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ationalistic Character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26초

대순진리회의 '세계종교' 가능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ossibility of 'World Religion' in Daesoon Jinrihoe)

  • 권동우
    • 대순사상논총
    • /
    • 제35집
    • /
    • pp.73-107
    • /
    • 2020
  • 대순진리회는 교단 내부 구성원들에 있어서나 학계에 있어서나 '민족종교'로 인식되고 있다. 그런데 이 민족종교의 성격이 꽤 복잡하다. 곧 민족종교로서 민족주의를 중심으로 한민족의 선민사상을 강조하면서도, 한편으로는 인류와 세계를 구제하겠다는 세계종교의 보편성도 내포하고 있다고 주장한다. 이를 민족종교의 특수성과 세계종교의 보편성이라고 말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특수성과 보편성의 논리는 단지 대순진리회에만 국한된 특징이 아니다. 이미 세계적으로 많은 종교들이 민족종교와 세계종교의 두 가지 측면을 동시에 가진다고 하는 이중성을 보여 왔다. 그 가운데 본고에서 주목한 것은 근대 일본에서 형성된 교파신도다. 근대 일본 정부가 국가신도체제를 구축하는 과정에서 탄생한 교파신도는 총 13개 종파가 형성되는데, 이들의 대부분은 일본인의 민족적 전통을 계승하는 민족종교라고 하면서도, 청일전쟁과 러일전쟁을 기점으로 본격적으로 세계종교를 표방하면서 해외포교에 나선다. 그렇다면 이처럼 민족종교의 정체성을 유지하면서 세계종교를 지향했던 교파신도의 해외포교는 어떻게 귀착되었고, 이들의 세계종교화는 현재 어떻게 진행되고 있을까? 본고에서는 이처럼 민족종교와 세계종교의 이중성을 보여 왔던 교파신도의 사례를 통해 대순진리회의 세계종교의 가능성을 살펴보고, 이를 위해 대순진리회가 지향해야 하는 길에 대해 약간의 제언을 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한국사회에서 오랫동안 논의되어 왔던 '민족종교'론 또는 '민중종교'론의 역사적 흐름에 대해 살펴볼 것이며, 한국에서 민족종교이면서 세계종교를 지향하고 있는 원불교의 사례도 점검하는 것으로 민족종교와 세계종교의 경계에 서 있는 대순진리회의 새로운 지향점에 대해 검토해 보고자 한다.

구한말 사립학교 병식체조교육의 민족주의적 특성 (A Study on nationalicstic character of private school's military gymnastic education in early modern Korea)

  • 김연수;신의연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4권4호
    • /
    • pp.227-232
    • /
    • 2018
  • 본고에서는 구한말 학교체육의 중심이 되었던 병식체조의 도입과 발전과정 다루었다. 특히, 일제의 강제하에 관립학교의 병식체조교육이 제한된 이후의 사립학교의 병식체조교육의 민족주의적 특성을 조명하고자 하였다. 사실 1905년 을사조약이후 관립학교의 병식체조교육이 제한되었지만 사립학교의 병식체조는 더 강화되었다고 볼 수 있다. 이는 당시 조선인의 민족위기의식이 더 고조되었고, 또 1907년 조선의 군대해산이후 무관학교 출신 교사들이 사립학교의 체육교사로 자원했기 때문이다. 이들 체육교사들은 병식체조교육을 독립운동의 연장선으로 여기며 사립학교의 체육교사로 부임해 와서 학생들에게 병식체조 교육과 함께 민족주의 정신을 심어 주었다. 이처럼 매우 강한 부국강병과 조국수호의 목적을 가지고 시작한 병식체조 수업은 학교체육 교육안에 속해 있는 활동이었다. 하지만 당시 시대적 부국강병과 국가 침탈의 위기의식으로 인하여 조화로운 신체발달을 추구하기보다 군사훈련의 목적이 더 강했다고 볼 수 있다.

숀 옹의 『미국인의 무릎』 : 남성 중심주의 해체와 그 가능성 (Shawn Wong's American Knees: Deconstruction of Male-Centeredness and Its Possibility)

  • 김민회
    • 영미문화
    • /
    • 제14권2호
    • /
    • pp.23-48
    • /
    • 2014
  • Considered as the first generation of the Chinese American male writers, Shawn Wong has often been tagged with the male-centered or cultural nationalistic writer for his first short novel Homebase since the 1970s. He has, however, shifted his own gender and cultural attitudes toward his male character in his second novel American Knees, published in 1995. By focusing on his second novel, this paper examines how Wong critically reconsiders the male-centeredness and cultural nationalism in a way to invalidate them in relationships among male and female characters in the formation of the Chinese American male's identity. Attempting to establish his own national and cultural identity as an American citizenship and the self-awareness of masculinity as a man, Rainsford Chan in Homebase believed that he could achieve his identity and masculinity with the chronological experiences related to his ancestors in American society. He even strictly erased the presence of female in his own identity formation. In doing so, he seemed to anchor his authorship at the discourse of the male-centeredness and cultural nationalist like other contemporary writers such as Frank Chin and Jeffrey Paul Chan who always strongly marked cultural tradition. By creating a non-conventional male character Raymond Ding with compromising and open-eared attitudes toward female characters, however, Wong dramatically changes the idea of represent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male and female characters in American Knees. In this novel, he suggests that the male character' identity can be properly formed not in the extreme reinforcement of masculinity or the ethnic-based cultural awareness but with the mutual understanding between male and female individuals regardless of ethnic and nationalistic biases. Consequently, Wong attempts to bail out of the male-centered images of the first generation of the Chinese American male writers through Raymond Ding.

Masculinization of Femininity: A Gender-Based Reading of Đoạn tuyệt [Breaking Off] by Nhất Linh

  • TOAN, TRAN VAN
    • 수완나부미
    • /
    • 제5권2호
    • /
    • pp.81-99
    • /
    • 2013
  • Đoạn tuyệt is the representative of not only Nhất Linh's literary life but also of the Tự Lực Văn Đoàn [Self-Strength Literary Group]. Đoạn tuyệt's contributions are emphasized in the following aspects: 1) critique of the feudal family model, 2) an advocate of female and individual liberation, 3) nationalistic content, though rather vague. Based on analysis of gender power relations in the masculinization of femininity exemplified in the character Loan of the novel, this paper addresses the following points: - In Đoạn tuyệt, the woman is eager to free herself from feudalist ties not to construct her own identity but to identify her with men's identities. - The construction of new feminine identities was conditioned in new rising discourses of Western modernity-based nationalisms in pre-revolutionary Vietnam. - The feminization of masculinity echoes the crisis of Vietnamese masculine in facing colonial power.

  • PDF

American Regionalism and Its Discontents in Constance Fenimore Woolson's "In Sloane Street"

  • 장기윤
    • 영미문화
    • /
    • 제18권1호
    • /
    • pp.93-120
    • /
    • 2018
  • Constance Fenimore Woolson is among those whom scholars have for long been trying to rediscover and add to the list of representative American writers. The primary methodology has been regionalism, based on the fact that most of her work portrays remote, exotic regions in and out of America. Still, Woolson remains obscure to general readers as well as literary critics outside a small circle of her scholarship. This essay attributes that obscurity to Woolson scholars' blind reliance on regionalism's nationalistic assumption in reading Woolson's multifaceted writing, and proposes to explore her nationally and regionally displacing view of the rigidly stereotypical and ideologically biased binary opposition between the center and the margin in postbellum America. The essay takes as an example the only story by Woolson that has never been reprinted or anthologized until very recently, "In Sloane Street," and examines why it resists the scholarly endeavor to regional categorization. The examination especially focuses on how the story exposes the Americanizing conceptualization of the region and its limits. The essay concludes with an attention to the story's ending where Woolson abruptly yet deliberately introduces a form of almanac as the main character Gertrude's mode of daily record. The attention to that uniquely hybrid genre in the American literary tradition, which encompasses the public and the private, the universal and the local, sheds light on Woolson's authorial intention to deconstruct the Manichean view of literary regionalism.

여성국극의 장르적 성격과 이미지로서의 역사 (The Character as Genre and History as Image of Female Gugguek)

  • 김성희
    • 한국연극학
    • /
    • 제40호
    • /
    • pp.61-96
    • /
    • 2010
  • This research established that the two characteristics of Femail Gugguek were explored on the character as genre and the nationalism discourse. This research also included how to encounter the characteristic of Female Gugguek as a popular entertainment with the social context at the time and how to re-produce the social ideology. The 'historical nationalism narrative' piercing Female Gugguek had the close relation with the nation/state discourse of the time. The history reproduced by Female Gugguek was not real. It was the imagined past, the history as image. The Female Gugguek was a genre which typically showed how to intermediate fantasy, ideology and narrative. The happy-endings with the victory of male hero, the narrative pattern on overcoming national crisis, the narrative emphasizing the glorious past and the unification of nation, all these were projected the discourse on nationalistic ideology and nation/state-making in 1950's. The Utopian desire of Female Guggeuk imagining the glorious past and strong nation was the fantasy which concealed the contradiction in real life and the national identity damaged by colonial experience, division of territory, governance by U.S. Military Government and the Korean War. The Female Guggeuk was doing well, because it had amusement. Futhermore, imagination of glorious past and strong state/nation of Female Guggeuk satisfied the public's desire of escapism and wish to establish their position and identity in the rapid social-economic changes. However, Female Guggeuk repeatedly produced the never-changing characters, narrative pattern and conservative world-view. Thus, it became regarded as immature and obsolete thing in late 1950's. Female Guggeuk, which kept re-producing the retrogressive image of the past without modern viewpoint and interpretation, was not sensitive about change of time and trend of the people. Consequently, it was pushed out of people's major interest.

장준하의 언론사상 연구 (Jang Jun-Ha's Journalism Thought)

  • 김영희
    • 한국언론정보학보
    • /
    • 제59권
    • /
    • pp.50-70
    • /
    • 2012
  • 이 연구는 한국 현대 언론사상의 성격을 이해하기 위한 작업의 하나로, 1950~1960년대 월간 잡지 "사상계"를 발행하여 잡지 저널리즘의 영향력을 당시 주요 신문 못지않게 키운 잡지언론인 장준하의 언론사상을 고찰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이를 위해 장준하의 언론에 대한 인식이 어떤 과정으로 형성되었으며, 그의 언론사상의 주요 논리와 의미는 무엇인지 고찰했다. 이를 바탕으로 장준하 언론사상의 성격과 관련되는 문제들을 검토했다. 연구 결과 "사상계" 창간 당시부터 일관되게 나타나는 장준하의 언론사상의 토대는 지식청년층을 계몽하려는 민족주의적 계몽언론사상이라고 할 수 있다. 여기에 1950년대 말부터 일종의 해설저널리즘 또는 방향제시 저널리즘의 성격도 보였다. 1962년이후 "사상계"에 대한 정치적 탄압이 심해지면서, 그의 언론사상은 일종의 주창 저널리즘의 성격이 강하게 나타났다고 평가된다. 장준하의 언론사상은 당시 한국 언론계와 학계에서 새롭게 인식되던 구미의 언론개념과 이론을 이해하고 수용하여 당시로서는 선진적인 사상이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그의 주장과 논리는 언제나 구체적인 실천과 행동으로 이어졌다는 점에서 설득력이 있었다고 평가된다.

  • PDF

가노지고로의 조선관 연구: 무도사상을 중심으로 (A Study of Kano Jigoro's Philosophical Viewpoint of Joseon: Focusing on Martial Art Philosophy)

  • 유성연
    • 한국체육학회지인문사회과학편
    • /
    • 제57권5호
    • /
    • pp.1-11
    • /
    • 2018
  • 이 연구는 유도의 창시자이며 무도 사상을 전 세계에 전파한 가노지고로의 조선관을 연구하여 한국에 보급된 무도 사상의 근원적 본질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상의 관점에서 진행된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본 국학자들에게 역사 교육을 받고 성장한 가노지고로는 전설 속의 인물인 진구 황후가 신라, 백제, 가야를 정복하였다는 정한론에 영향을 받고 성장하였다. 이 정한론은 일제강점기 임나일본부설의 기반이 되었고 가노지고로가 완성한 정력선용, 자타공영의 무도 사상 역시 조선에 유입될 당시 이 정한론이 투영되어 유입되게 된다. 둘째, 가노지고로는 메이지 유신이후 국체라는 설화를 무도 사상의 프리즘에 넣어 분산 확대시켰다. 이는 자신이 만든 무도 사상을 일본의 국체와 연결시켜 놓았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었다. 이로 인해 가노지고로의 무도 사상은 전 세계에 평화사상으로 적용된 것과 달리 조선에서는 내선일체의 논리로 무도가 사용되게 된다. 셋째, 일제강점기 조선으로 유입된 가노지고로의 무도 사상은 문화변용현상을 거치면서 각자의 해석에 따라 달리 해석되는 모순을 보이게 된다. 대부분의 일본인은 내선일체의 수단으로 무도를 활용하는 반면 한민족 선각자들은 가노지고로의 국가관을 배제시킨 후 민족주의적 특성을 내제시키면서 민족의 위기를 극복할 수 있는 수단으로 무도를 수련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