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ative distribution

검색결과 427건 처리시간 0.037초

국내 서식 한우에서 큐열 항체 양성율 조사 (Seroprevalence of Q-fever in Korean native cattle)

  • 김지연;성소라;편지인;허문;강성일;이향근;정석찬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54권3호
    • /
    • pp.147-150
    • /
    • 2014
  • Q-fever is a vector-borne (Coxiella [C.] burnetii) zoonotic disease that is an increasing public health concern. To date, some research about Q-fever prevalence in dairy herds and human patients has been reported in Korea, but information about Korean native cattle is scarce. To measure the prevalence rates of C. burnetii in Korean native cattle, a total of 1,095 bovine serum samples collected during 2010~2013 were analyzed with an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Sixty-eight heads of cattle were diagnosed as positive and while 19 heads were suspected (positive rate = 6.2%). Interestingly, Jeju province had a seropositivity rate six times greater than that of other provinces (18.9% vs. 3.2%). High seroprevalence might be caused by wide distribution of ticks in Jeju province compared to other regions. Based on these data, extensive monitoring of C. burnetii infection in cattle, tick distribution, and climate changes is required.

자생식물의 국내 유통 현황 및 화훼 장식 활용 실태 분석 (Analyze the Status of Native Plants in Korea Flower Market and Uses of Floral Decoration)

  • 정유경;김윤진
    • 한국화예디자인학연구
    • /
    • 제40호
    • /
    • pp.77-96
    • /
    • 2019
  • 본 연구는 자생식물의 화훼시장 유통 현황 및 화훼 장식에서의 활용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화훼시장(2017.01-2017.12)에 판매되는 자생식물 및 월별 판매 현황을 조사했다. 또한, 화훼 잡지 'Fleur'와 'The Flower'에 수록된 작품의 자생식물 사용 현황, 형태별 분류에 따른 활용 빈도, 색채 분석을 수행했다. 화훼시장에 유통되고 있는 절화 172종 가운데 자생식물은 24종(14.0%)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형태별로는 필러 플라워가 15종으로 다른 형태에 비해 많은 수가 유통되고 있었다. 화훼 잡지 'Fleur'와'The Flower'에 사용된 자생식물은 각각 14종(10.2%)과 17종(9.6%)으로 외래식물에 비해 자생식물의 쓰임이 적음을 알 수 있었다. 형태별로는 두 잡지 모두 필러 플라워의 수가 가장 많았으나 'Fleur'에서는 폼 플라워(299작품), 'The Flower'에서는 매스 플라워(571작품)가 많은 활용 빈도를 나타냈다. 화훼 장식에 사용된 자생식물의 색채 분석 결과 P(보라), PB(남색), RP(자주) 계열이 전체의 57%로 나타났다. 따라서 활용도가 높은 형태인 폼·매스 플라워와 사람들의 선호가 높은 색상의 자생식물을 개발한다면 선호 및 소비 증대가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제주마(濟州馬)의 hemoglobin형(型)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ies on hemoglobin type in Cheju native horse)

  • 현해성;김우권;한방근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63-166
    • /
    • 1991
  • The hemoglobin phenotypes and the gene frequencies of 223 Cheju native horses were studied by starch gel electrophoresis.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1. In the hemoglobin phenotypes, three phenotypes, HbAA, HbAa and Hbaa, which were controlled by two allelic genes. $Hb^A$ and $Hb^a$, were observed and their frequencies of appearance were 65.47%, 30.04% and 4.48% respectively. 2. The distribution of gene frequency was calculated as 0.805 in $Hb^A$ and 0.195 in $Hb^a$.

  • PDF

제주마(濟州馬)의 catalase형(型)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ies on catalase type in Cheju native horse)

  • 현해성;김자권;장덕지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67-170
    • /
    • 1991
  • The catalase phenotypes and the gene frequencies in erythrocyte of 223 Cheju native horses were studied by starch gel electrophoresis.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1. In the catalase phenotypes, three phenotypes, CatF, CatM and CatS, which were controlled by two allelic genes, $Cat^F$ and $Cat^S$, were observed and their frequencies of appearance were 24.21%, 47.53%, and 28.25% respectively. 2. The distribution of gene frequency was calculated as 0.480 in $Cat^F$ and 0.520 in $Cat^S$.

  • PDF

우리 나라 자생 왕포아풀의 수집지 분포 및 특성 (Geographical Distribution and Characteristics of Kentucky Bluegrass(Poa pratensis L..) Native to Korea)

  • 심상렬;정대영;안병준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71-77
    • /
    • 2003
  • This research has been conducted to collect regional ecotypes of Poa pratensis throughout the southern part of korean peninsula during 2000~2002. 227 local ecotypes of Poa pratensis were collected mostly from roadsides, riversides and rice paddies. The $35^{\circ}$ latitude was supposed to be the southern limit of native Poa pratensis habitat. 130 ecotypes of Poa pratensis found from the poor environmental condition such as roadsides showed Poa pratensis naturally grew throughout the country. When surveyed the habitat environment, it was concluded that native Poa pratensis were mostly found on open fields or half shaded areas, on sandy soil or sandy loam soil, and in the individual patch type.

Lycoris 속의 RAPD 분석과 자생지 분포 및 개화특성에 따른 유연관계 (Genetic Relationship Among Lycoris Species Using RAPD Analysis, the Native Distribution and Flowering Characteristics)

  • 차재영;정연옥;신상민;강윤경;박종군;박노복
    • 생명과학회지
    • /
    • 제16권7호
    • /
    • pp.1119-1122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RAPD 분석 기법과 자생지 분포와 개화특징을 이용한 유연관계를 분석하기 위하여 10종의 Lycoris 종을 선별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10종의 상사화 종은 크게 두 군집으로 분류되었다. L. sprengeri와 L. incanata은 가장 높은 상동성을 보였으며, 같은 개화 시기와 분홍색의 화색을 가지고 있었다. 춘기출엽형은 L. squamigera, L. sanguinea, L. koreana, L. sprengeri 그리고 L. incanata이었으며, L. squamigera와 L. sanguinea는 같은 군집 안에서 높은 상동성을 보였다. 또한 L. koreana, L. sprengeri 그리고 L. sprengeri 그리고 L. incanata도 군집안에서 높은 상동성을 보였다. L. radiata, L. radiata var pumila, L. albiflora 그리고 L. traubii의 꽃은 spider형이며 이러한 종은 다른 종과의 유연관계가 매우 낮은 상동성을 보였다.

봉화군 청옥산에 분포하는 대한민국약전 수재 약용식물의 분포 특성 (Distribution of Medicinal Plants included in the Korean Pharmacopoeia at Cheongoksan Bonghwagun in Korea)

  • 송홍선;김명혜;이거룡;김성민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268-275
    • /
    • 2013
  • This text was analyzed and investigated the distribution of medicinal plants in Cheongoksan Bonghwagun Korea, in order to search the medicinal resources that are used in modern medicine. Medicinal plants of the Korean Pharmacopoeia (10th edition) distributed in Cheongoksan Bonghwagun were consisted of 93 taxa ; 82 species, 10 varieties, 1 forma of 79 genus, 50 families. In medicinal plants of the Korean Pharmacopoeia, rate of native species and exotic species was 89.2% (83 taxa) and 10.8% (10 taxa) respectively. Family classification was the most of compositae of 8 taxa, and life form classification was most of herb of hemicryptophyte species. The classification by using parts were 34 taxa of root use and the classification of efficacy utilization was 24 taxa of Cheongyeolyak (heat-clearing drug) use.

Stand Structure and Regeneration Pattern of Kalopanax septemlobus at the Natural Deciduous Broad-leaved Forest in Mt. Jeombong, Korea

  • Kang, Ho-Sang;Lee, Don-Koo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29권1호
    • /
    • pp.17-22
    • /
    • 2006
  • Since the demands not only for value-added timber but the environmental functions of forests had been increased, native tree species has been, and is rapidly being replaced by foreign tree species in many parts of the world. However, the studies on population structure and regeneration characteristics of native tree species were not conducted enough. Regeneration of Kalopanax septemlobus growing among other hardwoods in natural forests is very difficult because of its low seed viability and germination rate. The study examined the distribution of mature trees of K. septemlobus and their regeneration pattern at the 1.12 ha study plot in natural deciduous broad-leaved forest of Mt. Jeombong. The density and mean DBH of K. septemlobus was 97 trees per ha and 32 cm, respectively. The spatial distribution of K. septemlobus showed a random pattern (aggregation index is 0.935) in the 1.12 ha study plot. The age of 90 trees among 99 sample trees of K. septemlobus ranged from 90 to 110 years and represented a single cohort, thus suggesting that K. septemlobus in advance regeneration has regenerated as a result of disturbances such as canopy opening.

야생화 도입 초지의 생육특성, 식생비율 및 동물상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Growth Characteristics, Botanical Composition and Fauna Distribution of Wildflower Pasture)

  • 김득수;이인덕;이형석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233-246
    • /
    • 2001
  • 본 연구는 국산 야생화초지(Native wildflower p pasture: NWP, turf grass 6종 + 국산야생화 11종) 및 외국산 야생화초지(Introduced wildflower pasture; IWP, turf grass 6종 + 외국산야생화 9종)를 조성하여 계절별 개화시간, 개화지속 정도, 꽃의 색깔, 식생변화 및 초지에서의 동물상 등을 조사 분석하여 야생화초지의 개발에 필요한 초종 선발 및 구성, 혼파조합 등의 기초자료를 얻고자 실시하였다. 시험은 충남대학교 농과대학 초지 시험포장에서 1997년 8월부터 2000년 12월까지 수행하였으며 시험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야생화의 개화는 5월에서 9월까지 연속적으로 유지되었으며 꽃색깔은 비교적 다양하게 유지 되었다. 국내산 야생화의 경우 개화기간이 가장 긴 것은 벌노랑(Lotus corniculatus var. Japonicus)이었고, 원추리(Hemerocallis fulva), 범부채(Belamcanda chinenis), 벌개미취(Aster koraiensis) 등은 발아 및 정착이 느려 문제가 있었다. 외국산 야생화의 경우 국내산 야생화에 비해 초기생육 및 정착이 양호했으며, 꽃색깔도 화려하게 유지되었으나 기생초(Coreopsis tinctoria), 서양톱풀(Achillea millefolium), 원추천인국(Rudbeckia bicolor) 등은 초고가 크거나 강력한 지하경으로 우정되는 경향이었다. 2) 야생화 초지(NWP, IWP)의 적합한 turf grasses 는 계절별로 고른 식생을 유지한 tall fescue, perennial ryegrass, Kentucky bluegrass라 생각된다. 3) 국산 야생화초지의 식생분포는 톱풀(Achillea sibirica) > 벌노랑이(Lotus corniculatus var. Japonicus) > 패랭이꽃(Dianthus chinensis) > 질경이 (Plantago a asiatica) > 민들레(Taraxacum platycarpum) > 제비꽃(Viola mandshurica) > 벌개미취(Aster koraiensis) > 얼치기완두(Vicia tetasperma) > 매듭풀(Lespedeza s st$\psi$ulacea) > 원추리(Hemerocallis fulva) 순이었다. 봄철과 여름철에는 톱풀이, 가을철에는 벌노랑이가 가장 높은 분포를 나타냈으며 계절별로 일정한 분포를 유지한 것은 민들레였다. 한편, 외국산 야생화초지는 서양톱풀(Achillea millefolium) > 기생초(Coreopsis tinctoria) > 끈끈이대나물(Silene armeria) > 금계국(Coreopsis lanceolata) > 원추천인국(Rudbeckia bicolor) > 서양오이풀(Sanguisorba officinalis) > 수레국화(Centaurea cyanus) > 데이지( (Chrysanthemum leucanthemum) > 서양패랭이꽃(Dianthus petraeus) 순 이었다. 봄철에는 끈끈이대나물이, 여름철에는 서양톱풀이 가을철에는 기생초가 가장 높은 식생분포를 나타내었다. 3년 평균 총 야생화의 식생분포는 외국산 야생화초지가 국 산 야생화초지에 비해 2.27배 정도 높은 분포를 보여 다양한 국산야생화 초종도입과 선발 및 순도 높은 종자의 확보가 국산 야생화초지를 보급을 위해 우선적으로 선결해야할 과제라 하겠다. 4) 야생화 초지(NWP, IWP)는 관행 혼파초지나 하번초 혼파초지에 비하여 동물상이 다양하고 많게 분포되었으며 그중 외국산 야생화초지의 동물 개체수가 가장 많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할 때, 야생화 초지는 봄부터 가을까지 야생화가 지속되었고, 양서류 및 곤충의 개체 수가 증가되었던 것으로 보아 야생화 초지의 공익적인 측면에서의 활용 가능성도 클 것으로 기대된다고 하겠다. 그러나 국산 야생화초지를 널리 보급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자생 야생화의 생육특성을 고려하여 다양하게 선발해야하고 재배증식을 통한 순도 높은 총자의 확보와 보급이 선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