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aked barley starch

검색결과 27건 처리시간 0.017초

쌀보리 전분의 이화학적 성질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naked barley starches)

  • 송은;신말식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4권2호
    • /
    • pp.94-101
    • /
    • 1991
  • 멥쌀보리(늘쌀보리, 무등쌀보리, 새쌀보리) 전분과 찹쌀보리(수원 236호) 전분의 이화학적 성질을 비교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멥쌀보리와 찹쌀보리 전분 입자의 모양은 둥근형이었으며, X선회절도에 의한 전분의 결정형은 전형적인 A형이었다. 물결합 능력, 팽윤력, 용해도는 찹쌀보리 전분이 멥쌀보리 전분보다 높게 나타났다. 0.1% 전분 현탁액의 광투과도는 찹쌀보리 전분의 경우 $60^{\circ}C$ 이후부터 급격히 증가하였고, 멥쌀보리 전분은 $65^{\circ}C$이후부터 서서히 증가하였다. 아밀로그라프에 의한 호화개시온도는 찹쌀보리 전분이 $62.5^{\circ}C$, 멥쌀보리 전분이 $68.2-73.5^{\circ}C$였다. DSC에 의한 호화 엔탈피는 멥쌀보리 전분이 1.12-1.58cal/g, 찹쌀보리 전분이 0.85cal/g 으로 나타났다.

  • PDF

Relationship of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Ethanol Yield of Korean Barley (Hordeum vulgare L.) Cultivars

  • Lee, Mi-Ja;Kim, Yang-Kil;Park, Jong Chul;Kim, Young-Jin;Kim, Kyeong-Hoon;Choi, Induck;Choi, Jae-Seong;Kim, Kee-Jong;Kim, Hyung-Soon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7권4호
    • /
    • pp.401-408
    • /
    • 2012
  • The grain and agronomic characteristics of Korean barley cultivars were investigated with respect to ethanol yield. Test weight, grain yield, and starch yield showed noticeable variation among the cultivars. Grain yields were higher in covered barley and non-waxy barley. Starch yield was higher in non-waxy barley than waxy barley. Protein, ${\beta}$-glucan, and starch content of tested cultivars ranged in 10.0-12.9%, 4.4-7.5% and 49.7-65.3%, respectively. Naked barley cultivar had higher starch content than covered barley cultivar. However, covered barley had high starch yield because it has higher grain yield than naked barley. Covered barley cultivar had higher husk content, ranging 7.6-14.0%, than that of naked barley cultivar, ranging 5.3-8.0%. Starch content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amylose content, test weight, ethanol yield and negatively correlated with protein, husk, ${\beta}$-glucan content. Ethanol yield per ton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starch content, but negatively correlated with husk content. Ethanol yield per hectare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starch yield, grain yield, grain weight and negatively correlated with protein, test weight. From this research, the important characteristics of barley cultivar as a bioethanol producing material were starch content and grain yield. Optimum barley genotype was non-waxy naked barley that had low protein, ${\beta}$-glucan, husk content, and high starch content and grain yield.

맥분(麥粉)의 이용(利用)에 관한 연구(硏究) (I) (Studies on the Utilization of Naked Barley Flour (I))

  • 김형수;이기열;최이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77-83
    • /
    • 1972
  • 맥분(麥粉)의 가공적성(加工適性)을 알아보기 위해서 나맥(裸麥) Sedohadaka(1971년도(年度) 수확(收穫), 전남지방산(全南地方産))을 정맥(精麥)한 후 다시 제분(製粉)하여, 이것의 일반성분(一般成分) 및 아미노산조성(酸組性)과 점성(粘性), 팽화력(膨化力) 나맥전분(裸麥澱粉)의 amylose 함량(含量), 이것의 alkali number와 blue value, 및 X 선회절상(線廻折像)을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조나맥(粗裸麥)을 81.6%, 79.2%, 74.1%로 제분(製粉)하는 경우 조섬유(粗纖維)의 함량(含量)이 $2.48{\sim}2.36%$로서 소맥분(小麥粉)에 비해서 높은 편이다. 2) 나맥분(裸麥粉)의 호화개시온도(糊化開始溫度)는 소맥분(小麥粉)과 비슷하였으나 나맥전분(裸麥澱粉)의 그것은 $89.5^{\circ}C$로 곡류전분중(穀類澱粉中)에서 높은 편이다. 나맥전분(裸麥澱粉)의 amylose 함량(含量)은 28.5%로 소맥전분(小麥澱粉)과 비슷하였다. 3) 나맥분(裸麥粉)의 팽화력(膨化力)은 곡류전분(穀類澱粉)보다 낮은 편이다. 4) 나맥전분(裸麥澱粉)의 X 선회절도(線回折圖)에 의하면 그 결정화도(結晶化度)가 멥쌀전분보다 낮은 경향이다.

  • PDF

보리전분(澱粉)의 특성(特性)에 관(關)한 연구(硏究) I. 보리전분(澱粉)의 입경분포(粒經分布), Amylose 함량(含量), Blue value에 대하여 (Studies on the Properties of Barley and Naked Barley Starch I. On the size frequency distribution of starch granules, amylose contents and blue value of starch)

  • 김용휘;김형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30-35
    • /
    • 1974
  • 보리전분(澱粉)의 품종별(品種別) 특성(特性)을 알아보기 위하여 1972년도 전북농촌진흥원(全北農村振興院)에서 재배한 겉보리 11개 품종(品種)과 쌀보리 13개 품종(品種)을 재료(材料)로 사용하여 전분(澱粉)이 입경분포(粒經分布), amylose 함량(含量), blue value 등을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보리전분입자(澱粉粒子)는 단경(短經)과 장경(長經)의 비(比)가 1 : 1.2정도 되는 단타원형(短楕圓形)이고 평균입경(平均粒經)이 $4.0{\sim}6.0\;{\mu}$에서 $32.0{\sim}37.0\;{\mu}$의 크기를 갖는 입자(粒子)들이 분포(分布)하며 쌀보리는 $18{\mu}$에서 $22{\mu}$의 중립(中粒)이 전체(全體)의 34%, 겉보리는 $16{\mu}$에서 $20{\mu}$의 것이 약 50%를 점유(占有)하고 있었다. 겉보리보다 쌀보리의 평균입경(平均粒經)이 약간 크고 품종간(品種間)에도 약간의 차이(差異)가 있었다. 2) Amylose함량(含量)은 27.5%에서 30.5% 사이에 분포(分布)하고 일반적으로 겉보리(평균 29.4%)가 쌀보리(평균 28.2%) 보다 높았다. 겉보리 중에서는 하가네무기가 높고 밀양 3호, 바소이등이 낮았으며 쌀보리 중에서는 아이주하다가가 겉보리와 비슷하게 높고 방주, 광계 33호가 낮은 값을 나타내고 있었다. 기타 나머지 품종(品種)들은 평균치(平均値)와 비슷하였다. 3) Blue value는 0.47에서 0.54 사이에 분포(分布)하고 그 평균치(平均値)는 0.51이었으며 겉보리와 쌀보리 간(間)에 큰 차이(差異)가 없었다. 겉보리 중에서는 밀양 6호, 밀양 4호, 밀양 7호, 삼덕, 수원 18호 등이 평균치(平均値)보다 높고 대개가 낮았으며 쌀보리 중에서는 청맥, 기까이하다가, 아이주하다가 등이 높고 완주 봄쌀보리, 방주등이 낮은 값을 나타내고 있다. 나머지 품종(品種)들은 평균치(平均値)와 비슷하였다.

  • PDF

보리전분(澱粉)의 특성(特性)에 관한 연구(硏究) 제2보 보리 전분(澱粉)의 호화온도(糊化溫度) 및 Alkali 수(數)에 대하여 (Studies on the Properties of Barley and Naked Barley Starch Part II. On the Gelatinization Temperature and Alkali Number of Starch)

  • 김용휘;김형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42-46
    • /
    • 1976
  • 보리전분(澱粉)의 품종별(品種別) 특성(特性)을 알아보기 위하여 겉보리 11개 품종(品種)과 쌀보리 13개 품종(品種)에서 분리(分離)한 전분(澱粉)의 호화온도(糊化溫度) 및 Alkali수(數)를 측정(測定)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시료(試料) 전분(澱粉)의 호화개시온도(糊化開始溫度) 및 완료온도(完了溫度)는 각각(各各) $51{\sim}59^{\circ}$$58{\sim}64^{\circ}C$ 사이에 분포(分布)하고, 쌀보리의 평균치(平均値)$(52.9{\sim}62.6^{\circ}C)$가 겉보리의 평균치(平均値)$(50.8{\sim}59.0^{\circ}C$보다 약 $3^{\circ}C$ 높고, 품종간(品種間)에도 약간의 차이(差異)를 나타내고 있다. 2. 호화(糊化) 진행(進行) 중 전온도(全溫度) 범위(範圍)에 걸쳐 겉보리가 쌀보리보다 동일(同一) 온도(溫度)에서의 호화(糊化) 비율(比率)이 항상 크다. 3. 알칼리수는 모두 8.0에서 9.5 사이에 분포되어 있고 겉보리와 쌀보리 간에는 평균값이 각각 8.8 및 8.7으로서 별차이(別差異)가 없다.

  • PDF

쌀보리 전분의 첨가가 수리미 혼합물의 3D 프린팅 적합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Naked Barley Starch on Properties of Fish Surimi Mixture for 3D Printing)

  • 이하영;유현지;이상민;나현식;김동현;서고운;고창현;박선우;최형욱;최예진;조미정;김동우;안동현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7권2호
    • /
    • pp.109-115
    • /
    • 2024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various naked barley starch contents (0, 0.67, 1.34, 2.0, and 2.67 wt%) in surimi mixtures for 3D printing. Adding starch to surimi altered its texture, potentially reducing production costs. Unheated surimi became less firm with higher starch content. After heating, there was an increase in hardness, adhesiveness, springiness, cohesiveness, gumminess, chewiness, and resilience, peaking at 1.34 wt% starch. Compared to the negative control, starch-added heated surimi had a tougher texture. The color values (L*, a*, and b*) decreased after heating, with no significant change in shearing force with increasing starch content. Sensory evaluation indicated improved smell, texture, hardness, elasticity, and preference over the negative control. Higher starch content increased hardness for 3D printing suitability with no significant difference above 1.34 wt% starch indicating this is the most appropriate content. Naked barley starch enhanced surimi strength without affecting smell and preference, suggesting it as a potential surimi additive.

쌀보리의 전분지방질에 관한 연구 (Lipid Class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Starch-Lipid in Naked Barley)

  • 김혜경;최홍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515-520
    • /
    • 1989
  • 쌀보리 전분에서 유리 및 결합지방질을 추출하여 이들을 중성 당 인지방질 등으로 분획, 정량하고 다시 이 분획된 성분들의 구성지방질들을 분별 정량한 다음 각 지방질들의 지방산 조성을 분석하였다. 유리지방질에서는 중성 당 인지방질의 함량이 각각 69.9%, 27.3%, 2.8%였고, 결합지방질에서는 $34.9{\sim}54.6%,\;30.0{\sim}45.5%,\;15.4{\sim}19.6%$였다. 중성지방질 성분 중 대부분을 차지하는 것은 트리글리세리드$(70.4{\sim}82.4%)$이었고 이외 유리지방산$(8.4{\sim}26.2%)$ 그리고 소량의 esterified sterol과 free sterol로 구성되어 있었다. 당지방질에서는 $87{\sim}91%$의 monogalactosyl-diglycerides가 주요 성분이었으며 그외 소량의 digalactosyl-diglycerides $(0.8{\sim}4.2%)$, corebrosides$(1.8{\sim}4.4%)$, steryl glycosides$(3.1{\sim}5.9%)$로 구성되어 있었다. 그리고 인지방질 성분에서는 유리, 결합지방질 모두 lysophosphatidyl choline $(26.8{\sim}30.8%)$과 diphosphatidyl glycerols $(33.6{\sim}40.4%)$의 함량이 많았으며, 그외 $12.1{\sim}21.2%$의 phosphatidyl choline & phosphatidyl serine, $7.1{\sim}9.9%$의 phosphatidyl glycerol로 구성되어 있었다. 중성지방질의 주요 지방산은 팔미트산$(15.2{\sim}47.3%)$, 리놀레산$(23.0{\sim}68.3%)$였으며 당지방질에서도 대부분을 구성하는 지방산은 팔미트산$(22.7{\sim}39.8%)$과 리놀레산$(30.2{\sim}63.1%)$이었다. 특히 당지방질의 유리지방질에서는 결합지방질에 비해 미리스트산, 스테아르산의 함량이 많은 것이 특징적이었다. 인지방질의 지방산 조성도 함량면에서는 차이가 나지만 대부분 팔미트산과 리놀레산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 PDF

Inheritence, linkage and Possible Use of Fractured Starch Mutant in Barley (Hordeum Vulga L.)

  • Chung, Tae-Young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3권3호
    • /
    • pp.151-157
    • /
    • 2001
  • In order to breed barley lines with reduced viscosity of wort, a fractured starch mutant of naked barley cultivar, Nubet, was obtained from the M2 seeds mutated by the diethyl sulfate treatment. Seeds of this fractured starch mutant were opaque and the endosperm consists of angular, irregular and fractured starch. The mutant was caused by single recessive mutation and assigned by the symbol fra. The gene was located on chromosome 4, distal in long arm by linkage recombinations using translocation homozygote lethal test set. The linkage value between the fractured starch mutant and 72-4a, 72-4d were 26.0$\pm$4.9, 34.2$\pm$3.1 percent respectively. In addition to the reduced seed size, fewer kernels per spike and higher tillering ability, lower $\beta$-glucan viscosity and higher lysine content of the grain were associated with this mutant. $\beta$-glucan viscosity of the Nubet grains increased from 3 weeks after anthesis to matury and most of the viscose substances appeared to be stored in the middle of the endosperm tissue. Since the mutant grains showed better milling property as compared to Nubet, it can be used as breeding resources to develope new barley cultivars for maltins and milling purpose.

  • PDF

쌀보리 전분의 입자 크기별 이화학적 성질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large and small granules of naked barley starches)

  • 오금순;강길진;김관;김성곤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5권1호
    • /
    • pp.10-13
    • /
    • 1992
  • 쌀보리 3품종의 전분을 큰 입자$(17{\sim}34$ 미크론)와 작은 입자$(4{\sim}20$ 미크론)로 분리하고 이들의 성질을 비교하였다. 작은 입자의 수는 새쌀보리가 62%, 늘쌀보리와 무등쌀보리는 75%였다. 전분의 일반성분과 물결합 능력은 큰 입자가 가장 낮았고, 청색도 값은 작은 입자가 낮은 값을 보였다. 팽윤력과 용해도는 입자별로 큰 차이가 없었고, 고유점도는 큰 입자가 작은 입자 보다 높았다. X-선 회절도는 큰 입자와 작은 입자 사이에 차이가 없었다. 알칼리에 의한 점도는 큰 입자가 높았고 복굴절성의 소실에 의한 호화 온도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 PDF

쌀보리의 무증자 Alcoho 효소에 관한 연구 (Alcohol Fermentration of Naked Barley without Cooking)

  • 오평수;차두종;서항원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4권5호
    • /
    • pp.415-420
    • /
    • 1986
  • 주정효소의 전분질 원료인 쌀보리 (Naked barley)에 대한 분해, 당화작용이 강한 maceration enzyme 및 glucoamylase 를 검토하고 이 효소들을 이용한 무증자 alcohol효소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이 효소들은 곰팡이 기원의 조효소제로서 쌀보리입자의 maceration 작용이 강하였고 생전분 분해력은 pH4.5, 온도 3$0^{\circ}C$, 76시간에서 70% 이상되었다. 또한 황산을 요에 대하여 0.15%(w/v)되도록 가하고 55$^{\circ}C$에서 2시간 동안 침지한 후 이 효소들을 처리하여 무증자 alcohol 발효를 행한 경우, 3$0^{\circ}C$, 96시간 발효에서 alcohol 농도가 10.8%, 발효 효율이 89.5%로서 증자 alcohol 발효에 비해 고농도의 alcohol이 생성되었고 약 3.5% 정도의 효율증가를 나타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