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akdonggang River

검색결과 63건 처리시간 0.027초

다변하천평가기법의 적용을 통한 부산시 도시하천 평가연구 (A Study on Urban Streams in Busan through Application of Multilateral Stream Assessment)

  • 신현석;신동수;손태석;강두기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235-244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ffer information about the current river conditions and basic data of streams in Busan city, by selecting 20 underground streams and evaluating their multilateral stream assessment. Concerning the evaluation of streams, 4 sections including the general index, the bank index, the river characteristic index, and the ecological environment characteristic index were evaluated. Ahead of the evaluation, the study divided Busan city into 4 zone for a systematic river investigation. Then, the study allocated code names to each river, and conducted literature research and a field survey of streams. Based on this, the study applied the evaluation of multilateral stream assessment. As a result, out of 4 entire grades, there was no grade 1 or grade 2. Instead, 35% were grade 3, 60% were grade 4, and 5% were grade 5. When looking into the evaluation results by Zone, the Dongbusan Zone showed the highest index, and the Suyeonggang Zone, the Jungbusan Zone, and the Nakdonggang Zone followed, in order.

낙동강하구 시범개방에 따른 수변식생 모니터링 및 건강성 평가 (Riparian Vegetation Monitoring and Health Assessment by Pilot Opening of Nakdonggang River Estuary)

  • 최현구;김화영;이준열;손병용;이지영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6권5호
    • /
    • pp.445-459
    • /
    • 2022
  • 본 연구는 낙동강하굿둑 개방으로 인한 하구 인근의 식생 변화를 모니터링하기 위해서 현재 식생에 대해서 조사하고, 하구수변식생평가지수를 통해서 식생의 건강성을 평가하였다. 장기모니터링의 첫 번째 조사로 낙동강하구 인근의 6개 구역에 대해서 2021년 7월과 10월 2차례 수행하였으며, 식생모니터링 및 수생식물, 수변식물, 육상식물의 종조성, 분포밀도 조사를 진행하였다. 조사구역 내에서 확인된 관속식물은 82과 192속 230종 1아종 28변종 3품종 262분류군으로 파악되었다. KREVI를 통한 식생건강성 평가 결과는 1, 6번 구역이 두 차례 조사에서 모두 '매우 좋음' 등급이었고, 2, 4번 구역은 '매우 좋음'에서 '좋음'으로 2차 조사결과가 낮게 산정되었으며, 3, 5번 구역은 1차 조사에 비해 2차 조사결과가 1등급 상향되었다. 조사구역 대부분의 건강성 등급이 대체로 높게 평가되었다. 기수역 조성을 위한 수문개방 후 잠재자연식생의 대부분은 갈대군락으로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되며, 수역과 인접한 버드나무군락의 경우 다소 면적이 좁아질 수 있으나 군락 형태를 유지하고, 염분농도가 매우 낮은 내륙지역 담수역의 경우 갈대가 대부분을 차지하며, 일부 물억새, 부들 등의 군락이 분포할 것으로 사료된다. 장기모니터링을 통해 이런 예상되는 변화를 관찰하며, 건강한 기수역이 조성될 수 있도록 하굿둑 개방 운영방안 등 대책이 수립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낙동강권역의 지하수 산출 유망도 평가 (A Groundwater Potential Map for the Nakdonggang River Basin)

  • 유순영;정재훈;박길택;문희선;석희준;김용철;고동찬;고경석;김형찬;문상호;신제현;심병완;최한나;하규철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28권6호
    • /
    • pp.71-89
    • /
    • 2023
  • A groundwater potential map (GPM) was built for the Nakdonggang River Basin based on ten variables, including hydrogeologic unit, fault-line density, depth to groundwater, distance to surface water, lineament density, slope, stream drainage density, soil drainage, land cover, and annual rainfall. To integrate the thematic layers for GPM, the criteria were first weighted using the Analytic Hierarchical Process (AHP) and then overlaid using the Technique for Ordering Preferences by Similarity to Ideal Solution (TOPSIS) model. Finally, the groundwater potential was categorized into five classes (very high (VH), high (H), moderate (M), low (L), very low (VL)) and verified by examining the specific capacity of individual wells on each class. The wells in the area categorized as VH showed the highest median specific capacity (5.2 m3/day/m), while the wells with specific capacity < 1.39 m3/day/m were distributed in the areas categorized as L or VL. The accuracy of GPM generated in the work looked acceptable, although the specific capacity data were not enough to verify GPM in the studied large watershed. To create GPMs for the determination of high-yield well locations, the resolution and reliability of thematic maps should be improved. Criterion values for groundwater potential should be established when machine learning or statistical models are used in the GPM evaluation process.

낙동강 유곡천에 서식하는 수수미꾸리 Kichulchoia multifasciata (Pisces: Cobitidae)의 산란시기와 산란특성 (Spawning Period and Spawning Characteristics of Kichulchoia multifasciata (Pisces: Cobitidae) in the Yugokcheon (stream) of Nakdonggang (river) from Korea)

  • 김형수;양현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93-99
    • /
    • 2016
  • 본 연구는 2008년 11월부터 2009년 10월까지 경상남도 의령군 유곡면 세간교 일대 유곡천에서 수수미꾸리의 산란시기와 산란특성에 대해 조사하였다. 수수미꾸리의 연령을 분석한 결과 수컷은 1년생 전장 45~55 mm, 2년생 55~75 mm, 3년생 75 mm 이상, 암컷은 1년생 40~55 mm, 2년생 55~75 mm, 3년생 75~95 mm, 4년생 95 mm 이상으로 추정되었다 (2009년 1월 기준). 산란시기는 5~6월 사이로 추정되었고 (수온 $21.0{\sim}26.6^{\circ}C$) 성적으로 성숙하는 연령은 만 2년생 이상으로 판단되었으며 포란수는 202~747개 ($491{\pm}154.0$)로 나타났다.

낙동강 유역 주요 수질측정지점의 시·공간적 수질특성 분석 (Temporal and Spatial Analysis of Water Quality Data Observed from Major Water Quality Stations in Nakdonggang Watershed)

  • 김소래;조현경;김상민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7년도 학술발표회
    • /
    • pp.545-545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낙동강 유역 본류와 주요 지천의 오염총량관리대상지점을 대상으로 수질 현황과 시공간적 수질특성을 분석을 위해 하수처리장과 주요 지천의 유입으로 인한 낙동강 본류 수질의 공간적 변화양상과 계절별 하천유량의 변화에 따른 수질특성을 분석하였다. 자료구축을 위해 국가수자원관리종합정보시스템(WAMIS)의 하천 공간 지형 자료, 국립환경과학원의 수질관측지점 공간지형자료, 그리고 전국오염원조사 자료의 하수처리장 공간 지형 자료를 이용하였다. 수질자료는 국립환경과학원 물환경정보시스템에서 제공하는 8일 간격 수질자료를 2004년부터 2015년까지 수집하여 이용하였고, 수집한 자료는 갈수기와 전체 기간에 대해 수질 항목(유량, BOD, T-N, T-P)별로 산술 평균하였다. 하수처리장 32개소의 방류수질 자료는 국립환경과학원의 전국오염원조사 자료를 2012년부터 2015년까지 수집하여 갈수기인 봄, 가을철에 대해 수질항목 별로 산술평균하였다.

  • PDF

낙동강 수계 대가천의 꼬치동자개 Pseudobagrus brevicorpus (Pisces: Bagridae)의 일주기 활동 및 식성 (Diel Activity and Feeding Habitat of Pseudobagrus brevicorpus (Pisces: Bagridae) in the Daegacheon Stream of Nakdonggang River, Korea)

  • 곽영호;김강래;방인철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54-61
    • /
    • 2019
  • 꼬치동자개 Pseudobagrus brevicorpus의 일주기활동과 식성에 관한 연구를 낙동강 지류인 대가천에서 실시하였다. 일주기 활동은 일몰 직후와 일출 전에 2회에 걸쳐 일어났다. 주로 하천의 중층대에서 활동을 하며 먹이생물이 발견하면 접근하여 흡입하는 행동을 취했다. 연령은 3개 그룹으로 구분되었고 위내용물 중 상대중요성지수 (index of relative importance, IRI)가 1%를 초과하는 먹이생물은 하루살이목 (Ephemeroptera) 80.8%, 파리목 (Diptera) 8.6%, 날도래목 (Trichoptera) 8.5%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모든 연령군에서 하루살이목이 매우 중요한 먹이생물이었고, 성장함에 따라 먹이생물의 크기가 증가하였다.

First Report of Five Tobrilus Species (Nematoda: Triplonchida) from Korea

  • Kim, Jiyeon;Kim, Taeho;Yu, Jeong-Nam;Park, Joong-Ki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36권3호
    • /
    • pp.240-250
    • /
    • 2020
  • Member of the genus Tobrilus Andrássy, 1959, which belongs to Tobrilidae Filipjev, 1918, are known as free-living nematodes in freshwater habitat. This genus was previously unknown from Korea. Five Tobrilus species are here reported for the first time from Korea: Tobrilus aberrans (Schneider, 1925), Tobrilus diversipapillatus (Daday, 1905), Tobrilus gracilis (Bastian, 1865), Tobrilus longus (Leidy, 1851), and Tobrilus wesenbergi (Micoletzky, 1925). Specimens were collected from sediments of the Nakdong River in Korea. Morphological characters and measurements of the specimens generally agree with the original descriptions of Tobrilus species, except for some differences that can be attributed to intraspecific variation among populations(e.g., nerve ring position [% pharynx] and reproductive length). Each species can be distinguished from other members of the genus by specific characters (e.g., cephalic setae length and position, buccal cavity and pocket shape, vulva position, degree of development of reproductive system, and tail length and shape). Here, five species in the genus Tobrilus are fully redescribed and illustrated using optical microscopy images. DNA barcode sequence information (the D2-D3 region of 28S rDNA) is also provided for molecular species identification.

First Report of Two Plectus Species (Nematoda: Plectida) from Korea

  • Kim, Jiyeon;Yu, Jeong-Nam;Kim, Taeho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36권3호
    • /
    • pp.251-257
    • /
    • 2020
  • The genus Plectus Bastian, 1865 represents a group of free-living freshwater nematodes belonging to the family Plectidae Örley, 1880. However, only one species has been reported thus far from Korea. Plectus aquatilis Andrássy, 1985 and Plectus cirratus Bastian, 1865 are reported for the first time from Korea, from sediments collected from the Nakdong River. Plectus aquatilis is distinguished from other Plectus species by its three longitudinal alae in the lateral field, thin and directed cephalic setae, continuous lip region (head not set-off), and rectangular shaped tail. Plectus cirratus is distinguished from other Plectus species by its large body, two longitudinal alae in the lateral field, larger stoma, and longer tail. Morphological characters and measurements of the specimens generally agree with the original descriptions of Plectus species. Here, the morphological characters (detailed morphometrics) of two species in the genus Plectus are fully redescribed and illustrated using optical microscopy. DNA barcode sequence information from the 18S rDNA gene is also provided for molecular species identification and compared with sequences from other Plectus species available on GenBank.

낙동강하구의 어류 이동성 향상을 위한 수문운영 방안 제안 (The Gate Operation for Bolstering up Fish Migration in the Nakdong River Estuary)

  • 정석일;한정호;이지영;김화영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6권5호
    • /
    • pp.468-480
    • /
    • 2022
  • 낙동강하굿둑의 건설로 원활한 용수 공급이 이루어졌으나, 하구 수생태계의 종적 연결성을 단절시켰다. 이에 낙동강하굿둑 개방에 대한 사회적 요구가 지속적으로 제기되어 왔으며, 2017년부터 낙동강하구역 기수생태계 복원을 위한 노력이 본격화되었다. 낙동강 하구에는 다양한 어종이 서식해 왔으며, 이들의 서식·이동 특성은 상이하므로 이를 고려한 수문운영은 기수생태계 복원에 필수적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낙동강하구에 서식·이동하는 어류를 모니터링을 통해 확인하였으며, 방류 시 수문운영 형태별, 개도별 평균 유속을 산출하여, 어종에 따른 원활한 소상 가능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대상어종을 선정하고, 주 분포 수심에 따른 수문운영 형태를 제시하는 등 낙동강 하구역의 기수생태계 복원을 적극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수문운영 방안을 제시하였다.

신규 분리된 담수미세조류 Parachlorella sp.의 지방산 생산성 향상을 위한 배지 조성 연구 (Investigation on Media Composition for Cultivation of a Newly Isolated Freshwater Microalga Parachlorella sp. to Enhance Fatty Acid Productivity)

  • 박한울;임경준;민지호;강성모;한찬우;이창수;정지영;홍성주;이철균;김지훈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8권3호
    • /
    • pp.328-336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국내 낙동강 수계에서 신규하게 분리된 미세조류인 Parachlorella sp. 종의 바이오매스 및 지방산 생산성에 대한 배지의 영향을 연구하였다. 미세조류 배양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BG-11, TAP, BBM 배지를 사용하여 바이오매스 생산성은 TAP 배지에서, 지방산 축적은 BBM 배지에서 가장 잘 일어나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지방산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암모니아와 아세트산을 사용하는 TAP 배지의 조성을 변화하여 BBM 배지처럼 지방산 축적을 유도하며 바이오매스 생산성을 증가시킨 MTAP 배지를 개발하였다. 전체적인 바이오매스와 지방산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MTAP-1 배지가 적합하여 바이오매스 생산성과 지방산 생산성은 기존의 TAP 배지 대비 각각 14%, 45% 증가하였다. 생리 활성 효과로 인해 관심도가 높은 오메가-3 지방산의 생산에는 MTAP-4 배지가 가장 적합하여 바이오매스 생산성과 오메가-3 지방산 생산성이 기존 BBM 배지 대비 각각 18%, 39% 증가하여 목표 중점 생산물질(바이오매스, 총 지방산, 또는 오메가-3 지방산)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신규 배지 2종의 조성을 개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