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sidents' Attitudes toward Recreation Forest Development

휴양림(休養林) 개발(開發)에 대한 지역주민(地域住民) 태도(態度) 분석(分析)

  • Song, Hyung Sop (Dept. of Forest Resources,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 Kim, Sei-Cheon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 Jeon, Kyung-Soo (College of Life and Natural Resources, Wonkwang University)
  • 송형섭 (충남대학교 산림자원학과) ;
  • 김세천 (전북대학교 조경학과) ;
  • 전경수 (원광대학교 생명자원과학대학)
  • Received : 1998.05.11
  • Published : 1998.09.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scertain the local residents' attitudes toward adjacent recreation forest development sites. 20 items of residents' attitudes were designed from previous tourism impact studies. For this study, two recreation forest areas were selected. In 1995, a total of two-hundred and four local residents were interviewed in their villages near the two recreation forests. A 5-point Scale was used to record the answers. Most respondents were concerned about two negative impacts of the recreation forests development : small economic gains for the residents and damage to the local environmen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certain socioeconamic characteristics of the respondents. Speci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identified between the variables of income or non-income from visitors and residence length. Results indicate that recreation forests development may not be perceived as positive as hoped by the government. Further research needs to be conducted on the impacts of present and projected recreation forest development at the local level.

본 연구는 휴양림 개발에 따른 개발 인접 지역의 주민 태도를 알아보기 위해 수행하였다. 기존 관광 영향 연구 문헌을 참조하여 20개 주민 태도 항목을 선발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2개의 휴양림지역이 선정되었다. 1995년 휴양림 지역 인근에 거주하고 있는 204명의 지역 주민을 대상으로 직접방문조사가 실시되었다. 응답은 5 point 척도를 이용하였다. 주민 태도 분석결과 대부분의 응답자들은 현 휴양림 개발에 대해 경제적 혜택이 적고 지역 환경에 피해를 주고 있다는 부정적 시각을 갖고 있었다. 지각 태도는 응답자들의 사회 경제적 특성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특히 휴양림 방문객으로부터의 수입 여부와 거주기간 정도에 따른 유의적 차이가 현저하였다. 본 연구결과 휴양림 개발지역은 정부가 의도하고 있는 긍정적 측면이 지각되지 못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었다. 현재 및 계획된 휴양림 개발 효과에 대한 지역 영향 연구가 수행될 필요가 있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