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ational competency skill

검색결과 86건 처리시간 0.022초

실습실 개방 자율실습이 간호학생의 근육주사법에 대한 지식, 자신감 및 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Open Laboratory Self-directed Practice on Knowledge, Self-confidence, and Skill Competency of Intramuscular Injection)

  • 윤소영;최순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5호
    • /
    • pp.412-420
    • /
    • 2016
  • 본 연구는 실습실 개방 자율실습이 간호학생의 근육주사법에 대한 지식, 자신감 및 수행능력에 대해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연구 설계는 비동등성 대조군 사전 사후 설계를 이용한 유사실험 연구로 G광역시 소재 일 간호대학의 기본간호학실습 과목을 수강하는 2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실험군 32명, 대조군 30명으로 총 62명이었다. 지식과 자신감은 설문지를 이용하였고 수행능력은 체크리스트를 사용하여 측정하였으며 사전, 사후 동일하게 측정하였다. 실험군은 전통적 학습과 실습실 개방 자율실습을 하였고 대조군은 전통적 학습만을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19.0 program 을 이용하여 paired t-test, t-test, ANCOVA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대조군의 지식(F=3.59, p=.019)이 실험군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고, 실험군의 자신감(F=2.26, p=.016)과 수행능력(F=9.08, p<.001)이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더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실습실 개방 자율실습이 근육주사 간호술기에 대한 자신감 및 수행능력을 높이는 효과적인 방법으로 확인되었다. 앞으로 간호학생이 자율실습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고 실습실 개방 자율실습을 효과적으로 운영하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2016 한의사 역량모델 정립 및 활용 방안 (2016 Competency Modeling for Doctor of Korean Medicine & Application Plans)

  • 임철일;한형종;홍지성;강연석
    • 대한한의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101-113
    • /
    • 2016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competency model for the Korean medicine doctors and find application plans for the future education in Korean medicine. Methods: Based on literature review, we drafted a competency model framework for modeling and defined competencies using generic model overlay method. Also we conducted a FGI with 20 extension specialists in Korean medicine to validate competency model. Results: Findings are 5 domains and 15 competencies. 5 domains have optimal patient care, reasonable communication skill, professionalism enhancement, performing social accountability, and efficient clinical management. 3 competencies are included in 5 domains each. With this model, 4 ways of application plans are shown to apply for the future competency-based education in Korean medicine. Conclusion: Developed 2016 competency model for the Korean medicine doctors can be a first huge step to innovate education in Korean medicine toward competency-based educational system.

아파트 커뮤니티전문가의 직무와 역량 지표 개발 연구 (A Study on Development of the Job Components and Competency Indicators for Apartment Community Specialist)

  • 채혜원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28권3호
    • /
    • pp.1-10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components of task and competency indicators for apartment community specialist who supports for community activations. The research process consists of three parts. Firstly, the direction of developing competency indicator set up by literature review related community, job components, and competency indicators. Second, analysing of job and competency indicators were developed and revised through focus group interview (FGI), and questionnaire survey on 6 experts in community area. Third, questionnaire survey from 20 community specialists in seoul was performed in order to analyze the importance of the competency components. As a result of this research, selected competency indicators were settled as followed : the competency indicators for apartment community specialist consisted of 3 competency clusters, 14 competency factors, 48 competency indicators. Community specialist recognized attitude and personal trait as the most important competency clusters, and understanding of community, interpersonal relations and communication skill, and vocational ethics and social responsibility as important factors in the competency indicators.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used as tool for evaluating the job and competency of apartment community specialist, establishing professional identity of apartment community specialist, and providing an importance knowledge base for developing educational curriculum for them.

개방 자율실습이 간호학생의 정맥주입술기에 대한 지식, 자신감, 수행능력 및 실습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Open Laboratory Self-directed Practice on Knowledge, Self-confidence, Skill Competency, and Satisfaction of Intravenous Infusion)

  • 박규희;최순희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63-71
    • /
    • 2016
  • Purpose: This study was done in order to identify the effectiveness of open laboratory self-directed practice on knowledge, self-confidence, skill competency, and satisfaction of intravenous infusion in nursing students. Methods: This is a quasi-experimental study using a non-equivalent control pre-posttest design. The participants were 32 students comprising an experimental group and 30 students comprising a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was allowed to perform open laboratory self-directed practice only. Pretest and posttest was performed through questionnaires of knowledge and self-confidence, and competence and satisfaction were assessed using checklists at posttest. Results: The score of Knowledge in the posttest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both groups (F=1.28, p=.290), and those of self-confidence (F=3.87, p=.014) and competency (F=9.55, p<.001) of the experimental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 Conclusion: Open laboratory self-directed practice was effective in improving nursing students' self-confidence and competency of intravenous infusion. Therefore, students should be encouraged to actively participate in open laboratory self-directed practice and the effective strategies should be developed.

여대생의 취업을 향상시키기 위한 자기개발역량과 취업준비도의 구조적 분석 (Structural Analysis of Self-Development Competency and Employment Readiness to improve the Job Achievement of Women's University Students)

  • 김희영;김기운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4호
    • /
    • pp.29-37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여대생의 취업준비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자기개발역량과 취업준비도를 구조적으로 분석하여 그 영향관계를 파악하고, 취업준비도 향상을 위해 집중해야할 요인을 파악하여 궁극적으로 여대생의 취업이 잘 되도록 하는 것이다. 연구절차와 방법에서 자기개발역량과 취업준비도에 대한 변수를 상세화하고 연구모형을 생성하였으며, 변수간의 영향관계를 구조적으로 분석하는 과정에서 연구모형을 개선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 취업준비도 향상에 가장 중요한 변수는 경력개발능력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기여도는 자아인식능력과 자기관리능력이 경력개발능력의 매개효과에 의해 취업준비도에 긍정적 영향을 가진다는 것을 밝혀낸 것이며, 특히 경력개발능력이 여대생의 취업준비도 향상에 결정적인 변수라는 것을 밝힌 것이다. 자기개발능력의 향상을 위한 새로운 교육정책의 입안은 여대생의 취업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며, 향후 연구에서 구체적인 교육 방안과 실행에 대한 사례분석이 본 연구를 기반으로 더욱 발전되어 나타나기를 기대한다.

빅데이터 직무능력 참조모형에 관한 융합적 연구 (Convergence Study on Big Data Competency Reference Model)

  • 노규성;박성택;박경혜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3호
    • /
    • pp.55-63
    • /
    • 2015
  • 정부는 능력중심사회 만들기를 핵심 국정과제로 확정하고, 국가직무능력표준(NCS,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개발 및 활용 계획을 발표하였다. 그 일환으로 정부는 2014년까지 833개 직종에 대해 국가직무능력표준을 개발했다. 그러나 빅데이터의 경우 새롭게 등장한 직무로서 아직 산업현장에서도 안정적인 직무 형태로 자리매김했다고 볼 수 없는 상황이며, 융합적이고 다학제적인 성격을 지니고 있다. 또한 주요 선진국이나 국내를 막론하고 빅데이터를 활용하기 위한 다양한 형태의 지식과 기술(skills)의 교육 및 직무역량 모형 등이 나오고 있지만, 확실히 정착된 것은 아니며 다소간의 혼선이 있는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는 기업 및 조직이 효과적인 빅데이터 활용을 하도록 하기 위한 빅데이터 직무능력 참조 모형을 제시하고자 하는 목적 실현을 위해 네가지 직무 유형을 도출하고 이를 수행하기 위한 우리는 능력단위요소로 20개 지식과 15개 기술을 정리하였다.

소프트웨어 개발 역량 강화를 위한 Skill Set 기반의 직무 관리 (Skill Set based Competency Management to Strengthen the Capability of Software Development)

  • 홍장의
    • 중소기업융합학회논문지
    • /
    • 제2권1호
    • /
    • pp.59-67
    • /
    • 2012
  • 최근 소프트웨어 산업분야가 높은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분야임을 인식하면서, 회사의 규모를 막론하고 대부분의 소프트웨어 개발 조직에서 전문 인력을 확보에 고민하고 있다. 그러나 조직의 장기적인 비즈니스를 고려하지 않는 소프트웨어 개발 인력의 채용은 추후 또 다시 인력의 부족현상을 초래할 것이며, 채용 인력에 대한 장기적인 인력 관리에 대한 전략적 설계가 없다면 많은 소프트웨어 개발 인력을 확보하고도 높은 성과를 달성하기 어려울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조직에서의 소프트웨어 개발 역량을 강화하기 위하여 소프트웨어 직무를 세부적으로 도출하고, 직무별 프로파일을 정의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한다. 또한 제시된 프로파일을 근간으로 직원의 Career Path를 어떻게 관리할 것인가에 대하여 제시한다. 제시하는 직무 프로파일 기반 인력관리는 조직에서 적정 규모의 효율적 인력 운영과 비즈니스 성과 달성을 가능하게 하는 기반이 될 것으로 판다한다.

  • PDF

일 대학병원 간호사의 간호정보역량과 셀프 리더십의 상관성 (Relationship of Nursing Informatics Competency and Self-leadership among Hospital Nurses)

  • 김명희;채송화;김영숙;김명수
    • 간호행정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76-183
    • /
    • 2007
  • Purpos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fine nursing informatics competency and self-leadership perceived by hospital nurse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ose variables. Method: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15 nurses who had worked in one university hospital in P city. For this study the following study tools were used: the Staggers Nursing Computer Experience Questionnaire and self-leadership scale. Data was analyzed using mean, standard deviation, t-test, ANOVA, Scheffe and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Results: The mean score of each item in informatics skill domain and informatics knowledge domain $2.93{\pm}.49$ and $3.40{\pm}.50$. The average score of self-leadership was $3.39{\pm}.53$. 'Self-leadership' was positively related with 'nursing informatics competency'. Conclusion: This study prov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nursing informatics competency and self-leadership.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it would be necessary to develop regular educational program which promotes the nurses' self-leadership as well as nursing informatics competency in schools. And practical education program for nurses must be planned continuously for informatics competency in hospitals.

  • PDF

우리나라 소비자의 리콜 역량과 리콜 경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onsumer Recall Competency and Recall Experience)

  • 구혜경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4호
    • /
    • pp.1-10
    • /
    • 2018
  • 우리나라는 매년 리콜 상품의 수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나 소비자의 리콜 참여율 자체는 매우 저조하다. 본 연구는 소비자의 적극적인 리콜 참여를 위해 필요한 요소를 리콜 역량으로 보아 리콜 역량의 구성 요소 파악, 리콜 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리콜 역량 요소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우리나라 성인 소비자 1,626명을 대상으로 리콜 경험 및 리콜 역량을 조사하였으며 그 결과 리콜 역량의 하위 요인으로 리콜 참여 의지, 리콜 관련 기술, 리콜 제도 인식, 주관적 지식, 객관적 지식의 5가지 요인을 도출하였다. 조사 대상자 중 리콜 경험, 비경험자로 구분하여 각각의 리콜 역량을 비교한 결과 5개 하위 영역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실천적 역량으로서 리콜 관련 기술 요인과 주관적 지식 역량이 리콜 경험에 가장 큰 영향을 나타내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리콜 제도의 실효성 제고를 위해서는 정책 대상자인 소비자의 특성을 정확히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며, 소비자의 리콜 역량의 강화를 통한 리콜 참여율 제고를 위해 리콜 정보 개선하고 정보탐색 접근도를 높이는 것이 중요함을 강조하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소비자 지향적인 리콜 제도로 개선하고 소비자의 리콜 관심도 증진을 위한 환경 조성에 정부, 학계, 단체 등의 유기적인 협력이 이루어지는 것이 요구된다.

간호대학생의 문화역량 강화를 위한 교수학습모형의 효과 (The Effect of a Teaching Model for Improving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Cultural Competency)

  • 최경숙;이우숙;박연숙;전명희;이소영;박연우;박수영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100-109
    • /
    • 2018
  • Purpose: This study evaluated the effect of a teaching model to improve cultural competency (TMCC) for Korean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Method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quasi-experimental study was conducted with a convenience sample of 168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in South Korea. The experimental group of 121 seniors was taught a 13-week teaching model in order to improve cultural competence. A control group with 47 junior students underwent nursing major courses, but did not take this teaching model.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students' level of cultural competency was measured using the Questionnaire for Cultural Competence (QCC) consisting of three sub-scales: "awareness and desire," "encounter," and "nursing skill and knowledge." Results: After the experiment,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improvement in the Questionnaire for Cultural Competence in the three sub-scales of "awareness and desire," "encounter," and "nursing skill and knowledge" than the control group (p=<.050). Conclusion: A teaching model to improve cultural competence was effective in improving Korean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cultural competency. Further studies need to be repeated in order to identify the effectiveness of the teaching model to improve cultural competency with graduate or clinical nurs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