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anoplankton

검색결과 34건 처리시간 0.021초

Netplankton과 Nanoplankton 크기별 in vivo Fluorescence의 차이 (Differences in in vivo Fluorescence Yield for Netplankton and Nanoplankton Size Classes)

  • 문창호;이승용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727-732
    • /
    • 1994
  • 식물플랑크톤의 엽록소 a 당 in vivo fluorescence 세기 (R)가 netplankton과 nanoplankton 사이에 차이가 있는지 남해에서 조사하였다. In vivo fluorescence (IVF)와 엽록소 a는 서로 다른 두 크기의 플랑크톤에서 자각 좋은 상관관계를 보였으나 비율 R은 netplankton과 nanoplankton 사이에 유의적으로 차이가 있었으며 nanoplankton의 R 값이 netplankton 보다 약 7배 높았다. 그러므로 IVF로 식물플랑크톤의 크기별 생물량을 측정할 때 R에 대한 식물플랑크톤 크기의 영향을 고려하여야한다.

  • PDF

천수만 미세플랑크톤의 상대적 중요성 : 종조성, 개체수, 클로로필 및 일차생산력 (Relative Significance of nanoplankton in Chonsu Bay: Species Composition, Abundance, Chlorophyll and Primary Productivity)

  • 신윤근;심재형
    • 한국해양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217-228
    • /
    • 1990
  • 서해 천수만에서 미세식물플랑크톤(nanoplankton)의 상대적 중요성을 연구하기 위 해 1985년 9월부터 1986년 8월까지 월별로 시료를 채집, 분석하였다. 천수만에서 등정 한 미세플랑크톤은 6문, 8강 13목 17과 25속 33종으로 구성되었다. 보편종은 Micromonas pusilla, Pedinomonas mikron, Pyramimonas grosii, Chroomonas lateralis, Pyrenomonas salina (=Chromonas salina), chroomonas sp., Cyclotella sp., Gonyaulax sp. 등과 2~5 um와 6~8 um의 구형의 단세포생물, Naviculoid form 등의 미동정 종이었다. 미세플랑크톤의 개체수는 시~공간적으로 변화가 컸으며 10월 에 최대치, 9월에 최소치를 나타냈다. 천수만은 미세플랑크톤 개체수는 일반적인 연안 해역의 미세플랑크톤 현존량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미세플랑크톤 중에서 중 요한 우점종은 2~5 um와 6~8 um의 둥근형의 단세포생물 이었다. 미세플랑크톤 클로 로필 함량은 0.81~4.78 ug/l이며, 미세플랑크톤의 일차생산력은 16.4~767.2 mgC/M-m $^2$/day로 측정되었다. 미세플랑크톤은 개체수에서 38~93%(평균 66%, 미세플랑크톤의 클로로필 함량 및 일차생산력에서 각각 25~87%(평균64%), 9~87%(평균53%)의 기여도 를 보여 20 um이하의 식물플랑크톤들이 천수만 식물플랑크톤 군집에서 중요한 위치를 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체류시간이 서로 다른 부영양 수계에서 플랑크톤군집의 생태학적 특성 (Community Structure of Plankton in Eutrophic Water Systems with Different Residence Time)

  • 이욱세;한명수
    • 생태와환경
    • /
    • 제37권3호통권108호
    • /
    • pp.263-271
    • /
    • 2004
  • 체류시간이 서로 다른 두 부영양 수계에서 미소먹이망의 생태학적 정보를 파악하고자, 기초적 환경요인과 bacterioplankton 및 nanoplankton의 현존량 및 탄소생체량을 각각 조사하였다. 조사기간동안 두 수계 공히 강우는 주로 7월에서 9월에 집중하였으며, 수온 역시 큰 차이는 없었다. 두 수계의 플랑크톤 군집은 공히 저온기 동안에는 비교적 세포크기가 큰 nanoplankton이 우점한 반면, 고온기 동안에는 소형 bacterioplankton이 높은 현존량을 나타냈다. 그러나 비교적 수계가 안정된 석촌호수에서는 강우에 큰 영향을 받지 않은 반면, 경안천에서 nanoplankton은 현존량은 물론 탄소생체량의 다양한 변화를 보였다. 두 수계의 미세먹이망은 석촌호수에서는 박테리아와 phytoplankton 또는 cyanobacteria간에 밀접한 분포 관계를 보인 반면, 경안천에서는 박테리아와 protist 사이에 뚜렷한 먹이관계를 보였다. 또한 경안천에서 개체수와 탄소생체량간의 비대칭적인 현상이 뚜렷하였다. 따라서 경안천의 미세먹이망은 수온이나 영양물질보다 강우에 의한 빠른 체류시간에 의해 강하게 영향을 받고 있지만, 안정된 수계에 비해 bacterioplankton보다 nanoplankton들의 높은 성장과 종 다양성을 유도하였다.

Fluctuation Rates of Phytoplankton Assemblages by Passage through Power Plant Cooling System

  • Kang, Yeon-Shik;Lim, Ju-Hwan;Jeong, Yeon-Tae;Jeon, In-Sung
    • 환경생물
    • /
    • 제30권3호
    • /
    • pp.173-184
    • /
    • 2012
  • In order to investigate the fluctuation rates [FR] of phytoplankton after passage through a cooling system, the standing crops, chlorophyll a concentrations and carbon assimilation number of phytoplankton were surveyed at intake and outlet at Wolsong nuclear power plant [NPP] from July 2006 to June 2008. As a result, the total mean standing crops of phytoplankton were $1.0{\times}10^6\;cells\;L^{-1}$ and $7.3{\times}10^5\;cells\;L^{-1}$ at intake and outlet, respectively. The FR of phytoplankton by passage through the cooling system [PTCS] was 27.0%. Among them, the FR of microplankton and nanoplankton were 34.1% and 12.4%,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FR of diatoms and dinoflagellateswere 33.9% and 29.7%, respectively. These results showed the entrainment effects on microplankton and diatoms by PTCS were higher than those of nanoplankton and dinoflagellates. The FR of total chlorophyll a concentrations were 54.4%, and the FR of microplankton, nanoplankton and picoplankton were 58.9%, 38.5%, and 52.4%, respectively. So the entrainment effects on microplankton by PTCS were higher than those of nanoplankton and picoplankton. The mean FR of carbon assimilation number of phytoplankton was 57.6%, and the seasonal variations of FR of carbon assimilation number ranged from 47.5% to 76.8%. Our results indicated that the phytoplankton species responded differently to power plant operating conditions such as elevated temperature, chlorination, and mechanical impacts.

천수만 일차생산자의 생물량 -식물플랑크톤 탄소량과 세포개체수 및 클로로필과의 관계- (Biomass of Primary Producer in the Ch$\check{o}$nsu Bay -Relationships between Phytoplankton Carbon, Cell Number and chlorophyll-)

  • 심재형;신윤근
    • 한국해양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194-205
    • /
    • 1989
  • 일차생산자의 생물량을 연구하기 위해 천수만에서 1985년 9월부터 1986년 8월까지 월별로 채집된 식물플랑크톤의 체적으로부터 계산한 식물플랑크톤의 탄소량은 $26.7-960.7{\mu}gC/l$의 분포를 보이며 월 평균 탄소량은 $58.6-684.7{\mu}gC/l$(연 평균 $208.5{\mu}gC/l$) 범위의 변화를 보인다. 식물플랑크톤 탄소량과 세포 개체수 및 클로로필 농도의 상호 관계를 분석한 결과, net plankton(> $20{\mu}m$)에서는 탄소량, 개체수 및 클로로필 상호간의 상관 관계가 밀접하게 나타나 이들 상호 관계가 주로 net plankton에 의해 좌우됨을 보여주고 있으며, nanoplankton(< $20{\mu}m$)의 경우, 상관 관계가 낮게 나타났는데 이는 nano-fraction이 제거하지 않은 picoplankton(< $2{\mu}m$)을 상당량 포함하고 있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중회귀 분석 결과 또한 식물플랑크톤 탄소량, 개체수 및 클로로필 상관 관계가 주로 net plankton에 의해 좌우되고 있음을 나타낸다. C/Chl-a 비율은 9.1-100.5의 범위로 변화폭이 큰데 net plankton의 C/Chl-a 평균 비율은 111, nanoplankton의 비율은 6.4로 나타났다. Net plankton의 비율은 높은 시기에는 C/Chl-a값이 높은 반면 nanoplankton비율이 높은 시기에는 기 값이 낮게 나타나는 것으로 보아 C/Chl-a 비율을 변화시키는 주요인은 식물플랑크톤의 크기인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 결과 C/Chl-a값의 변화 폭이 크기 때문에 클로로필에 일정 비율을 적용하여 탄소량을 추정하는 방법은 연안생태계에서 적절치 못한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옥계만 단일정점에서 극미소 및 미소플랑크톤의 시간적 분포 (Temporal Distribution of Pico- and Nanoplankton at a Station in Okkye Bay)

  • 이원재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6권7호
    • /
    • pp.855-863
    • /
    • 2007
  • In order to understand the temporal distribution of pico- and nanoplankton and factors controlling its distribution at a station in Okkye Bay of Masan Bay located in the southern part of Korea, this study was conducted on two weeks interval from April 2005 to April 2006, and several abiotic and biotic factors were measured. During the study, picoplankton consisted of picoflagellates, cyanobacteria and heterotrophic bacteria, and nanoplankton consisted of nanoflagellates excluding dinoflagellates. The concentration of chlorophyll-a (chl-a) was a mean of $4.33\;{\mu}g/L$, and the nanoplanktonic ($<20\;{\mu}m$) chl-a size fraction was a mean of 39.5 % and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water temperature. The abundances of cyanobacteria and photosynthetic flagellates (PF) were means of $24.4{\times}10^{3}\;cells/mL\;and\;2.87{\times}10^{3}\;cells/mL$, respectively. The contribution of picoflagellates to the PF abundance varied among the sampling occasions and was a mean of 29 %, but to the PF carbon biomass was 2.6 % only. The PF abundance had significant relationships with water temperature, and silicate and TIN concentrations, suggesting that the PF abundance seemed to be primarily bottom-up regulated. The abundance of heterotrophic bacteria was a mean of $3.18{\times}10^{6}\;cells/mL$ and unlike other ecosystems it did not have relationships with chl-a and heterotrophic flagellates (HF), suggesting that bacterial abundance did not seem to be bottom-up or top-down regulated. HF mostly consisted of cells less than $5{\mu}m$ and its abundance was a mean of $2.71{\times}10^{3}\;cells/mL$. Of the HF abundance, picoflagellates occupied about 31 %, and occupied about 9 % of the HF carbon biomass. HF grazing activity on heterotrophic bacteria was relatively low and removed about 10 % of bacterial abundance, suggesting that HF might not be major consumers of bacteria and there seems to be other consumers in Okkye Bay. These results suggest that Okkye Bay may have a unique microbial ecosystem.

발전소 주변해역 식물플랑크톤의 군집 특성 (Characteristics of Phytoplankton Communities in the Coastal Waters of Power Plant)

  • 강연식
    • ALGAE
    • /
    • 제23권1호
    • /
    • pp.31-52
    • /
    • 2008
  • This study analyzes characteristics of phytoplankton communities around Wolseong nuclear power plant by selecting 16 stations from July 2006 to June 2007 and understands the influences on standing crops and chlorophyll a of phytoplankton by passing through the cooling water system. The total species number is 283, among which diatoms is 208 occupying 73.5% of total taxa. The mean of total standing crops is 469,380-3,704,114 cells L-1. It is the highest in April 2007 because blooming of Chaetoceros socialis occurs during this period. The mean standing crops of microplankton and nanoplankton are average 129,666-3,392,640 cells L-1 and 240,943-650,505 cells L-1 respectively, which occupy 54.01% and 46.54% of total standing crops. The mean concentrations of total chlorophyll a is 0.64-5.39 μg L-1. The mean concentrations of chlorophyll a of microplankton, nanoplankton and picoplankton are 1.33 μg L-1, 0.21 μg L-1 and 0.49 μg L-1 respectively. Dominant species around Wolseong neclear power plant during this study are Chaetoceros debilis, Chaetoceros socialis, Leptocylindrus danicus, Pseudo-nitzschia fraudulenta, P. subfraudulenta and Thalassiosira decipiens. Fluctuation rates of standing crops and chlorophyll a concentrations of phytoplankton passing through the cooling water system are 22.80% and 50.48% respectively. Decrease of standing crops and chlorophyll a concentrations of phytoplankton means that community structure of phytoplnakton may change at the discharge areas.

Spatial distribution of phytoplankton in Gamak Bay in spring, with emphasis on small phytoplankton

  • Yeongji Oh;Yoonja Kang
    • 환경생물
    • /
    • 제40권4호
    • /
    • pp.374-386
    • /
    • 2022
  • Phytoplankton communities, with emphasis on picoplankton and nanoplankton, were investigated in Gamak Bay, South Korea, where freshwater input and coastal water intrusion shape ecosystem functions. Shellfish farms and fish farms are located in the inner bay and outer bay, respectively, and tides translocate uneaten food and urine production from aquaculture farms toward the inner bay. Water masses were distinctly different based on a significantly different density between the surface and bottom layer and among three water masses, including the inner bay, outer bay, and Yeosu Harbor. Phytoplankton communities were quantified using flow cytometry and size-fractionated chlorophyll-a (chl-a) was measured. Salinity was a principal variable separating phytoplankton communities between the surface and bottom layer, whereas Si(OH)4 controlled the communities in the inner bay, and NH4+ and PO43- governed the outer bay communities. While phycocyanin-containing (PC) cyanobacteria dominated in the outer bay, phycoerythrin-containing (PE) cyanobacteria dominance occurred with cryptophyte dominance, indicating that nutrients affected the distribution of pico- and nanoplankton and that cryptophytes potentially relied on a mixotrophic mode by feeding on PE cyanobacteria. Interestingly, picoeukaryotes and eukaryotes larger than 10 ㎛ were mostly responsible for the ecological niche in the western region of the bay. Given that chl-a levels have historically declined, our study highlights the potential importance of increased small phytoplankton in Gamak Bay. Particularly, we urge an examination of the ecological role of small phytoplankton in the food supply of cultivated marine organisms.

인천권 폐쇄 해양생태계 식물플랑크톤의 생물량과 일차생산력 (Fluctuation of Phytoplankton Biomass and Primary Productivity in Closed Marine Ecosystem, Inchon Dock)

  • 유종수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35권4호
    • /
    • pp.323-332
    • /
    • 1992
  • 인천항 폐쇄 해양상태계에서 식물플랑크톤의 생물량과 일차생산력을 측정하기 위하여 1990년 8월부터 1991년 12월까지 시료를 채집, 분석하였다. 식물플랑크톤의 생물량을 chlorophyll-a로 분석한 결과 총 엽록소량은 $1.61-28.67\;\mu\textrm{g}$ Chl-a/l였는데 이 중 nanoplankton($2-20\;\mu\textrm{m}$)은 조사 시기와 정점에 따라 총 엽록소량의 19.0-82.3%를 차지하였고, picoplankton($0.2-2\;\mu\textrm{m}$)은 4.5-51.4%를 차지하였다. 한편, $^{14}C$ method를 이용한 식물플랑크톤에 일차생산력을 $49.4-4359.4\;mg\;C{\cdot}m^{-2}{\cdot}day^{-1}$로 측정되었는데, 이 중 미세플랑크톤($20\;\mu\textrm{m}$)의 기여율은 18.8-94.6%여서 세포 크기가 작은 개체군의 생물량과 생산력이 전체 식물플랑크톤 군집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식물플랑크톤 생물량의 월변호를 보면 3월에 1차 대발생이 일어났고 8월에 2차 대발생이 일어났다. 식물플랑크톤에 의한 실소요구량은 동계에 $0.7\;mg\;at-N{\cdot}m^{-2}{\cdot}day^{-1}$에서 하계에 $60.7\;mg\;at-N{\cdot}m^{-2}{\cdot}day^{-1}$로 증가하였고 질소계 영양염에 대한 회전시간(turnover time)은 동계에 149.9일에서 하계에 1.0일이여서 하계에 질소 이용율이 매우 빨라짐을 알 수 있었다. 동화수(assimilation number)는 하계에 증가하고 동계에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 PDF

대청호에서 식물플랑크톤 크기에 따른 엽록소 농도의 계절적 변화 (Seasonal Fluctuation of Chlorophyll a Concentration in the Size Fractionation of Phytoplankton in Daechung Reservoir)

  • 문종전;이상욱;황순진;오인혜
    • 생태와환경
    • /
    • 제34권4호통권96호
    • /
    • pp.277-284
    • /
    • 2001
  • 여러 지역의 호소환경에서 picoplankton이 중요한 일차 생산자로 보고되고 있는데 대청호에서 이를 조사하기 위하여 1998년 9월부터 1999년 9월까지 식물플랑크톤 크기에 따른 엽록소 농도의 계절적 변화를 조사하였다. $200\;{\mu}m$이하의 식물플랑크톤은 대전취수탑에서 $0.7{\sim}36.9\;{\mu}g/l$, 만입부에서 $0.5{\sim}23.5\;{\mu}g/l$회남대교에서 $1.9{\sim}20.1\;{\mu}g/l$ 대청댐에서 $0.5{\sim}17.4\;{\mu}g/l$이었는데, 조사지점 4곳에서 모두 9월에 최대치를 나타내었으며 그 이후는 서서히 감소되어 $4{\sim}6$월에 최소값을 보이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계절에 따른 엽록소 농도의 크기별 조성비율을 보면, 연중 microplankton과 nanoplankton 조성비율은 큰 변이를 보였는데, 회남 대교를 제외한 조사지역 3곳에서 $6{\sim}10$월에는 microplankton의 비율이 높았으나 3월에는 조성비율이 매우 낮은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조사지역 4곳 모두에서 picoplankton은 연중 $2.0{\sim}24.3%$로 거의 일정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