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asal continuous positive airway pressure

검색결과 37건 처리시간 0.02초

중첩증후군:만성 폐쇄성 폐질환을 가 진 폐쇄성 수면무호흡-저호흡 증후군 (Overlap Syndrome:Obstructive Sleep Apnea-Hypopnea Syndrome in Patients with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 최영미
    • 수면정신생리
    • /
    • 제15권2호
    • /
    • pp.67-70
    • /
    • 2008
  • Overlap syndrome can be defined as a coexistence of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COPD) and sleep apnea-hypopnea syndrome (SAHS). The association of COPD and SAHS has been suspected because of the frequency of both diseases. Prevalence of COPD and SAHS is respectively 10 and 5% of the adult population over 40 years of age. However, a recent study has shown that the prevalence of SAHS is not higher in COPD than in the general population. The coexistence of the two diseases is only due to chance. SAHS does not affect the pathophysiology of COPD and vice versa. Prevalence of overlap syndrome is expected to occur in about 0.5% of the adult population over 40 years of age. Patients with overlap syndrome have a more profound hypoxemia, hypercapnia, and pulmonary hypertension when compared with patients with SAHS alone or usual COPD patients without SAHS. To treat the overlap syndrome, nocturnal noninvasive ventilation (NIV) or nasal continuous positive airway pressure (nCPAP) can be applied with or without nocturnal oxygen supplement.

  • PDF

코골이 및 수면 무호흡 치료를 위한 마이크로 임프란트를 이용한 하악골 전진술 (Microimplant mandibular advancement (MiMA) therapy for the treatment of snoring and obstructive sleep apnea (OSA))

  • ;경희문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115-126
    • /
    • 2010
  • 이 증례보고는 심한 수면무호흡증으로 진단된 환자로, 다른 구강 내 OSA치료 장치와 nCPAP치료에 적응을 못하는 66세 남자 환자였다. 하악골에 2개의 교정용 마이크로 임프란트를 식립한 후, 식립 2주 후부터 구강외 고정원인 개조된 안면마스크에서 마이크로 임프란트에 힘을 가하여 하악골을 전진시켰다. 마이크로 임프란트를 이용한 하악골전진술(MiMA)은 심한 수면 무호흡환자의 AHI (apnea-hypopnea index), 코골이 및 심한 수면 무호흡증상을 개선할 수 있었다.

지속적 양압공급치료로 임상적 호전을 보인 활동성 선단거대증에 동반된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후군 1예 (Continuous Positive Airway Pressure Therapy in a Obstructive Sleep Apnea Syndrome associated with Active Acromegaly)

  • 문화식;최영미;안석주;김치홍;권순석;김영균;김관형;송정섭;박성학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2권4호
    • /
    • pp.610-617
    • /
    • 1995
  • 저자들은 활동성 선단거대증과 이로 인하여 생긴 확장형 성근병증에 의한 울혈성 심부전과 중증의 심실성 부정맥이 있는 환자에 동반된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후군을 치료하기 위하여 4개월간 지속적 영양공급치료를 시행한 예를 경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한다.

  • PDF

Comparison of minimally invasive surfactant therapy with intubation surfactant administration and extubation for treating preterm infants with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a randomized clinical trial

  • Sabzehei, Mohammad Kazem;Basiri, Behnaz;Shokouhi, Maryam;Ghahremani, Sajad;Moradi, Ali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65권4호
    • /
    • pp.188-193
    • /
    • 2022
  • Background: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RDS) is a common cause of hospitalization and death in preterm infants who require surfactant treatment and respiratory support. Purpose: This study aimed to compare the clinical outcomes of minimally invasive surfactant therapy (MIST) and the INtubation, SURfactant administration, and Extubation (INSURE) technique in preterm infants with RDS. Methods: In this clinical trial, 112 preterm infants born at 28-36 weeks of gestation and diagnosed with RDS randomly received 200-mg/kg surfactant by MIST or the INSURE method. In the MIST group, surfactant was administered using a thin catheter (5F feeding tube); in the INSURE group, surfactant was administered after intubation using a feeding tube and the tracheal tube was removed after positive pressure ventilation was started. Nasal continuous positive airway pressure was applied in both groups for respiratory support and the postprocedure clinical outcomes were compared. Results: The mean hospitalization time was shorter for infants in the MIST group than for those in the INSURE group (9.19±1.72 days vs. 10.21±2.15 days, P=0.006). Patent ductus arteriosus was less frequent in the MIST group (14.3% vs. 30.4%, P=0.041). Desaturation during surfactant administration occurred less commonly in the MIST group (19.6% vs. 39.3%, P=0.023). There were no significant intergroup differences in other early or late complications.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surfactant administration using MIST could be a good replacement for INSURE in preterm infants with RDS since its use reduced the hospitalization time and the number of side effects.

지속적 양압술과 수면중 주기적 사지운동 장애의 관계에 대한 예비적 연구 : 앙와위가 주기적 사지운동 장애와 관련되는가? (Preliminary Study of The Periodic Limb Movement Disorder Following Nasal CPAP : Is It Associated With Supine-Sleeping Position?)

  • 양창국;알렉스클럭
    • 수면정신생리
    • /
    • 제4권2호
    • /
    • pp.164-171
    • /
    • 1997
  • Introduction : Periodic limb movement disorder (PLMD) is shown to common in patients with OSA and may become evident or worsened when treated with nasal continuous positive airway pressure (CPAP). Whether this is due to im proved sleep continuity. adverse nocturnal body positioning, uncovered by CPAP, or due to the CPAP stimulus is still debat-ed. We hypothesized that the increase in PLM activity following CPAP is associated with more supine-sleeping tendencies when being treated with CPAP. In the present work, we compared differences in the PLMD index (PLMI) and sleeping position of patients with sleep disordered breathing before and after CPAP treatment. Method : We studied 16 patients (mean age 46 yr, 9M, 7F) with OSA (11 patients) or UARS (5 patients) who either had PLMD on initial polysomnogram (baseline PSG) or on nasal CPAP trial (CPAP PSG). All periodic leg movements were scored on anterior tibialis EMG during sleep according to standard criteria (net duration; 0.5-5.0 seconds, intervals; 4-90 seconds. 4 consecutive movements). Paired t-tests compared PLMD index (PLMI), PLMD-related arousal index (PLMD-ArI), respiratory disturbance index (RDI), and supine sleeping position spent with baseline PSG and CPAP PSG. Results : Ten patients (63%) on baseline PSG and fifteen patients (94%) on CPAP PSG had documented PLMD ($PLMI{\ge}5$) respectively with significant increase on CPAP PSG(p<0.05). Ten patients showed the emergence (6/10 patients) or substantial worsening (4/10 patients) of PLMD during CPAP trial. Mean CPAP pressure was $7.6{\pm}1.8\;cmH_2O$. PLMI tended to increase from baseline PSG to CPAP PSG, and significantly increase when excluding 2 outlier (baseline PSG, $19.0{\pm}25.8/hr$ vs CPAP PSG, $29.9{\pm}12.5/hr$, p<0.1). PLMD-ArI showed no significant change, but a significant decrease was detected when excluding 2 outlier (p<0.1). There was no significant sleeping positional difference (supine vs non-supine) on baseline PSG, but significantly more supine position (supine vs non-supine, p<0.05) on CPAP PSG.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PLMI during supine-sleeping and nonsupine-sleeping position on both of baseline PSG and CPAP PSG. There was also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PLMI during supine-sleeping position between baseline PSG and CPAP PSG. With nasal CPAP, there was a highly significant reduction in the RDI (baseline PSG, $14.1{\pm}21.3/hr$ vs CPAP PSG, $2.7{\pm}3.9/hr$, p<0.05). Conclusion : This preliminary data confirms previous findings that CPAP is a very effective treatment for OSA, and that PLMD is developed or worsened with treatment by CPAP. This data also indicates that supine-sleeping position is more common when being treated with CPAP. However, there was no clear evidence that supine position is the causal factor of increased PLMD with CPAP. It is, however, suggested that the relative movement limitation induced by CPAP treatment could be a contributory factor of PLMD.

  • PDF

원발성 갑상선 기능저하증과 확장형 심근증이 동반된 폐쇄성 수면무호흡증후군 1예 (A Case of Obstructive Sleep Apnea Syndrome Associated with Primary Hypothyroidism and Dilated Cardiomyopathy)

  • 유성근;박지영;백종해;박혜정;신경철;정진흥;이관호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1권6호
    • /
    • pp.590-596
    • /
    • 2001
  • 원발성 갑상선 기능저하증은 수면무호흡증후군의 원인 중 하나이다. 수면무호흡증후군 환자의 병력과 이학적 검사를 통하여 갑상선 기능저하의 가능성에 대한 충분한 평가가 필요하며, 또한 갑상선 기능저하증 환자도 수면무호흡증후군의 증상 및 가능성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그리고 본 증례와 같이 심장질환이 동반되어있을 때는 갑상선 호르몬 제재 단독투여 보다는 수면무호흡증후군에 의한 심각한 합병증을 예방하기 위하여 지속적 기도양압 치료를 동시에 적용하는 것이 좋다. 저자들은 원발성 갑상선 가능저하증과 확장형 심근증이 동반된 수변무호흡증후군 환자가 갑상선 호르몬 제재를 복용하고, 지속적 기도양압 치료적용 후 완전히 호전된 증례를 경험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 PDF

폐쇄성 수면 무호흡에서 CPAP 치료가 전신성 혈압, 심조율 및 catecholamines 농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P AP Therapy on Systemic Blood Pressure, Cardiac Rhythm and Catecholamines Concentration in Patients with Obstructive Sleep Apnea)

  • 강지호;이상학;최영미;권순석;김영균;김관형;송정섭;박성학;문화식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9권6호
    • /
    • pp.715-723
    • /
    • 2000
  • 연구배경 : 폐쇄성 수면 무호흡 증후군 환자는 수면중에 전신성 혈압의 상승과 심박동수의 현저한 변화를 보이며, 이러한 심혈관계 기능변화는 수면중 반복되는 무호흡에 의한 저산소증과 각성반응으로 인한 교감신경계 활성도 변화와 관련이 있을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지속적 기도 양압 공급(CPAP) 치료는 폐쇄성 수면 무호흡을 가장 확실하게 치료할 수 있는 방법으로 알려져 있으나 이러한 치료법이 환자들의 심혈관계 교감신경계 활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에 대해서는 명확히 알려져 있지 않다. 이에 저자들은 폐쇄성수면 무호흡 증후군 환지에서 CPAP 치료 적용시 나타나는 심혈관계 및 교감신경계 활성도 변화를 관찰하고자하였다. 방법 : 수면다원검사에서 폐쇄성 수면 무호흡 증후군으로 진단되어 CPAP 치료를 시행한 13명을 대상으로 치료 전과 후의 수면다원검사의 각 지표, 수면중 전신성 혈압, 수면중 심박동수와 부정맥, 그리고 혈장 catecholamines 농도 변화를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 수면다원검사의 각 지표중 CPAP 치료 후 무호흡-저호흡지수는 유의하게 감소하였고(p<0.01), 동맥혈 최저 산소 포화도는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1). 수면중 수축기 혈압은 치료 후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적 유의성용 없었다. 수면중 심박동수는 치료 전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심부정맥의 종류와 빈도는 치료 전에 부정맥이 관찰되었던 환자들에 있어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무호흡의 소실과 함께 동성 서맥성빈맥성부정맥은 사라졌다. 혈장 epinephrine 농도는 치료 전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혈장 norepinephrine 농도는 치료 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5). 결론 : 폐쇄성 수면 무호흡 증후군 환자에서 CPAP 치료는 수면 무호흡과 저호흡 발생을 감소시켜 수면중 저산소증 발생을 예방할 수 있었고, 수면중 혈장 norepinephrine 농도 감소를 유도하였다. 이러한 변화를 통하여 CPAP 치료는 폐쇄성 수면 무호흡 증후군 환자에게 있어 수면중 전신성 수축기 혈압의 하강 및 수면중 심부정맥의 감소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생각한다.

  • PDF

소아 폐쇄성 수면무호흡증후군 1례 (A Case of Childhood Obstructive Sleep Apnea Syndrome)

  • 신홍범;이유진;정도언
    • 수면정신생리
    • /
    • 제11권2호
    • /
    • pp.106-109
    • /
    • 2004
  • 소아의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은 흔히 편도 아데노이드 비대증으로 인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비만, 두개 악안면 기형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서도 발생할 수 있다. 소아의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은 야뇨증, 사건 수면, 행동 장애 등과 같은 다양한 합병증을 동반할 수 있다. 그 원인이 편도 아데노이드 비대증이면 수술적인 제거를 통해 증상 호전을 기대할 수 있으나 비만 등 다른 원인에 의한 것이라면 지속성 상기도양압술과 체중 감량 및 생활습관 변화를 통한 치료가 필요하다. 저자들은 편도 아데노이드 절제술 시행 후에도 심한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이 지속되고 다양한 합병증이 나타난 환아에서 상기도양압술로 무호흡 관련 증상 및 동반된 합병증의 호전을 보인 1례를 경험하였기에 보고한다.

  • PDF

전방경추융합술 후 발생한 역설상기도폐쇄 및 중추성 수면 무호흡 (Paradoxical Upper Airway Obstruction and Central Sleep Apnea Developed After Anterior Cervical Spine Fusion)

  • 이상학;최영미;박예리;강지호;김영균;김관형;송정섭;박성학;문화식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8권3호
    • /
    • pp.295-298
    • /
    • 2005
  • 전방경추융합술을 시행한 후 역설상기도폐쇄와 중추성 무호흡이 발생하였던 증례를 경험하여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환자는 48세 남자로 본원으로 전원되기 9개월 전에 5번과 6번 경추사이의 추간판탈출증으로 수술을 시행받았으며, 내원 2개월 전에는 가성관절증이 발생하여 자가골이식과 함께 전방접근법으로 5번과 6번 경추의 경추융합술을 시행받았다. 이 수술을 시행 후 환자는 코골이와 과도한 주간 졸음증, 불면증 등의 증세가 생겼으며 호흡시에 상기도부위에서 이상한 소리가 발생하였다. 코인두경 및 자기공명영상으로 호기시 코인두부위의 역설적 협착소견을 관찰할 수 있었고, 철야 수면다원검사에서 무호흡지수는 8.7/시간 (중추성 무호흡, 7.0/시간; 폐쇄성 무호흡, 1.7/시간)이었다. 경비적 지속성 기도양압치료를 시작하였으나 환자가 압력을 못견뎌하여 레이저목젖입천장성형술을 시행하였다. 수술 2개월 경과 후 무호흡과 더불어 임상증세는 현격히 호전되었다. 저자들은 이러한 역설상기도폐쇄가 비록 그 기전이 명확하지는 않지만 전방경추융합술과 관련되어 있다고 추정한다. 또한 이러한 상기도 폐쇄가 중추성 수면 무호흡을 유발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증례라고 생각한다.

최근 4년간 극소 저출생 체중아의 인공 호흡기 치료율과 경과 변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nges in Ventilator Care Rate and Outcome of Very Low Birth Weight Infants During Last Four Years)

  • 정변경;김영주;이상길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6권11호
    • /
    • pp.1073-1079
    • /
    • 2003
  • 목 적 : 1,500 gm 미만의 극소 저출생 체중아에서 호흡부전시 인공 호흡기 치료에만 의존하던 과거와는 달리 신생아 집중치료의 획기적 발전과 의료환경의 개선으로 새로운 관점에서 인공 호흡기 치료의 시도가 요구되고 있다. 저자들은 1998년부터 기관내 삽관율과 인공 호흡기 치료기간, 합병증 등의 연도별 변화가 있는지를 조사하여 향후 인공 호흡기 치료 방향에 기초적 도움을 주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1998년 1월부터 2001년 12월까지 본원 출생아로서 1,500 gm 미만의 극소 저출생 체중아이며 신생아 집중 치료실에서 입원 치료한 뒤 퇴원한 환아 274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대상아는 병력지를 기초로 재태 연령과 출생 체중을 분석하였고, 인공 호흡기 치료군에서 분만 방법과 임상 특징, 원인 질환, 인공 호흡기 설정시 초기 조건, 사용 방법, 기간, 합병증 등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 과 : 1) 연도별 재태 주수에 따른 인공 호흡기 치료 빈도의 변화 : 27-29주 미숙아의 경우 최근 4년간 인공 호흡기 치료군은 큰 변화 없이 극소 저출생 체중아의 약 76.1%에 해당되었다. 30-33주 미숙아의 경우는 최근 4년간 인공 호흡기 치료 빈도가 감소하는 추세로 1998년, 1999년에 각각 61.9%, 52.9%에서 인공호흡기 의존도를 나타냈으나 2000년에는 48.6%였고, 2001년에는 37.5%에서만이 인공 호흡기의 의존도를 나타내었다. 또한 전체 환아에서 1998년은 69.7%에서 인공 호흡기 치료를 받았으나, 2001년은 42.5%로 감소하였다 2) 인공 호흡기 치료군에서 임상적 특징 : 평균 재태 연령, 출생 체중은 큰 변화가 없었으며, 4년간 모두 반 수 이상에서 남아이고, 분만 방식으로 제왕 절개술에 의한 분만이 60% 이상이었으며, 최근 증가하는 추세이다. 원인 질환으로 중등도 신생아 호흡 곤란 증후군 단독인 경우가 60% 이상이었고, 신생아 호흡곤란 증후군과 동반된 가사 및 무호흡이 있었다 3) 인공 호흡기 치료군에서 동맥혈 가스 분석, 인공 호흡기 설정 및 호흡 지표의 변화 : $PaO_2$는 42.4-44.8 mmHg였고, 평균 기도압은 5.7-6.0 $cmH_2O$, 산소화 지수(OI)는 9.2-11.6이었으며, 인공 호흡기 치료 24-48시간 경과 후 시행한 동맥혈 가스 검사에서 $PaO_2$는 89.3-92.5 mmHg로 호전되었고, 평균 기도압은 4.4-4.7 $cmH_2O$로 낮아졌으며, 산소화 지수는 2.3-2.6 정도로 호전되었다. 4) 인공 호흡기 치료 평균 기간 : 인공 호흡기 치료 기간은 최근 4년간 뚜렷이 감소하는 추세로 7일 이상 장기간 인공 호흡기 치료를 받은 환아는 1998년에 23.9%에서 2001년에는 6.4%로 감소하였고, 4일에서 6일 동안 치료를 받은 경우는 1998년에 76.1%에서 2001년에 9.7%로 감소하였다. 또한 3일 이하의 단기간 치료를 받은 군은 1999년에 28.1%이던 것이 2001년에는 83.9%로 증가하였다. 연도별 평균 치료 기간도 1998년, 1999년에 각각 6.0일, 5.5일에서 2000년, 2001년에 3.6일, 2.7일로 감소하였다. 5) 인공 호흡기 사용 방법과 주요 합병증 : 1998년에는 HFV와 IMV에 의한 인공 호흡기 치료가 주였고, 2000부터 비강내 CPAP을 활성화 하였으며, 2001년에는 HFV와 IMV, 비강내 CPAP의 병용 사용이 35.4%로 늘어났다. 인공 호흡기 치료를 받은 환아들의 주요 합병증으로는 동맥관 개존이 가장 많았으며, 병기 3이상의 미숙아 망막증, grade III 이상의 뇌실내 출혈, 공기 누출 증후군, 만성 폐질환, 뇌실주위 백질연화증 순으로 나타났다. 결 론 : 1,500 gm 미만의 원내 출생한 극소 저출생 체중아의 경우 중증의 신생아 호흡곤란 증후군이 감소하는 추세에 있으며, 인공 호흡기 의존율과 치료 기간 역시 점차 낮아지는 경향이다. 따라서 비강내 CPAP의 조기 사용으로 기도 삽관을 통한 침습적인 인공 호흡기 치료관리 기회를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