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60년대 한국의 뮤지컬 수용 역사와 문화제국주의

Acceptance History of Korean Musical Theatre in 1960s and Cultural Imperialism

  • 투고 : 2018.07.07
  • 심사 : 2018.08.12
  • 발행 : 2018.08.31

초록

뮤지컬은 유럽의 오페라로 대표되는 서구 음악극 전통에서 시작된 대중예술 장르로서 20세기 미국 브로드웨이를 중심으로 꽃을 피웠으며, 현재 전 세계적으로 공연예술 분야에서 대중의 큰 사랑을 받고 있는 상업예술 가운데 하나라 할 수 있다. 이 장르의 특성 상 드라마의 전개나 캐릭터의 표현 등은 말이나 몸짓이 아닌 음악을 주요 매개체로 사용하며, 그 음악의 스타일은 특정 계층이 아닌 대중의 기호에 민감하게 반응한다. 근대화는 곧 서양화이고 일본이 조선의 개화에 책임을 져야한다는 일제의 식민주의 음악교육은 조선 민중에게 일본 이데올로기 및 문화를 강제적으로 주입함으로써 일본에의 협력과 순종을 이끌어내기 위한 것이었다. 일제가 편찬한 "보통교육 창가집"을 교재로 한 식민주의 음악교육은 한민족의 음악적 정체성이 일본음악 및 서양음악으로 전환되는 계기가 되었다. 또한 해방 이후 냉전체재 하에서 미국의 대외정책에 따른 친미적 남한 정부 수립을 위한 자본주의 경제 메커니즘과 더불어 '미8군 쇼 무대'와 '영화'로 대표되는 미국 대중문화, 이 두 가지 요소들의 유입으로 인한 비가시적인 '문화제국주의'의 영향으로 우리의 전통음악은 '국악'이라는 단어에 갇혀 '과거의 음악'이라는 의미로 한정되어지게 되었다. 우리나라는 해방 이후 미국 대중문화의 유입으로 뮤지컬을 접하게 되었고, 우리 전통예술의 현대화를 통한 '건전한 문화'의 보급을 지향한 당시 박정희 정권의 문화정책 기조에 따라 '한국적 뮤지컬'을 지향하는 '예그린악단'이 창단되었다. 그러나 우리 민족예술을 기반으로 현대화 된 공연예술을 만들고자 했던 계획은 1966년 <살짜기옵서예>의 성공으로 가능성을 보였으나, 이후 정권 실세의 후원 중단 등의 이유로 더 이상 주체적으로 운영할 능력을 상실한 관변단체로 전락하는 운명에 처하면서 무산되고 만다. 일제의 식민주의 음악교육과 해방 이후 미국 대중문화의 유입이라는 문화제국주의 책략의 영향으로 말미암아 한국 뮤지컬의 태동기에 우리의 전통연희 양식이 서양 음악과의 교류, 확장을 통한 자주적인 민족예술로 자리매김하지 못한 1960년대의 상황을 초래하게 되었다. 이것이 21세기 현재 한국 뮤지컬 시장을 서구 라이센스 뮤지컬이 주도하게 된 배경이며, 아울러 서양음악을 기반으로 한 뮤지컬 창작 현실의 주요 원인으로 볼 수 있다.

The Musical Theatre was a popular art genre that originated from the western musical tradition represented by the European opera. In the twentieth century, it bloomed around Broadway in the United States. It is also one of the commercial arts which is popularly loved by the public in the field of performing arts all over the world at present. Due to the nature of this genre, the development of dramas and the expression of characters use music, not words or gestures, as the main medium. And the style of music reacts sensitively to the taste of the public, not to a particular class. When Japan colonized Korea, the empire strongly believed modernization equaled westernization and Japan was the one who could awaken Korean. The Japanese colonial music education was intended to bring cooperation and obedience to Japan by forcibly injecting Japanese ideology and culture into Joseon people. The music education of colonialism with the textbook of the "Songs for public education(보통교육 창가집)" compiled by the Japanese government was a sparkstone for the conversion of the Korean musical identity to Japanese and Western music. In addition to the capitalistic economical mechanism for establishing a South Korean government friendly with the United States during the Cold War after liberation, and the rush of American Pop culture represented by 'the show stage in 8th US Arm' and 'movies' which are to be the influence of invisible 'new cultural imperialism', our traditional music was confined to the meaning of 'Korean music', meaning 'past music'. In Korea, after the liberation, the musical was introduced by the influx of American popular culture. In accordance with the cultural policy of Park Jeong-hee regime, which aimed to spread the 'healthy culture' through the modernization of traditional arts, 'The Yegreen(예그린악단)' was founded. However, the plan to create a contemporary performing art based on Korean national arts showed the possibility of success in 1966 with the success of , but soon after, they have been destined to fall into an institution that has lost their ability to operate on their own due to the suspension of the sponsorship of the regime. Due to the cultural imperialist strategy of the influence of Japanese imperialism's colonial music education and influx of American popular culture after liberation, in the early days of Korean musicals, our traditional aesthetic style brought about the situation of the 1960 's, which did not become an independent ethnic art through the exchange and expansion with Western music. This is the background of the western licensed musicals led by the Korean musical market in the 21st century as well as the main cause of musical creation based on western music.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