계열 대학생의 재학 중 일 경험과 전공 만족도가 전공 일치 첫 일자리에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고자 "대졸자 직업이동 경로 조사"(Graduates Occupational Mobility Survey : GOMS) 6개년도 (2012~2017년) 자료에서 뷰티 계열 취업자 168명을 선정하였다. 자료 및 통계분석은 Windows 기반 SPSS Client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독립성 검증과 로지스틱 다중회귀 분석결과, 재학 중 일 경험 여부, 일 경험 기간, 일 경험 회수가 전공 일치 첫 일자리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공 불일치 일 경험이 있는 경우, 반면 전공 일치 일 경험이 있는 경우, 일 경험 기간이 1년 이상일 때 대비 6개월 이상~1년 미만일 때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하여 재학 중 일 경험에 대한 학점인정 제도의 교육 정책 지원과 뷰티 계열 졸업생의 취업 이행 행태를 파악하는 기초 자료가 되고자 한다.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시대의 언플러그드를 적용한 컴퓨팅 사고력에 대한 효과성 분석 (Effectiveness Analysis of Computing Thinking with Unplugged in Digital Transformation)

  • 이명숙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3호
    • /
    • pp.35-42
    • /
    • 2020
  •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은 가상과 현실간의 상호작용을 혁신하는 것이다. 이 과정에서 발생하는 복잡한 문제를 해결해야 하고, 그 방법 중 하나가 컴퓨팅 사고력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대학에서 교양교육으로 언플러그드를 이용한 소프트웨어 교육이 컴퓨팅 사고력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는지 살펴보는 것을 목표로 한다. 그 방법으로 전체 학년을 대상으로 한 교양 소프트웨어 수업에 컴퓨팅 사고 5개 요소를 추출한 후 언플러그드를 적용하여 수업을 진행하였다. 한 학기 16차시 수업을 진행하였고 설문지를 통해 컴퓨터 사고력 향상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수업 이후 수강생의 컴퓨팅 사고력이 전반적으로 증가하였다. 관찰조사에서는 전 학문분야에서 컴퓨팅 사고력 요소 중 추상화 요소를 개념화하는데 어려움을 느꼈으며, 예·체능은 알고리즘 요소를, 인문학은 패턴인식 요소를 개념화하는데 더 어려움을 느꼈다. 향후 각 요소를 학문영역별로 다양한 내용의 콘텐츠를 개발하여 학습자에게 이해를 돕는 것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