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강순화.이은경.양난미(2000). 학업우수 및 학업부진 학생의 학업실태 분석을 통한 대학에서의 학업지원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12(2), 221-242.
- 구미순(2006). 경쟁 또는 비경쟁 협동학습 수업전략이 학습동기 및 운동 수행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논문. 한국체육대학교 대학원.
- 권해수.송수진(2016). 남.녀 대학생의 학사경고 극복 경험에 대한 개념도 연구. 청소년시설환경, 14(3), 63-72.
- 김계현 외(1995). 서울대학생의 학업성취 과정. 학생연구, 30(1), 18-37.
- 김나미.김효원.박완성(2014). 학사경고 대학생을 위한 회복탄력성 프로그램과 동료 멘토링의 효과. 열린교육연구, 22, 391-412.
- 김두리(2014.3.30.). 서울대인을 위한 정신건강 종합보고서. http://www.snu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13707.
- 김명찬(2013). 학업실패를 경험한 서울대학교 학생의 적응과정 분석.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 김옥분.조영복(2019) 이공계 학사경고 대학생과 일반 대학생의 동기 및 학습전략 차이 분석. 실천공학 교수법, 11(1), 25-31.
- 김영빈(2008). 학업우수 고등학생의 학업서열 변화와 자아개념, 정서, 실패내성의 관계.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 박승철(2012) 공학전공 대학생의 입학전형과 중도탈락의 상관 관계 분석. 공학교육연구, 15(5), 98-107
- 박종향.이효정.이선영(2017). 대학에서의 학업실패 예방과 지원방안 마련을 위한 학사경고자의 경험과 어려움 탐색. 열린교육연구, 25(1), 191-211.
- 권석만 외(2010). 서울대학교 학사경고자의 실태조사 및 학업부진 원인분석. 서울대학교 대학생활문화원 연구보고서.
- 서울대학교 대학생활문화원(2016). 학사경고자 지원시스템 구축을 위한 실태 조사.
- 서한서(2015.4.3.). [뉴스 속으로] 명문대 학생들 잇단 자살 왜...' 엘리트 스트레스'가 우울증 키운다. 뉴욕 중앙일보 http://www.koreadaily.com/news/read.asp?art_id=3281781.
- 오영재(2006). 대학 신입생들의 대학생활경험에 대한 분석 연구. 교육문제연구, 25, 141-164.
- 이지희.신효정(2017). 대학 입학 성적우수 학생들의 학사경고 경험에 대한 연구. 한국웰니스학회지, 12(1), 183-201.
- 이혜성.손영숙.김미경(1989). 대학생의 문제 진단 및 해결행동 체크리스트 제작 연구. 학생생활연구, 25, 42-103.
- 임이랑.오인수(2016). 대학생의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학습역량, 환경/지지 요인 탐색. 아시아교육연구, 17(4). 285-309.
- 장애경.양지웅(2013). 대학생의 학사경고 경험과 극복과정에 관한 질적 연구. 상담학연구, 14(2), 995-1013.
- 전보라.김정섭(2015). 대학생용 학업 지연행동 척도 개발 및 타당화. 한국교육학연구, 21(3), 53-83.
- 전호정(2017). 상위권 대학 학생들의 반복적 학사경고 경험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 주영아.김영혜.원수경(2012). 학사경고 여대생의 학업성취 실패 및 지속요인에 대한 탐색적 연구-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중심으로. 청소년복지연구, 14(4), 47-69.
- 황상하(1995). 대학생의 스트레스 및 대처방식과 대학생활 적응과의 관계. 석사학위 논문.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 홍성연(2016). 대학 신입생 적응 지원을 위한 교육요구 분석. 교육종합연구, 14(1), 271-295.
- Altman, R.(1983). Social emotional development of gifted children and adolescents: A research model. Roeper Review, 6(2), 65-68. https://doi.org/10.1080/02783198309552757
- Brady, P., & Allingham, P.(2007). Help or hindrance? The role of secondary schools in a successful transition to university. Journal of The First-Year Experience & Students in Transition, 19(2), 47-67.
- Creswell, J. W.(2003). Research design: Qualitative, quantitative, and mixed methods approaches (2nd ed.). Thousand Oaks, CA: SAGE
- Delisle, J. R.(1990). The gifted adolescent at risk: Strategies and resources for suicide prevention among gifted youth. Journal for the Education of the Gifted, 13(3), 212-228. https://doi.org/10.1177/016235329001300303
- Hanger, M. A. et al.(2011). The bounce back retention program: One-year follow-up study. Journal of College Student Retention: Research, Theory & Practice, 13(2), 205-227. https://doi.org/10.2190/CS.13.2.d
- Lautz, J., Hawkins, D., & Perez, A. B.(2005). The High School Visit: Providing College Counseling and Building Crucial K-16 Links among Students, Counselors and Admission Officers. Journal of College Admission, 188, 6-15.
- Morse, J. M.(2003). Principles of mixed methods and multimethod research design. In A. Tashakkori & C. Teddlie (Eds.), Handbook of mixed methods in social & behavioral research (pp. 189-208). Thousand Oaks, CA.: SAGE.
- Sage, T. L.(2010) Academic Probation_How students navigate and make sense of their experiences. Unpublished master's dissertation, University of Wisconsin
- Peterson, C., & Barrett, L. C.(1987). Explanatory style and academic performance among university freshma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3(3), 603. https://doi.org/10.1037/0022-3514.53.3.603
- Weiner, B.(1985). An attributional theory of achievement motivation and emotion. Psychological review, 92(4), 548. https://doi.org/10.1037/0033-295X.92.4.5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