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권 폐쇄 해양생태계 식물플랑크톤의 생물량과 일차생산력

Fluctuation of Phytoplankton Biomass and Primary Productivity in Closed Marine Ecosystem, Inchon Dock

  • 발행 : 1992.12.01

초록

인천항 폐쇄 해양상태계에서 식물플랑크톤의 생물량과 일차생산력을 측정하기 위하여 1990년 8월부터 1991년 12월까지 시료를 채집, 분석하였다. 식물플랑크톤의 생물량을 chlorophyll-a로 분석한 결과 총 엽록소량은 $1.61-28.67\;\mu\textrm{g}$ Chl-a/l였는데 이 중 nanoplankton($2-20\;\mu\textrm{m}$)은 조사 시기와 정점에 따라 총 엽록소량의 19.0-82.3%를 차지하였고, picoplankton($0.2-2\;\mu\textrm{m}$)은 4.5-51.4%를 차지하였다. 한편, $^{14}C$ method를 이용한 식물플랑크톤에 일차생산력을 $49.4-4359.4\;mg\;C{\cdot}m^{-2}{\cdot}day^{-1}$로 측정되었는데, 이 중 미세플랑크톤($20\;\mu\textrm{m}$)의 기여율은 18.8-94.6%여서 세포 크기가 작은 개체군의 생물량과 생산력이 전체 식물플랑크톤 군집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식물플랑크톤 생물량의 월변호를 보면 3월에 1차 대발생이 일어났고 8월에 2차 대발생이 일어났다. 식물플랑크톤에 의한 실소요구량은 동계에 $0.7\;mg\;at-N{\cdot}m^{-2}{\cdot}day^{-1}$에서 하계에 $60.7\;mg\;at-N{\cdot}m^{-2}{\cdot}day^{-1}$로 증가하였고 질소계 영양염에 대한 회전시간(turnover time)은 동계에 149.9일에서 하계에 1.0일이여서 하계에 질소 이용율이 매우 빨라짐을 알 수 있었다. 동화수(assimilation number)는 하계에 증가하고 동계에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Chlorophyll-a concentrations of phytoplankton and primary productivities in closed marine ecosystem, Inchon Dock, were measured and analyzed monthly from August, 1990 to December, 1991. Chlorophyll-a concentrations ranged from 1.61 to $28.67\;\mu\textrm{g}\;Chi-a/I$, where nanoplankton ($2-20\;\mu\textrm{m}$) fractions contributed in 19.0-82.3% and picoplankton ($0.2-2\;\mu\textrm{m}$) fractions in 4.5-51.4%. Primary productivities measured by $^{14}C$ method ranged from 49.4 to $4359.4\;mg\;C{\cdot}m^{-2}{\cdot}day^{-I}$, where nanoplankton ($20\;\mu\textrm{m}$) contributed in 18.8-94.6%. These results implied that very tiny cell-sized phytoplankton populations were important in point of chlorophyll-a concentration and primary productivity of phytoplankton community. In monthly variations of chlorophyll-a concentration by phytoplankton, the first peak occurred in March and the second in August. Nitrogen requirement by phytoplankton ranged from 0.7 to $60.7\;mg\;at-N{\cdot}m^{-2}{\cdot}day^{-I}$ and the turnover time of inorganic nitrogen showed maximum during winter and minimum in summer. Carbon assimilation number increased in summer and decreased in winter.winter.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