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ecropsy

검색결과 523건 처리시간 0.026초

GM 유채에 도입된 β-glucosidase 1 (AtBG1)의 단회투여독성시험 (Single-dose Oral Toxicity Study of β-glucosidase 1 (AtBG1) Protein Introduced into Genetically Modified Rapeseed (Brassica napus L.))

  • 이순봉;정광주;장경민;김성건;박정호;김신제
    • 생명과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94-201
    • /
    • 2017
  • 유채는 십자화과로 분류되는 유지작물로써 전 세계적으로 재배되는 작물이다. 이전 연구결과에서 가뭄저항성을 증대시키는 것으로 보고된 애기장대의 ${\beta}$-glucosidase 1 (AtBG1) 유전자를 도입함으로써 가뭄저항성 형질전환 유채를 개발하였다. 새로 개발된 형질전환 작물들은 그 이용에 대한 안전성에 대하여 어떠한 정보도 제공되지 않기 때문에 작물의 안정성에 대한 증명이 필수적이다. 이러한 안정성 평가는 작물의 역사적 사용과 과학적 증거를 기초로 한다. 이번 연구에서는 AtBG1이 도입된 형질전환 유채의 급성투여독성시험을 통하여 암수 마우스 각각에서 한계투여 용량을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OECD의 급성독성의 권고안에 따라 AtBG1 단백질을 암수 각각 5마리의 ICR 마우스에 몸무게 1 kg 당 2,000 mg을 부형제에 녹여 강제구강투여 하였다. 투여일부터 14일 동안 운동성, 병리학적 이상, 몸무게를 측정하였고 마지막 14일에는 안락사 후에 부검을 통해 AtBG1 투여군과 비투여군의 차이를 확인하였다. 이상의 실험을 통하여 AtBG1 단백질이 운동성, 병리학적 이상, 몸무게 및 부검 결과에서 대조구와 실험구, 두 그룹간의 특이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AtBG1 단백질은 급성독성의 측면에서 안전한 물질로 판단되며, 한계허용치 용량이 2,000 mg을 상회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이는 차후 AtBG1 도입 유채의 인체위해성 평가 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암컷 사향쥐(Ondatra zibethicus)의 신부전 (Renal Failure in a Female Muskrat)

  • 울라아리프;아메드 엘파들;박선영;정명진;손지윤;윤현호;박재민;임재혁;정승준;박진규;정규식
    • 생명과학회지
    • /
    • 제30권7호
    • /
    • pp.630-633
    • /
    • 2020
  • 야생 포유류의 신부전 증후군은 거의 보고가 없다. Muskrat (Ondatra zibethicus)는 중간 크기의 설치류이며 많은 질병을 가지고 있으나, 신부전 증후군은 보고된 바가 없으며, 본 케이스는 병리학적 진단을 위해 6개월령 암컷 사향쥐의 다른 임상증후군 없는 상태로 부검을 실시하였다. 요관, 신장결석과 수진증을 관찰하였고, 결석에 의한 심각한 신장 손상과, 뇌 손상을 포함한 전신 출혈과 석회화가 관찰되었고, 이는 신장 손상으로 인한 요로결석과 장기 손상에 기인한 것이다. 괴사 및 미세석회화는 신장 피질 및 수질에서, 특히 근위 곡 세뇨관 및 신장의 수집관에서 검출되었다. 사구체의 초자양변성이 크게 관찰되었으며 이는 만성 신염을 나타내며. 이러한 소견은 특히 신장에 대한 진균성 독성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폐에서 호중구 및 단핵 세포의 침윤이 관찰되었고, 비장에서도 만성 염증세포인 형질세포의 침윤이 관찰되었다. 본 소견에서는 사향쥐 신부전에 따른 사인은 오염된 사료섭취로 의심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사육하는 황새에서 담즙정체를 동반한 사낭경색 (Gizzard Impaction with Bile Stasis in Captive Oriental White Storks (Ciconia boyciana))

  • 한재익;손형원;모인필;장동우;김수경;박시룡;나기정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6권6호
    • /
    • pp.659-662
    • /
    • 2009
  • 한국교원대학교 황새복원센터에서는 한국내 야생 황새 복원을 위해 인공적인 황새 사육을 진행중이다. 세 마리의 황새가 식욕부진과 침울을 보여 충북대학교 동물의료센터에 진료 의뢰되었다. 두 마리는 내원 전 사망하였으며, 한 마리는 내원 후 수액요법을 실시하였으나 1일 후 사망하였다. 부검시 salmon-color의 피하 및 내장지방이 전체 황새에서 관찰되었다. 간 표면의 다발성 국소 괴사병소도 확인되었다. 근육위 내강에는 많은 양의 풀과 자갈이 뭉쳐져 큰 덩어리를 형성하고 있었으며, 유문부는 이것에 의해 폐색되어 있었다. 수액요법을 받은 황새의 소장 분절은 유착되어 있었다. 조직병리학적 검사상 염증을 동반하지 않은 괴사병변이 전체 황새의 간, 근육위, 장에서 관찰되었다. 간에서는 담즙정체도 관찰되었다. 이 검사 결과들에 기초하여 황새들은 이식증에 의한 사낭 경색증으로 최종 진단되었다.

천연물 유래 항생제 대체 사료첨가제의 육계 임상 효능에 대한 연구 (The Clinical Effects of an Herbal Antimicrobial Feed Additive in Growing Chickens)

  • 오홍근;박현;김윤철;이현아;김옥진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17-22
    • /
    • 2010
  • 천연물 유래 항생제 대체 사료첨가제 Flavo-$SK^{TM}$은 원광대학교 인수공통감염병연구센터에서 1,000종 이상의 천연물로부터 효능평가를 거쳐 개발되었다. 본 연구는 육계 농장에서 대규모 임상 효능평가를 통한 Flavo-$SK^{TM}$의 항균 효과 규명과 항생제 대체 효과를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20,000 마리의 병아리를 Flavo-$SK^{TM}$ 투여군과 비투여군 2 그룹으로 나누어 31일 동안 육계농장에서 연구가 수행되었다. Flavo-$SK^{TM}$ 투여군에는 항생제가 없는 사료에 Flavo-$SK^{TM}$를 0.29% 배합하여 급여하였고 비투여군은 항생제 포함된 일반 사료를 급여하였다. 연구기간 동안 사료섭취량, 체중, 임상증상을 분석하고 시험종료일에 부검하여 육안검사와 미생물학적 검사 및 병리조직학적 검사를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천연물 유래 항생제 대체 사료첨가제 Flavo-$SK^{TM}$은 육계에 항균효과를 가진 항생제 대체 사료첨가제로서 효과적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Canine Mast Cell Tumor에서 Adjuvant Glucocorticoids 치료 (Adjuvant Glucocorticoids Therapy in Canine Mast Cell Tumor)

  • 김명진;이재일;김영석;손화영;전무형;박창식;김명철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264-267
    • /
    • 2005
  • 구토와 식용부진을 3일전부터 나타내고, 2년전부터 좌측 후지 상부에 종괴를 갖고 있는 12년령, 8.0kg, 난소 제거 잡종 암캐 1두가 충남대학교 부속동물병원에 내원하였다. 환자는 fine-needle aspiration (FNA) 세포진단학 검사에 의하여 mast cell tumor로 진단하였다. Mast cell tumor 진단을 위한 WHO clinical staging system에 의하여 stage IIIa로 분류하였다. 환자는 adjuvant corticosteroid 요법에 의하여 투약되었으며, 축주의 요구에 의하여 완전 외과 절제는 실시하지 아니 하였다. 초기에 adjuvant corticosteroid 단독 요법에 의하여 종괴의 크기가 점차 감소하였으며, 환자의 전신상태는 호전되었다. 그러나 그 후에는 더 이상 glucocorticoid에 반응을 하지 아니 하였으며, 종괴의 크기가 증가하였고, 2개월 후에 간헐적 구토와 심한 호흡곤란 때문에 안락사 하였다. 비장 종괴, 십이지장 궤양, 간 종괴와 후지 상부 근육부위에 침윤된 mast cell tumor가 부검 시에 발견되었다. Mast cell tumor는 grade I 또는 II에서 그리고 .조직학적으로 well-differentiated된 상태에서 외과적 완전절제, 방사선요법, adjuvant corticosteroid 요법, 화학요법을 병용 하여야 양호한 예후를 나타낼 것으로 기대된다.

괴사성 뇌척수막염을 가진 진돗개에서 Tramadol에 의한 잠재적 경련발생 증례 (Potential Seizurogenic Effect of Tramadol in a Dog with Necrotizing Meningoencephalitis)

  • 김세훈;허수영;이기창;이해범;김남수;김민수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323-327
    • /
    • 2011
  • 8개월령, 수컷 진도개가 오른쪽 후지 파행으로 의뢰되었다. 이 개는 방사선 검사를 통하여 오른쪽 대퇴골의 단순 골절로 진단되었다. 대퇴골절의 수술적 교정 이후, 술 후 진통제로 합성 아편계 유사 약물인 트라마돌이 정맥 내 주사로 투여되었다. 트라마돌의 투여 직후 발작이 시작되었다. 집중적인 환자 관리에도 불구하고 투여 약 17시간 후 이 개는 폐사하였다. 폐사를 하게 된 원인과 관련하여 트라마돌의 투여에 의한 발작이 연관되어 있을 것으로 추측할 수 있었다. 부검을 실시한 결과 조직병리학적 분석에 따라 본 환자는 괴사성 수막뇌염(NME)으로 진단되었다. 괴사성 수막뇌염을 가진 개에서 트라마돌의 투여가 폐사를 일으킨 발작의 유발과 관련되어 있을 것으로 생각되었다. 본 증례를 통해 트라마돌이 통증 관리에 있어 안전하고 효과적인 약물로 알려져 있으나 뇌염, 뇌수두증, 뇌병증 등의 신경계질환이 있는 환자에서는 주의 깊게 사용되어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솔부엉이의 함기골 개방골절에 의한 속발성 폐 아스퍼질러스 감염 증례 (Pulmonary Aspergillosis Secondary to Open Fracture of Pneumatic Bone in a Brown Hawk Owl (Ninox scutulata))

  • 한재익;이영선;이숙진;강효민;장혜진;장동우;나기정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218-221
    • /
    • 2013
  • 비행곤란을 나타내는 솔부엉이가 구조되어 충북대학교 동물의료센터에 의뢰되었다. 신체검사와 방사선 검사에서 좌측 상완골의 개방골절을 확인하였다. 3일 후 수내정과 와이어를 이용해 골절부 정복을 실시하였으나, 수술 후 2일 만에 급사하였다. 부검시 2~3 mm 크기의 녹색 결절이 왼쪽 폐의 표면과 내부에 다발성으로 발생하였다. 조직검사 결과 포자와 균사가 폐포에 다량 증식되고, 일부가 폐 실질에 침입하여 염증과 괴사를 유발하였다. 진균을 분리하여 Sabouraud dextrose 배지에 $30^{\circ}C$에서 7일간 배양한 결과, 청녹색의 밸벳 양상을 나타내는 곰팡이를 관찰하였다. ITS, ${\beta}$-tubulin 및 calmodulin 유전자를 증폭하여 동정한 결과 A. fumigatus로 확인되었다. 최종적으로 함기골 개방골절에 따른 이차적인 폐 아스퍼질러스증으로 사망한 것으로 진단하였다.

애완견의 결핵예방에 관한 연구 1. Mycobacterium bovis를 실험적으로 접종한 애완견에 있어서 BCG의 전처치 효과 (Studies on the prevention of tuberculosis in pet dogs 1. The effects of BCG pretreatment in pet dogs inoculated experimentally with Mycobacterium bovis)

  • 강종구;김창기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117-125
    • /
    • 1992
  • Mycobacterium (M) bovis 를 인공감염시킨 개에 있어서 BCG의 전처치효과를 in vivo 및 in vitro에서 검토하였다. 개들은 BCG 전처치군, M bovis 단독처치군, 비감염대조군의 세군으로 나누었다. BCG는 M bovis 복강접종 3주일전에 0.2ml를 피내접종하였다. 결핵균 투여 4개월후에 전군을 도살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도살시 모든 처치군에서 감염이 확인되었다. 병리조직학적으로 BCG전처치군의 폐장내에서는 경도의 macrophage의 침윤과 소상의 육아종 형성이 관찰되였으나 M bovis 단독처치군에 있어서는 보다 고도의 macrophage의 침윤, 중등도의 호중구의 침윤 및 중등도의 육아종의 형성이 확인되었다. 각 동물의 기관지폐포세정액을 분리하여 그 속의 총세포수와 각 세포의 분획을 검토하였다. 비감염 대조군의 기관지폐포세정액내의 총세포수는 두 처치군보다 훨씬 낮았으며 M bovis 단독처치군의 총세포수는 BCG 전처치군보다 1.8배 높았다. 이 세정액으로부터 폐포 macrophage를 분리배양하여 macrophage의 활성능과 결핵균의 증식능을 관찰하였다. BCG처치군은 M bovis 단독처치군에 비하여 높은 Fc receptor 활성(rosette 형성능, 탐식능)과 낮은 결핵균의 증식이 관찰되었다. 그러나 BCG의 전처치는 결핵균을 killing하지는 못하였다. 개에게 BCG를 전처치하면 폐내에 극소수의 결핵균이 지속적으로 잔존하지만 폐포 macrophage는 이미 항결핵성면역능을 지닌채로 계속 활성화된 상태로 존재하기 때문에 결핵에 대하여 예방효과를 갖는다고 사료된다.

  • PDF

청목향 Aristolochiae radix에 있어 F344 랫드의 독성 (Toxicity of Aristolochiae radix in F344 rats)

  • 김충용;김용범;양병철;이종화;정문구;양기화;장동덕;한상섭;강부현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45권1호
    • /
    • pp.29-37
    • /
    • 2005
  • 13-week orally repeated dose toxicity was investigated to ascertain the toxic effects of Aristolochiae radix in F344 rats at dose levels of 0, 1 (0.003 AA, aristolochic acid, mg/kg), 5 (0.014 AA mg/kg), 25 (0.068 AA mg/kg), 125 (0.34 AA mg/kg), and 500mg/kg (AA 1.36 mg/kg). No mortalities were found in any of the dose groups including vehicle control groups of both sexes during the study period. Hematologic and serum biochemical examinations revealed no changes related to the test item in any of the dose groups of both sexes. However, gross findings at necropsy implicated thickening of the stomach wall. In histopathological examinations, prominent findings related to the test item treatment were observed in the stomach and urinary bladder. There were squamous cell papilloma, squamous cell hyperplasia, ulceration and erosion observed in the non-glandular stomach. Squamouse cell hyperplasia was observed at dose levels of more than 125 mg/kg in both sexes and squamous cell papilloma was observed at dose level of 500 mg/kg in both sexes. The incidence and severity of these proliferating lesions including squamous cell hyperplasia and squamous cell papilloma increased with dose dependency. Transitional cell hyperplasia was also observed in the urinary bladder at dose levels of more than 25 mg/kg in both sexes and the incidence and severity of the lesion increased with dose dependency. In conclusion, the toxic changes related to the test item treatment were observed in the stomach and urinary bladder, and the no-observed-adverse-effect level (NOAEL) was estimated to be 5 mg/kg/day for both males and females in F344 rats.

보스턴 테리어에서 발생한 혀정맥 유래 목부위 곁신경절종 증례 (Cervical Paraganglioma Originated from Lingual Vein in a Boston Terrier Dog)

  • 장효미;이희천;최을수;서정향;정동인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32권6호
    • /
    • pp.508-510
    • /
    • 2015
  • 7살의 중성화된 수컷 보스턴테리어 개가 호흡곤란과 편측성 목부위 혹으로 내원하였다. 신체검사에서 왼쪽 아래턱밑 부위의 혹이 촉진되었다. 컴퓨터단층촬영 검사 결과 이 혹은 왼쪽 혀정맥 유래의 종양으로 의심되었다. 보호자의 거부로 치료가 진행되지 못했으며 내원 10일 후 호흡부전으로 폐사하였다. 부검에서 경계가 분명한 혹이 왼쪽 후두부위에서 확인되었으며 병리조직학적, 면역조직화학적 검사가 시행되었다. 컴퓨터단층촬영, 병리조직학적, 면역조직화학적 검사를 토대로 왼쪽 혀정맥에서 유래한 목부위 곁신경절종으로 최종진단되었다. 본 증례보고는 개에서 발생한 혀정맥 유래 목부위 곁신경절종의 임상적, 컴퓨터단층촬영, 병리조직학적 및 면역조직화학적 특징들을 잘 나타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