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ew Religions

검색결과 120건 처리시간 0.024초

Won Buddhism in America: Exploring Ways to Balance Tradition and Innovation

  • Grace J. SONG
    • 대순사상과 동아시아종교
    • /
    • 제3권2호
    • /
    • pp.93-119
    • /
    • 2024
  • The introductionof Won Buddhism to the United States has reached its fifty-year mark. Brought to the West by Korean kyomus (Won Buddhist clergy), these initial Won Buddhist clergy set a foundation for future ordained devotees to reside in America and further the religion's mission. Innovation has alway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formation and growth of Won Buddhism. The founder, Sotaesan, declared the necessity to reform traditional Buddhism to make it accessible to the laity and espoused values such as inclusiveness, equality, public work, and practicality. Over the past few decades, these innovations have helped Won Buddhism in America to shift from a strictly ethnic-related context to an emphasis on its universal nature. However, as the religion continues achieving a foothold in Western soil, critical questions arise such as how can Won Buddhism honor its Korean origins while becoming increasingly international? What are the detriments to decontextualizing and de-emphasizing elements thought to be "too Korean" or "too traditional," or thought to be irrelevant in the West? When Buddhism spreads to a new country, it not only influences the culture it enters but is also shaped by the adopting culture. In American history, this has often meant the erasure of Asian cultures that were home to Buddhism for millennia and from which the dharma is inextricable. I argue in this article that if Won Buddhism is to thrive in the United States conscious consideration will have to be given to the indispensable aspects of its Korean roots and tradition while connecting with the current circumstance in fresh, relevant, and effective ways that include the multi-cultural and ethnic makeup of the US. This entails understanding American history and Asian Buddhism's history in America, as well as cultivating a competency or fluency in the cultures that allowed Won Buddhism to survive for decades.

융, 상징적/직관적 상징이해, 그리고 종교간의 대화 (Jung, the Symbolical/Intuitional Understanding of the Symbol, and the Interreligious Dialogue)

  • 김승철
    • 심성연구
    • /
    • 제26권2호
    • /
    • pp.189-208
    • /
    • 2011
  • 칼 융의 심리학은 "종교의 시녀"(제임스 하이직)라고 불리기도 하는데, 이는 인간의 무의식을 종교적인 것으로 이해하는 융의 접근을 잘 나타내는 말일 것이다. 융에 의하면 인간의 의식과 무의식에 대한 이분법은 세계의 여러 종교에 등장하는 상징들에 의해서 극복된다. 또한 그는 종교적 상징은 상징적인 방식으로 이해되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종교적인 상징이 문자적이고 교의적으로 이해된다면, 상징들은 인간에게 구원을 가져다줄 수 있는 그들의 역동적인 힘을 잃어버리게 되는 것이다. 이 소론에서는 예수 그리스도의 배타성에 대한 상징적이고 직관적인 이해에 대해서 논하였다. 오직 그리스도만이 유일회적으로 모든 인류에게 구원을 가져다 준다는 기독교의 고백은 상징적이고 직관적으로 이해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그리스도는 그가 구원자로 고백될 때마다 언제나 새로운 존재로서 이해되어야 하는 것이다. 상징으로서의 그리스도는 결코 역사적인 과거태가 될 수 없다. 이 논문에서는 일본의 불교철학자 야나기 무네요시(柳宗悅)의 부처이해에 대해서 언급하였다. 이를 통해서 그리스도에 대한 상징적이고 직관적인 이해가 어떻게 가능할 것인가를 논구하기 위함이다.

종교 문화유산의 가치 인식과 선제적 보전 기반 마련 - 대순진리회 여주본부도장 문화유산을 사례로 - (Recognizing the Value of Religious Cultural Heritage and Establishing a Preemptive Preservation Foundation: A Case Study on Cultural Heritage as Observed at the Headquarters of Daesoon Jinrihoe)

  • 류호철
    • 대순사상논총
    • /
    • 제48집
    • /
    • pp.337-374
    • /
    • 2024
  • 문화재를 지정·등록하는 것은 문화재로서의 가치를 효과적으로 보전하고 활용하기 위함이다. 보전·활용 대상으로서 법적 기반을 마련하는 것이 문화재 지정·등록이다. 이러한 문화재 보전과 활용은 문화재로서의 가치를 인식하는 것에서부터 시작한다. 그것이 문화재임을 알아차려야 보호해야 할 필요성을 알게 되고 활용 가능성도 발견할 수 있다. 이에 비추어 상대적으로 역사가 길지 않은 신종교들은 아직 문화재로 지정·등록된 것이 많지 않고, 자신들이 이어온 유산들이 갖는 문화재로서의 가치를 적극적으로 인식하지 않는 경향이 있다. 문화유산은 그것이 미래에 문화재로 지정·등록될 수 있는 잠재적 가치를 가진 것임을 인식할 때 문화유산답게 보전할 수 있다. 지정·등록 문화재 중에서 종교 문화재의 비중이 크나, 불교 문화재가 대부분이다. 신종교들도 50년, 100년이 넘는 역사를 이어왔으므로, 미래에 문화재로 지정·등록될 가능성이 있는 것들을 선제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기반을 갖추어야 한다. 보호 대상 문화유산 선정 및 목록 작성, 역사적·문화적 가치에 중점을 둔 현상 변경 최소화, 문화유산 보호에 관한 종교계 내부 규정 마련, 역사적·문화적 가치와 보전·관리에 관한 연구 촉진, 문화유산과 그 주변 환경을 포함하는 포괄적 관리 등이 보전 기반 마련에 필요한 것들이다. 문화유산으로 가치가 있음에도 문화재로 지정·등록되기 전에 훼손되거나 없어진 것들이 많다. 종교계 내부적으로 실질적인 문화유산 보전·관리 기반을 갖추는 것은 문화재 지정·등록 이전에 그 가치를 선제적으로 보전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을 것이다. 청계탑 등 대순진리회 여주본부도장 문화유산은 그 가치를 인식할 때 적절히 보전할 수 있고, 활용을 통한 가치 확산도 모색할 수 있다.

뤼 뒤 박 발현 성모상의 분석심리학적 고찰: 신성의 육화로서의 성모상 (An Analytical Study on the Apparition of Virgin Mary of Rue du Bac: The Virgin Mary as the Incarnation of the Divinity)

  • 김기환;김정택
    • 심성연구
    • /
    • 제38권1호
    • /
    • pp.45-111
    • /
    • 2023
  • 본 논문은 1830년 프랑스 파리 뤼 뒤 박에서 발현한 성모상을 분석심리학적으로 고찰하고 있다. 이를 위해, 중세기 연금술서 『로이즈너의 판도라』(1588)에 실려 있는 '성모 마리아의 대관식으로 묘사된 육체의 신성화'라는 제목의 그림을 전거로 삼아 성모상에 드러나는 원형적 모티프들을 확충하였다. 이 성모상에는 융 심리학의 핵심 개념인 개성화의 과정과 결과를 보여주는 원형적 모티프들이 집약되어 나타난다. 판도라 그림이나 발현 성모상에서 나타나는 개성화 과정을 표현하는 이런 상징들은 집단적 무의식을 구성하는 신화소들의 표현이다. 융은 이 신화소들이 모든 종교의 궁극적인 바탕이며 모체로 보았다. 발현한 성모상에 나타나는 신화소들을 살펴볼 때, 성모 발현 현상은 집단적 무의식에 배열된 자기 원형상이 시공간의 영역, 즉 시간과 공간을 인지 범주로 삼고 있는 목격자 개인의 의식에 나타난 것이다. 뤼 뒤 박 성모상은 그리스도교의 십자고상(十字苦像) 상징에서 충분히 표현되지 못했던 신성과 인간성의 대극 융합을 보여준다. 이런 의미에서 보면, 발현한 성모상은 물병자리 시대를 여는 새로운 구세주의 상이다. 성모상은 신성이 인간의 내면으로부터 기원하며, 따라서 육체를 지닌 각각의 인간이 신성을 육화하는 바탕이며 심리학적 구원의 주체임을 보여준다. 성모상은 그리스도교가 지닌 영적인 가치가 급격하게 감소하는 시대에 인간의 정신이 담지하고 있는 신성의 가치를 일깨워 준다.

道成肉身的神格对比 - 大巡真理会九天上帝姜甑山与北宋道教长生大帝宋徽宗 - (A Comparison of the Incarnations of Two Godheads: Gucheon Sangje (Kang Jeungsan) of Daesoon Jinrihoe and Chengsheng Dadi (Emperor Huizong) of Daoism During the Northern Song)

  • 余定柽
    • 대순사상논총
    • /
    • 제36집
    • /
    • pp.299-331
    • /
    • 2020
  • 至上神道成肉身下临凡世, 为人间拨乱反正, 在大巡真理会祂成为的姜甑山。由于大巡真理会也被中国学者视为韩国新道教, 道主赵鼎山又为姜甑山上名为「九天应元雷声普化天尊」, 中文学界常因而望文生义, 以道教的九天应元雷声普化天尊作对比研究, 然而, 中国道教神谱的九天应元雷声普化天尊只是次级的气象神, 更未道成肉身。本文发现只有宋徽宗堪与姜甑山比较, 因祂也是至上神的道成肉身, 承行降生救世的神圣使命。透过伊利亚德宗教现象学「原型」与「象征」理论, 本文发现由于救世使命的不同, 两位至上神的神格核心原型各异。姜甑山为解天地人神怨结, 开辟后天人间仙境, 以「创世原初时间原型」的核心神格, 重塑世界至混沌之初以完全消除过去, 根本性, 质变地开创新时代 ; 宋徽宗为编收异端佛教入神圣之中, 拯救人民于讹俗, 以「宇宙中心原型」建立向外幅射的等级次第, 将佛教由野蛮宇宙化为秩序。二者的核心神格, 展现了时空之异。在原型核心神格之外, 祂们的外延次级象征神格却大异其趣。宋徽宗一如普遍的至上神, 建立秩序法则后退隠为逊位神「天象征」, 祂的神力专业化为林灵素的「气象象征」 ; 姜甑山则截然不同, 祂无时无刻地以各种次级象征证明祂的三界大权, 摘其要者, 分别为治病与死而复的「月象征」,从混沌中建立秩序的「水象征」, 以及将世俗投入神圣的深刻宗教经验的「光象征」。

다문화사회에서 종교의 교육적 수용 - 협력 종교 교육을 중심으로 - (The Educational Acceptance of Religion in Multicultural Society: Focused on Cooperative Religious Education)

  • 김진영
    • 대순사상논총
    • /
    • 제45집
    • /
    • pp.153-186
    • /
    • 2023
  • 2000년대 들어 한국 사회는 이주노동자, 결혼이주자, 유학생, 난민 등의 유입이 급증하면서 다문화사회로 이행하고 있다. 이에 따라 다종교 사회로서 종교 간 평화와 공존이 유지됐던 한국 사회는 갈등이 표면화되며 사회 문제로 확대될 조짐을 보이고 있다. 다문화 환경을 인식하고 대처하는 데 있어서 종교는 다문화 사회화 과정에서 공동체의 통합과 안전에 기여하나 다른 한편에서는 공동체 내부에 갈등을 유발할 수 있는 양가성을 띰으로써 교육적 차원에서의 논의를 필요로 한다. 이는 교육의 주요 기능 중 하나가 사회통합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종교 교육이 다문화사회의 안정적인 정착을 위해 요구되기 때문이다. 이런 인식 속에서 종교 다양성에 대응하기 위한, 그리고 현재의 사회를 이해하고 세계 시민으로 거듭나기 위한 새로운 관점의 종교 교육에 대한 논의를 필요로 하게 되었는데, 그것이 '종교 이해'(religious literacy)를 배양하기 위해 다양한 종교적, 비종교적 세계관을 교육하는 '교양 종교 교육'(general religious education) 모델이다. 그렇지만 다문화사회에서 교양 종교 교육이 학생들이 통합 환경 속에서 편견과 차별을 줄이는 데 유용할지라도 다문화주의의 가장 효과적인 접근법이 각 인간 집단의 고유 가치를 인정하는 것이라는 점을 상기한다면 '개별 종교 교육'(special religious education) 또한 필요성이 인정된다. 이에 본 연구는 종교 교육의 방안으로 교양 종교 교육과 개별 종교 교육을 결합한 '협력 종교 교육'(co-operative religious education)을 제안할 것이며, 이에 기초하여 한국의 종교 정책과 종교 교육을 검토하고 학교 현장에 실천 가능한 현실적인 방법을 제시할 것이다.

『전경』에 나타난 '미륵'의 성격 (The Meaning of 'Maitreya(彌勒)' in 『Jeon-gyeong』)

  • 이봉호
    • 대순사상논총
    • /
    • 제26집
    • /
    • pp.45-75
    • /
    • 2016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plain characteristics of Maitreya and Maitreya belief from a point of view that 'Jeungsan is the very Maitreya(甑山卽彌勒)'. In 『Jeon-gyeong』, Maitreya is mentioned several times. Thus, new religions of Jeungsan of Daesoonjinrihoe take 'Jeungsan is the very Maitreya' belief for truth. Due to the fact that characteristics of Maitreya are so multi-layered and complicated, it is necessary to explain clearly what kind of feature Maitreya has in 『Jeon-gyeong』. If believing and following 'Jeungsan is the very Maitreya' without clarifying it, they will be faced with a problem that they regard Jeungsan of Supreme being of the Ninth Heaven as one of Maitreya and take its belief for truth. Furthermore, with respect to the characteristics of 'Jeungsan is the very Maitreya' belief, while believing in Mireukasaeng, longed-for Millenarian movement by people through Messianism and Mireukasaeng belief is found in Daesoon Thought, whereas there is a need how to understand the point that we cannot finped Messianism and Millenarian movement in Daesoon Thought. To solve this problem, I draw a conclusion that 'Jeungsan is the very Maitreya' in 『Jeon-gyeong』 has to be understood with two meanings by four demonstrations. First of all, the people perceived late Joseon dynasty as the age of decadence but Maitreya's divinity which is desired by the people is not divinity of Maitreya Sutra(Mileuggyeong). Maitreya's divinity is reflected in the people's cherished desire and it is newly created as the Messiah. Thus, the idea of Jeungsan being the very Maitreya was developed in a way that the people desired the Messiah, encompassing this inclination. That is the Messiah of the people and the divinity of Jeungsan. Although Jeungsan as Supreme being of the Ninth Heaven satisfied the people's desire, it shows a different way to salvation from the way in Maitreya Sutra(Mileuggyeong). It is 'the Great Reordering of the Universe' and 'the Great Reordering of the Three Realms'. Reordering in Jeungsan shows that divinity of Jeungsan is not limited to the people's Messiah. In other words, divinity of Jeungsan is established as The Messiah, surpassing divinity of Maitreya Sutra(Mileuggyeong). And following statements prove this divinity of Jeungsan. Jeungsan's emphasis is not only the people's desire and the Gods' appeal. Jeungsan's emphasis is that only does Supreme being of the Ninth Heaven correct heaven and earth, which is the Gods' appeal. Therefore, 'Jeungsan is the very Maitreya' belief embraces the people's Messianism and at the same time it runs with he Gods' appeal. Thus, Reordering through the Great Reordering of the Universe and the Great Reordering of the Three Realms builds up a new ideal world.

당대 향문화 연구 (A Study on the Culture of Incense in the Period of T'ang)

  • 전혜숙;이애련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113-127
    • /
    • 2005
  • From the ancient times, incense was used for various usages including a means of beauty expression with flavor, a medicine for disease treatment and a device for religious event or ritual. The period of T'ang was the times when cultural and material exchanges with foreign countries were very actively made under the political openness of the Chinese nation. Here the exchanges were made mainly through inland trade, called Silk Road(絲綢之路) and marine trade routes, Incense Road(香料之路). This indicates that incense was one of the main items actively traded at that time. In addition, literatures of the T'ang period show that in the Chinese nation, a wide range of classes from the imperial family to the public used incense for many different purposes. This suggests that the culture of incense was deeply prevailed and very socially significant in T'ang. This study investigated social factors that promoted the incense culture of T'ang and the applications and types of incense widely used in the period of T'ang. First, influential religions and the openness of sex culture were main social factors that made incense culture flourish in the period of T'ang. Above all, two main religions of the Chinese nation, Buddhism and Taoism became secularized under political protection by the imperial family. As Buddhism was popularized, the Buddhist ritual of incense burning made a contribution to making public incense culture. Providing its doctrines of eternal youth and eternal life, Taoism necessarily used incense to form a Taoistic climate. The flourishment of the foresaid religion in T'ang added more fuel to that of incense culture in the Chinese nation. The openness of sex culture brought about the Inauguration of the empress, improvement in female position and free relationships between man and woman. It was accelerated by sexology as a method of eternal youth provided by Taoism. The opened culture also developed the culture of kibang where female entertainers called kinyeo consumed lots of incense for decoration and sexual desire stimulation. These open climates of T'ang society made a great contribution to making incense culture, especially for decoration, prevailed throughout the Chinese nation. Second, types of incense prevailed and widely used in the period of T'ang included olive incense, germander(廣藿香), olibnum(乳香), myrrh Resinoid(沒藥), jia Xiang(甲香), clove(丁香) and Shen xian(沈香), all of which were imported from foreign nations and had various applications. Specifically, olive incense, germander(廣藿香), olibnum(乳香) and myrrh Resinoid(沒藥) were used for religious purposes while, jia Xiang(甲香), clove(丁香) and Shen xian(沈香) for the purposes of religion and decoration. In conclusion, a number of social factors including political, religious and medical purposes and the openness of sex culture set fundamentals on which the culture of incense was extensively developed and established as a social trend in T'ang. In the Chinese nation, incense culture was not just an option for taste, but a part of life style social members needed to know. People of T'ang not only enjoyed incense mainly for purposes of religion, pleasure and make-up, but also had the wisdom to know various effects of incense, curiosity about such new things and the will to imitate and pursue alien culture, resultantly flourishing incense culture. Thus the culture of incense represented many social aspects of T'ang.

  • PDF

동학교 '도로 선천(先天)'사상의 내용과 의의 (The Essence and Significance of the Concept of 'Return to the Former World' in Donghak-gyo)

  • 김탁
    • 대순사상논총
    • /
    • 제48집
    • /
    • pp.199-237
    • /
    • 2024
  • 동학교는 김주희가 세운 동학계 신종교단이다. 동학교가사에 나타난 사상의 요체는 용어의 빈도수와 읊어진 구절의 내용을 고려하여 '도로 선천(先天)'사상이라고 볼 수 있다. 동학의 시운관(時運觀)이 '다시 개벽(開闢)'사상이라면, 동학교의 시운관은 '도로 선천(先天)'사상이다. 동학교에서는 선천이라는 용어를 특히 강조했고, 역학(易學)을 활용하여 노래했으며, '음양의 마주 봄'으로 개벽의 상황을 읊었다. 동학교에서는 후천의 운수마저 다한 다음에야 비로소 '도로 선천'이 이루어지리라고 강조한다. 이 '도로 선천'의 운수가 회복되면 목덕(木德)으로 상징되는 '봄<춘(春)>'이 다시 돌아올 것이라고 노래한다. 동학교에서는 새로운 운수(運數)의 전개를 '역(易)의 회복'으로 설명한다. 새로운 질서와 규범이 전개될 새 세상을 '도로 선천'으로 부르는데, 이때가 되면 '도덕세계'가 이루어져 도덕 문명이 전개될 것이라고 주장한다. '도로 선천'을 회복하는 운수가 바로 천도(天道)가 회복되는 일과 같다고도 노래한다. '도로 선천'사상의 특성은 첫째, 복고적 체계를 지향한다. 둘째, 과거지향적 사상이다. 셋째, '도로'는 '근원으로 돌아가자.', '근본을 회복하자.'라는 실제의 행동을 유발하고 권유하는 생각이다. 동학교의 '도로 선천'사상은 당대의 여러 신종교와는 다르게 선천(先天)에 대해 독창적인 관념과 인식을 부여했으며, 새로운 해석의 틀을 제시했다. 선천을 폐기해야만 할 낡은 시대로 규정했던 일에서 벗어나 지향해야 할 새 시대로 이해했다. 따라서 동학교의 '도로 선천'사상은 동양 전통의 과거로의 회귀와 복귀를 추구하던 일을 계승한 사상의 하나로 재평가되어야 하겠다. 하지만 '도로 선천'사상에 구체적 방법론이 매우 부족하다는 점은 단점으로 지적될 수 있다. 그리고 동학교의 '도로 선천'사상에는 윤리의식이나 도덕적 덕목이 부족하며, 정작 선천(先天)에 대한 설명이 부족하다. 따라서 동학교의 '도로 선천'사상은 선언적 구호에 그친 감이 있다.

퓨전디자인의 속성에 관한 연구 - 문화환경의 변화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Properties of fusion Design -Especially on the Change of Cultural Environment-)

  • 박규현;김윤경
    • 디자인학연구
    • /
    • 제13권3호
    • /
    • pp.211-220
    • /
    • 2000
  • 문화의 접속이란 특정한 문화가 영향력을 가지고 다른 문화로 이동하는 흐름을 나타내는 것인데 이것을 부정적으로 표현하면 문화의 '침투'이지만 긍정적으로 표현하면 문화의 '융합'혹은 '퓨전(Fusion)'이 된다. 과거에는 민족주의와 국수주의가 사상적으로 이를 불허해왔고, 또 교통과 통신의 불편은 여기에 장애물로 작용했으며, 대부분 토속종교에 영향받는 국가들이었으므로 문화의 융합이란 용이하지 않았다. 그러나 오늘날은 세계화로 인한 국가관의 붕괴, 지역성의 파괴, 무역장벽의 철폐, 통신의 자유, 정보의 네트워크와 실시간 등은 많은 면에서 상호 이질문화를 쉽게 공유할 수 있게 하였다. 바로 여기에 퓨전이 가능하게 되었다. 오늘날 현대소비사회에 있어서의 퓨전현상은 과거보다 더욱 빠르고 광범위하게 진행 되어간다. 그리고 소비의 기호가 세분화되고 다양한 개성을 찾아나가려는 시도가 강하게 나타나는 오늘의 상황에서 볼 때 앞으로 더욱 많은 문화인자들이 퓨전이라는 이름 하에 상호 충돌과 절충을 시도하면서 융합의 고삐를 늦추지 않을 것으로 본다. 본 연구는 현대의 이러한 새로운 대중문화 양식의 한 현상인 "퓨전(fusion)"에서 특히 사회과학적 문화현상을 중심으로 그 특성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디자인분야 중 문화현상을 가장 잘 표현하고 있는 실내디자인에서의 퓨전현상을 찾아 이를 학문적으로 규명하고, 최근의 주요 동향에 대한 고찰을 바탕으로 향후 퓨전디자인(Fusion Design)의 방향을 전망하도록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