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atural recreation forests

검색결과 41건 처리시간 0.018초

개발주체별 자연휴양림 시설물의 차이 (Differences in Facilities of Natural Recreation Forests Developed by Public and Private Bodies)

  • 장병문;서정희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39-52
    • /
    • 2000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in facilities of natural recreation forests developed by public and private body to answer the research that what is the difference in development of natural recreation forest between public and private developer\ulcorner After reviewing the literatures, developer's decision-making and motivation of investment, and the planning process of natural recreation forest, we had constructed th conceptual framework and have found the hypothesis of this research. Using data on development status of natural recreation forests and questionnaire surveying of 625 visitors from 9 among 72 natural recreation forests in Korea, We analyzed the data through the comparison of quantity of facilities per 1000 visitors and logistic regression method for quality of facilities. We have found that 1) the six facilities have been turned out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determining the difference of public and private recreation forests. i.e., infrastructure including roads, maintenance and information and lodging and evacuation, indoor education, outdoor education, and shopping, 2) public recreation forests are well equipped such basic facility as roads, maintenance and information, lodging and evacuation while private recreation forests are well equipped such facility as indoor education, outdoor education, and shopping, and 3) the importance of such facility as roads, maintenance and information, lodging and evacuation, outdoor education, and shopping have been turned out to have 1.99, 2.26, 1.99, 3.01 and 2.24 times more important than that of indoor education, respectively. We can conclude that public recreation forest seems to be equipped with the facilities for sound recreational opportunities for general public, and private recreation forest turned out to have more facilities for pursuit of profits, installed basic facilities for user convenience and service, and special facilities for attracting user and raising revenue. Using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we can make a guideline for a market positioning, and standards and provisions of natural recreation forests. We suggest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user-satisfaction and recreation facility is needed to be examined in the future research.

  • PDF

휴양 적합성에 영향을 미치는 자연휴양림의 자원특성 (Resource Characteristics Affecting Recreation Suitability of Natural Recreation Forest)

  • 장병문;서정희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13-22
    • /
    • 1999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resource characteristics affecting the overall recreation suitability of natural recreation forest. On the basis of resource-based approach, we had constructed a conceptual framework for this research and found one dependent variable of the overall recreation suitability and eight independent variables, representing characteristics of recreation resource. After questionnaire surveying of 690 visitors from 10 among 72 natural recreation forests in Korea. We have analyzed the data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linear regression method. We have found that 1) physical factor of recreation resources turned out to be statistically insignificant and the direction of relationship between independent variable and dependent variable is the same as that of dependent variable, 2) noise, sound and smell turned out to be the most important variable in terms of magnitude of independent variable and wild life turned out to be the next important variable, and 3) noise, sound and smell turned out to have aboutn 3.3 times greater thant that of landscape, judging from the absolute value of standardized regression coefficient. The research findings can be used for planning and designing of natural recreation forests based on recreation suitability of forest resources, and will provide pertinent guidelines for management of recreation resources of natural recreation forests. The approach and method of evaluating recreation suitability employed in this research provide us valid and reliable results and will be highly useful in other resource-based recreation development. We suggest that the differences in recreation suitability between private and public recreation forest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user-satisfaction and recreation suitability of natural recreation forests must be examined in the future research.

  • PDF

군집분석을 통한 전국 자연휴양림 유형분류 (Classification of Recreation Forests through Cluster Analysis)

  • 이기철;강기래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9-17
    • /
    • 2009
  • 자연휴양림이 도입된지 20년이 지나는 동안 휴양림마다의 특징성이 부각되어 각각의 휴양림이 가진 개성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자연휴양림의 유형에 대한 분류가 거의 없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자연휴양림의 공급적 측면과 이용적 측면을 고려한 유형분류를 실시하여 유형에 따른 효율적인 자연휴양림 운영관리 또는 자연휴양림에 관한 연구 시 연구지 선정의 기초 자료로서의 제공에 그 목적이 있다. 자연휴양림 유형분류를 위한 방법으로는 자연휴양림 유형분류를 위한 최적의 변수로 생각되는 항목들을 선정하기 위한 전문가 설문을 실시하여 전국 자연휴양림을 대상으로 현황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공통성 추출을 위한 요인분석 결과, 4개 요인으로 구분되어 각각의 명명을 변수의 속성과 크기에 따라 이용실적 지표요인, 교육적 지표요인, 내부 활동적 지표요인, 수용 잠재적 지표요인으로 명명하였다. 그리고 추출된 요인점수를 통하여 $85{\times}4$행렬의 군집분석을 시도하였다. 그 결과 5개 군집으로 최종 유형이 분류되었다. 본 연구를 통한 결과는 유형별 휴양림 운영방안 및 관리의 기초자료로 제공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향후 자연휴양림의 조사지에 대한 선정 시 기초자료로 참고할 수도 있을 것이며, 또한 전국 자연휴양림의 유형을 제시함으로써 향후 휴양림 적지 선정에 있어서도 기초자료로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자연휴양림 이용자 만족이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 33개소 국유자연휴양림을 대상으로 (The Effects of Recreation Forest Visitors' Satisfaction on Loyalty : A Case of 33 National Natural Recreation Forests)

  • 전문장;심규원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9권8호
    • /
    • pp.961-969
    • /
    • 2010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analyze conceptional structure between visitor's satisfaction and loyalty in the national natural recreation forest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facility, natural resources and view, staff service of recreation forest had positive effect on visitor's satisfaction. Reservation system, accessibility, and usage fee of recreation forest was not related to visitor's satisfaction. In addition, visitor's satisfaction was found to have positive effect on visitor's loyalty such as revisiting intention and word of mouth. As a result, managers of recreation forest need to enhance visitor's satisfaction, to improve rate of revisiting intention and to incite word of mouth through building management strategy.

지역산업연관분석을 이용한 국립자연휴양림의 지역경제 파급효과 분석 (Estimating the Local Economic Impact of National Natural Recreation Forests Using Regional Input-Output Model)

  • 한상열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0권2호
    • /
    • pp.218-225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국립자연휴양림이 지역경제에 미치는 경제적 파급효과를 지역산업연관분석에 적용하여 자연휴양림의 조성 정책의 타당성을 확인할 수 있는 전략적 수단을 발굴하고자 시도되었다. 지역산업연관분석은 한국은행(2009)에서 발표된 지역산업연관표를 활용하여 자연휴양림의 생산, 소득, 부가가치, 고용파급의 승수효과 분석을 통하여 지역내(內)와 지역외(外) 경제적 유발효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하나의 국립자연휴양림이 지역에 미치는 경제적 파급효과는 지역내(內)에서 연간 생산파급은 3,380백만원, 소득파급 328백만원, 부가가치파급은 1,017백만원, 고용파급은 22명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지역외(外)에 미치는 연간 생산파급은 687백만원, 소득파급은 85백만원, 부가가치파급은 245백만원, 고용파급은 6명인 것으로 나타났다.

CVM을 활용한 충북지역 자연휴양림의 보전가치 추정연구 (Estimating the Conservation Value of Recreation Forests in Chungbuk through CVM)

  • 강기래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9권6호
    • /
    • pp.900-907
    • /
    • 2010
  • 자연휴양림은 개인의 자아개발과 자연에 대한 교육, 숲 속에서의 심신의 휴양공간을 방문객에게 제공하는 공익적 시설중의 하나다. 이러한 방문객이 누리는 휴양의 가치는 단순히 방문비용만으로 그 가치를 추정하기 곤란하다. 이러한 환경재, 또는 비시장재의 가치를 측정하기 위해 많이 적용되어진 기법 중의 하나가 조건부가치측정법 또는 가상적 가치추정법이라고 불리는 CVM 이다. 모집단으로 설정한 충북지역 12개소 자연휴양림 중 6개소를 조사 대상지로 선정하여 경제학적인 접근법으로 측정한 충북지역의 일인당 연간 휴양의 가치는 약 14,000원에서부터 약 16,500원 사이로 추정하였다. 그리고 연간이용객을 적용한 충북지역 자연휴양림 1개소의 휴양가치는 약 12억 원에서 약 13억 원, 충북지역 전체 자연휴양림이 제공하는 휴양의 가치는 연간 약 150억 원에서 약 169억 원으로 추정하였다.

도시휴양림의 포지셔닝 검토를 통한 적정시설기준 탐색 (A Study on the Facility Regulations of Urban Recreation Forest by the Positioning Concept)

  • 김태진;홍윤순;안승홍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1-9
    • /
    • 2004
  • This study is focused on finding out the character of urban recreation forest and investigating facilities regulations of forest resources around urban areas to meet future recreation needs. The method of this study is to compare urban recreation forests with similar facilities like urban parks and natural recreation forests. By this way, this study not only identifies the characteristics of urban recreation forest as emerging recreational facility, but also outputs regulations that can be adapted to real environment. Urban recreation forest is defined as follows: It has forest with good natural landscape and easy access. It makes emotion rich and its function is focused on outdoor recreation nature education, and experiences for family group mainly within a day or on weekends.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minimal area of urban recreation forest should be over 100,000$m^2$, with a facility ratio less than 20%. Building coverage should be less than 7% when the urban recreation forest is under 300,000$m^2$, less than 5% when 300,000∼500,000$m^2$, and less than 3% when over 500,000$m^2$ The limits of building height is 3 stories, or under 12m. This study finds out the character, the needs of urban recreation and the criterion for project feasibility. significance of the result is supplying theoretical basement on related regulation. Based on the results, further study will establish landscape management method and legislation & application in a detailed examination.

자연휴양림 경영효율성에 대한 영향 요인 분석 (Analysis of the Factors Influencing the Efficiency of Natural Recreation Forest Management)

  • 변승연;유도일;구자춘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13권2호
    • /
    • pp.153-163
    • /
    • 2024
  • 코로나19 발병 이후, 다양한 분야에서 국민의 생활 방식과 패턴이 변화하였으며, 질병에 대한 우려는 특히 여가생활의 방식을 바꾸는 주요한 계기가 되었다. 밀집도가 낮고, 밀폐되지 않은 공간을 선호함에 따라 자연휴양림, 바닷가, 공원 등 자연으로의 여행이 증가하고 있지만, 전염병 확산에 따른 감염자 폭증 시기에 사회적 거리두기 확산으로 모든 자연휴양림의 이용객 수가 급감하였고, 적자폭은 더 크게 상승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경영상태가 악화된 국립, 공립, 사립 자연휴양림의 코로나19 발병 시기 전, 후 경영 효율성 및 생산성에 대해 비모수적 방법인 자료포락분석과 맘퀴스트 생산성 지수를 이용하여 비교·분석하였다. 이를 토대로 효율성 및 생산성 저하 요인을 찾아내고, 운영주체별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기존에 수행되지 않았던 전국 자연휴양림을 대상으로 경영 효율성 및 생산성 분석을 했다는 점에서 차별성 및 의의가 있다.

자연휴양림 유형별 적정입지선정 평가모형 개발 및 적용 (Evaluation Model Building and Application for Suitable Locations Reflecting Recreation Forest Types)

  • 김현식;황희연;반영운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9권1호
    • /
    • pp.111-124
    • /
    • 2010
  • 본 연구는 자연휴양림 유형별 적정입지선정 평가모형을 개발하고, 그 모형을 자연휴양림 예정지에 적용하여 활용 가능성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델파이 전문가 설문조사와 계층화분석법(AHP)을 이용한 평가준거의 선정, 자연휴양림 유형화 및 유형별 적정입지선정 평가모형 개발, 모형적용 단계의 순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먼저, 자연휴양림 유형화 및 적정입지선정을 위한 평가준거(Criteria)를 구안하고, 2차에 걸친 델파이조사에 의한 타당화 과정을 거쳐 2개 평가영역(Categories) - 6개 평가항목(Items) - 12개 평가지표(Indicators)의 위계를 가진 평가준거를 선정하였다. 제3차 델파이조사에서는 계층화분석과정(AHP)을 통하여 자연휴양림 유형화를 위한 평가준거의 가중치를 산정하고, 2개의 평가영역(자원성과 이용성)을 중첩하여 자연휴양림을 4개의 유형으로 구분할 것을 제안하였다. 이어 제4차 델파이조사의 계층화분석과정(AHP)을 거쳐 산정한 유형별 평가준거의 가중치를 활용하여 자연휴양림 유형별 적정입지선정 평가모형을 개발하고 자연휴양림 입지예정지에 적용하였다. 적용 결과 휴양림 이용성은 수도권과의 거리에 의해 가장 크게 영향을 받으며, 휴양림의 입지가 수도권에서 가까울수록 유리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유형별로 자연휴양림을 지정할 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휴양림(休養林) 개발(開發)에 대한 지역주민(地域住民) 태도(態度) 분석(分析) (Residents' Attitudes toward Recreation Forest Development)

  • 송형섭;김세천;전경수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7권3호
    • /
    • pp.415-421
    • /
    • 1998
  • 본 연구는 휴양림 개발에 따른 개발 인접 지역의 주민 태도를 알아보기 위해 수행하였다. 기존 관광 영향 연구 문헌을 참조하여 20개 주민 태도 항목을 선발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2개의 휴양림지역이 선정되었다. 1995년 휴양림 지역 인근에 거주하고 있는 204명의 지역 주민을 대상으로 직접방문조사가 실시되었다. 응답은 5 point 척도를 이용하였다. 주민 태도 분석결과 대부분의 응답자들은 현 휴양림 개발에 대해 경제적 혜택이 적고 지역 환경에 피해를 주고 있다는 부정적 시각을 갖고 있었다. 지각 태도는 응답자들의 사회 경제적 특성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특히 휴양림 방문객으로부터의 수입 여부와 거주기간 정도에 따른 유의적 차이가 현저하였다. 본 연구결과 휴양림 개발지역은 정부가 의도하고 있는 긍정적 측면이 지각되지 못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었다. 현재 및 계획된 휴양림 개발 효과에 대한 지역 영향 연구가 수행될 필요가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