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atural coal

검색결과 262건 처리시간 0.024초

Removal of chromium from tannery wastewater by electrosorption on carbon prepared from peach stones: effect of applied potential

  • Ziati, Mounir;Khemmari, Fariza;Kecir, Mohamed;Hazourli, Sabir
    • Carbon letters
    • /
    • 제21권
    • /
    • pp.81-85
    • /
    • 2017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he removal of chromium from tannery wastewater by electrosorption on carbon prepared from lignocellulosic natural residue "peach stones' thermally treated. The followed steps for obtaining coal in chronological order were: cleaning, drying, crushing and finally its carbonization at $900^{\circ}C$. The characterization of the carbon material resulted in properties comparable to those of many coals industrially manufactured. The study of the dynamic adsorption of chromium on the obtained material resulted in a low removal rate (33.7%) without applied potential. The application of negative potentials of -0.7 V and -1.4 increases the adsorption of chromium up to 90% and 96% respectively. Whereas a positive potential of +1.4V allows desorption of the contaminant of 138%.

Temporary Dominance of Exotic Plant Species on Overburden Coal Mines in South Kalimantan

  • Vivi Novianti
    • Proceedings of the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of the Republic of Korea
    • /
    • 제4권1호
    • /
    • pp.16-27
    • /
    • 2023
  • Primary succession on bare rocks is a challenge for invaders, including one of which was plants. The invasion of bare rock by exotic species raises the question of whether their presence hinders or facilitates succession.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the role of exotic species in primary succession in six overburden (OB) coal mines using a chronosequence approach. Vegetation analysis was undertaken using line transects. Measurements were carried out on the absolute and relative coverage of each species. Native and exotic species were identified and grouped using information from local communities, identification books, and websites. The relationship between time and number of species, time, and relative dominance of exotic and native species was analyzed using Pearson's correlation. Species number and dominance data were analyzed descriptively. The number of native species from the six OB heaps was higher (57) than that from exotic heaps (50). Neither the number of species nor the coverage showed a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time. Exotic species predominated throughout the age of the embankment but tended to decrease over time. Temporary dominance by exotic species plays a role in assisting primary succession in the OB. This process might be prolonged without the temporary dominance of exotic species during early primary succession.

강원도 강릉시 강동면에 분포하는 폐탄광으로부터의 배수에 의한 임곡천 및 동해의 오염 (Pollution of the Imgok Creek and the East Sea by the Abandoned Coal Mine Drainage in Gangdong-myeon, Gangreung, Kangwon-do)

  • 허봉;유재영
    • 대한지하수환경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44-55
    • /
    • 1998
  • 소위 강릉 탄전 지대의 중앙부에 위치한 강원도 강릉시 강동면 지역에는 많은 하천들이 폐탄광으로부터의 산성 광산 배수에 의해 심하게 오염되고 있으며, 그 중 임곡천은 그 오염 정도가 가장 심각하다. 임곡천 오염의 주범은 영동 탄광 배수인데, 이로부터 임곡천에 유입되는 오염 성분은 Mg, Fe, Al, Si, Ca, Mn 및 SO$_4$, 등의 용존 주성분들과 Cr, Co, Ni, Cu, Zn, Rb, Sr, Cd, Pb 및 U 등의 용존 부성분들이다 이들은 임곡천에 유입된 후 부유 고형물 보다는 주로 용존 고형물의 형태로 이동한다. 부유 고형물은 Fe와 Al 성분이 우세하며, 주로 하천으로부터 침전되고 있는 또는 그 이전에 침전한 화합물들로 구성되어 있다. 용존 오염 성분은 유로를 따라 이동하면서 가장 하류에 도달하기까지 많은 양이 침전 및 희석에 의하여 하천수로부터 제거되어, 임곡천 수는 동해로 유입되기 직전에 오염되지 않은 일반 하천수의 수질과 크게 다르지 않은 수질을 갖게 된다. 이는 임곡천 자체는 탄광 배수에 의해 심하게 오염되고 있으나, 동해는 탄광 배수에 의한 오염이 거의 진행되고 있지 않음을 나타내는 것이다. 동해가 탄광 배수에 의해 거의 오염되지 않고 있음은 해수 및 해저 퇴적물의화학 분석을 통하여 확인할 수 있다. 임곡천 하구수 및 해수의 화학조성은 세계 평균 해수의 함량과 별다른 차이를 보이지 않으며, 해저 퇴적물 내의 오염 성분의 함량도 어떠한 분포 및 경향성도 나타내지 않는다. 따라서 현재 탄광 배수로부터 공급된 오염 물질들이 임곡천을 통해 동해로 유입되는 양은 미미하며 또한, 해수의 막대한 양에 쉽게 희석되어 동해에 심각한 오염을 야기 시키지는 못할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시간이 흐르면서 임곡천으로 유입되는 지류들이 탄광 배수에 의해 오염되고, 그 결과 오염 물질이 좀 더 하류쪽으로 다량 이동된다면, 동해도 가까운 장래에 탄광 배수에 의한 심각한 오염 가능성이 있다. 그러므로, 현재 심각한 오염이 진행중인 임곡천의 수질 개선 및 환경 개선에 대한 구체적인 방안 마련은 물론이고, 아직 동해의 오염이 심각하지 않은 지금 탄광 배수에 의한 동해의 오염 발생에 대한 대책과 예방책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 PDF

500MW 화력발전소 저압터빈 Hood 공진 특성에 관한 연구 (Study on vibration characteristics of low pressure turbine hood resonance in a 500MW thermal power plant)

  • 조철환;조성태;구재량;김형석
    • 동력기계공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23-27
    • /
    • 2013
  • In this research paper, we study on how to decrease the high vibration of turbine hood casings which are main facilities of power generation industry. Cause of Standard coal-fired power 500MW facilities turbine hoods' high vibration is that Natural frequency of hood casing designed in near domain frequency, when they are making hoods. We investigate to reduce high vibration at hood casing. We use FEM method to found how to avoid resonance, and test to confirm that our FEM result. We Finally attach minium mass plate at hood casing to avoid resonance and high vibration reduce lower $100{\mu}m$.

석탄회를 이용한 환경친화적 인공골재 개발(I) (The Study on the ECO Artificial Aggregate using Coal-ash(I))

  • 조병완;김영진;안제상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2000년도 가을 학술발표회논문집(I)
    • /
    • pp.359-362
    • /
    • 2000
  • From a practical perspective, sustainable development requires the optimization of current natural resources and the minimization of derived wastes. A major concern with respect to sustainable infrastructure development is the continued depletion of easily-available natural resources and environmental matters are more serious, the concerned about waste materials which are inevitably produced in the manufacturing of the product is getting worse. These wastes must be handled and properly disposed, and many times, although this waste may be environmentally inert, it has been discarded in landfills. But current disposal methods of these by-products create not only a loss of profit for the power industry, but also environmental concerns the breed negative public opinion. therefore, this study evaluates the ECO artificial aggregate and bricks were designed and tested for the end use of fly ash.

  • PDF

영동화력발전소에서 방출되는 석탄회로부터 박테리아 활동에 따른 생지화학적 연구 (A Biogeochemical Study of Heavy Metal Leaching from Coal Fly Ash Disposed in Yeongdong Coal-Fired Power Plant)

  • 정덕호;조규성;박경진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70-179
    • /
    • 2011
  • 석탄회는 독특한 화학조성과 광물학적 특징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는 해안가에 위치한 영동화력발전소의 매립 호수에서 배출되는 석탄회와 주변 해수와의 반응에서 토착 미생물이 중금속 용출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았다. 매립 호수의 pH는 6.3-8.5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위해 매립 호수의 세 지점을 선정하여 각 지점에서 석탄회(0.4 L)와 해수(1.6 L)가 혼합된 세 개의 시료를 채취하였다. 채취한 시료는 각각 $120^{\circ}C$, 2.5기압 환경하에서 멸균 처리하고, 미생물의 활동을 촉진하기 위해 글루코스를 첨가하여 배양하였으며, 나머지 하나는 자연 상태로 60일 동안 보관하면서 박테리아의 활동에 따른 지화학적 변화과정을 살펴보았다. 다른 시료와 비교하여 글루코스를 첨가한 시료에서 15일 후에 알카리도가 크게 증가하였으며, Mg, Ca, K와 같은 양이온은 글루코스를 넣은 시료에서 초기에 증가하다가 15일 이후 감소하였다. $SO_4^{2-}$는 글루코스를 첨가한 시료에서 크게 감소하였다. 이러한 지화학적 결과는 매립 호수에 서식하는 박테리아의 활동성과 관련이 있다. 이러한 결과는 석탄회 내에 서식하는 박테리아의 특성을 이해하기 위한 기초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CNG엔진에서 합성가스 연료의 연소 및 배기 특성 평가 (Characteristics of Combustion and Emission for Synthetic Natural Gas in CNG Engine)

  • 이성원;임기훈;박철웅;최영;김창기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19권6호
    • /
    • pp.8-14
    • /
    • 2015
  • 합성가스(SNG)는 석탄 가스화를 통하여 얻어지는 가스연료로서, 고유가로 인한 천연가스가격 상승을 대비할 수 있는 대체연료 중의 하나로 주목받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메탄 90.95%, 프로판 6.05%와 수소 3%의 조성비를 갖는 SNG연료 모사가스와 압축천연가스 (CNG)를 11리터 급 CNG 엔진에 적용하여 연소 및 배기 특성을 비교실험 하였다. 연료공급시스템, 분사시기 등 엔진의 연소제어인자를 일정하게 하고 전부하 운전조건에서 엔진회전수 변화에 따른 출력, 열효율, 연소 안정성 및 배기특성을 비교하였다. 1260rpm, 전부하 운전조건에서 노킹특성도 분석하였다. SNG 연료를 사용했을 때 출력 저하 없이 연소안정성이 향상되어 열효율이 증가하였다. 질소산화물($NO_x$)의 배출은 CNG연료의 경우에 비해 증가되었으나 이산화탄소($CO_2$)의 배출은 감소하였다. SNG 연료를 이용하여 운전할 경우 내노킹성이 향상되었다.

활성탄 공정과 생물여과 공정에서의 자연유기물질 제거특성 (Removal Characteristics of Natural Organic Matters in Activated Carbon and Biofiltration Process)

  • 손희종;최근주;김상구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205-213
    • /
    • 2007
  • 입상활성탄 및 생물여과 공정에서 활성탄 종류별 DOC(dissolved organic carbon) 흡착능은 석탄계가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고, 다음으로 야자계, 목탄계 순으로 조사되었으며, 활성탄 종류별 부착 미생물의 생체량과 활성도는 석탄계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목탄계, 야자계, 안트라사이트 순으로 나타났다. 안트라사이트를 이용한 생물여과 공정에서 OM(natural organic matters)의 생분해율은 15분 이상의 EBCT(empty bed contact time)가 주어져야 bed volume에 따라 평균 $10\sim17%$, 최대 $18\sim24%$ 정도의 생분해율을 얻을 수 있었다. NOM의 활성탄 흡착은 주로 친수성 보다 소수성 유기물질과 10,000 Da 이하의 유기물질의 제거가 용이하였으며 HAA5FP(haloacetic acid 5 formation potential) 보다 THMFP(trihalomethane formation potential), BDOC(biodegradable dissolved organic carbon)$_{rapid}$ 보다는 $BDOC_{slow}$의 제거가 용이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생물여과 공정에 의한 유기물질 제거 특성은 주로 친수성과 1,000 Da 이하의 유기물질 제거가 용이하였으며, THMFP 보다는 HAASFP, $BDOC_{slow}$ 보다는 $BDOC_{rapid}$의 제거가 용이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Reviews on Natural Resources in the Arctic: Petroleum, Gas, Gas Hydrates and Minerals

  • Yoon, Jong-Ryeol;Kim, Yea-Dong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23권1호
    • /
    • pp.51-62
    • /
    • 2001
  • The Arctic consists of numerous sedimentary basins containing voluminous natural resources and two of the world's major oil and gas producing areas. The western Siberia Basin in the Arctic region has the largest petroliferous province with an area of 800 ${\times}$ 1,200 km and produces more than 60% of total Russian oil production. The North Slope of Alaska produces about 20% of the U.S. output, i.e., 11% of the total U.S. consumption. Being small compared to those regions, the Canadian Northwest Territories and the Pechora Basin in Russia produce only fair amount of oil and natural gas. There are also many promising areas in the northern continental shelf of Russia. In addition to Russia, Svalbard and Greenland have been investigated for oil and gas. Gas hydrates are widespread in both permafrost regions and arctic continental shelf areas. The reserves of gas hydrates in the Arctic Ocean are about 20${\sim}$32% of total estimated amounts of gas hydrates in the world ocean. Mineral mining is well developed, especially in Russia. The major centers are located around the Kuznetsk Basin and Noril'sk. They are major suppliers of gold, tin, nickel, copper, platinum, cobalt, iron ore, coal as well as apatite. There are also some minings of lead-zinc in Alaska and Arctic Canada.

  • PDF

시멘트 원료로 국내산 석탄재의 이용 가능성 (The Utilization of Domestic Fly Ash as a Cement Raw Material)

  • 이윤철;이세용;민경소;이창현;박태균;유동우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23-29
    • /
    • 2022
  • Fly ash is a by-product of coal fired electrical power plants and used as a material for cement and concrete; particularly, imported fly ash is mainly applied for cement production. Main objectives of this article are to replace domestic fly ash with an imported source. To verify the possibility of domestic fly ash as a material for cement from the aspect of chemical composition and physical properties, we manufactured various kinds of cement, such as using only natural raw material, shale, and partial replacement with domestic and imported fly ash. When we used the domestic and imported fly ash, there were no specific problems in terms of clinker synthesis or cement manufacturing in relation to the natural material, shale. In conclusion, domestic fly ash has been confirmed as an alternative raw material for cement because 7 days and 28 days compressive strength values were better than those of reference cement using natural raw material, on top of the process issu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