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atural ingredient

검색결과 341건 처리시간 0.027초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 enhanced beef using winter mushroom juice

  • Choi, Yun-Sang;Jo, Kyung;Lee, Seonmin;Yong, Hae In;Jung, Samooel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62권3호
    • /
    • pp.396-408
    • /
    • 2020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quality properties of enhanced beef, manufactured by injecting the beef with a brine containing winter mushroom juice powder (WMJP). The enhanced beef was manufactured by injecting the eye of round with brine (15% by green weight). Four treatments consisted of control (no injection of brine) and three enhanced beef, EBS (brine containing 5 g sodium chloride per kg beef), EBW 0.2 (brine containing 5 g sodium chloride and 2 g WMJP per kg beef), and EBW 0.5 (brine containing 5 g sodium chloride and 5 g WMJP per kg beef), were tested. The effect of enhancement or WMJP on the quality properties of beef was evaluated during storage at 4℃ for 1, 5, and 10 days. Total aerobic bacteria counts between the control and the enhanced beef, and among EBS, EBW 0.2, and EBW 0.5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fter any storage period (p > 0.05). The pH of beef was not different between the control and the enhanced beef, and among enhanced beef at 1 and 5 days of storage (p > 0.05). However, it was higher in the enhanced beef than control, and EBW 0.2 and EBW 0.5 had higher pH than EBS after 10 days of storage (p < 0.05). The enhanced beef showed a high total loss at all storage days (p < 0.05).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total loss among enhanced beef after any storage period (p > 0.05). The enhanced beef had no consistent differences in L*, a*, and b* values with control during storage, however, EBW 0.5 showed high color stability. The hardness of the enhanced beef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the control after 10 days of storage, although the values were lower at all storage stages. EBS 0.5 had the lowest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 (TBARS) value among cooked beef of all treatments at all storage days. The enhanced beef received higher scores in all sensory properties than control, and no negative effect of WMJP was found in the sensory quality of the enhanced beef. The use of winter mushroom juice can result in quality improvement in enhanced beef.

동충하초 유래 cordycepin의 항암 활성 기전 최근 연구 동향 (Anti-cancer Properties and Relevant Mechanisms of Cordycepin, an Active Ingredient of the Insect Fungus Cordyceps spp.,)

  • 정진우;최영현
    • 생명과학회지
    • /
    • 제25권5호
    • /
    • pp.607-614
    • /
    • 2015
  • 암은 전 세계 사망률과 질병률의 가장 큰 원인이다. Cordycepin (3'-deoxyadenosine)은 동양의 전통의학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동충하초의 주요 기능성 구성요소이자 아데노신 유사체로 알려져 있다. 지난 10년간 cordycepin은 in vitro 및 in vivo 모델에서 면역활성 기능뿐 만 아니라 항염증, 항산화 및 항암 등 다양한 약리학적 특성을 가진다고 보고되어왔다. 최근 들어 많은 연구들은 cordycepin을 화학예방요법 작용제 측면에서 흥미로운 특성을 보고하였고, 실험적인 증거들에 의해 세포사멸 촉진, 세포주기 정지 유도, 세포 내 신호 전달 경로 조절, 암세포의 침윤 및 전이 억제를 통해 암의 증식을 지연시킨다고 보고되어 왔다. Cordycpin은 많은 암 세포에서 retinoblastoma protein (RB)의 인산화를 막고 cyclin-dependent kinases (Cdks) inhibitors를 활성화시켜 G2/M기의 진행을 막는 효력이 있음이 밝혀졌다. 또한, 세포 사멸을 유도하기 위해 세포 내/외부에 존재하는 경로를 활성화시켜 활성 산소종을 생성하고 하위에 존재하는 kinase cascade 반응을 개시한다. 아울러 cordycepin은 또 다른 세포 사멸인 autophagy와 같은 대체 경로를 활성화 시킬 수도 있으며, nuclear factor-kappa B 및 activated protein-1 신호 경로를 포함한 다양한 기전을 통하여 암세포 분리, 이주, 침윤 및 전이 또한 억제 할 수 있다. 본 총설에서는 cordycepin의 항암 작용 기전을 요약하고, 다양한 암 발생의 치료제로서 가능성을 논의하고자 한다.

오배자 추출물의 Acetylcholinesterase 저해 및 항산화 활성 평가 (Evaluation of Acetylcholinesterase Inhibitory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of Rhus javanica)

  • 배종섭;이현식;이하영;유병혁;김태완;김용한;김태훈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9권5호
    • /
    • pp.751-756
    • /
    • 2012
  • 건조 오배자를 80% MeOH로 침지 추출하여 얻어진 추출물에 대해 n-hexane, EtOAc 및n-BuOH로 순차 용매 분획하였고, 얻어진 결과물에 대하여 DPPH 및 $ABTS^+$ radical 소거능 및 AChE 저해활성을 평가하였다. DPPH 라디칼 소거능은 총 페놀성 화합물의 함량이 상대적으로 높은 EtOAc층에서 $IC_{50}$값이 $10.4{\pm}0.3mg/mL$으로 대조군인 (+)-catechin과 비교하였을 때 우수한 라디칼 소거능을 확인하였고, 오배자 추출물에 존재하는 총 페놀성 화합물의 함량과 라디칼 소거능과의 연관성을 시사하였다. 또한 $ABTS^+$ 라디칼 소거능은 EtOAc층이 $IC_{50}$값이 7.8 mg/mL 이하였고, n-BuOH층이 $IC_{50}=8.5{\pm}0.9mg/mL$으로 상대적으로 우수한 활성이 확인 되었으며, 이는 우수한 활성물질의 존재가 시사되었다. 또한, AChE 저해활성을 측정한 결과, 우수한 $ABTS^+$ 라디칼 소거능을 나타낸 EtOAc층의 $IC_{50}$은 각각 31.3 mg/mL 이하의 저해율을 나타내었으며 이는 대조군인 tacrine에 비해 다소 낮으나 분획물일 때의 활성임을 감안할 때 단일물질로 정제할 경우 더욱 우수한 효능의 화합물이 존재할 가능성을 시사하였다. 향후 이들 활성물질 동정을 통한 활성 기작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며 본 연구결과는 천연물유래의 우수한 라디칼 소거능 및 AChE 저해능을 가지는 새로운 선도화합물 발굴을 위한 기초자료로 이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오배자의 식물 화학적 성분연구에 대한 기초자료로 활용가능하리라 사료된다.

산수유를 포함한 복합추출물이 cimetidine으로 발기부전을 유도한 동물모델에서 성기능 개선 효과 (Effect of Complex Extract Including Cornus officinalis on the Cimetidine/Ethanol-induced Erectile Dysfunction Model in Rats)

  • 장지훈;김태묵;심미옥;노종현;정호경;이무진;이기호;안병관;조현우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09-116
    • /
    • 2018
  • 발기부전(erectile dysfunction, impotence)은 성교과정을 위한 음경이 딱딱하게 발기되지 않거나 유지하지 못하는 것을 말한다. 잦은 발기 부전은 심장 질환, 비만, 알코올 중독, 스트레스, 흡연 및 우울증을 비롯하여 치료가 필요한 건강상의 문제가 원인이 된다. 본 연구는 산수유(Cornus officinalis)를 포함한 복합 추출물이 발기부전 랫드모델에서 성기능과 관련된 인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발기부전 랫드모델은 Cimetidine/5% EtOH를 2주 동안 경구투여하여 유도한 후, 산수유 등 복합추출물을 각각 다른 농도로 경구투여하였다. 그 결과, 산수유 등 복합추출물 처리군(CPL-300, 600, 900 mg/kg)에서 성 기능 인자(NO, cGMP)가 대조군에 비해 유의성 있게 향상되었다. 또한 혈청 테스토스테론은 산수유 등 복합추출물 처리 후 용량 의존적으로 증가하였다. 더욱이, 산수유 등 복합추출물의 투여는 발기부전 랫드모델에서 전립선의 크기를 회복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결과를 종합하자면 산수유 등 복합추출물이 랫드모델에서 성기능 인자와 테스토스테론을 증가시킴으로써 발기부전을 완화시킨다는 것을 보여 주었고, 이는 산수유 등 복합추출물이 천연 추출물로 향 후 발기부전 치료에 사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하지만 산수유 복합추출물의 남성 성기능의 직접적인 연관관계, 유효성분과 그 메커니즘을 자세히 밝히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저산소 상태에서 우르솔산이 배아줄기세포 성장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Ursolic Acid on the Development of Mouse Embryonic Stem Cells under Hypoxia)

  • 한기연;박재홍;오건봉;이세중
    • 생명과학회지
    • /
    • 제23권10호
    • /
    • pp.1223-1229
    • /
    • 2013
  • 우르솔산(Ursolic acid)은 다양한 약재, 과일 그리고 야채 등으로 부터 분리되는 식물성 생리활성물질로서, 천연 항산화제로 널리 알려져 있지만, 배아줄기세포에서 우르솔산의 기능에 대한 연구는 아직까지 잘 이해되지 않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저산소 상태에서 우르솔산이 배아줄기세포의 성장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조사하였다. 48시간 동안의 저산소 환경은 배아줄기세포의 미분화상태 및 전능성을 유지에 있어서 영향을 미치지 않았지만, 세포 내 활성산소종의 지속적인 생산과 이로 인한 lactate dehydrogenase 활성을 촉진 시켰다. 저산소에 의해 유도된 배아줄기세포의 산화적 스트레스는 $30{\mu}M$의 우르솔산의 처리로 인해 유의적으로 감소되었으며, 이러한 우르솔산의 활성산소 소거능력은 항산화제인 N-acetyl-cysteine (NAC)의 효과와 유사하였다. 저산소 환경은 또한 유의적으로 배아줄기세포의 생존과 증식을 감소 시킬 뿐만 아니라, 세포의 자살 및 노화를 유도함이 관찰되었지만, 강한 항산화 능력을 지닌 우르솔산은 세포를 저산소로부터 보호하여 정상수준으로 세포의 생존과 증식을 유지시키고, 세포 자살 관련 단백질(cleaved caspase-3, Bcl-2, 그리고 cIAP) 및 세포 노화 관련 단백질(beta-galactosidase)을 조절하는 탁월한 약리학적 효과를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를 통해, 우르솔산은 강력한 천연 항산화제이며, 저산소에 의해 유도된 유해 기작을 제어함으로서, 배아줄기세포의 전능성을 유지시킬 수 있는 기능성 물질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구절초(Chrysanthemum zawadskii var. latilobum)에서 분리된 다당류의 대식세포 면역조절 활성 (Immuno-Modulatory Activities of Polysaccharides separated from Chrysanthemum zawadskii var. latilobum in Macrophage Cells)

  • 성낙윤;박우용;김이은;조은지;김미환;류기형;변의홍;박윤제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431-437
    • /
    • 2016
  • 본 연구는 전통약재로 주로 사용되는 구절초에서 분리한 다당류(CZPS)가 선천 및 적응면역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대식세포의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관찰하였다. 구절초에서 분리한 다당류를 마우스 유래 대식세포주인 RAW 264.7 cell에 처리하였을 때, iNOS의 발현을 조절하여 NO의 생성이 증가되었으며, 또한 면역활성 물질인 TNF-${\alpha}$, IL-$1{\beta}$ 및 IL-6 등의 cytokine의 분비능이 증가되었으며, 이러한 면역활성 매개자인 NO 및 cytokine의 증가의 원인에 관한 정확한 면역세포내 신호전달에 관하여 알아본 결과, CZPS 처리는 MAPKs(ERK, p38)의 인산화를 촉진시키며, 이로 인한 전사인자인 NF-${\kappa}B$의 인산화를 증가시켜, 대식세포의 활성화를 유도시키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여주 열매 추출물의 기능성화장품 소재 특성 (Functional Cosmetic Characteristics of Momordica charantia Fruit Extract)

  • 김현우;신혜진;황단비;이지은;정향리;김동욱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3권3호
    • /
    • pp.289-294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여주열매의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에서 기능성화장품소재로서의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여주열매의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은 유효성분으로 폴리페놀의 함량이 각각 $69.45{\pm}0.07mg/g$, $70.87{\pm}0.06mg/g$로 높은 농도를 나타내었다. 여주열매의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은 세포독성시험(MTT assay) 결과, $100{\sim}1,000{\mu}g/ml$ 범위의 농도에서 전혀 세포독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미백효과 시험결과 tyrosinase 억제능은 대조군인 arbutin 보다는 다소 낮았으나, DOPA 산화억제효과는 arbutin 보다 우수하였다. 주름개선 효과는 elastase 억제효과로 평가되었으며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은 대조군인 adenosine 보다는 다소 떨어졌으나 농도가 증가할수록 비슷한 수치를 보여주었다. 여주열매 추출물을 함유한 액제 및 로션제의 온도 안정성 시험결과, 액제는 28일 동안 pH, 점도, 외관의 변화가 안정적이었으나 로션 제형의 경우 점도의 변화가 심하여 제형의 보완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여주열매의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은 필요에 따라 미백 혹은 주름개선 기능성화장품소재로서 높은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미선나무 잎과 줄기의 성분 분석 및 안전성 평가 (Analysis on the Components and Safety Evaluation of Abeliophyllum distichum Nakai Leaves and Stems)

  • 권순복;강희주;김민정;김진희;신해식;김강성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234-244
    • /
    • 2014
  • Objectives: This study was carried out in order to analyze the composition of the leaves and stems of Abeliophyllum distichum Nakai, with the aim of obtaining basic data for utilizing the plant as a food ingredient, as well as for processing. Methods: Leaves and stems from Abeliophyllum distichum Nakai were harvested at Cheongcheon-myeon, Geosan-gun, Chungcheongbuk-do, and were subsequently freeze-dried and ground to a fine powder for chemical component analysis and safety evaluation. Results: The moisture contents of Abeliophyllum distichum Nakai leaves and stems were respectively 65.07% and 40.97%, and the crude ash contents were 1.32% and 0.91%. In addition, the crude protein contents were 11.97% and 3.77%, and the crude fat contents were 2.52% and 0.36%, respectively. The fructose and glucose contents were 32.13 mg/g and 56.17 mg/g for leaves, and 11.38 mg/g and 10.59 mg/g for stems. The major fatty acids of the leaves were palmitic acid (31.79%) and stearic acid (14.79%), and those for stems were linolenic acid (32.78%) and palmitic acid (26.75%). The ascorbic acid contents of leaves and stems were 1.32 mg/g and 0.30 mg/g respectively. The calcium content was found to be the highest among the minerals tested, both in the leaves and stems, with the levels being 166.17 mg/100 g for leaves and 592.34 mg/100 g for stems. The content of organic acid was greater in leaves than in stems, with that of malic acid accounting for more than 75% of total organic acids for both samples. The total phenolic compounds and flavonoid contents of Abeliophyllum distichum Nakai were 50.64 mg/g and 13.53 mg/g in leaves and 96.47 mg/g and 18.53 mg/g in stems, respectively. No changes were shown in the number of micronucleated polychromatic erythrocytes (MNPCE) among 2,000 polychromatic erythrocytes compared to the negative control. Abeliophyllum distichum Nakai was administered orally to rats in order to investigate acute toxicity. The $LD_{50}$ values in rats were above 2,000 mg/kg. Conclusio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leaves and stems of Abeliophyllum distichum Nakai can be used as natural ingredients in the development of nutritional and functional materials.

누정의 기능에 따른 누정시조의 특성 (The Characters of Pavilion Si-Jo According to its Function)

  • 남동걸
    • 한국시조학회지:시조학논총
    • /
    • 제20집
    • /
    • pp.75-96
    • /
    • 2004
  • 누정은 대체로 승경의 요처에 자리하여 상자연의 풍류를 극대화하고 있는 장소이다. 이러한 곳이기에 조선조 사인들은 누정을 소유하는 것이 평생의 꿈이었다. 그러므로 누정과 관련된 문학작품은 여러 장르에 걸쳐 많을 수밖에 없다. 여기서는 누정시조를 누정의 기능과 관련하여 그 특성을 살펴보았다. 그것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누정은 경관이 좋은 곳에 자리 잡고 있음으로 산수자연을 감상하기에 좋은 장소이다. 사방이 트인 공간이기에 돌아다니면서 경관을 볼 필요가 없다. 그러므로 누정시조에서의 산수자연은 여타의 산수유람 시조의 감상태도와는 차이가 있다. 즉 산수유람 시조는 장소를 이동하면서 산수자연을 감상하는 모습이 나타나는 반면 누정시조는 한자리에서 '눈돌리기‘만으로 산수자연을 앙관, 부찰, 원망한다는 점이 다른 것이다. 둘째, 누정은 학문수양 및 강학의 공간으로 기능하기도 한다. 누정은 상대적으로 막히고 답답한 공간인 서원에 비해 교육효과가 높을 수 있다. 그러기에 이곳은 학문수양과 강학을 하는 등 서원과 같은 역할을 했다. 더 나아가 산수자연을 감상하면서 그 속에서 자연의 이치를 깨닫기도 하고 호연지기를 기르는 공간이기도 하다. 이러한 유형의 시조는 대부분 한시와 같이 전해지며 성현의 이름이나 고전의 문구가 작품 속에 등장한다는 특징을 지닌다 셋째. 누정은 계회 및 시회의 공간으로 기능한다. 누정 주인의 요청에 의해 시적 교류가 이루어지고 이런 시적교류는 후에 시단 및 가단 형성의 중요한 동기가 된다. 넷째, 누정은 유오적 주연의 기능을 한다. 단순한 유오적 주연의 공간이라 하더라도 개방적인 누정의 특성상 사대부로서의 일탈된 면모가 나타나지 않는다. 하지만 누정이라도 폐쇄성이 있는 경우는 사대부들의 긴장이 이완된 형태의 작품이 나타나기도 한다.

  • PDF

오가피추출물의 멜라닌 생성 저해 효과 (The Inhibitory Effects of Acanthopanax sessiliflorum Seeman on Melanogenesis)

  • 임경란;김미진;정택규;윤경섭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149-156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천연 미백소재 개발을 위하여 오가피에서 추출한 페놀산 분획의 멜라닌 생성에 연관된 생리활성을 분석하였다. 오가피에서 추출한 페놀산 분획은 free radical 소거활성(DPPH)에서 $IC_{50}=3.43{\pm}0.35{\mu}g/mL$, superoxide radicals 소거활성 $IC_{50}=158.91{\pm}1.57{\mu}g/mL$을 나타내었다. B16 melanoma 세포에서의 멜라닌 생합성 저해효과는 농도 의존적으로 저해하여 $100{\mu}g/mL$에서 $27.2{\pm}2.65%$의 저해율을 보였다. 그리고 오가피에서 추출한 페놀산 분획은 $100{\mu}g/mL$에서 세포 내 tyrosinase의 활성을 $53.67{\pm}8.55%$ 저해하였으며, Western blot을 이용하여 tyrosinase와 tyrosinase 관련 단백질(TRP-2)의 발현 감소를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볼 때, 오가피에서 추출한 페놀산 분획은 tyrosinase의 활성 및 발현을 억제함으로써 멜라닌 생성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사료된다. 그러므로 오가피에서 추출한 페놀산 분획추출물은 미백용도의 기능성 원료로써 큰 가능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