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ewly bred

검색결과 75건 처리시간 0.023초

Short-term grazing behavior of cattle under indoor housing for a new-bred tetraploid ruzigrass (Brachiaria ruziziensis Germain et Everard)

  • Ishigaki, Genki;Nitthaisong, Pattama;Prasojo, Yogi Sidik;Kobayashi, Ikuo;Fukuyama, Kiichi;Rahman, Mohammad Mijanur;Akashi, Ryo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1권5호
    • /
    • pp.748-754
    • /
    • 2018
  • Objective: The preference evaluation of cattle is an important factor for estimation and improvement of the grazing amounts of newly introduced or bred grasses or cultivars in barn. This study was performed to assess the grazing behavior (the amount of grazing and/or the grazing speed) of cattle as indirect method using newly bred Brachiaria ruziziensis tetraploid strain 'OKI-1'(BR) hay as treatment group and Cloris gayana 'Callide' (CG) hay as control group. It also compared the feasibility of using behavioral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as one criteria for evaluating preference by Japanese black cattle in barn. Methods: Three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using 12 growing Japanese Black cattle including 6 males and 6 females. In each experiment, the four Japanese Black cattle (2 males and 2 females) were placed in separated stall and allowed to graze BR and CG in manger that was separated into two portions for about 30 min. The position and behavior of the cattle were recorded, and weighed the residual of each gay at 15 and 30 minutes after experiment start. Results: The BR was superior to CG in chemical composition such as protein, fibers and non-fibrous carbohydrate. The cattle, over all, tended to prefer BR over CG in the first half 15 minutes in terms of the time spent and amount of grazing. Additionally, growing cattle exhibited neophilia for BR bred newly. Conclusion: These findings indicated the current approach could be applied for one of criteria to evaluate the preference of hay by Japanese black cattle under indoor housing environment.

Characterization of Newly Bred Cordyceps militaris Strains for Higher Production of Cordycepin through HPLC and URP-PCR Analysis

  • Lee, Hyun-Hee;Kang, Naru;Park, Inmyoung;Park, Jungwook;Kim, Inyoung;Kim, Jieun;Kim, Namgyu;Lee, Jae-Yun;Seo, Young-Su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7권7호
    • /
    • pp.1223-1232
    • /
    • 2017
  • Cordyceps militaris, a member of Ascomycota, a mushroom referred to as caterpillar Dong-chung-ha-cho, is commercially valuable because of its high content of bioactive substances, including cordycepin, and its potential for artificial cultivation. Cordycepin (3'-deoxyadenosine) is highly associated with the pharmacological effects of C. militaris. C. militaris is heterothallic in that two mating-type loci, idiomorph MAT1-1 and MAT1-2, exist discretely in two different spores. In this study, nine C. militaris strains were mated with each other to prepare newly bred strains that produced a larger amount of cordycepin than the parent strains. Nine strains of C. militaris were identified by comparing the internal transcribed spacer sequence, and a total of 12 single spores were isolated from the nine strains of C. militaris. After the MAT idiomorph was confirmed by PCR, 36 mating combinations were performed with six single spores with MAT1-1 and the others with MAT1-2. Eight mating combinations were successfully mated, producing stroma with perithecia. Cordycepin content analysis of all strains by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revealed that the KASP4-bred strain produced the maximum cordycepin among all strains, regardless of the medium and stroma parts. Finally, universal rice primer-PCR was performed to demonstrate that the bred strains were genetically different from the parental strains and new C. militaris strains. These results may be related to the recombination of genes during mating. The newly produced strains can be used to meet the industrial demand for cordycepin. In addition, breeding through mating suggests the possibility of producing numerous cordycepin-producing C. militaris strains.

당질미(Sugary Rice)의 이화학적 특성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Sugary Rice)

  • 김세리;송유천;신말식;이석영;조준현;이지윤;하운구;김영두;구연충;김호영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1권spc1호
    • /
    • pp.77-83
    • /
    • 2006
  • 본 연구는 쌀의 다양한 용도개발을 위하여 당질미 계통들의 작물학적 및 이화학적 특성을 조사한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당질미 계통들의 간장은 평균 90 cm로 남평벼에 비하여 6 cm정도 컸으며 현미 천립중은 $10.2{\sim}22.2g$으로 남평벼보다 가벼웠다. 또한 현미 평균 수량은 $159{\sim}473kg/10a$로서 큰 변이를 보였다. 2. 당질미들의 아밀로스를 제외한 일반성분 및 무기성분의 함량은 대부분의 경우 남평벼보다 많았으며 당함량은 남평벼에 비하여 최저 2.4에서 최고 6.1배 가량의 높은 당함량을 보였다. 특히 다른 당에 비하여 sucrose 함량이 높았다. 3. 아밀로펙틴사슬분포에서 당질미 계통들은 $DP{\leq}12$의 비율이 높고 $12의 비율이 낮은 것으로 나타나 phytoglycogen 합성이 많아진 것으로 사료되며 또한 호화특성은 대부분의 당질미 계통들은 매우 낮은 점도 특성을 보였다.

Breeding of High Yielding Good Quality Leaves Mulberry Cultivar ″Suilppong″(Morus alba L.)

  • Sung, Gyoo-Byung;Nam, Hak-Woo;Lee, Sang-Uk;Hong, In-Pyo;Park, Kwang-Jun
    • 한국잠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잠사학회 2003년도 International Symposium of Silkworm/Insect Biotechnology and Annual Meeting of Korea Society of Sericultural Science
    • /
    • pp.104-105
    • /
    • 2003
  • In order to breed high yielding good quality leaves mulberry cultivar, which is essential for silkworm rearing, the characteristics of newly bred mulberry strain were surveyed. Materials and Methods: materials -Mulberry Jamgsang 123 which is registered as newly bred mulbery cultivar Suilppong -Sikworm Baegogjam nd Daesungjam were reared for practical leaves quality examination in spring and autumn, respectively by feeding Jamsang 123 leaves (omitted)

  • PDF

과맥신품종에 대한 드릴파와 시비수준이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the Various Fertilizer Level and Drill-Seeding on the Growth and Yield of the Newly Bred Naked-Barley)

  • 최원열;박공열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9-14
    • /
    • 1976
  • 1972년 우리나라에서 맨 처음 육성된 과맥품종으로 내한성이 强하고 다수성인 '광성'과 1974년에 육성된 단간 조숙 다수성인 방사006 두 품종을 가지고 드릴파재배에 따른 방시수준의 효과에 관한 시험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관행파보다 드릴파가 종실수량이 8%나 많았고 증수요인의 하나인 수수가 현저하게 많았다. 2. 광성보다 방사006가 내도복성이 강하였다. 3. 관행파나 드릴파에서 광성보다 방사006가 시비량 증가에 따른 적응성이 높았다. 4. 품종별로 비교하던 방사006가 광성보다 종실중이 5% 높았다. 5. 시비수준별로 종실중을 비교하면 표준비에 비하여 100% 증비에서는 19% 증수되었다. 6. 드릴파 표준비에서는 광성에 비하여 방사006의 수량이 감소되었으나 증비에서는 크게 증수를 보인 내비성 품종이었다. 7. 광성보다는 방사006가 드릴파종재배에 적합한 품종으로 사료된다.

  • PDF

통일(統一) 찹쌀의 가공(加工) 및 조리특성(調理特性)에 관한 연구(硏究) (Cooking Properties of Waxy Varieties of Rice)

  • 김형수;문수재;손경희;허문회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44-152
    • /
    • 1977
  • 새로이 육종(育種)된 통일계(統一系) 찹쌀 7계통(系統)과 재래(在來) 찹쌀(Olchal) 1종(種)에 대해서 이들의 이화학적성질(理化學的性質) 및 조리가공특성(調理加工特性)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통일계(統一系) 찹쌀 7종(種)에서 분리(分離)한 전분(澱粉)의 호화온도(糊化溫度), blue value, alkali mumber는 표준 재래(在來) 찹쌀의 그것과 비슷하였다. 이들의 팽화력(膨化力)은 통일계(統一系) 찹쌀의 3계통(系統)이 대조 재래(在來) 찹쌀 전분의 그것보다 다소 약한 편이나 기타 4계통(系統)은 비슷하였다. (2) 10종의 시료쌀로 지은 밥의 pH는 $6.54{\sim}6.60$이었다. (3) 통일계(統一系) 찹쌀밥의 호화도(糊化度)는 재래(在來) 찹쌀의 그것에 비하여 낮은 펀이나, 노화도(老化度)는 반대로 다소 높은 편이다. (4) 통일(統一)쌀밥의 기호도를 높이기 위하여 각종 통일 찹쌀과 혼합취반(混合炊飯)한 결과 6%의 혼합율(混合率)이 가장 우수하였으며, 수응력(受應力)시험에서 Akibare쌀밥과 유의차가 없었다. 통일(統一)쌀에 재래(在來) 찹쌀을 $4{\sim}9%$ 혼합(混合)하여 밥을 지을 때도 그 수응력(受應力)이 향상된다. (5) 통일계(統一系) 찹쌀의 가공적성(加功適性)을 검토하기 위하여 이것으로 인절미, 약식, 미싯가루, 튀밥 및 유과등을 제조하여 재래(在來)찹쌀로 만든 그것과 수응력(受應力)시험을 실시한 바 인절미, 튀밥, 유과에 있어서는 재래(在來) 찹쌀에 비하여 약간 떨어지는 경향이고 약식, 미싯가루의 경우는 하등의 차이가 없었다.

  • PDF

각시붕어(Rhodeus uyekii)와 흰줄납줄개(Rhodeus ocellatus) 잡종의 초기생활사 특징 (Early Life History Characteristics of an Induced Hybrid between Rhodeus uyekii and Rhodeus ocellatus)

  • 박재민;한경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2권4호
    • /
    • pp.408-417
    • /
    • 2019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axonomic differences in the characteristics of Rhodeus uyekii and Rhodeus ocellatus during their initial life history via an interspecific hybridization experiment. Hybrids were compared to their parent species, and the findings were used to inform developmental research in commercially useful aquarium fish. The hatching rates of the cross-bred eggs were 75.9% for cross UO (R. uyekii ♀${\times}$R. ocellatus♂) and 71.9% for cross OU (R. ocellatus♀${\times}$R. uyekii♂), which did not differ greatly from the hatching rates of the normal cross-bred group. Backcross experiments resulted in 100% egg mortality during development. Newly hatched larvae of the original hybrid crosses were similar to those of the maternal line, and the color of the egg yolk was similar to that of the paternal line; therefore, the respective traits of the interspecific parents were identifiable within the cross-bred offspring.

Characteristics of newly bred mulberry variety, 'Saealchan' resistant to sclerotial disease

  • Sung, Gyoo Byung;Kim, Yong Soon;Ju, Wan Taek;Kim, Hyun Bok
    •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ntomology and Biomaterials
    • /
    • 제37권2호
    • /
    • pp.55-62
    • /
    • 2018
  • We bred a mulberry cultivar named 'Saealchan' through local adaptability test, which is under registration as a new cultivar for fruit production. Local adaptability test had been carried out at four local places (Jeonju, Gongju, Jangseong, and Sangju) for five years from 2013. This variety 'Saealchan' belongs to Morus alba L. selected from seedlings collected from mother mulberry 'Shimheung'. Saealchan was resistant to popcorn disease and high yielding variety in fruit productivity by 194% compared to control cultivar 'Shimheung (Morus alba L.)' for three years. Although fruits of 'Saealchan' was smaller in size and lower in sugar content of mulberry fruits compared to control variety 'Shimheung', it showed strong resistance to sclerotial disease compared to 'Shimheung'.

밀 장려품종에 있어서 다수확 관련형질의 개량효과 (Studies on the Improvement Effects Associated with High Yielding Characters in Recommended Varieties of Winter Wheat(Triticum aestivum L. emend Thell))

  • 조장환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123-133
    • /
    • 1992
  • 밀품종 영광외 12품종을 공시하여 맥류연구소 시험포장에서 1990년에 파종하여 이상형 밀품종육성을 위한 생리생태적 구성형질의 변화를 구명하고자 난괴법 3반복으로 시험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1. 1959년부터 1980년까지 21년간 출수기가 17일, 개화기가 15일, 성숙기가 14일 각각 단축되었으며 조숙성품종육성을 위하여 출수일수 및 등숙일수의 단축이 효과적이었다. 2. 출수기에 관여하는 생리적요인은 춘추파성, 광주반응, 협의의 조만성 및 내한성인데 조숙화를 위하여 파성은 III~IV급, 단일반응은 새밀, 중국8001보다 둔감한 품종, 내한성은 그루밀, 새밀 정도인 품종 등이 요구된다. 3. 성숙기에 관여하는 요인은 출수일수, 개화일수, 등숙일수로서 출수일수를 단축시키는 것이 성숙기를 빠르게 하는데 가장 효과적이며 그 다음이 등숙일수이며 개화일수의 단축은 성숙기를 빠르게 하는데 효과가 적어 보였다. 4. 이상초형은 그루밀과 새밀의 단간직립형이며 반왜성유전자를 2개정도가진 간장은 70~80cm의 단간종이 다수확재배에 알맞고 간장이 짧으면 수장을 길게 하거나 소수당립수가 많은 것이 바람직하다. 5. 등숙중인 6월 2일, 8일, 15일의 경, 엽신, 수의 평균 생체중비율에 있어서 다수성품종은 수의 비율이 45-49%정도이며 과거육성품종에 비하여 최근육성품종은 경생체중은 낮으나 유생체중은 높고 엽신의 생체중 차이는 적었다. 6. 등숙중인 6월 2일, 8일, 15일의 m$^2$당 평균건물중 비율에 있어서 다수성인 최근품종은 과거품종에 비하여 경, 엽신의 건물중 비율이 낮아지고 수의 건물중 비율(40-80%)이 높아졌으며 영광, 장광, 진광 등은 수 또는 엽신에 비하여 경의 건물중이 높았다. 7. 엽면적지수는 수잉기를 정점으로한 정규곡선을 그리며 조숙다수성품종은 엽면적지수의 최고점이 조기에 오고 만생종은 늦게 최고점에 달하였다. 최고점의 엽면적지수는 6.4~6.8이었고 측정시기별 엽면적지수합계치는 최근품종이 24.6~28.8범위인데 과거품종은 이보다 훨씬 많았다. 8. 조숙다수성인 조광, 내밀, 그루밀, 새밀의 엽록소함량은 월동후 4월 21일까지 높았고 출수후(5월 12일~26일)의 엽록소함량도 높았으며 과거품종인 영광, 장광, 진광, 원광, 신광은 엽록소함량이 낮았다. 9. 순동화율은 다수성품종일수록, 초성이 좋을수록 높았고 장간인 과거품종은 순동화율이 낮았다. 10. 수당립중은 만생종보다 조생종이 낮으며 입모중 1일당 수분감소율은 평균 1.2%, 영광, 진광, 남광, 원광, 신광은 1.5%이었고 조광, 내밀, 그루밀, 새밀, 올밀, 청계밀, 중국8001는 9~1.1이었다. 11. 과거품종에 비하여 최근품종은 다수품종이 많으며 수량의 증가는 직선적으로 증가되고 조광, 내밀, 그루밀, 새밀이 가장 다수성품종이었다. 수량구성요소를 보면 수원 육성품종은 m$^2$ 당수수와 천립중의 증가에 의하여, 밀양육성품종은 m$^2$당수수의 증가에 의하여 수량이 높아졌으며 앞으로 수원에서는 수당립수, 밀양에서는 수당립수와 천립중의 증가에 주력해야겠다.

  • PDF

신품종 그린볼 사과의 광노화인자 조절효과 (Photo-aging regulation effects of newly bred Green ball apple)

  • 이은호;이승열;정희영;강인규;안동현;조영제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3권1호
    • /
    • pp.75-82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한국에서 육종한 신육성품종 그린볼 사과 껍질 추출물(GBE)이 피부 광노화 인자조절에 대한 억제효과를 확인하였다. 피부에서 광노화 인자 조절에 대한 억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CCD986sk fibrobalst cell에 UVB로 광노화를 유도시킨 후 세포에 GBE를 처리하였다. 광노화 인자 조절 효과를 측정한 결과 GBE가 COL1A2, MMP-1, MMP-9, TIMP-1 단백질 발현량에서 UVB에 의해 자극된 MMP-1, MMP-9 단백질 합성을 억제하였으며, COL1A2, TIMP-1 단백질의 경우 발현량이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Photoaging-related factors인 COL1A2, MMP-1, MMP-9, HAS2, TGF-β, TIMP-1의 mRNA 발현량을 측정한 결과 GBE에 의해 MMP-1, MMP-9 단백질 발현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였으며, MMPs와 type procollagen 발현에 관여하는 조절인자인 TIMP-1과 TGF-β의 발현량이 증가함에 따라 COL1A2의 생성량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피부를 구성하는 구조 단백질 중 하나인 hyaluronic acid 생성에 관여하는 HAS2의 발현량 증가도 확인하였다. 따라서 GBE는 광노화의 인자 억제 조절에 대한 우수한 효능을 가졌으며, 피부 노화를 예방하는 기능성 소재로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