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atural source

검색결과 2,087건 처리시간 0.035초

연근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Antioxidaive Activity of Lotus Root(Nelumbo nucifera G.) Extracts.)

  • 이재준;하진옥;이명렬
    • 생명과학회지
    • /
    • 제17권9호통권89호
    • /
    • pp.1237-1243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연근의 유용자원으로의 이용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연근 추출물을 제조하여 in vitro 에서 합성항산화제로 널리 알려진 BHT와의 비교 측정하기 위하여 연근 에탄올 추출물의 각 분획별 항산화력 활성을 검토하였다. 연근 분획물의 항산화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DPPH radical에 대한 자유기 소거능, Rancimat에 의한 항산화지수, 아질산염 소거능, 지질과산화물 생성 억제효과 등을 측정하였고, 총 polyphenol 함량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연근 에탄올 추출물의 수율은 9.14% 이었고, 연근 에탄올 추출물의 계통 분획한 수율은 n-butanol이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는 water, eth-ylacetate, chloroform, n-hexane 순이었다. 연근 에탄올 추출물의 총 polyphenol 함량은 0.306 mg/ml이었고, 각 분획물 중 ethylacetate 분획물이 0.843 mg/ml로 가장 많이 함유된 것으로 나타났다. DPPH radical에 대한 소거능을 측정한 결과 ethylacetate 분획물이 15.69 ${\mu}g/ ml$로 가장 강한 소거능을 나타내었으며, 합성항산화제 BHT의 15.38 ${\mu}g$/ml 와 유사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Rancimat의 지질 산패도 유도기간에 따른 항산화력 비교에서도, ethylacetate 분획물이 가장 길었으나 양성대조군인 BHT의 유도기간에 비하여 짧게 나타났다. 아질산염 소거능은 pH 1.2에서 가장 우수하였으며, pH 1.2에서 ethylacetate 분획물이 88.33%로 합성항산화제인 BHT와 비슷한 아질산염 소거능을 나타내었다. 지질과산화물 생성 억제효과도 ethylacetate 분획물이 87.23%로 가장 우수하였다. 전체적으로 연근 ethylacetate 분획물은 BHT와 유사한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다. 연근 추출물은 in vitro 항산화 실험에서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는 생리활성 성분이 존재하는 것으로 볼 수 있으므로 천연 항산화제로서의 가능성을 시사하였다.

동부로부터 sterol의 분리 동정 (Sterols from the Seed of Cowpea (Vigna sinensis K.))

  • 최은희;박희정;오청;정인식;김지영;백남인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3권2호
    • /
    • pp.77-81
    • /
    • 2010
  • 동부를 80% MeOH로 추출하고, 얻어진 추출물을 EtOAc, n-BuOH 및 $H_2O$로 용매 분획 하였다. 이 중 EtOAc과 n-BuOH 분획으로부터 silica gel과 octadecyl silica gel(ODS) column chromatography를 반복하여 4종의 sterol 화합물을 분리, 정제하였다. 각 화합물의 화학구조는 NMR, MS 및 IR 등의 spectrum data를 해석하여, stigmasterol(1a), $\beta$-sitosterol(1b), 7-ketositosterol(2) 및 stigmasterol 3-O-$\beta$-D-glucopyranoside(3)로 동정하였다. 화합물 1b, 2와 3은 동부에서 처음 분리되었다.

커스타드애플(Annona reticulata L.)씨 추출물과 그 분획물의 살충활성 (Insecticidal activity of the crude extract and its fractions of Custard apple (Annona reticulata L.))

  • 신숙현;최근형;최달순;권오경;임건재;박재읍;최병렬;김태완;김진효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3권1호
    • /
    • pp.21-24
    • /
    • 2010
  • 커스타드애플(Annona reticulata L.)씨 추출물 및 그의 분획물을 활용하여 복숭아혹진딧물 및 벼멸구를 대상으로 살충활성을 조사하였으며, 그 결과 아세톤/메탄올 조추출물 $3000\;{\mu}g/mL$에서 복숭아혹진딧물은 100%, 벼멸구에 대해서는 92%의 살충률을 나타내었다. 이들에 대한 $LD_{50}$는 각각 $446.3\;{\mu}g/mL$$1423.6\;{\mu}g/mL$로 복숭아혹진딧물이 추출물에 높은 감수성을 나타내었다. 이들의 핵산, 클로로포름, 물 분획물에 대한 분리정제물의 경우 클로로포름 분획물이 조추출물 분획물보다 약 3배 높은 살충능이 관찰되었으며, 이는 극성분배를 통해 살충성이 높은 물질군을 선별적으로 정제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특히 클로로포름 분획물에 대한 살충능의 경우 $137.2\;{\mu}g/mL$(복숭아혹진딧물), $1145.5\;{\mu}g/mL$(벼멸구)의 농도에서 $LD_{50}$가 관찰되었다.

The Nutritive Value of Mulberry Leaves (Morus alba) and Partial Replacement of Cotton Seed in Rations on the Performance of Growing Vietnamese Cattle

  • Vu, Chi Cuong;Verstegen, M.W.A.;Hendriks, W.H.;Pham, K.C.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4권9호
    • /
    • pp.1233-1242
    • /
    • 2011
  • The in vivo digestibility of mulberry leaves (Morus alba) and the effects of the partial replacement of cotton seed with fresh mulberry leaf in rations on the performance of growing Vietnamese cattle was investigated. For the in vivo digestibility trial, twenty castrated rams of Phanrang breed (a local prolific breed) with an initial weight of 23-25 kg, were first assigned to four groups according to weight and then randomly assigned to one of four dietary treatments to determine digestibility of nutrients in mulberry leaves (M. alba), natural Bermuda grass (Cynodon dactylon), elephant grass (Pennisetum purpureum) and buffalo grass (Panicum maximum cv. TD 58). All forages were cut and chopped daily before being offered (at 120% maintenance) to the sheep. In the feeding trial, 20 Laisind (Vietnam yellow cows${\times}$Red Sindhy bulls) crossbred bulls averaged 18 month old and 184 kg were us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artial replacement of cottonseed in the diet by mulberry leaves on live weight gain and feed conversion rate. The experiment was a randomized complete block design with four levels of fresh mulberry leaves which varied from 0 to 15% of total dietary dry mater and five animals per treatment over an 84 day period. The in vivo digestion trial showed the superior quality of mulberry leaves compared with the grasses. Chemical analysis indicated that mulberry leaves had the highest CP and the lowest NDF contents (22.3 and 31.1% DM, respectively) among the four forages tested. Digestibility of DM and OM of the mulberry leaf (66.4 and 71.8%, respectively) was also the highest but that of CP (58.2%) and NDF (58.4%) was the lowest of the four forages evaluated (p<0.05). Consequently, the ME value and therefore net energy (NE) and unit feed for lactation (UFL) values of the mulberry leaves, which was estimated from chemical composition and digestibility values, were the highest among the forages investigated in the present study. Results of the feeding trial showed no treatment effect on average daily gain (ADG) of the cattle. The values were 554, 583, 565 and 568 g/d for animals in the diets of 0, 5, 10, and 15% mulberry leaves inclusion, respectively. Total DM intake of the animal was not affected by the treatment when expressed as kg/animal/d. However, when adjusted for metabolic weight of the animal the DM intake was reduced (p<0.05) as whole cottonseed was replaced by mulberry leaves in the ration. When the level of mulberry leaves in the ration increased from 5 to 15% of dietary DM at the expense of whole cottonseed, CP and ME intakes of the cattle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p<0.05) and the feed to gain ratio reduced by 8 to 14% as compared with the control diet (p<0.05). Mulberry leaf is a good feed ingredient for ruminants because of its high level of crude protein and high digestibility of nutrients and energy. Mulberry leaves can be efficiently used as a source of protein supplement to replace cottonseed, a more expensive animal feeds ingredient, in the diet for Vietnamese cattle.

더덕껍질의 일반성분 분석과 항산화 활성 (Analysis of Chemical Composition and Antioxidant Activity of Codonopsis lanceolata Skin)

  • 김나영;채현석;이인숙;김동수;서강태;박성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9권11호
    • /
    • pp.1627-1633
    • /
    • 2010
  • 본 연구는 더덕껍질의 기능성식품 및 화장품 소재로서의 이용가능성을 조사하기 위해서 더덕껍질의 영양성분 분석을 통한 식품영양학적 접근, 생리활성 기능을 기대할 수 있는 관련 물질 함량을 분석하였다. 식품영양학적 접근에서의 더덕껍질의 일반성분은 건량기준으로 탄수화물 24.74%, 조단백질 2.73%, 조지방 2.96% 및 조회분 4.84%이었고 더덕껍질 100 g의 함유 열량은 266.00 kcal로 분석되었으며, 총 식이섬유소 함량은 건량기준으로 64.73%로 나타났다. 또한, 필수아미노산과 비필수아미노산 함량은 각각 633.40과 870.72 mg/100 g wet weight basis이었고, 무기질 중 칼륨의 함유량이 가장 높았고 그 다음이 칼슘, 마그네슘, 인순으로 나타나 알칼리성 재료임을 알 수 있었으며, 지방산 함량의 경우 불포화지방산의 함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유리당의 경우 fructose의 함량이 전체 유리당의 약 72%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덕껍질 물추출물의 총 페놀화합물 함량은 $24.65\;{\mu}g/g$,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6.19\;{\mu}g/g$으로 분석되었으며, DPPH 소거 활성을 농도별로 측정하여 비교 한 결과 $500\;{\mu}g/mL$ 농도에서 79.30%로 높은 활성을 보였다. 또한, 환원력의 경우에는 더덕껍질 추출물이 25 mg/mL의 농도에서 3.5로 높은 환원력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더덕껍질 물추출물은 항산화능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더덕껍질을 식품 내 첨가물로서, 혹은 다른 약용으로의 활용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개두릅의 함유성분 분석과 항산화 활성 (Component Analysi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Kalopanax pictus Leaf)

  • 신언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9권11호
    • /
    • pp.1634-1639
    • /
    • 2010
  • 개두릅의 일반성분 및 아미노산, 무기질, 지방산 함량과 항산화 효과에 대해서 조사하였다. 식품영양학적 접근에서의 개두릅의 일반성분은 건량기준으로 당질 41.42%, 조단백질 45.23%, 조지방 3.29% 및 조회분 10.07%이었고 개두릅 100 g의 함유 열량은 401.52 kcal로 분석되었으며, 총 식이섬 유소 함량은 건량기준으로 30.37%이었고 수용성 및 불용성 식이섬유소 함량은 각각 9.16%, 21.21%로 나타났다. 또한, 총 18종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되었으며 필수아미노산과 비필수아미노산 함량은 각각 10.51 g, 17.69 g이었고, 무기질 중 칼륨의 함유량이 가장 높았고 그 다음이 인, 칼슘, 마그네슘 순으로 나타나 알칼리성 재료임을 알 수 있었으며, 지방산 함량의 경우 총 포화지방산 1.56 g, 단일불포화지방산 0.11 g 및 다가불포화지방산 1.84 g로 구성되어 있었다. 개두릅 70% 에탄올, 헥산,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과 물 추출물에서 DPPH 라디칼 소거능의 항산화 효과 결과 는 $RC_{50}$값이 247.3, 120.7, 107.3, 105.7, 110.1, $491.9\;{\mu}g$으로 나타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에서 가장 높은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었다.

철 석출장치가 결합된 무산소.호기공정에 의한 인 제거 특성 (Phosphorus Removal (Characteristics by Anoxic Oxic Process) by Anoxic and Oxic Processed Combined with Iron Electrolysis)

  • 김민호;김영규;김수복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36권6호
    • /
    • pp.502-509
    • /
    • 2010
  • In this study, the (phosphorous removal) the characteristics of phosphorous removal due to (the iron compound precipitated) iron compound precipitation by iron electrolysis in (the anoxic. oxic process) anoxic and oxic processes (equipped with the) in an iron precipitation device were analyzed. During the device operation period, the average concentration of BOD, T-N, and T-P were 219.9 mg/l, 54.6 mg/l and 6.71 mg/l, respectively. The BOD/$COD_{Cr}$ ratio was 0.74, and the BOD/T-N and BOD/T-P ratios were 4.0 and 32.8, respectively. The removal rate of (the organic matters) organic matter (BOD and $COD_{Cr}$) was very high at 91.6% or higher, and that of nitrogen was 80.5%. The phosphorous concentration (of the final) in the treated water was 0.43 mg/l (0.05-0.74 mg/l) on average, and the removal efficiency was high at 90.8%. The soluble T-P concentrations in (an) the anoxic reactor, oxic reactor (II) and final treated water were 1.99 mg/l, 0.79 mg/l and 0.43 mg/l, respectively, which indicated that the phosphorous concentration in the treated water was very low. Regardless of the changes in the concentrations of (organic matters) organic matter, nitrogen and phosphorous in the influent, the quality of the treated water was relatively stable and high. The removal rate of T-P somewhat increased with the increase in the F/M ratio in the influent, and it also linearly increased in proportion to the T-P loading rate in the influent. In the treatment process used in this study, phosphorous was removed (using) by the precipitated iron oxide. Therefore, the consumption of organic (matters) matter for biological phosphorus removal was minimized and (most of the organic matters were) was mostly used as the organic carbon source for the denitrification in the anoxic reactor. This (can be an economic) treatment process (without the need for the supply of additional organic matters) is economic and does not require the supply of additional organic matter.

음나무(Kalopanax septemlobus Koidz.) 잎 추출물의 폴리페놀 및 항산화효과 (Polyphenol and Anti-oxidant Effects of Kalopanax septemlobus Koidz. Leaf Extracts)

  • 전동하;이진태;천순주;이창언;김태훈;이도형;한진규;김세현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343-348
    • /
    • 2009
  • 음나무 잎 추출물의 생리활성을 분석하기 위해 열수추출물과 70% EtOH 추출물의 폴리페놀의 함량을 측정하였으며, 항산화활성 분석을 위해 전자공여능, nitric oxide radical 저해활성, xanthine oxidase 저해활성, ABTS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을 측정하였다. 폴리페놀의 총 함량은 열수추출물과 70% EtOH 추출물에서 각각 104 mg/L, 125 mg/L으로 정량되어 70% EtOH 추출물이 열수추출 물에 비해 높은 함량을 보였다. DPPH radical 소거능은 70% EtOH 추출물이 1,000 ppm에서 93.1%로 나타나 같은 농도의 BHA와 유사한 소거능을 보였다. nitric oxide radical 저해활성은 70% EtOH 추출물과 열수추출물이 1,000 ppm에서 49.6%, 49.5%로 나타나 같은 농도의 BHA보다 높은 nitrit oxide radical 저해활성을 보였다. Xanthine oxidase 저해활성은 1,000 ppm농도에서 열수 추출물과 70% EtOH 추출물에서 각각 46.6%, 60.4% 활성을 나타내었다. ABTS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활성은 1,000 ppm에서 열수추출물이 92.7%, 70% EtOH 추출물이 91.4%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음나무 잎의 70% EtOH 추출물과 열수추출물 모두 많은 폴리페놀이 함유되어 있으며, 70% EtOH 추출물과 열수추출물 모두 합성항산화제에 비해 항산화 활성이 다소 낮지만 천연 항 산화제로 우수한 항산화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음나무 잎의 강한 항산화능을 피부노화 예방관련 미용식품 및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 활용 가능한 유용한 수종으로 개발 될 수 있을 것이다.

우렁쉥이 껍질성분의 이용에 관한 연구 -2. 무지개송어 육색 개선을 위한 우렁쉥이 껍질 추출물의 최적 첨가량- (Utilization of Ascidian(Halocynthia roretzi) Tunic -2. Optimum Level of Carotenoid Extracts from Ascidian Tunic for the Pigmentation of Rainbow Trout, Oncorhynchus mykiss-)

  • 이강호;강석중;최병대;최영준;염말구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240-246
    • /
    • 1994
  • 우렁쉥이 껍질 색소추출물을 이용한 무지개송어 체색 및 육색 침착효과를 검정하기 위하여 농도별, 기간별 급이실험을 하였다. 1. 체색의 개선효과는 사료급이 4주까지는 대조구와 비슷하였으나 6주후부터는 색소추출물 4(1,600ppm), 5구(3,200ppm) 및 pink구에서 효과가 나타났다. 명도(L)는 급이기간에 따라 감소하였으며 배측부위가 꼬리부위보다 약간 높았고, 적색도(a)는 8주후 꼬리부위가 배측부위보다 높아 색소추출물 4, 5구 및 pink구가 각각 4.7, 5.1, 5.9로 나타났다. 황색도(b)의 경우 배측부위는 감소하는 경향이었으나, 꼬리부위는 색소추출물 4, 5구 및 pink구는 증가하였지만 다른 구들은 변화가 적었다. 2. 육색의 개선효과는 체색의 개선효과보다 낮았으나 8주후에는 배측부위에서의 적색도(a)는 색소추출물 4, 5구 및 pink구가 각각 4.3, 4.6, 5.1로, 꼬리부위에서는 각각 4.7, 5.0, 5.4로 나타났다. 명도(L)는 색소추출물구가 증가한 반면 pink구는 거의 비슷하였다. 황색도(b)도 색소추출물구가 높아 전체적인 육색은 색소추출물구가 pink구보다 밝은 색을 띠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우렁쉥이 껍질 색소 추출물의 적정 투여량은 1,600ppm이상, 투여기간은 8주 이상이 되어야 할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웹기반 계산화학 실습교육 지원시스템 개발 (Web-based Practice Education Supporting System for Computational Chemistry)

  • 안부영;이종숙;조금원
    • 한국실천공학교육학회논문지
    • /
    • 제3권2호
    • /
    • pp.18-26
    • /
    • 2011
  • 계산화학이란 컴퓨터를 이용한 계산을 통하여 이론 화학의 문제를 다루는 화학의 한 분야로 화학실험실을 컴퓨터로 옮겨 놓은 것이라고 말할 수 있다. 컴퓨터 처리 능력이 향상됨에 따라 거대 분자 구조의 복잡한 계산과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여야 하는 계산화학분야에서의 고성능 컴퓨터 활용은 매우 중요하다. 분자 구조 계산과 시뮬레이션 등의 작업을 위하여 고성능 컴퓨터를 이용하려면 Unix 명령어와 콘솔을 활용하여야 하는데 화학과목을 배우는 이공계 학생들 대부분은 컴퓨터 비전공자로서 Unix에 관하여 모르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래서 Unix 명령어를 모르더라도 계산화학 실습이 가능한 웹 기반 계산화학 실습 교육 지원 시스템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 개발한 웹 기반 계산화학 실습 교육 지원 시스템(e-Chem)은 다른 웹 포털 플랫폼보다 표준 지향적이고 콘텐츠 관리 및 협업 기능이 뛰어난 자바 오픈소스인 Liferay 포털 플랫폼을 활용하여 개발하였다. 본 시스템을 활용하면 컴퓨터 비전공자들도 쉽게 계산화학 실습 수업에 참여할 수 있고, Unix 명령어 등을 배우는 시간을 절약할 수 있으며, 친숙한 웹 인터페이스로 학습 효과도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