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ational Happiness

검색결과 340건 처리시간 0.023초

아버지 의사소통과 아동의 주관적 행복감의 관계 : 부정적 자동적 사고의 매개역할 (The Mediating Effects of Negative Automatic Thoughts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Father's Communication Style and Children's Happiness)

  • 황연덕;이진숙
    • 아동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223-236
    • /
    • 2012
  •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mediating effects of negative automatic though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mmunication styles of fathers and their children's happiness. The participants consisted of 509 elementary school (225 5th, 6th graders) and middle school (284 1st, 2nd graders) students in Seoul and Jeonju city. The instruments used were the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Inventory (Barnes & Olson, 1982), the Korean Children's Automatic Thoughts Scales (Moon, 2002), and the Happiness Inventory for Children (Lee, 2005). Data were analyzed by means of both descriptive statistics and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SPSS (12.0 version).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effects of a father's communication style on children's happiness was partially mediated by their negative automatic thoughts. In conclusion, negative automatic thoughts has a mediating effect upon a father's communication style as it relates to the happiness of their children.

Influence of parenting role sharing, parenting stress, and happiness on warm parenting behavior in mothers of children aged 6 years: an analysis using data from the seventh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 Bang, Kyung-Sook;Jang, Sang-Youn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28권1호
    • /
    • pp.82-90
    • /
    • 2022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among parenting role sharing, parenting stress, happiness, and parenting behavior of mothers with 6-year-old children. Methods: This study used data from the seventh Panel Study of Korean Children, which began collecting longitudinal data on a sample of newborn households nationwide in 2008 and will continue yearly until 2027. The participants were 1,560 mothers of children aged 6 years. We conducted statistical analyses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he t-test, analysis of variance,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Results: The mean age of the mothers was 36.8±3.7 years. The mothers' perceived parenting role sharing (r=.07, p=.007), parenting stress (r=-.54, p<.001), and happiness (r=.38, p<.001)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warm parenting behavior.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parenting stress (β=-.47, p<.001), happiness (β=.15, p<.001), and parenting role sharing (β=.11, p<.001) were significant predictors for warm parenting behavior by mothers. Conclusion: It is essential to reduce mothers' stress and increase their positive emotions (happiness). Fathers should actively share parenting roles in raising children to enhance mothers' warm parenting behavior.

중년 성인의 일의 의미가 행복에 미치는 영향: 삶의 의미의 매개 효과 (The Impact of Meaning in Work on Happiness in Mid-aged: Mediating effect of Meaning of Life)

  • 조설애;정영숙;이재식;주미정
    •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 /
    • 제8권10호
    • /
    • pp.871-882
    • /
    • 2018
  • 본 연구는 중년 성인의 일의 의미가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삶의 의미의 매개 효과를 확인하였다. 중년 성인 171명을 대상으로 일의 의미, 삶의 의미 및 행복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한 후, SPSS를 이용하여 상관 및 경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일의 의미, 삶의 의미 및 행복 변인들은 모두 정적으로 상관이 나타났다. 즉, 일의 의미 수준이 높으면 삶의 의미, 행복 수준 또한 높았다. 그리고 삶의 의미와 행복 사이에서 정적으로 유의한 상관이 관찰되었다. 즉, 삶의 의미 수준이 높으면 행복 수준도 높았다. 둘째, 일의 의미가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삶의 의미는 부분매개효과를 나타냈다. 즉 일의 의미는 행복에 직접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또한 일의 의미는 삶의 의미 수준을 높이고, 이러한 높은 삶의 의미는 다시 행복의 수준을 높여줄 수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일의 의미가 행복과 삶의 의미를 높이는 것을 확인한 동시에, 일의 의미와 행복 사이의 관련성을 이해하는데 삶의 의미가 중요한 기여를 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기혼여성의 행복은 세대별로 어떻게 다른가? - 생활시간의 영향을 중심으로 - (How does the Happiness of Married Women Differ by Generation? - Focusing on the Impact of Time Allocation -)

  • 이현아;김주희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27권4호
    • /
    • pp.63-74
    • /
    • 2023
  • 본 연구는 생활시간의 배분과 균형이 삶의 질을 좌우하는 중요한 요인으로 보고 생활시간의 관점에서 시간사용에 대한 만족감을 통해 기혼여성이 느끼는 행복의 단면을 파악해보고자 하였다. 생활시간조사 자료를 통해 세대별 생활시간구조를 살펴보고, 생활시간의 관점에서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해 보았다. 기혼여성의 행복을 시간차원의 측면에서 분석한 결과, 세대별로 행복을 느끼는 정도와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다르게 나타났다. 경제활동을 하는 기혼여성의 경우, 베이비붐세대와 X세대의 행복에는 의무시간인 주업시간의 영향력이 가장 컸으며, Y세대의 행복에는 돌봄필요가구원 여부의 영향력이 가장 컸다. 반면, 경제활동을 하지 않는 기혼여성의 경우, 베이비붐세대와 X세대는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봉사 및 여가시간에 따라, Y세대는 성역할태도에 따라 행복수준이 크게 좌우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생활시간관점에서 기혼여성이 느끼는 행복수준이 세대에 따라, 그리고 경제활동여부에 따라 다르고, 또 그 영향요인 또한 세대와 경제활동여부에 따라 다르다는 연구결과는 기혼여성 대상 가족정책 수립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투척선수들의 자기관리가 심리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elf-management on psychological happiness in throwers)

  • 이명선;이문숙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3호
    • /
    • pp.1128-1135
    • /
    • 2011
  • 본 연구는 육상 투척 선수들의 자기관리와 심리적 행복감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규명하기 위한 것으로 연구의 대상자는 대한육상경기연맹에 등록된 고등부, 대학, 일반실업 육상투척선수로서 제91회 전국체전 대회에 출전한 고등부, 대학, 일반실업 선수(남:82, 여:102)로서 총 184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기 위해 변량분석(ANOVA)과 중다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을 실시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투척선수들의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자기관리 및 심리적 행복감에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투척종목 선수들의 자기관리와 심리적 행복감에는 유의한 인과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자기관리는 심리적 행복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을 종합해 볼 때, 이 연구에서는 육상경기 중 투척경기의 선수들의 사회 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자기관리와 심리적 행복감에는 차이가 없고, 자기관리는 심리적 행복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선수들의 심리적 행복감을 통한 최적의 경기수행을 이끌어 내기 위해 철저한 자기관리를 위한 프로그램을 제공해야 한다는 종합적인 결론을 제시할 수 있다.

교수효능감과 사회적지지, 행복감, 직무만족도 간의 구조적 관계 - 교사들을 중심으로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Teacher Efficacy, Social Support, Job Satisfaction, Happiness - By Teachers' Perspectives)

  • 허무열;신혜경;전미란
    • 창의정보문화연구
    • /
    • 제7권1호
    • /
    • pp.53-67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교사들의 교수효능감에 미치는 비인지적 요인의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교사효능감과 관련된 사회적지지, 행복감, 직무만족도 간의 구조적 관계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구글 온라인 설문을 제작하였고 교사연수에 참여하고 있는 전국의 초·중·고 교사들 249명의 자료를 기술통계분석과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SPSS 22.0 과 Amos 21.0를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교사들의 사회적지지는 직무만족과 행복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었고, 직무만족이 행복감과 교사효능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었지만, 사회적지지와 행복감은 교사효능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지는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단, 사회적지지가 직무만족을 통해 행복감으로 부분매개효과가 있으며, 사회적지지가 직무만족을 통해 교사효능감으로 완전매개효과가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변인 간 영향관계를 알아봄으로써 공교육의 질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인 교사들의 교사효능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 마련의 기초 자료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예비유아교사의 일터영성신념 척도(WSBS_PECT)의 타당화 : 행복감과 진로성숙도에 대한 판별력 (Validation of the Workplace Spirituality Belief Scale for Prospective Early Childhood Teacher : Discrimination of WSBS_PECT on Happiness and Career Maturity)

  • 이경화;조준오;심은주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8권4호
    • /
    • pp.1076-1088
    • /
    • 2016
  • This study was to validate the WSBS_PECT (Workplace Spirituality Belief Scale for Prospective Early Childhood Teacher) using discriminant analysis on prospective early childhood teachers' happiness and career maturity. The data from 523 prospective early childhood teachers were analyzed statistically through t-test and binary logistic regression model. The results indicated that 1) the higher group in workplace spirituality belief significantly gets more scores of happiness and career maturity than the lower group, 2) 1 factors of the WSBS_PECT has discriminant power on prospective early childhood teachers' happiness, and 3) 2 factors ('meaning for life' and 'belief on calling for ECE teacher job') of the WSBS_PECT are effective to discriminate prospective early childhood teachers' career maturity. Further statistical works are supplementary needed to validate the WSBS_PECT and to increase its' feasibility.

지역주민들의 행복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도시환경특성에 대한 실증분석: 서울시를 대상으로 (The Influence of Urban Environment on the Happiness Level of the Residents: Focused on 25 Boroughs(gu) in Seoul)

  • 이우민;서승연;이경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2호
    • /
    • pp.351-360
    • /
    • 2016
  • 본 연구는 서울시를 대상으로 개인의 행복수준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는 도시환경 특성요소를 추출하고 실제 주민들의 행복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실증적으로 분석함으로써 보다 행복한 도시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도시정책과 도시계획 방향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개인의 행복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도시환경 요소를 구성하기 위해 도시환경 특성(물리적 환경, 자연적 환경, 사회적 환경) 변수와 개인 특성(개인의 사회 경제적 특성) 변수를 구성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도시의 물리적 환경이 개인의 행복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인구밀도가 낮고 보행환경만족도가 높을수록 개인의 행복수준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도시의 자연적 환경이 개인의 행복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1인당 공원면적이 넓고 녹지만족도가 높을수록 개인의 행복수준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도시의 사회적 환경이 개인의 행복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사회적 신뢰가 행복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 환경에 관한 인식이 청소년들의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School Environment Awareness on Subjective Feeling of Happiness in Adolescents)

  • 박현주
    • 한국학교보건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143-151
    • /
    • 2022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being aware of the physical and psychosocial environment of the school on subjective feeling of happiness in Korean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Methods: The data of "Health and lifestyle Survey (2019)" conducted by the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were analyzed after receiving approval though the website. A total of 5,311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were included in the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one-way ANOVA, pearson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executed using SAS 9.4. Results: The mean score of subjective feeling of happiness was 6.92±0.56 out of 10. From the univariate analysis, the more positive the perception of the physical school environment was, such as classrooms, restrooms, exercise facilities, catering facilities, health facilities, other school facilities and school uniform, the higher the subjective feeling of happiness was (p for all <.001). In addition, the psychosocial environment of the school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happiness of adolescents (p<.001). After controlling for gender, school level, school grade, socio-economic status, and stress, positive perception of classrooms (B=0.04, p<.001), catering facilities (B=0.01, p=.021), health facilities (B=0.08, p<.001), and the psychosocial environment of the school (B=0.18, p<.001)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happiness of the students. Conclusion: Positive perception of the school environment was found to increase happiness in adolescents. Therefore, efforts should be made to make classrooms, catering facilities, and health facilities a pleasant space as well as to create a school atmosphere that values health.

어머니의 인지적 공감능력이 유아의 실행기능에 미치는 영향: 유아 배려행동과 행복감의 매개효과 (The Effect of Maternal Cognitive Empathy on Preschooler's Executive Function: Mediating Effects of Preschooler's Caring Behavior and Happiness)

  • 공영숙;임지영;안선정;이윤정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60권1호
    • /
    • pp.99-113
    • /
    • 2022
  •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maternal cognitive empathy on children's executive function focusing on mediating effects of preschooler's caring behavior and happiness. The subject of this study was 460 five-year-old preschooler-their mother dyads in Korea. Data were collected by Korean Version of Questionnaire of Cognitive and Affective Empathy(K-QCAE), Caring Behaviors Scale for Young Children, Happiness Scale for Young Children and Behavior Rating Inventory of Executive Function-Preschool Version(BRIEF-P).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samples t-test,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structural equation model and bootstrapping test with SPSS 25.0 and AMOS 23.0 program. The major results were as follows. 1) Maternal cognitive empathy had a positive influence on preschooler's caring behavior. 2) Preschooler's caring behavior had a positive influence on happiness and executive function. 3) Preschooler's happiness had a positive influence on executive function. 4) The effect of maternal cognitive empathy on preschooler's executive function was mediated by preschooler's caring behavior. 5) The effect of maternal cognitive empathy on preschooler's executive function was sequentially mediated by preschooler's caring behavior and happiness. This study revealed that maternal cognitive empathy, preschooler's caring behavior, and happiness have an important role in preschooler's executive function. Most of all, we suggest that maternal cognitive empathy should be improved to promote preschooler's executive funct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designing intervention programs to improve preschooler's executive function as well as maternal empath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