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atural Extract

검색결과 4,141건 처리시간 0.045초

면역 결핍 동물모델에서 잣피 추출물의 면역조절 효과 (Immunomodulatory Effects of an Extract from Pinus koraiensis Cone Peel in LP-BM5 Murine Leukemia Viruses-Induced Murine Acquired Immune Deficiency Syndrome)

  • 김성필;권한올;하예진;허석현;이정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6권9호
    • /
    • pp.1027-1034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잣피 20% 주정 추출물을 첨가한 식이로 하여 바이러스에 감염되어 면역력이 결핍된 마우스에서 면역조절 효과를 확인하고자 T, B 세포의 증식능, Th1 type cytokine과 Th2 type cytokine, NK cell activity, phagocytic activity를 확인하였다. 바이러스로 인하여 AIDS와 유사하게 면역 결핍된 마우스 모델에서 cytokine의 불균형과 T 세포와 B 세포의 proliferation이 균형적으로 회복됨을 확인하였고 바이러스로 인해 자연살해세포와 대식세포의 활성능이 감소하였지만 잣피 20% 주정 추출물의 공급 시 활성능 회복에 도움을 주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잣피 20% 주정 추출물은 LP-BM5 virus로 유도한 면역 결핍 마우스 모델에서 면역조절작용에 효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Inhibitory Effects of Self-Fermented Pine Needle Extract on Catecholamine Release in the Rat Adrenal Medulla

  • Choi, Mee-Sung;Seo, Young-Hwan;Cheong, Hyeon-Sook;Lim, Dong-Yoon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19권1호
    • /
    • pp.36-48
    • /
    • 2013
  •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everal fractions obtained from methylene chloride ($CH_2Cl_2$) extract of self-fermented pine needle (SFPNE) on the acetylcholine (ACh)-evoked CA release from the isolated perfused model of the rat adrenal medulla and to establish the mechanism of the most active fraction (Fr.)-induced inhibitory action on the CA release. We obtained 6 fractions from $CH_2Cl_2$ extract of self-fermented pine needle. For the ACh (5.32 mM)-evoked CA release, the following rank order of inhibitory potency was obtained: Fr.4-5 > Fr.8-11 ${\gg}$ Fr.3 > Fr.6 = Fr.7 > Fr.1-2. Fr. 4 - 5 (60 ${\mu}g/mL$) perfused into an adrenal vein for 90 min produced relatively time-dependent inhibition of the CA secretory responses to ACh (5.32 mM), DMPP (100 ${\mu}M$), McN-A-343 (100 ${\mu}M$) and high $K^+$ (56 mM). Fr. 4 - 5 itself did not affect basal CA secretion. Also, in the presence of Fr. 4 - 5 (60 ${\mu}g/mL$), the CA secretory responses to angiotensin II (AngII, 0.1 ${\mu}M$), veratridine (50 ${\mu}M$), Bay-K-8644 (10 ${\mu}M$), and cyclopiazonic acid (10 ${\mu}M$) were significantly reduced, respectively. In the simultaneous presence of Fr. 4 - 5 (60 ${\mu}g/mL$) and L-NAME (30 ${\mu}M$), the inhibitory responses of Fr. 4 - 5 on the CA secretion evoked by ACh, DMPP, high $K^+$, AngII, Bay-K-8644 and veratridine were considerably recovered to the extent of the corresponding control secretion compared with that of Fr. 4 - 5-treatment alone. The level of NO released from adrenal medulla after the treatment of Fr. 4 - 5 (60 ${\mu}g/mL$) was greatly elevated compared with the basal level. Taken together,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Fr. 4 - 5 inhibits the CA secretion from the isolated perfused rat adrenal medulla evoked by stimulation of cholinergic receptors as well as by direct membrane-depolarization. It seems that this inhibitory effect of Fr. 4 - 5 is mediated by blocking the influx of $Ca^{2+}$ and $Na^+$ into the adrenomedullary chromaffin cells as well as by inhibition of $Ca^{2+}$ release from the cytoplasmic calcium store, which is evoked at least partly through the increased NO production due to the activation of NO synthase. Based on these results, it is also thought that Fr. 4 - 5 isolated from $CH_2Cl_2$ extract of pine needle may contain beneficial antihypertensive components to prevent or treat hypertension.

오미자 추출물의 생리활성 (Biological Activities of Extracts from Omija(Schizandra chinensis Baillon))

  • 권후자;박찬성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587-592
    • /
    • 2008
  • 본 연구의 목적은 천연 보존료나 기능성 식품을 개발하기 위하여 오미자를 물과 70% 에탄올로 추출한 후, 추출물의 폴리페놀 함량, 생리활성(항균활성, 항산화능, 혈전용해능)을 측정하였다. 오미자의 물과 에탄올 추출물의 폴리페놀 함량은 각각 511.5, 696.6 mg/100 g이었다. 오미자의 물추출물과 에탄올추출물은 식중독세균인 L. monocytogenes와 S. aureus에 대하여 우수한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물추출물과 에탄올추출물 1,000 ppm 농도에서, 전자공여능은 각각 88.6%, 94.5%였으며 SOD 유사활성은 51.2, 53.6%, 아질산염 소거능은 pH 1.2에서 70.2%, 76.2%였다. 폴리페놀함량이 높은 에탄올추출물이 물추출물에 비하여 항균, 항산화 활성이 우수하였다. 반면에 오미자 추출물 $1.25{\sim}5.0%$의 혈전용해능은 물추출물이 에탄올추출물에 비하여 우수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본 실험결과로 볼 때, 오미자 추출물은 건강식품 개발 소재 혹은 가공식품에서 천연 첨가물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도토리 Gallic Acid의 항산화성 (Antioxidative Activity of Gallic Acid in Acorn Extract)

  • 이미현;정재홍;오만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1권6호
    • /
    • pp.693-700
    • /
    • 1992
  • 도토리의 천연 항산화제로서의 이용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도토리 분말로부터 수종의 유기용매를 가하여 항산화성 획분을 추출 분리한 후 대두유, 팜유, 돈지 및 우지에 첨가하고 $60^{\circ}C$에서 저장하면서 POV의 변화를 측정하였으며, 항산화 성분을 TLC 및 HPLC로 분리 동정하였다. 도토리의 일반성분은 수분 11.8~12.0%, 단백질 7.1~7.4%, 전분 65.5~69.4%, 조지방 2.1~2.6%, 조섬유 2.1~3.6% 및 조회분 2.4~2.6%이었으며 total tannin 함량은 4.6~6.8%이었다. 도토리류 분말로부터 acetone : water 및 ethyl acetate를 차례로 사용하여 항산화성 획분을 추출하여 얻어진 추출물의 수율은 2.8~3.1%이었다. 최종단계의 도토리 추출물 중에는 gallic acid, digallic acid 및 gallotannin이 함유되어 있었다. 도토리 추출물의 항산화성분은 주로 gallic acid이었다. 도토리 추출물은 유탁액상태의 기질에서는 강한 항산화력을 나타내었고, 유지에 직접 첨가하였을 때는 항산화력이 인정되지 않았다. 우지 및 대두유탁액에 대산 도토리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는 강하였으나 돈지 및 팜유유탁액에 대해서는 약하였다. 도토리 추출물은 0.02%의 농도에서 실용적인 항산화 효과가 인정되었다.

  • PDF

천연 갈변저해제로서의 민들레 및 감국 추출물의 항산화 및 갈변억제 효과 (Antioxidative and Antibrowning Effects of Taraxacum platycarpum and Chrysanthemum indicum Extracts as Natural Antibrowning Agents)

  • 장민선;박미지;정문철;김동만;김건희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584-589
    • /
    • 2011
  • 천연 갈변저해제 소재를 발굴하기 위하여 민들레와 감국을 열수 및 80% 에탄올로 추출하고, 그 추출물에 대하여 PPO 저해활성과 DPPH radical 소거능, 총페놀 함량 등을 통하여 항산화 효과를 조사하였다. 또한 추출물을 사과슬라이스에 침지하여 외관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감국 추출물이 민들레 추출물보다 높은 PPO 저해활성을 보였으며 DPPH radical 소거능 그리고 총페놀 함량 등에 대해서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각 추출물에 대하여 사과 슬라이스에 침지하여 처리한 결과 감국 추출물에서 높은 L값과 낮은 ${\Delta}E$값을 보여 색 변화가 적게 일어났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감국의 경우 열수 추출물보다 에탄올 추출물에서 항산화 효과 및 PPO 저해활성력이 높은 것으로 조사되어 본 연구를 통하여 천연 갈변저해제로 감국 에탄올 추출물이 사용이 효과적일 것으로 사료된다.

In vitro 시스템에서 남해 약쑥(Artemisia argyi H.)의 부위별 항산화 활성 (Antioxidant activities from the Different Parts of Artemisia argyi H. using an in vitro System)

  • 하기정;정창호;정희록;허호진;손길만;노치웅;김낙구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45권1호
    • /
    • pp.109-117
    • /
    • 2011
  • 남해 약쑥을 새로운 기능성 식품의 재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각 부위별 60% 에탄올 추출물에 대한 항산화 활성을 In vitro 시스템에서 조사하였다. 남해약쑥의 부위별 총 페놀성 화합물 함량은 잎 60% 에탄올 추출물에서 23.08 mg/g으로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다. 남해 약쑥의 부위별 60% 에탄올 추출물로 DPPH 및 ABTS 라디칼 소거 활성을 측정한 결과,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른 DPPH 및 ABTS 라디칼 소거 활성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잎에서 가장 높은 DPPH 및 ABTS 라디칼 소거 활성을 나타내었다. 환원력도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환원력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환원력도 잎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Linoleic acid를 이용한 자동산화 억제활성을 실험한 결과, 다른 부위보다 잎에서 가장 높은 자동 산화 억제활성을 나타내었고, MDA assay를 이용하여 항산화 활성을 측정한 결과, 일부 농도 의존적인 경향을 보였으며, 잎 $200{\mu}g/mL$ 농도에서 71.38%의 항산화 활성을 보였다. 따라서 남해 약쑥 잎은 높은 항산화 활성을 바탕으로 천연 항산화제로서의 활용가능성이 매우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Continuous Production of Pullulan by Aureobasidium pullulans HP-2001 with Feeding of High Concentration of Sucrose

  • Seo Hyung-Phil;Jo Kang-Ik;Son Chang-Woo;Yang Jae-Kyoon;Chung Chung-Han;Nam Soo-Wan;Kim Sung-Koo;Lee Jin-Woo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6권3호
    • /
    • pp.374-380
    • /
    • 2006
  • In this study, glucose, sucrose, and dextrin were found to be better carbon sources for the production of pullulan by Aureobasidium pullulans HP-2001. Maximal production of pullulan with 200 g/l sucrose as a carbon source was 54.2 g/l. The highest yield of pullulan from sucrose was 0.40, when the sugar concentration was 100 g/1. Optimal conditions for the continuous production of pullulan by A. pullulans HP-2001 in a 7-1 bioreactor were determined by studying the effects of composition of feed solution, dilution rate, and concentration of sucrose in the feed solution. Pullulan concentration and productivity with 100 g/l glucose and 2.5 g/l yeast extract were 38.1 g/l and 0.53 g/l h for 72 h, respectively, in a batch culture of A. pullulans HP-2001. When the substituted medium contained 100 g/l sucrose, 2.5 g/l yeast extract, and mineral salts, which is the same composition as the medium for the production of pullulan, the pullulan concentration and productivity were 74.9 g/l and 0.55 g/l h for 120 h, respectively. The production of pullulan at the steady state increased with a dilution rate up to 0.015/h, and its concentration was 78.4 g/l with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M_w$) of $4.0{\times}10^5$. Unlike a batch culture, however, the decline of the $M_w$ and the number average molecular weight ($M_n$) of pullulan was not found in the continuous culture of A. pullulans HP-2001. When the concentration of sucrose in the feed solution was 200 g/l, 113.5 g/l of pullulan was obtained at the steady state. The steady state was maintained longer in the continuous culture fed with the feed solution containing 200 g/l sucrose than when fed with the feed solutions containing either 100 or 150 g/l sucrose.

치아우식 원인균에 대한 한약재 추출물의 항균효과 (Antimicrobial Activity of Extracts from Some Traditional Oriental Medicinal Plants against Dental Caries Bacteria)

  • 이희원;이푸른하늘;권현정;한국일;한만덕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45-52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구강 내 세균에 대한 항세균제로서의 이용가치를 확인하고, 치아우식 예방 및 치료제로 활용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는 물질을 탐색하고자 64종의 한약재 추출물을 사용하여 치아우식증의 원인이 되는 6개 균주를 대상으로 항균활성을 검색하였다. 1. 구강 내 상주균인 S. oralis, 치아우식증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S. mutans, 치면열구우식증에 연관성이 높은 L. casei와 초기 평활면우식증에 영향을 주는 S. sanguinis에 모두 항균활성을 보인 한약재 추출물은 64종 가운데 황금과 소목이었다. 2. 치아우식증 원인균 중 하나인 S. oralis에 대하여 한약재 추출물의 항균 활성을 알아본 결과 64종 가운데 22개의 한약재가 항균 활성을 보였다. 항균활성이 가장 우수한 한약재 는 소목(40 mm)>감국(27 mm)>황금(19 mm)>지부자(17 mm), 대풍자(17 mm) 순이었다. 그 외에 괴화(14 mm), 오가피(9 mm), 목단피(14 mm), 단삼(10 mm), 비자(10 mm), 고삼(10 mm), 시호(11 mm), 인동(10 mm), 음양곽 A (13 mm), 음양곽 B (11 mm), 대황(13 mm)이 항균 활성을 보였다. 3. 소와열구 및 상아질 우식에 관여하는 L. acidophilus는 64종 한약재 추출물 가운데 소목만이 항균성을 보였다. 치아우식증 원인세균인 S. salivarius는 천마(9 mm), 소목(20 mm)의 생육 저해환의 직경을 측정 할 수 있었다. 4. 결론적으로, 치아우식증의 원인이 되는 6종 균주에 대해 가장 우수한 활성을 보인 한약재는 소목으로 최대 40 mm의 생육 저해환이 측정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볼 때, 한약재 추출물은 구강 내 우식유발균주의 생육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어, 향후 구강 내 우식원성 세균의 치료물질로 활용을 제시한다.

Immunomodulating activities of water extract from xanthium strumarium 2

  • Moon, Eun-Yi;Park, Seung-Yong;Ahn, Mee-Ja;Ahn, Jong-Woong;Zee, Ok-Pyo;Park, Eun-kyue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14권3호
    • /
    • pp.217-224
    • /
    • 1991
  • One of water and/or methanol extracts from 14 herbal deugs which were screened using murine splenocytes showed immunosuppressive activities previously. After water extract from Xanthium strumarium was treated with chloroform. $100 \mu{g/ml}$ of water layer (XS-WCI) has very strong immunosimulating activities tested by $^3H$-thmidine incorporation (control as $100 \mu{g/ml}$, 26345 cpm was 69515 cpm). MLR also appears to be simulated strongly (control vs $100 \mu{g/ml}$, 4962 cpm vs 78688 cpm). When $100 \mu{g/ml}$ of XS-WCI and $0.8 \mu{g/ml}$ of concanavalin a (ConA) were added. more $^3H$-thymidine were incorporated significantly, compared with $0.8 \mu{g/ml}$ of ConA only. In contrast with ConA. results from $5 \mu{/ml}$ of lipopolysaccharide (LPS) and $100 \mu{g/ml}$ of XS-WCI were not different. compared with $5\mu{/ml}$of LPS only. These results indicated the responses of XS-WCI to B cell and T cell may be different. XS-WCI was injected intraperitoneally (10 mg/kg. 50mg/kg/ 100 mg/kg) for 4 days or 10 days and tested secretion of IgM or IgG by direct and indirect hemolytic plaque-forming cell assays, respectively. Numbers of hemolytic plaques for both IgM and IgG were increased significantly. Especially, secretion of IgGs was increased more than 10 times. After administration of XS-WCI for 7 days (50 mg/kg. 100 mg/kg) splenomegaly deu to graft vs host reaction was observed. Human lymhocytes separated from whole blood by Ficoll-Hypaque method were also proliferated after treatment of $10 \mu{g/ml}$ and $50 \mu{g/ml}$ of XS-WCI. As seen in murine lymphocytes, human lymphocyte proliferation was increased synergistically after treatment with both of XS-WCI and phytohemagglutinin (PHA). It appears that XS-WCI may have potential immunosimulating activities and that it remains to be purified further for isolation of active components.

  • PDF

길항세균 Stenotrophomonas maltophilia BW-13의 대량배양을 위한 최적 배양조건 (Cultivation Conditions for Mass Production of an Antagonistic Bacterium Stenotrophomonas maltophilia BW-13)

  • 박종영;김한우;김현주;전옥주;정순재;최우봉;이선우;문병주
    • 식물병연구
    • /
    • 제11권2호
    • /
    • pp.158-161
    • /
    • 2005
  • 결구상추 밑둥썩음병원균인 Rhizoctonia. solani에 대한 길항세균으로 보고된 Stenotrophomonas maltophilia BW-l3 균주의 배양적 특성과 항균물질의 생산능을 조사하고 대량배지를 선발하였다. BW-13 균주의 초기 pH와 배양적온을 조사한 결과, pH는 $6.0\~8.0$에서 , 온도는 $35^{\circ}C$에서 세균의 생육이 가장 높았다. 대량배양을 위한 효율적인 탄소원을 선발하기 위하여 glucose, sucrose, lactose, maltose, manose 등의 저분자 탄소원과 개량제, 미강, 옥수수전분, 고구마전분 등의 고분자 탄소원을 사용하여 BW-13균주의 생장과 항균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기초배지에 $3\%$개량제를 첨가했을 때 BW-13 균주의 세균 증식과 항균활성에 가장 효과적이었다. 따라서 기초배지($1.25\%\;K_{2}HPO_4,\;0.38\%\;KH_{2}PO_4,\;0.01\%\;MgSO_4{\cdot}7H_{2}O,\;0.5\%\;Yeast extract$)에 개량제 $3\%$ 첨가한 배지(dough conditioner media)를 BW-13 균주의 대량배양용 배지로 선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