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ducational Acceptance of Religion in Multicultural Society: Focused on Cooperative Religious Education

다문화사회에서 종교의 교육적 수용 - 협력 종교 교육을 중심으로 -

  • Received : 2023.04.22
  • Accepted : 2023.06.07
  • Published : 2023.06.30

Abstract

Since the 2000s, Korean society has been transitioning into a multicultural society with a sharp increase in the influx of various non-Koreans including immigrant workers, immigrant spouses, international students, and refugees. As a result, Korea, which had maintained religious peace and coexistence as a multi-religious society, is showing signs of increased risks of social problems such as the surfacing of conflicts between religions. Religion can contribute to the integration and safety of communities in the process of becoming a multicultural society, but at the same time, it requires discussion from an educational perspective because of its ambivalence in potentially causing conflict within communities. Considering that one of the main functions of religion is social integration, religious education is required for the stable settlement of multicultural societies. In recognition of this, discussion regarding a new perspective on religious education is needed to respond to religious diversity and to understand the current society and the means of becoming a global citizen. This new discussion would be a 'general religious education' model that provides an education covering various religious and non-religious worldviews in order to cultivate 'religious literacy.' However, in a multicultural society, while general religious education may be useful in reducing prejudice and discrimination among students in an integrated environment, it should also be recognized that a 'special religious education' would be needed to acknowledge the unique values of each human group. This would be the most effective approach to multiculturalism. Therefore, this study proposes a form of 'cooperative religious education,' which combines general religious education and special religious education as a direction for religious education. In providing readers with background context, this study will review Korean religious policies and religious education, and then present realistic methods that can be implemented in schools.

2000년대 들어 한국 사회는 이주노동자, 결혼이주자, 유학생, 난민 등의 유입이 급증하면서 다문화사회로 이행하고 있다. 이에 따라 다종교 사회로서 종교 간 평화와 공존이 유지됐던 한국 사회는 갈등이 표면화되며 사회 문제로 확대될 조짐을 보이고 있다. 다문화 환경을 인식하고 대처하는 데 있어서 종교는 다문화 사회화 과정에서 공동체의 통합과 안전에 기여하나 다른 한편에서는 공동체 내부에 갈등을 유발할 수 있는 양가성을 띰으로써 교육적 차원에서의 논의를 필요로 한다. 이는 교육의 주요 기능 중 하나가 사회통합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종교 교육이 다문화사회의 안정적인 정착을 위해 요구되기 때문이다. 이런 인식 속에서 종교 다양성에 대응하기 위한, 그리고 현재의 사회를 이해하고 세계 시민으로 거듭나기 위한 새로운 관점의 종교 교육에 대한 논의를 필요로 하게 되었는데, 그것이 '종교 이해'(religious literacy)를 배양하기 위해 다양한 종교적, 비종교적 세계관을 교육하는 '교양 종교 교육'(general religious education) 모델이다. 그렇지만 다문화사회에서 교양 종교 교육이 학생들이 통합 환경 속에서 편견과 차별을 줄이는 데 유용할지라도 다문화주의의 가장 효과적인 접근법이 각 인간 집단의 고유 가치를 인정하는 것이라는 점을 상기한다면 '개별 종교 교육'(special religious education) 또한 필요성이 인정된다. 이에 본 연구는 종교 교육의 방안으로 교양 종교 교육과 개별 종교 교육을 결합한 '협력 종교 교육'(co-operative religious education)을 제안할 것이며, 이에 기초하여 한국의 종교 정책과 종교 교육을 검토하고 학교 현장에 실천 가능한 현실적인 방법을 제시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경기도가족여성개발원, 「경기도 국제결혼 이민자가족 실태조사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 2007.
  2. 고병철, 「국가 교육과정 내의 다문화교육과 '종교'교과교육」, 「종교연구」 61, 2010. https://doi.org/10.21457/kars..61.201012.99
  3. 고병철, 「현대 한국의 종교와 다문화사회, 그리고 다문화교육」, 「인간연구」 36, 2018. https://doi.org/10.21738/JHS.2018.07.36.33
  4. 고병철, 「2022년 종교 교육과정: 종교인 만들기와 '유사종교' 발명 교육」, 「2023 제1회 대순사상학술원 & 아시아종교연구원 공동학술대회집」, 2023.
  5. 교육부, 「고등학교 교양교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별책 19], 2015.
  6. 교육부, 「고등학교 교양 교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22-33호 [별책 19], 2022.
  7. 교육부, 「AI를 활용한 디지털 교육으로 '모두를 위한 맞춤 교육시대'연다」, 2023.
  8. 김덕수.조영현, 「중학교 역사 1」, 서울: 천재교육, 2022.
  9. 김귀성.류성민.고시용, 「종교 교양교육 활성화 방안」, 「종교교육학연구」 41, 2013. http://uci.or.kr/G704-000911.2013.41..003
  10. 김중순, 「다문화교육에 있어서 종교의 문제」, 「종교연구」 61, 2010. http://uci.or.kr/G704-SER000008906.2010.6.2.004 https://doi.org/10.6.2.004
  11. 김철수, 「결혼이주 여성의 종교와 생활만족도」, 「다문화사회연구」 9-2, 2016. https://doi.org/10.15685/jms.2016.08.9.2.273
  12. 김효준, 「다문화 기독교 종교교육의 과제와 전망」, 「장신논단」 41, 2011. https://doi.org/10.15757/kpjt.2011..41.013
  13. 나권수.윤재근, 「종교문맹률의 증가에 따른 대학 교양교육으로서 종교교육의 과제와 전망」, 「종교교육학연구」 60, 2019.
  14. 노길명, 「한국 신흥종교연구」, 서울: 경세원, 2001.
  15. 류성민, 「공립학교에서의 종교교육: 필요성과 현실」, 「종교문화연구」 20, 2013. http://uci.or.kr/G704-SER000002978.2013..20.006
  16. 문화체육관광부, 「2018년 한국의 종교 현황」, 2018.
  17. 문화체육관광부, 「2023년도 종무실 예산 현황」, 2023.
  18. 박성호, 「한국의 다문화 형성과 종교의 역할」, 「종교와 문화」 22, 2012. http://uci.or.kr/G704-SER000011474.2012..22.002
  19. 박승길, 「다문화사회와 다문화가정에서의 종교적 갈등」, 「민족연구」 42, 2010. http://uci.or.kr/G704-SER000001553.2010..42.004 https://doi.org/10..42.004
  20. 박종수, 「종교단체의 다문화교육에 대한 사례 연구」, 「종교연구」 63, 2011. https://doi.org/10.21457/kars..63.201106.59
  21. 박현준, 「다문화 시대 한국사회의 공동체성 형성을 위한 종교정책 연구」, 「신학과 사회」 29-2, 2015. https://doi.org/10.22748/thesoc.2015.29.2.003
  22. 법무부 출입국.외국인정책본부, 「2023년 4월 출입국.외국인정책 통계월보」, 2023.
  23. 배재현, 「초등학생을 위한 종교 교육 프로그램이 다문화수용성에 미치는 영향 연구」, 「다문화사회와 교육연구」 5, 2020. https://doi.org/10.22957/mses.5..202002.109
  24. 석창훈, 「다문화사회에서 종교기념일의 이해와 종교간 대화 탐색」, 「다문화콘텐츠연구」 38, 2021. https://dx.doi.org/10.15400/mccs.2021.12.38.151
  25. 성해영 외, 「바람직한 다문화 공동체 형성을 위한 종교의 역할 연구」, 세종: 문화체육관광부, 2012.
  26. 손동현, 「교양교육으로서의 종교교육」, 「교양기초교육연구」 1-1, 2020. https://doi.org/10.37998/LE.2020.1.1.1
  27. 손원영, 「다문화교육을 위한 종교평화모델의 탐색」, 「기독교교육정보」 60, 2019.
  28. 신광철, 「다문화사회와 종교」, 「종교연구」 59, 2010. https://doi.org/10.21457/kars..59.201006.1
  29. 여성가족부, 「2018년 국민 다문화수용성 조사」, 2019.
  30. 이진석, 「호주의 종교적 다양성과 다문화정책의 성공: 유럽과의 사례 비교」, 「인문사회 21」 7-4, 2016. https://doi.org/10.22143/HSS21.7.4.32 
  31. 임영빈, 「한국 종교 지형과 종교 척도」, 「사회이론」 53, 2018. https://doi.org/10.37245/kjst.2018.05.53.125
  32. 임정수, 「한국 사회의 종교적 다양성의 심화와 다문화 시민교육의 과제」, 「현대사회와 다문화」 6-2, 2016. http://uci.or.kr/G704-SER000003715.2016.6.2.004
  33. 정지아.한명희, 「공교육적 종교교육의 정체성 모색과 '종교학' 교과」, 「종교교육학연구」 44, 2014. http://uci.or.kr/G704-000911.2014.44..001
  34. 조응태, 「한국의 다문화사회 형성에 있어서 종교의 역할」, 「평화학연구」 11-1, 2010. http://uci.or.kr/G704-002115.2010.11.1.002 https://doi.org/10.11.1.002
  35. 최주열, 「다문화시대 한국종교문화와 한국인의 가치관 연구」, 「인격교육」 11-1, 2017. http://dx.doi.org/10.18015/edumca.11.1.201704.027
  36. 통계청, 「2015년 인구주택총조사 표본 집계 결과」, 2016.
  37. Alexa Blonner, "Heaven's Way in Korea's New Religions: A New Interpretation of Salvation," Journal of Koreanology 62, 2017. http://dx.doi.org/10.15299/jk.2017.02.62.119
  38. Ana Carneiro et al., "Human Values and Religion: Evidence from the European Social Survey," Social Sciences 10, 2021. https://doi.org/10.3390/socsci10020075
  39. A. Carneiro, H.F.P. Sousa, M.A.P. Dinis, & A. Leite, "Human Values and Religion: Evidence from the European Social Survey," Social Sciences 10(75), 2021. https://doi.org/10.3390/socsci10020075
  40. Bryan Wilson, Religion in Secular Society, London: Watts, 1966.
  41. B. Duffy, G. Murkin, G. Skinner, et al., Culture Wars around the World: How Countries Perceive Divisions, London: King's College London, 2021.
  42. Carolyn Evans, "Religious Education in Public Schools: An International Human Rights Perspective," Human Rights Law Review 8-3, 2008. https://doi.org/10.1093/hrlr/ngn020 
  43. Commission on Religious Education, "Final Report: Religion and Worldview: The Way forward (A national plan for RE)," London: Comission on RE, 2018.
  44. Friedrich Schweitzer, "Religious Individualization: New Challenges to Education for Tolerance," British Journal of Religious Education 29-1, 2007. https://doi.org/10.1080/01416200601037551
  45. Leni Franken, "Coping with Diversity in Religious Education: an Overview," Journal of Beliefs and Values 38-1, 2017. https://doi.org/10.1080/13617672.2016.1270504
  46. Mark Chaves, "Secularization as Declining Religious Authority," Social Forces 72-3, 1994. https://doi.org/10.2307/2579779
  47. Mark William Roche, Why Choose the Liberal Arts?, Indiana: University of Notre Dame Press, 2010.
  48. Robert Jackson, "The Development and Dissemination of Council of Europe Policy on Education about Religions and Nonreligious Convictions," Journal of Beliefs and Values 35-2, 2014. https://doi.org/10.1080/13617672.2014.953295
  49. Robert Prey, "Different Takes: Migrant World Television and Multiculturalism in South Korea," Global Media Journal - Canadian Edition 4-1, 2011.
  50. Tuula Sakaranaho, "Religious Education in Finland," Temenos - Nordic Journal of Comparative Religion 49-2, 2013. https://doi.org/10.33356/temenos.9547
  51. Young-Jun Lee & Jong-Oh Lee, "Secular or Post Secular?: Korea as a Multi-Religious Society," Journal of Dharma 44-3, 2019.
  52. W. B. Firth, "Special Religious Education in a Post-secular Australia," Verbum et Ecclesia 43-1, 2022. https://doi.org/10.4102/ve.v43i1.2603
  53. Zakiyuddin Baidhawy, "Building Harmony and Peace through Multiculturalist Theology-based Religious Education," British Journal of Religious Education 29-1, 2007. https://doi.org/10.1080/01416200601037478
  54. Zehavit Gross & Suzanne D. Rutland, "How In-faith Religious Education Strengthens Social Cohesion in Multicultural Australia"(report), Sydney: McCrindle, 2019.
  55. 임상준, 「법무부-경북도, 인구감소.균형발전 머리 맞대」, 《매일신문》 2023. 2. 17.
  56. 황수빈, 「바비큐 이어 돼지수육 잔치...끝나지 않는 대구 이슬람사원 갈등」, 《연합뉴스》 2023. 2. 2.
  57. 전준홍, 「우리나라 '갈등'이 세계 1위?」, 《MBC》 2022. 3. 18.
  58. 《문화체육관광부》 https://www.mcst.go.kr
  59. 《서울특별시교육청교육연수원》 https://www.seti.go.kr
  60. 《서초구가족센터 홈페이지》 https://www.liveinkorea.kr
  61. 《Australian Bureau of Statistics》 https://www.abs.gov.a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