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odular

검색결과 504건 처리시간 0.036초

구상흑연 주철재의 피로크랙 발생 및 피로강도에 미치는 기지조직의 영향 (Effect of a Matrix Structure on the Initiation of Fatigue Crack and Fatigue Strength in Nodular Graphite Cast Iron)

  • 윤명진;이경모
    • 한국생산제조학회지
    • /
    • 제7권5호
    • /
    • pp.66-71
    • /
    • 1998
  • It is required the superior materials for the parts of machines or structures, which could be endurable in severe load and environment. According to advancement of casting technology, nodular graphite cast iron is used as suitable for such condition. But nodular graphite cast iron is scattering of fatigue strength and low reliability. Therefore in this study, the effect of matrix structure and number of nodular graphite on the initiation of fatigue crack and fatigue strength. It was found that the material which has relatively high ferrite volume fraction was more easily cracked than other materials and fatigue limit was low. The material which has not found pinhole on the surface, the crack was initiated in graphite went through ferrite and propagated into through graphite, but separated graphite and ferrite grain boundary and combined with other cracks to fro large one.

  • PDF

Nodular Fasciitis of the Periorbital Area

  • Lee, Yoon-Jae;Kim, Sue-Min;Lee, Jung-Ho;Jun, Young-Joon;Kim, Young-Jin;Kim, Jeana
    • 대한두개안면성형외과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43-46
    • /
    • 2014
  • Nodular fasciitis is a reactive, non-neoplastic lesion that is most commonly found in the subcutaneous or superficial fascia of the extremities and trunk. Head and neck lesions are relatively uncommon and reports vary from 7% to 15% depending on the authors. Nodular fasciitis grows quickly, and shows a pleomorphic spindle cell pattern with increased mitotic activity. Such factors lead to cases where the lesion is mistaken for a malignancy such as fibrosarcoma and the case may end up with unnecessarily aggressive treatments. The intent of this paper is to report a relatively rare case of nodular fasciitis occurring in the periorbital area and also to highlight the importance of accurate diagnosis and non-aggressive management of this benign lesion.

유경성 국소성 소결절성 활막염: 자기공명영상소견의 증례 보고 (A Case of Pedunculated Localized Nodular Synovitis of the Knee: MR Imaging Findings)

  • 이재환;이지영;서경진
    • Investigative Magnetic Resonance Imaging
    • /
    • 제11권1호
    • /
    • pp.54-57
    • /
    • 2007
  • 국소성 소결절성 활막염은 무릎관절에 발생하는 드문 양성종양으로, 색소 융모결절성 활막염과 감별이 필요하다. 저자들은 자기공명영상에서 경 (pedicle)을 가지며 특징적인 MR 영상소견을 보이고 병리조직학적으로 확진된, 무릎에서 발생한 국소성 소결절성 활막염 1예를 보고한다.

  • PDF

비부에 발생한 결절성 근막염 치험 1례 (Nodular Fasciitis of the Nose: A Case Report)

  • 김지훈;권호;정성노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32권6호
    • /
    • pp.770-772
    • /
    • 2005
  • Nodular fasciitis is an unusual benign tumor which is composed of myofibroblast. Typical histologic findings include haphazardly arranged pleomorphic arranged spindle cells in a myxoid stroma. These lesions may easily be misinterpreted as malignancy clinically and histologically because it presents as a rapidly growing mass from subcutaneous or deep fascia. These lesions are usually located over upper extremity and rarely in the head and neck region. It's important to emphasize the need of clinical suspicion and accurate histopathology of this rare benign lesion usually misdiagnosed as a malignacy to avoid unnecessary and inappropriate aggressive wide resection, when encountering subcutaneous nodules of the face and neck region. In this article, we report a rare case of Nodular fasciitis on the Nose and some reviews of the literature.

Nodular Fasciitis of the Chest in a Young Woman

  • Seo, Hong Joo;Ryu, Sang Wan;Lee, Mi Ja;Kim, Dong Hun;Kim, Hyung Ho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9권1호
    • /
    • pp.67-69
    • /
    • 2016
  • Nodular fasciitis is a benign reactive proliferation that usually involves the deep fascia. Although it is relatively common in the adult population, it is often misdiagnosed as sarcoma due to its rapid growth and pathological features. It rarely presents as a chest wall tumor in young patients. Here, we report a case of nodular fasciitis involving the chest wall of an 18-year-old woman and its surgical management. This case underscores the need to consider nodular fasciitis in the differential diagnosis of chest wall tumors in young patients.

구상흑연 주철과 고압처리된 Ni-C 합금에서 구상화 흑연의 성장 기구 (Growth Mechanisms of Graphite Spherulites in the Nodular Cast Iron and the High-pressure-treated Ni-C alloy)

  • 박종구;안재평;김긍호;김수철
    • 분석과학
    • /
    • 제13권2호
    • /
    • pp.200-207
    • /
    • 2000
  • 구상흑연 주철과 고압처리된 Ni-C 합금에서 SEM, HRTEM, EELS 등을 이용하여 구상흑연 입자의 성장 기구를 연구하였다. 두 시료로부터 추출된 각각의 구상흑연입자의 내부 미세조직 및 격자상이 서로 비교되었으며 EELS를 이용하여 각 구상흑연 입자 내부에서 흑연결합을 하는 $sp^2$와 다이아몬드 결합을 하는 $sp^3$의 비가 측정되었다. 구상흑연 주철에서의 구상흑연 입자는 뚜렷한 결정립계면 및 조대한 결함을 갖고 있었다. 반면에 고압처리된 Ni-C 합금 내부에 생성된 구상흑연 입자는 구상흑연 주철의 것에 비해 미세조직 내부의 결함이 현저히 적었으며 안정한 다이아몬드 결합을 하는 $sp^3$ 결합을 다량 함유하고 있었다. 본 실험에서의 구상흑연 입자 내부의 미세조직 및 결합 특성상의 차이는 고압처리된 Ni-C 합금에서의 구상흑연 입자가 구상흑연 주철에서의 구상흑연 입자와는 다른 기구에 의하여 성장하였다는 것을 보여주는 증거이다.

  • PDF

연부조직 육종으로 오인된 대퇴부의 결절성 근막염 - 2예 보고 - (Nodular Fasciitis of the Thigh Mimicking Soft Tissue Sarcoma - Two Cases Report -)

  • 전호승;전승주;강유미;문찬삼;하승주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35-141
    • /
    • 2007
  • 결절성 근막염은 섬유모세포와 근모세포의 증식에 의하여 발생하는 양성 질환으로 그 크기도 보통 3 cm 이내로 작다. 이 질환은 빠른 성장, 풍부한 세포충실성 및 유사 분열과 같은 특징들을 보일 수 있어 연부조직 육종으로 오인될 수 있다. 저자들은 기존의 보고와는 달리 그 크기가 5 cm 이상으로 큰 연부조직 육종으로 오인한 2예의 대퇴부에 발생한 결절성 근막염을 치험하였다. 그 중 1예는 임상적으로 뿐 아니라 조직학적으로까지 연부조직 육종으로 오인하였으나 외부의 숙련된 병리학자들의 도움으로 결절성 근막염으로 최종 진단되었으며, 2예 모두 2년 추시관찰에서 재발의 증거가 없었다. 저자들의 예들처럼 그 크기가 일반적인 것과는 달리 5 cm 이상으로 큰 종괴성 병변인 경우에는 연부조직 육종의 감별 진단으로서 매우 중요하기에, 대퇴부에 발생한 2예의 결절성 근막염을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PDF

갑상선 결절의 진단에서 초음파의 유용성 (Ultrasonogram as a Diagnostic Modality in Thyroid Tumors)

  • 조용환;허준;윤대근;김정진;박윤규;윤대원;박성길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42-47
    • /
    • 2001
  • Purpose: To evaluate the usefulness of ultrasonogram as a preoperative diagnostic tool in thyroid nodular diseases, this study was carried out. Materials and Methods: From January 1998 to December 1999, 51 patients who underwent thyroidectomy were analyzed retrospectively. We compared the finally histopathological results to ultrasonographical findings such as internal consistency, multiplicity of nodules, nodular ehogenicity, nodular capsule or margin, calcification of nodules. Results: There were 47 females and 4 males with 25 benign tumor, 23 malignant tumor and 3 occult carcinoma in histopathological diagnosis. The solid tumors in ultrasonography carried a probability of malignancy as 66.7%(16/24 cases) whereas cystic or mixed tumors as 16.7%(1/6cases) or 23.8%(5/21cases) (p=0.006). The single nodular diseases carried a high probability of malignancy as 50%(13/26cases) whereas multiple diseases as 28.6%(6/21cases). The hypoechogenicity of thyroid nodular disease showed a probability of malignancy as 60%(9/15cases) whereas mixed-echogenicity as 36.4%(4/11cases). The nodules with poorly-defined margin in ultrasonographic findings showed higher probability of malignancy as 63.6% (7/11cases) than the nodules with well -defined margin as 26.5%(9/34 cases) (p=0.025). The nodules with calcification in ultrasonographic findings were represented to high probability of malignancy as 70.6%(12/17cases) compared to those without calcification as 29.4%(10/34cases) (p=0.005). The differency between ultrasonic and histopathological diagnosis was high in solid nodules(33%), 3-4cm sized nodules (28.6%) and mixed echogenecity(27.3%) whereas low in complex nodules with cystic and solid nature(4.8%), 2-3 cm sized nodules(8.3%) and pooly defined margin(9.1%). The accuracies of sonography in differentiating malignacy from benign thyroid nodules were 7.1% of false positivity, 39.1% of false negativity, 60.9% of sensitivity, 92.9% of specificity and 78.4% of accuracy. Conclusion: Sonographic examination was relatively excellent test as a preoperative diagnostic tool in thyroid nodular diseases when detailed checklists were applied such as internal consistency, multiplicity of nodules, nodular ehogenicity, nodular capsule or margin and calcification of nodules.

  • PDF

소아 결절성 십이지장염의 임상적 및 조직병리학적 소견 (Clinical and Histopathologic Features and Their Correlations in Children with Nodular Duodenitis)

  • 차한;팽성숙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제3권2호
    • /
    • pp.151-159
    • /
    • 2000
  • 목 적: 결절성 십이지장염은 내시경 검사상 십이지장에 두 개 이상의 홍반성 결절들이 보이며 주변에 염증 소견이 관찰되는 질환이다. 최근 위내시경 검사의 발달로 인해 결절성 십이지장염은 소아에서도 발생빈도가 증가하는데 아직 국내외적으로 전반적인 연구가 미미한 실정이다. 이에 저자들은 소아에서 결절성 십이지장염의 임상적 및 조직병리학적 소견을 조사하여 이 질환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도모하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1995년 1월부터 1999년 12월까지 서울적십자병원 소아내시경실에서 시행된 상부위장관 내시경 검사상 결절성 십이지장염으로 진단된 39례를 대상으로 유병률, 성별 및 연령별 분포, 주증상, 내시경 소견과 조직병리학적 소견 및 이의 상관관계 등에 대해 후향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내시경 검사상 병변의 정도는 십이지장 결절의 크기와 분포에 따라 제 1, 2, 3 도로 분류하였고 십이지장의 조직병리학적 검사는 십이지장 고유층의 염증세포 침윤 정도, 상피세포 및 융모의 소실 정도에 따라 정상, 제 1, 2, 3 도로 분류하였다. 위의 조직학적 소견은 위점막의 고유판과 상피내에 염증세포의 침윤 정도 및 상피의 손상 정도에 따라 0에서 6까지 구분하였다. H. pylori의 감염 정도는 Prieto 등의 분류법에 따라 제 0, 1, 2, 3 도로 구분하였다. 십이지장에서 내시경적 소견의 정도와 조직병리학적 소견의 정도 및 H. pylori 감염 정도 간에 상관관계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통계 프로그램으로 Graph PAD InStat의 linear regression module을 사용하여 correlation coefficient와 p-value를 구하였다. 결 과: 1) 결절성 십이지장염은 17.1%의 유병률을 나타내었고 남녀비는 1 대 2이었다. 7세부터 12세까지에서 가장 빈도(61.5%)가 높았고 주증상은 복통이 69.2%로 가장 많았다. 2) 본 질환의 내시경 등급은 제 1 도 45.7%, 제 2도 34.3%, 제 3 도 20.0%이었으며 동반된 내시경적 소견상 결절성 위염은 28.3%이었다. 3) 십이지장의 조직병리학적 검사상 제 1 도는 22.9%, 제 2 도는 54.3%, 제 3 도는 22.9%이었으며 위의 조직검사상 제 1 도는 22.9%, 제 2 도는 42.9%, 제 3 도는 25.7%, 제 4 도는 8.6%이었다. 4) 십이지장의 조직병리학적 검사상 H. pylori의 감염 정도는 제 1 도 5.7%, 제 2 도 8.6%, 제 3 도 22.9%로 37.1%의 십이지장 조직에서 H. pylori가 발견되었다. 위의 조직병리학적 검사상 H. pylori의 감염정도는 제 1 도 11.4%, 제 2 도 11.4%, 제 3 도 8.6%로 31.4%의 위 조직에서 H. pylori가 발견되었다. 5) 본 질환의 내시경적 등급과 조직병리학적 등급 간의 상관계수는 0.3983 (p=0.0178)이었고, 조직병리학적 등급과 십이지장 조직에서의 H. pylori 감염 등급간의 상관계수는 0.5154 (p=0.0018)이었다. 결 론: 결절성 십이지장염의 내시경적 등급과 조직병리학적 등급 사이에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r=0.3983, p=0.0178), 또한 조직병리학적 등급과 십이지장 조직에서의 H. pylori 감염 등급간에도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상관관계를보였다(r=0.5154, p=0.0018). 따라서 H. pylori 감염이 본 질환의 발생에 주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여겨지며 이외의 유발 원인에 대해서는 추후 지속적인 추적 관찰 및 보다 많은 연구가 시행되어야 하겠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