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ational Imperialism

검색결과 76건 처리시간 0.024초

근대중국의 사회진화론과 양계초

  • 이연도
    • 중국학논총
    • /
    • 제65호
    • /
    • pp.287-302
    • /
    • 2020
  • Social Evolution was the most influential idea in modern China. Chinese intellectuals, who had made the survival of their country and people a top priority in the face of threats from Western powers, accepted the theory of social evolution as an idea calling for national unity. For Liang Qi chao, the theory of social evolution was a reason to raise the modern nation-state and the new people, along with the need for reform. This article examines that philosophical content and meaning modern Chinese social evolution has around his concept of "nation". His ideas, which are regarded as the origin of Asian nationalism, reflect his belief in and will toward a nation-state, and occupy a unique position in the political history of modern China.

안확의 '조선' 연구와 문명의 발견 (An Hwak's Study on Joseon and the Discovery of Civilization)

  • 이행훈
    • 한국철학논집
    • /
    • 제52호
    • /
    • pp.213-241
    • /
    • 2017
  • 1920년대 조선사편수회를 비롯해 조직적으로 진행된 일제의 조선사 연구는 조선의 식민화를 영구화하려는 획책이었다. 3 1운동 이후 일제가 내건 문화정치 3대 방안 가운데 하나인 '민족성 개조'도 조선의 역사성을 외래성과 식민성, 당파성과 미개성으로 낙인찍은 식민주의의 소산이었다. 이에 저항하는 조선인의 연구는 조선의 고유성과 독자성을 증명하는 전통의 창조로 나아갔다. 1920년대 들어 활발해진 고대사 연구는 식민 현실을 외면하고 관념화된 과거의 역사 기억으로 도피하는 게 아니라 한민족의 역사를 새롭게 구성하는 일이었다. 이때 단군은 민족 공동의 시원으로서 문화적 동일화를 이끌며, 발명된 민족의 정체성은 상처 입은 주체를 치유하는 것이었다. 신화를 역사의 일부로 이끌어 오는 일련의 시도는 안확에서도 발견된다. 조선의 민족성을 서구 문명국가와 비교해도 우수한 장점을 지닌 것으로 표명하였고, 조선 문화의 특수성과 정체성을 보편 문명사로 정립하는 방대한 기획은 "조선문명사"로 나타났다. 조선 민족의 특수성과 정체성을 규명하는 문화 연구와 조선 민족의 저력을 드러낸 통사 기술은 과거 역사 속에 명멸했던 다양한 주체들을 동일한 역사를 공유하는 단일한 민족으로 상상하게 했다. 안확의 조선 연구는 일제의 식민사관에 대한 저항이자 민족적 자각을 통한 웅비를 염원하는 것이었다. 그는 민족주의적 관점을 견지하면서도 자유와 자치, 자율과 이성 위에 선 개인을 문명과 문화를 만드는 주체로 설정함으로써 국가이데올로기로 고착된 일본의 문화사와 길을 달리 했다.

1960년대 한국의 뮤지컬 수용 역사와 문화제국주의 (Acceptance History of Korean Musical Theatre in 1960s and Cultural Imperialism)

  • 이계창
    • 공연문화연구
    • /
    • 제37호
    • /
    • pp.249-293
    • /
    • 2018
  • 뮤지컬은 유럽의 오페라로 대표되는 서구 음악극 전통에서 시작된 대중예술 장르로서 20세기 미국 브로드웨이를 중심으로 꽃을 피웠으며, 현재 전 세계적으로 공연예술 분야에서 대중의 큰 사랑을 받고 있는 상업예술 가운데 하나라 할 수 있다. 이 장르의 특성 상 드라마의 전개나 캐릭터의 표현 등은 말이나 몸짓이 아닌 음악을 주요 매개체로 사용하며, 그 음악의 스타일은 특정 계층이 아닌 대중의 기호에 민감하게 반응한다. 근대화는 곧 서양화이고 일본이 조선의 개화에 책임을 져야한다는 일제의 식민주의 음악교육은 조선 민중에게 일본 이데올로기 및 문화를 강제적으로 주입함으로써 일본에의 협력과 순종을 이끌어내기 위한 것이었다. 일제가 편찬한 "보통교육 창가집"을 교재로 한 식민주의 음악교육은 한민족의 음악적 정체성이 일본음악 및 서양음악으로 전환되는 계기가 되었다. 또한 해방 이후 냉전체재 하에서 미국의 대외정책에 따른 친미적 남한 정부 수립을 위한 자본주의 경제 메커니즘과 더불어 '미8군 쇼 무대'와 '영화'로 대표되는 미국 대중문화, 이 두 가지 요소들의 유입으로 인한 비가시적인 '문화제국주의'의 영향으로 우리의 전통음악은 '국악'이라는 단어에 갇혀 '과거의 음악'이라는 의미로 한정되어지게 되었다. 우리나라는 해방 이후 미국 대중문화의 유입으로 뮤지컬을 접하게 되었고, 우리 전통예술의 현대화를 통한 '건전한 문화'의 보급을 지향한 당시 박정희 정권의 문화정책 기조에 따라 '한국적 뮤지컬'을 지향하는 '예그린악단'이 창단되었다. 그러나 우리 민족예술을 기반으로 현대화 된 공연예술을 만들고자 했던 계획은 1966년 <살짜기옵서예>의 성공으로 가능성을 보였으나, 이후 정권 실세의 후원 중단 등의 이유로 더 이상 주체적으로 운영할 능력을 상실한 관변단체로 전락하는 운명에 처하면서 무산되고 만다. 일제의 식민주의 음악교육과 해방 이후 미국 대중문화의 유입이라는 문화제국주의 책략의 영향으로 말미암아 한국 뮤지컬의 태동기에 우리의 전통연희 양식이 서양 음악과의 교류, 확장을 통한 자주적인 민족예술로 자리매김하지 못한 1960년대의 상황을 초래하게 되었다. 이것이 21세기 현재 한국 뮤지컬 시장을 서구 라이센스 뮤지컬이 주도하게 된 배경이며, 아울러 서양음악을 기반으로 한 뮤지컬 창작 현실의 주요 원인으로 볼 수 있다.

A study on urban planning between Buyeo and Kyoto in terms of the interrelationship over the history

  • Kim, Jinho
    • 도시과학
    • /
    • 제7권1호
    • /
    • pp.1-4
    • /
    • 2018
  • Due to the strong relationship between Baekje, one of the ancient Korean Kingdom and Japan through the same religion, Buddhism, it is possible to find many similarities in remains, such as temples, and pagodas, and in many relics, in both cities. However, from the point view of urban planning, Buyeo, originally designed as the fortress city, has a different city planning strategies from that of Kyoto which is a straight-lined city. After Buyeo was destroyed by Silla, one of the Three Kingdoms in Korea, it got deemphasized in Korean history. Later, Buyeo's recent city planning was directly affected and implanted in Japanese Imperialism period (1910-1945) one which emphasizes the layout of Japanese temple which serves as the center of the ceremonies for their ancestors. Thus, it is possible to find cultural interrelation in urban planning between two cities throughout the history of Korea and Japan.

The Eluded Allusion: A Satirical Reading of Joseph Conrad's Heart of Darkness

  • Lee, Seogkwang
    • 영어영문학
    • /
    • 제64권3호
    • /
    • pp.415-432
    • /
    • 2018
  • This essay reinterprets Joseph Conrad's The Heart of Darkness as satirical writing. In an experience-based fictional world, Conrad places imperial precursors who present themselves with a derogatory demeanor that stems from corrupt rapacity at its forefront. This rapacity is enabled by what European colonists believe to be a noble cause, regarded as a vehicle with which to enlighten African continent in his work. This essay reads this noble cause that allows such exorbitant and corrupt rapacity as a dominant element in the construction of Conrad's characters, particularly Kurtz, as objects of satire. Kurtz ends up beginning his calamitous descent into barbarism, mockingly quite opposite to what the colonial disciples misconceive themselves to be. In exhuming the satirical elements from the novel, this paper proves the significance of reading The Heart of Darkness as satire as an alternative reading to the racist book Chinua Achebe has accused it of.

개화기 초등수학교육 재음미 (A Study on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in the Age of Enlightenment)

  • 조영미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21권2호
    • /
    • pp.161-181
    • /
    • 2018
  • 이 논문에서는 1876년에서 1910년에 이르는 개화기에 국가적 차원에서 일어난 초등수학교육의 변화를 정리하였다. 이를 위해 개화기를 갑오개혁이전, 갑오개혁, 통감부시기로 구분하고 각 시기별로 초등수학교육의 주요 변화를 살펴보았다. 갑오개혁이전시기부터 산술교육의 필요성이 인식되었으며, 갑오개혁시기에 산술교육은 본격적으로 국가교육과정이 되었다. 특히 갑오개혁시기에는 국한문혼용의 초등수학교과서가 발간되었다. 일제의 간섭이 본격화된 통감부 시기에는 '간이'와 '이용'의 교육정책에 따라 산술교육도 축소 또는 약화되었다. 이 시기에 발간된 초등교원용 산술서는 특기할 만하다.

Revisiting Transnational American Studies: Race and the Whale in Melville's Moby-Dick

  • Kang, Yeonhaun
    • 영어영문학
    • /
    • 제64권4호
    • /
    • pp.585-600
    • /
    • 2018
  • Over the last three decades, the field of American Studies has increasingly paid attention to transnational approaches in an effort to diversify and expand the field's concerns beyond the narrow sense of the nation-state in today's globalizing world. Yet, the mediation of the transnational requires a careful analysis of the nation that is still in transit. In this context, this essay examines Herman Melville's novel Moby-Dick (1851) as a case study that vividly shows how reading American literature and culture through transnationalism not only offers new interpretations of canonical texts, but also helps us to better understand the historical roots and cultural contexts of contemporary issues such as global labor and migration, US citizenship and racial justice. To address the complexity of the text's circulation and reproduction, coupled with US national ideology and cultural conditions, I first turn to the canonization of Melville's Moby-Dick during the Cold War era as a national project and then explore the possibilities of transnational readings by focusing on the politics of race and global capitalism in the nineteenth century whaling industry. In doing so, I argue that critical transnationalism allows readers to keep questioning about their own understanding of race, nation, and cultural identity while remaining attentive to the destructive force of US imperialism and global capitalism in the twenty-first century.

민족혁명과 시민혁명: 타이와 미얀마 (National Revolution vs. Civil Revolution: The Comparison between Thailand and Myanmar)

  • 박은홍
    • 동남아시아연구
    • /
    • 제24권2호
    • /
    • pp.127-165
    • /
    • 2014
  • This article regards the phase of political confrontations in Thailand and Burma as a prolonged and inconclusive political struggle between national revolution forces and civil revolution forces. It argues that in Thai case, anti-monarchy constitutional revolution has led to a right-wing national revolution based on state nationalism consolidating capitalist economic system by Sarit's military coup, while in Burmese case, anti-British imperialism movement in colonial era has resulted in a left-wing national revolution grounded on state nationalism associating with socialist economic system by Ne Win's military coup. It is also interesting to note that the two cases experienced state nationalism denying autonomous civil society as a process of nation-building in spite of their contrasting ideologies. In both cases, it became inevitable to have national revolution forces clinging to official nationalism and state nationalism confronting with civil revolution forces seeking popular nationalism and liberal nationalism. In particular, unlike Burmese society, Thai society, without colonial history has never experienced a civil war mobilizing anti-colonial popular nationalism including ethnic revolt. This article considers Dankwart Rustow's argument that national unity as a background condition must precede all the other phases of democratization, but that otherwise its timing is irrelevant. In this context, Thai democratization without national unity which began earlier than Burmese is taking a backward step. For the time being, there would be no solution map to overcome severe political polarization between the right-wing national revolution forces defending official nationalism cum state nationalism and the civil revolution forces trying to go beyond official nationalism towards popular nationalism cum liberal nationalism. In contrast, paradoxically belated Burmese democratization has just taken a big leap in escaping from serious and inconclusive nature of political struggle between the left-wing national revolution forces to defend official nationalism cum state nationalism and civil revolution based on popular nationalism cum liberal nationalism towards a reconciliation phase in order to seek solutions for internal conflicts. The two case studies imply that national unity is not a background condition, but a consequence of the process of political polarization and reconciliation between national revolution forces and civil revolution forces.

통영지역의 일제강점기 수산관련 주요 동향에 대한 분석 -어업현황, 어획고, 주요 이슈 등을 중심으로- (A Study on Fisheries Business Trends during the Period of Japanese Colonial Rule in Tongyeong based on Fisheries Status, Catches and Issues)

  • 이동호
    • 수산경영론집
    • /
    • 제46권2호
    • /
    • pp.75-92
    • /
    • 2015
  • Generally, the outcomes of the historical study in some domain would be a most fundamental and basic reference for understanding the essential and core component of them. Specially in case of social science, the importance of historical research much more emphasized that would be divided into independent academic field. In Korean history including fisheries business and industry, the most remarkable historic event would be the period of Japanese colonial rule that one of the most obstacle should overcome. Though the fisheries business and industry of Korea have considerable own history, the research and study of that not so much have been performed or investigated including the period of Japanese colonial rule. Most of the existing research of fisheries history have merely focused on partial topics like 'Fishermen's Association', 'Fisheries Industry Despoliation'. And the historical study of fisheries business and industry's overall status and trend in local area except Pusan also not enough. The aims of this study are exploring the fisheries trends and status during the period of Japanese colonial rule in Tongyeong and finding out the overall major fisheries business issues that would be a better understanding the Korean fisheries industry. Achieving that Objectives, over 800 articles of media,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and other historical data were gathered, refined and analyzed. This paper focused on of major fisheries topics and issues that including overall fisheries status, trends, fisheries catches, local fisheries cooperatives and fisheries exhibition during the period of Japanese colonial rule in Tongyeong.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that the status of fisheries in Korea had been deteriorated for exploitation of Japanese imperialism and Japanese fisheries capitalist during that period. Though the level of Tongyeong in fisheries was very high in terms of catches ratio and population of fisherman, the distribution networks of fishermen's association was not good enough. And the Tongyeong fisheries exhibition in 1922 has positive aspects for considering both composition of organization and educational activity. Even though the results and findings would be a helpful guidelines for understanding the fisheries business trends and status under the rule of Japanese imperialism, more research and study of that should be accomplished.

근대시기 일본이 바라보는 한국에 대한 시선 -일본사회의 담론과 교과서의 한국관련 콘텐츠를 중심으로- (The Japanese View to Korea in Early Modern Era -Focusing on Discourse in Japanese Society and Korea-related Contents in Textbooks-)

  • 박소영;정예실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2호
    • /
    • pp.633-642
    • /
    • 2016
  • 이 글은 근대시기 일본의 한국인식을 당대의 한국 담론과 교과서 콘텐츠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민족성, 역사인식, 한국의 사회상으로 주제를 설정하고 교육 잡지를 중심으로 각 주제에 관해 형성되었던 담론과 이들 담론들이 투영된 교과서 교사용 지도서의 서술내용들을 살펴보았다. 민족성에 관해서는 나태 무기력 미개라는 단어로 대표되는 부정적 측면에서 인식하는 성향이 강하게 나타났다. 그리고 한국 역사를 수동적, 타율적 성격으로 규정하고 무능한 국가운영으로 인해 부정적 민족성이 형성되었다고 보고 있다. 그리고 더 나아가서는 독립을 유지할 능력이 없는 한국은 일본과 동양의 평화를 위협하는 존재이며 결국은 한일강제병합에 이르렀다는 것이 한국 역사에 대한 인식이다. 또한, 일본이 한국사회를 평가하는 척도는 서구식 문명화였으며 한국사회의 모습을 문명 문화의 정도가 낮은 전근대적 사회로 규정하고 있었다. 근대시기 일본에서 형성된 한국에 대한 담론에는 근대국가로 탈바꿈한 일본의 자신감과 제국주의의 길을 걷게 된 일본의 지배이데올로기가 강하게 반영되어 있었고 이와 같은 담론은 교과서와 지도서를 통해서 학생들에게 확산되고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