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mF2

검색결과 988건 처리시간 0.021초

고상 반응법으로 합성한 ${Y_2}{SiO_5}:\;EU^{3+}$, $Bi^{3+}$ 적색 형광체의 발광 특성 (Luminescence characterization of $EU^{3+}$ and $Bi^{3+}$ co-doped in ${Y_2}{SiO_5}$ red emitting phosphor by solid state reaction method)

  • 문지욱;송영현;박무정;윤대호
    • 한국결정성장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15-18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근 자외선 및 가시광 영역에서 우수한 발광 강도를 가지는 적색 형광체를 얻기 위하여 고상 반응법으로 합성하여 $EU^{3+}$$Bi^{3+}$가 도핑 된 ${Y_2}{SiO_5}$의 발광 특성을 관찰하였다. 근자외선 영역인 ${\lambda}_{ex}=395nm$ 기준으로 측정하였고, $^5D_0-^7F_2$의 에너지 천이에 의해 612 nm 영역에서 강한 peak가 발생하였다. CST가 $Eu^{3+}-O^{2-}$에 의해 258 nm 영역 대에서 생성되었고, $Bi^{3+}$가 함께 도핑 된 것은 $Eu^{3+}-Bi^{3+}-O^{2-}$에 상호작용에 의해 282 nm 영역대의 장파장 쪽으로 이동하였다. $350\;nm{\sim}480\;nm$ 영역 대에 '$^7F_0{\to}^5L_9$ (364 nm), $^7F_0{\to}^5G_3$(381 nm), $^7F_0{\to}^5L_6$(395nm), $^7F_0{\to}^5D_3$(415 mn) and $^7F_0{\to}^5D_2$(466 nm)는 $Bi^{3+}$$EU^{3+}$ f-f 천이에 의해 발생하였다. $Bi^{3+}$의 도핑농도가 증가할수록 발광 강도가 증가함을 보이다가 0.125 mol 일 때 발광강도가 가장 우수하였고, $Bi^{3+}$의 도핑 농도가 0.125 mol 이상 되면 발광강도가 현저히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신돌연변이 불면잠 nm-f의 유전형질 (Phenotypic Characteristics of New Mutant, Non-molting f(nm-f) of Bombyx mori)

  • 선희숙;노시갑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86-92
    • /
    • 2000
  • Studies were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phenotypic characteristics of the non-molting mutant (nm-f) which was mapped on the 2nd linkage group.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 The nm-f mutant was distinguishable in the 3rd day of hatching. About 80 percentage of the non-molting mutant larvae died at the first instar within 10 days of hatching. The remaining larvae survived to the 2nd ad the 3rd instar but did not live to the final instar. There was no difference in non-molting nutant manifestation between hibernating and artificial hatching eggs. As a result of hemolymph protein analysis, the protein content on nm-f mutant was less than the normal larvae's. Therefore, we conclude that the characterization of nm-f is similar to the already known strains of non-molting mutant and the shortage of hemolymph protein is closely related to the non-molting characteristic in nm-f.

  • PDF

Unusual Enhancements of NmF2 in Anyang Ionosonde Data

  • Yun, Jongyeon;Kim, Yong Ha;Kim, Eojin;Kwak, Young-Sil;Hong, Sunhak
    • Journal of Astronomy and Space Sciences
    • /
    • 제30권4호
    • /
    • pp.223-230
    • /
    • 2013
  • Sudden enhancements of daytime NmF2 appeared in Anyang ionosonde data during summer seasons in 2006-2007. In order to investigate the causes of this unusual enhancement, we compared Anyang NmF2's with the total electron contents (GPS TECs) observed at Daejeon, and also with ionosonde data at at mid-latitude stations. First, we found no similar increase in Daejeon GPS TEC when the sudden enhancements of Anyang NmF2 occurred. Second, we investigated NmF2's observed at other ionosonde stations that use the same ionosonde model and auto-scaling program as the Anyang ionosonde. We found similar enhancements of NmF2 at these ionosonde stations. Moreover, the analysis of ionograms from Athens and Rome showed that there were sporadic-E layers with high electron density during the enhancements in NmF2. The auto-scaling program (ARTIST 4.5) used seems to recognize sporadic-E layer echoes as a F2 layer trace, resulting in the erroneous critical frequency of F2 layer (foF2). Other versions of the ARTIST scaling program also seem to produce similar erroneous results. Therefore we conclude that the sudden enhancements of NmF2 in Anyang data were due to the misrecognition of sporadic-E echoes as a F-layer by the auto-scaling program. We also noticed that although the scaling program flagged confidence level (C-level) of an ionogram as uncertain when a sporadic-E layer occurs, it still automatically computed erroneous foF2's. Therefore one should check the confidence level before using long term ionosonde data that were produced by an auto-scaling program.

NaY(WO4)2:Tb3+ 형광체의 합성과 발광 특성

  • 강현식;남기원;박성민;조선욱
    • 한국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진공학회 2016년도 제50회 동계 정기학술대회 초록집
    • /
    • pp.220-220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녹황색 빛을 내는 NaY(WO4)2:Tb3+ 형광체 파우더를 하소 350도에 1시간 소결 950도에 4시간 고상반응법으로 합성하였으며, 파우더는 X-ray diffraction과 PL 장비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XRD 분석은 Tb3+이온 도핑농도에 의한 순수한 NaYWO4 상을 나타내었다. Fig.1 220-330nm에서 관찰되는 넓은 밴드는 $O2-{\rightarrow}W6+$에 의해 발생한 LMCT(ligand to metal charge transfer)이고, Tb3+에서 WO42-그룹으로 에너지 전달에 의해서 생긴다. 이것의 최대세기는 272nm 이다. LMCT 옆 330-390nm에 관찰되어지는 약한 강도와 넓은 밴드는 Tb3+ 4f8의 f-f transition에 의해 발생한다. Fig.2에서 보여 지듯이$ 5D4{\rightarrow}7F6$, 7F5, 7F4, 7F3는 파장 489nm, main peak인 545nm (Green,초록색), 588nm (orange, 주황색), 620nm (Red, 적색)에서 Peak가 나타났으며, Tb3+이온의 함량비가 0.08mol일 때 최대 발광이 관측 되었다.

  • PDF

광학부품의 진공자외선특성 측정용 분광반사율계 제작 (Fabrication of reflectometer for vacuum ultraviolet spectral characteristic measurements of optical component)

  • 신동주;김현종;이인원
    • 한국광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325-330
    • /
    • 2004
  • 진공자외선 파장영역에서 광학부품의 분광특성을 측정할 수 있는 중수소광원과 진공단색화장치, 시료챔버 및 광 검출기 구조의 진공자외선 분광반사율계를 제작하였다. 제작된 진공자외선 분광반사율계는 115nm∼330 nm의 분광영역에서 약 3.0${\times}$$10^{-4}$ Pa의 기압에서 작동하였다. 253.652 nm와 184.95 nm의 수은 선스펙트럼으로 진공단색화장치의 파장을 교정하여 그 분해능이 0.012 nm이고, 파장정확도가 $\pm$0.03 nm 임을 확인하였다. 중수소 광원을 이용하여 115 nm∼230 nm 파장대역의 진공자외선 영역에서 여러 가지 광학부품들에 이용되고 있는 재료(MgF$_2$, CaF$_2$, BaF$_2$, SiO$_2$, Sapphire)들의 분광투과율과 반사율을 측정하였다.

스컬용융법에 의해 성장시킨 Co와 Pr이 첨가된 이트리아안정화큐빅지르코니아(YSZ) 단결정의 연구 (Investigation of Co- and Pr-doped yttria-stabilized cubic zirconia (YSZ) single crystal grown by skull melting method)

  • 문소이;석정원
    • 한국결정성장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140-144
    • /
    • 2014
  • Co(0.7 wt%)와 Pr(2.0, 3.5 및 5.0 wt%)이 첨가된 큐빅지르코니아($ZrO_2:Y_2O_3=50:50wt%$) 단결정을 스컬용융법으로 성장 후 $N_2$ 분위기에서 $1150^{\circ}C$로 5시간 동안 열처리 하였다. 갈색의 단결정들은 각각 어두운 갈녹색, 녹청색 또는 밝은 녹색으로 변화되었다. 열처리 전 후의 YSZ 단결정들을 직경 7.5, 두께 3 mm의 웨이퍼로 연마 하여 UV-VIS 분광광도계 및 XRD(X-ray diffraction)로 광학적 또는 구조적 특성 분석을 행하였다. $Co^{2+}$(약 589 nm: ${\Gamma}_8[^4A_2(^4F)]{\rightarrow}{\Gamma}_8+{\Gamma}_7[^4T_1(^4F)]$, 약 610 nm: ${\Gamma}_8[^4A_2(^4F)]{\rightarrow}{\Gamma}_8[^4T_1(^4F)]$, 약 661 nm: ${\Gamma}_8[^4A_2(^4F)]{\rightarrow}{\Gamma}_6[^4T_1(^4F)]$$Pr^{3+}$(약 450 nm: ${^3}H{_4}-{^3}P{_2}$, 약 473 nm: ${^3}H{_4}{\rightarrow}{^3}P{_1}$, 약 484 nm: ${^3}H{_4}{\rightarrow}{^3}P{_0}$)에 의한 흡수, 이온화에너지 및 격자상수 변화를 확인하였다.

잠재적인 UV 센서를 위한 희토류 금속착물이 기능화된 메조다공성 실리카 (Rare-Earth Metal Complex-Functionalized Mesoporous Silica for a Potential UV Sensor)

  • 박성수;김미라;오원태;김예담;이예은;이윤건;하강범;정도준
    • 접착 및 계면
    • /
    • 제24권4호
    • /
    • pp.136-142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실리카원으로 Tetraethyl orthosilicate (TEOS)를 사용하고 주형으로 트리블럭 공중합체(P123)를 사용하여 산성 조건에서 자기조립 방법과 수열합성 과정을 거쳐서 잘 배열된 육방체 구조의 메조세공 배열구조를 가지는 다공성 실리카 물질(Surfactant-extracted SBA-15)을 합성하였다. Surfactant-extracted SBA-15는 약 980 nm의 크기를 가지는 짧은 로드의 입자 모양을 보여주었다. 그리고 표면적과 세공 직경은 각각 730 m2g-1와 70.8 Å이었다. 한편, 포스트-합성방법(post-synthesis method)을 이용하여 메조세공 내에 아미노실란(3-aminopropyltriethoxysilane, APTES)을 그래프팅(grafting) 하였다. 아미노실란으로 개질된 메조다공성 실리카(APTES-SBA-15)는 잘 배열된 세공구조(p6mm)를 가지고 짧은 로드의 입자모양을 잘 유지 하였다. APTES-SBA-15의 표면적과 세공 직경은 각각 350 m2g-1와 60.7 Å으로 감소하였다. APTES가 개질된 메조 다공성 실리카에 희토류 금속이온(Eu3+, Tb3+) 용액을 처리하여 메조세공 내에 희토류 금속 착물이 도입된 메조다공성 실리카 물질을 합성하였다. (Eu/APTES-SBA-15, Tb/APTES- SBA-15) 이들 물질은 λex=250 nm 광에 의해 특징적인 광발광 스펙트라를 나타내었다. (Tb/APTES-SBA-15를 위하여 5D47F5 (543.5 nm), 5D47F4 (583.5 nm), 5D47F3 (620.2 nm) 전이; Eu/APTES-SBA-15를 위하여 5D0→7F0 (577.7 nm), 5D0→7F1 (592.0 nm), 5D0→7F2 (614.9 nm), 5D07F3 (650.3 nm) and 5D07F4 (698.5 nm) 전이)

전자주입층(LiF와 $Li_2O$)을 사용한 유기 발광 소자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FOR THE DEVICES WITH ELECTRON INJECTION LAYER (LIF AND $LI_2O$))

  • 신은철;안희철;이호식;송민종;이원재;한원근;김태완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2007년도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Vol.8
    • /
    • pp.439-440
    • /
    • 2007
  • To enhance the electron injection from the cathode of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s), We have studied characteristics of device that electron injection layer(EIL) is inserted between emissive layer and cathode. We fabricated bi-layer cathode $Li_2O$(x nm)/Al(100nm) and LiF(x nm)/Al(100nm) using LiF and $Li_2O$ as an electron injection layer. We analyzed the current efficiency, luminance efficiency, and external quantum efficiency of the device by varying the thickness of $Li_2O$ and LiF to be 0.5nm, 1nm, or 3nm. Using the EIL, we have obtained the efficiency of 7cd/A and the luminance of $20,000cd/m^2$. There is an improvement of efficiency by more than 3 times than the device without the $Li_2O$ layer.

  • PDF

F4-TCNQ를 이용한 유기 발광 소자의 전기적 특성 변화

  • 나수환;김태완;장경욱;한원근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2009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66-167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2,3,5,6-fluoro-7,7,8,8-tetracyanoquinodimethane (F4-TCNQ)를 이용한 유기 발광 소자의 전기적 특성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F4-TCNQ 는 높은 전자 친화도를 가지고 있어서 전하 수송층이나 전하 주입층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또한 TCNQ 유도체들은 물질의 전도도를 조절하는 용도로 많이 이용된다. TCNQ 유도체를 유기 발광 소자의 전하 수송층이나 전하 주입층에 이용할 경우, 소자의 구동 전압이나 효율과 같은 특성들이 향상된다고 알려져 있다. 우리는 소자 특성에 있어서 F4-TCNQ의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서 ITO(170nm)/TPD(40nm)/$Alq_3$(60nm)/LiF(0.5nm)/Al(100nm)의 구조로 기본 소자를 제작하였다. 그리고 TPD층에 F4-TCNQ를 도핑하여 소자를 제작하였다. 도핑 농도는 5와 10%로 하였다. 또한 ITO와 TPD층 사이에 F4-TCNQ층을 1, 2, 그리고 5nm의 두께로 하여 소자를 제작하였다. F4-TCNQ를 5와 10% 도핑한 소자의 구동 전압은 도핑하지 않은 소자에 비해 감소하였다. 그리고, ITO와 유기물층 사이에 F4-TCNQ층을 삽입한 소자의 특성은 삽입하지 않은 소자에 비해 향상되었다.

  • PDF

자외선 및 진공자외선 광원의 제작에 관한 연구 (Development of UV and VUV Light Sources)

  • 김태훈;이지화
    • 한국진공학회지
    • /
    • 제4권3호
    • /
    • pp.253-260
    • /
    • 1995
  • 유전장벽 방전(또는 silent방전)은 조절된 마이크로아크방전 형태로서 비교적 높은 압력(0.1~수기압)에서도 방전이 안정하므로 엑시머 생성에 의한 진공자외선 및 자외선 광원으로 적합하다. 본 연구에서는 평면형 및 원통형 유전장벽 방전장치를 제작하였고, Ar, Kr, Xe와 3% F2/He의 혼합기체를 이용하여 ArF*(193nm), KrF*(248nm), XeF*(351nm)엑시머자외선 생성실험을 수행하였다. 또한 부하전력, 기체압력, 기체조성등의 방전조건에 대한 KrF*(248nm)발광세기의 의존성을 조사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