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eck Bone

검색결과 620건 처리시간 0.021초

콧등에 발생한 화골성 근염: 1례 보고 (Myositis Ossificans on the Nasal Dorsum: A Case Report)

  • 송제니퍼김;황소민;임광열;정용휘;안성민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38권1호
    • /
    • pp.69-72
    • /
    • 2011
  • Purpose: Myositis ossificans is a benign condition of heterotopic bone formation that still requires more of its pathologic explanation. The lesions are localized predominantly to the high-risk sites of injury, involving flexor muscles of the upper limbs and thigh, but rarely in the head and neck area. Methods: A case of a 44-year-old male patient presented with a palpable hard mass on nasal dorsum. The patient experienced a similar lesion on upper limb few years ago. On computed tomographic image, the lesion presented focal definite increase in opacity compatible to adjacent bone densitiy on nasal dorsum. Results: The lesion was excised under open rhinoplasty incision. The pathologic report revealed focal bone formation and calcification within skeletal muscle. Conclusion: We describe a unique and only case of a myositis ossificans on nasal dorsum which is indifferent from previous concept.

중년 여성의 골밀도와 신체적, 산과적 특성과의 관계 연구 (The Relationship between Bone Mineral Density and Physical, Obstetric Characteristics in Middle-aged Women)

  • 김명희;김주성;김영미
    • 성인간호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532-542
    • /
    • 2002
  • Purpose: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BMD of middle-aged women and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BMD and Physical, Obstetric characteristics Method: The data was collected from 119 healthy women who were 40-60 years old. they were examined for BMD at 4 regions(forearm, lumbar, femur, whole body), %fat by DEXA and investigated physical, obstetric characteristics using scale, questionnaire from January to March, 2001. Result: 1) According to bone diagnostic results by WHO classification, 95.8% of forearm and whole body BMD were normal but 21.8-48.7% of lumbar and femur BMD(neck, trochanter, ward's triangle) were diagnosed osteoporosis or osteopnea. 2) The bones were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s of each other (r=.19-.69, p=.04-.00) and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BMD and physical, obstetric characteristics such as age (r=-.22, p=.02), weight(r=.36~.48, p=.00), height(r=.22, p=.02), %fat(r=.19, p=.04) and age of first delivery(r=-.28, p=.00). Conclusion: Based on this study, healthy middle-aged women were also exposed to risk of osteoporosis related to aging, change of physical conditions or hormonal release. Further research to develop nursing interventions for the purpose of preventing osteoporosis by modifying risk factors is suggested.

  • PDF

폐경기 골다공증 환자의 골다공증 지식, 건강신념, 자기효능감이 칼슘섭취행위 빈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e Knowledge, Health Belief, and Self-Efficacy about Osteoporosis on Calcium Intake Behavior for Postmenopausal Osteoporosis Patients)

  • 송혜란;소희영
    • 성인간호학회지
    • /
    • 제19권5호
    • /
    • pp.80-91
    • /
    • 2007
  • Purposes: To identify the predictors of calcium intake behavior and examine the relationships among bone mineral density, osteoporosis knowledge, osteoporosis health belief, osteoporosis self efficacy and calcium intake behavior of postmenopausal osteoporosis patients. Methods: The subjects consisted of 94 patients. The measurement tools were osteoporosis knowledge test, osteoporosis health belief scale, osteoporosis self-efficacy and calcium intake frequency questionnaire.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WIN 11.0 program. Results: The bone mineral density of the lumbar were $0.75g/cm^2$, T-score -2.67 and the femur neck were $0.67g/cm^2$, T-score -2.30. There was statistically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calcium intake behavior and health motivation (r=0.449, p=0.000) among the osteoporosis health belief. In hierarchi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current spouse(12.8%) and health motivation(19.9%) of the osteoporosis health belief explained the 32.7% of variance in calcium intake behavior. Conclusion: Nursing intervention should be developed for increasing the calcium intake behavior through promoting health motivation for the postmenopausal osteoporosis women having no spouse currently.

  • PDF

폐경후 우리나라 여성의 영양 섭취 상태가 골다공증 발병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Nutrients Intakes on Development of Osteoporosis in Korean Postmenopausal Women)

  • 이호선;백인경;홍은실
    • 대한영양사협회학술지
    • /
    • 제2권1호
    • /
    • pp.38-48
    • /
    • 1996
  • The relationship of nutrients intake and bone mineral density (BMD) was investigated in 285 Korean postmenopausal women (age 40-70 y) consisted of 65 normal women and 159 osteopenia patients who don't have other diagnosed disease. BMD was measured at the spine (vertebrae L2-4) and femur (neck, Ward's triangle and trochanter). Height, weight, body mass index(BMI), lean body mass(LBM), body fat(Bfat) and dietary intakes of animal calcium(animal Ca), protein and phosphorus per 1,000kcaI intake were correlated with BMD of the spine and the femur positively(p<0.05). Women with an animal calcium intake < 315mg/d (mean % animal Ca/total Ca intake > 50%) exhibited significantly lower BMD of the spine and Ward's triangle than that of women with an intake > 315mg/d, p<0.OS. When subjects were grouped by diagnosis into 3 groups (normal, osteopenia and osteoporosis group), animal Ca intake of osteoporosis group (mean animal Ca intake 261mg)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the other two groups (mean animal Ca intake 306mg and 297mg, respectively), p < 0.05. These results suggest that balanced nutrients intake and increased animal Ca in the diet is likely to be beneficial in reducing bone loss in postmenopausal women.

  • PDF

말기 암성통증 환자의 통증제거를 위한 지속적 뇌실내 몰핀 주입 (Continuous Intraventricular Morphine Infusion for Control of Pain in Terminal Cancer Patients)

  • 김철호
    • The Korean Journal of Pain
    • /
    • 제5권1호
    • /
    • pp.69-75
    • /
    • 1992
  • The author experienced of four patients with intractable pain who were treated by continuous intraventricular infusion of morphine through an implanted port system. One suffered from tongue cancer and the others from bone metastasis or distant metatasis of abdominal cancer which were ineffectively to managed through an epidural route. Our experience is that this is a safe and effective method of pain management in patients with head and neck cancer. It is useful as well in patients who have intractable pain that cannot be managed through an intrathecal or epidural route.

  • PDF

폐경 전 성인여성의 골밀도 영향 요인 -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 (The Bone Mineral Density Impact Factors of Adult Women before the Menopause - based on the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

  • 김경희;이정희;여진동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9권3호
    • /
    • pp.147-168
    • /
    • 2015
  • 본 연구는 폐경 전 성인여성의 일반적 특성, 생활습관, 식습관, 여성건강행태 및 신체조성에 따른 대퇴골전체, 대퇴골경부 및 요추의 골밀도 차이가 존재 하는지 규명하여 골밀도의 영향요인을 분석하였다. 연구는 제4기(2008년~2009년), 제5기(2010년~2011년)에 실시한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30세 이상 폐경 전 성인여성 3820명을 대상으로 실시되었으며 이 결과는 폐경 전 성인여성에서 골밀도 영향요인이 무엇인지 규명하여 치료하는데 필요한 권고사항이나 지침을 마련하고, 젊은 성인여성의 골밀도를 올바르게 평가하여 폐경 후 골다공증 예방을 위한 보건교육 자료의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폐경 전 성인여성의 일반적 특성 중 연령은 대퇴골전체에서 40~44세, 요추에서 35~39세에 골밀도가 높았다. 교육수준은 고졸에서 골밀도가 높았고, 여성건강행태 중 초경연령이 낮을수록 골밀도가 높았다. 생활 습관은 흡연경험이 없고 걷는 시간 및 운동 빈도가 규칙적일수록 골밀도가 높았고, 식습관은 햄버거와 피자 섭취를 하지 않을 경우 골밀도가 높았다. 신체조성 중 비만유병여부는 비만일 때 골밀도가 높았고 저체중일 때 골밀도가 낮았다. 복부비만 및 체중조절경험이 있는 사람이 골밀도가 높았다. 총체지방률, 총지방량 및 총근육량은 제1사 분위(Q1)에서 제4사 분위(Q4)로 갈수록 골밀도가 높게 나타났다. 이 연구에서는 비만유병여부, 총지방량 및 근육량이 골밀도 간에는 매우 유의적인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젊은 여성들은 골밀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자신의 체형에 맞는 적정한 체중을 유지해야하며 정상적인 BMI를 유지 할 필요가 있음을 알았다. 골다공증의 예방을 위해서는 성장기부터 규칙적인 운동과 금연 등의 올바른 생활습관과 젊은 시절부터 적절한 체중조절을 통해 최대 골질량에 도달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운동유무에 따른 양측 대퇴골 골밀도 차이에 관한 연구 (A Study of both Femurs Bone Densitometry's Difference for Exercise)

  • 장은주;김은혜;김호성;신상기
    • 핵의학기술
    • /
    • 제13권1호
    • /
    • pp.73-76
    • /
    • 2009
  • 자주 사용하는 발에 상관없이 좌측 대퇴골밀도 측정만으로 골밀도 정보가 충분한지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발의 사용빈도가 운동과 관련이 있다는 가정하에 오른손잡이, 왼손잡이로 나누어 운동여부에 따른 양측 대퇴골밀도 차이에 관해 연구를 하였다. 2008년 7월부터 8월까지 본원건강증진센터를 내원한 30세 이상 70세 이하($51{\pm}6.7$세)의 수검자 229 명(여성 146명, 남성 83명)을 대상으로 자주 사용하는 손과 평상시 운동여부를 설문지 방식으로 조사하였고, 검사는 DXA (Dual energy X-ray absorptiometry) 방식 GE Lunar Prodigy advance장비를 이용해 양측 대퇴부위를 측정하였으며, 측정된 값의 평균을 구하여 차이를 비교해 SPSS 12.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운동여부를 고려하지 않고 양측 대퇴부위의 차이를 비교해 보았을 때 오른손잡이(n= 209)의 양측 대퇴골밀도 값의 차이는 neck (t=-0.15), total (t=-0.12), 왼손잡이(n=20)는 neck (t=-0.76), total (t=0.02)로 오른손잡이, 왼손잡이 모두 통계상양측의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운동을 한 집단으로 나누어 조사해 보니 오른손잡이(n=114)는 neck (t=0.56), total (t=0.65), 왼손잡이(n=13)는 neck (t=-0.13), total (t=-0.39)로 두 그룹 모두 통계상 양측의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운동을 안 한 집단의 양측 대퇴부위의 차이 조사해 보니 오른손잡이(n=95)는 neck (t=-0.80), total (t=-0.78), 왼손잡이(n=7)는 neck (t=0.25), total (t=-0.64)로 세 집단에서 모두가 오른손잡이, 왼손잡이 상관없이 좌우측의 대퇴골밀도의 값이 통계상으로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대인들은 운동량이 부족한 생활방식에 익숙해져 있기도 하지만 평소 운동을 규칙적으로 행하는 사람들도 많기 때문에 두 집단의 차이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였는데, 이들 모두 양측 대퇴골밀도의 차이는 오른손잡이, 왼손잡이냐에 상관없이 통계상 값의 의미 있는 차이는 없었다. 따라서 대퇴골밀도의 측정 시 자주 사용하는 손에 대한 위치나 운동여부에 상관없이 현재 방식대로 좌측 대퇴부를 측정하여 골밀도 검사를 실행하는 것이 옳을 것으로 생각된다. 다만 수술과 같은 특수한 경우에는 우측을 검사해야 할 것이다.

  • PDF

전방 정복술 및 경피적 후방 압박나사 내고정술을 이용한 전위성 거골 경부 골절의 치료 결과 (Clinical Outcomes of Anterior Open Reduction and Posterior Percutaneous Screw Fixation for Displaced Talar neck Fractures)

  • 박지강;김용민;최의성;손현철;조병기;차정권
    • 대한족부족관절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06-114
    • /
    • 2013
  • Purpose: Posteroanterior screw fixation is biomechanically stronger than anteroposterior screw fixation. However, there are few literature about the correlation between clinical results and more strength by posteroanterior fixation.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clinical outcomes of the accelerated rehabilitation following anterior open reduction and posterior percutaneous screw fixation for displaced talar neck fractures. Materials and Methods: Eighteen cases were followed up for more than 1 year after posteroanterior fixation using headless compression screw for talar neck fractures. The clinical evaluation was performed according to American Orthopaedic Foot and Ankle Society (AOFAS) score and Hawkins criteria. As radiographic evaluation, the degree of fracture displacement, period to union, and occurrence rate of complications such as avascular necrosis through MRI were measured. Results: The AOFAS score was average 90.4 points at the last follow-up. There were 7 excellent, 9 good, and 2 fair results according to the Hawkins criteria. Therefore, 16 cases(88.8%) achieved satisfactory results. The degree of fracture displacement had improved significantly from preoperative average 5.6 mm to 1.2 mm immediate postoperatively, and maintained to 1.1mm at the last follow-up. All cases achieved bone union, and the period to union was average 12.4 weeks. There were 3 cases of avascular necrosis of talar body and 2 cases of post-traumatic arthritis. Conclusion: Anterior open reduction and posterior percutaneous headless screw fixation seems to be an effective surgical method for displaced talar neck fractures, because of the possibility of accurate restoration of articular surface, fixation strength enough to early rehabilitation, and needlessness of hardware removal.

지적장애와 일반인 남성의 장기간 체중부하운동 참여가 요추와 대퇴골경부 골밀도 및 신체구성에 미치는 융합적 효과 (The Converge Effects of Long-term Weight-bearing Exercise on Lumbar, Femur Neck BMD and Body Compositions in Perso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Normal Men)

  • 변재철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7권2호
    • /
    • pp.101-107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지적장애와 일반인 남성의 장기간 체중부하운동 참여가 요추와 대퇴골경부 골밀도 및 신체구성에 미치는 융합적인 효과를 규명하는 것이다. 이 연구의 대상자들은 총 19명이 참여하였고, 이들을 두 집단(지적장애=9명, 일반=10명)으로 구분하였다. 모든 피험자들은 체중부하운동으로 음악줄넘기 운동프로그램을 총 12주간, 일주일에 3일, 1일 60분 실시하였다. 통계적 유의성 검증을 위해서 이원분산분석 반복측정법을 이용하였으며, 모든 유의성 검증은 ${\alpha}$=.05 수준으로 설정하였다. 이 연구결과, 요추와 대퇴골경부 골밀도는 운동트레이닝 후 유의하게 증가하였다(각각, p<.01, p<.001). 또한 체중, 체지방율, 신체질량지수에서 12주간의 운동트레이닝 후에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이상의 결과들을 유추해 볼 때, 지적장애인과 일반인들에게 장기간의 음악줄넘기 운동프로그램은 요추와 대퇴의 골밀도 수준을 향상시키고, 신체구성성분을 긍정적으로 개선시키는 융합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악 전치부 잔존 유치와 매복 견치 발치 후 즉시 임플란트 식립: 증례 보고 (IMMEDIATE IMPLANT PLACEMENT AFTER EXTRACTION OF RETAINED DECIDUOUS TEETH AND IMPACTED CANINES: REPORT OF A CASE)

  • 유지연;김여갑;이백수;권용대;최병준;김영란;백진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31권4호
    • /
    • pp.330-333
    • /
    • 2009
  • 저자들은 본 증례의 경우 치근이 흡수된 전치와 매복 견치의 발치 후 심한 치조골의 흡수와 연조직의 변화가 예상되는 것을 고려하여 발치 후 즉시 임플란트 수술을 결정하였다. 초기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가능한 적은 골삭제, 보다 큰 직경과 치근형태의 임플란트를 선택하여 발치 후 즉시 임플란트를 식립하였고, 장골에서 채취한 망상골로 골결손부를 채우고 부가적으로 상순 지지를 위해 흡수성 차폐막과 순측 골면에 onlay형태의 골이식술을 시행하여 자연스럽고 심미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