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a-PMP

검색결과 20건 처리시간 0.022초

파운드케익의 단맛조절과 보존기간 및 조직감 향상을 위한 Na$\pm$2-(4-methoxyphenoxy)propanoate의 응용 (Application of Sweetness Inhibitor, Na$\pm$2-(4-Methoxyphenoxy)propanoic Acid, to Modify Sweetness and to Improve Shelf Life and Texture in Pound Cake)

  • 이성규;백무열;장혁래;박승국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0권5호
    • /
    • pp.534-539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표준 당 용액과 파운드 케익에서 단맛 억제제인 Na-PMP의 단맛 조절 기능을 증명하였다. 설탕은 여러 식품에서 수분 보유력, 조직감 그리고 맛과 관련된 식품의 특성과 같은 성질을 제공하는 중요한 성분 중의 하나이다. 그러나 식품에서 이러한 장점을 얻기 위하여 첨가하는 설탕의 양은 적절한 단맛의 범위를 벗어나는 과도한 양이므로 식품의 향미를 저해하는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단맛 억제물질인 Na$\pm$2-(4-methoxyphenoxy)propanoate(Na-PMP)을 식품에 적용하였다. 먼저 2.5, 5.0, 7.5, 10.0%의 설탕 용액과 이 농도의 설탕 용액과 같은 단맛 강도를 갖도록 과당 용액을 제조하였다. 이 용액 각각에 250과 500 ppm의 두 가지 수준으로 Na-PMP를 혼합하여 저해 정도를 측정하였다. 이 두 가지 단맛 억제제의 농도에서 모두 단맛 강도가 유의적으로 저해되었다. 이 표준 용액에 대한 결과를 바탕으로 단맛 억제제를 파운드 케익에 적용하였다. 우선 과량의 설탕(10, 20, 30%)이 첨가된 파운드 케익에 대한 부피, 경도, 수분함량, 저장성에 대한 검사를 실시하였다. 물리적 측정 결과 설탕이 30% 더 첨가된 케익이 조직감과 저장성면에서 품질이 가장 좋았기 때문에 이 케익에 단맛 억제제를 45 ppm(1.5% of 10,000 ppm Na-PMP), 52.5 ppm(1.7% of 10,000 ppm Na-PMP,) 60 ppm(2.0% of 10,000 ppm Na-PMP)의 세가지 수준으로 첨가하여 관능검사를 실시하였다. 45 ppm의 Na-PMP를 첨가한 것이 파운드 케익의 기본 배합비와 단맛에 있어서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Na-PMP의 첨가는 설탕의 장점을 유지하면서 파운드 케익의 과량의 단맛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였다.

2-Hydroxyethyl Methacrylate(2-HEMA)의 합성에 있어서 중합억제제와 촉매의 영향 (The Effect of Inhibitors and Catalysts in the Synthesis of 2-Hydroxyethyl Methacrylate(2-HEMA))

  • 박병덕;채헌승;장흥;오승모;이윤식
    • 공업화학
    • /
    • 제5권3호
    • /
    • pp.425-430
    • /
    • 1994
  • 2-Hydroxyethyl methacrylate(2-HEMA)의 합성에 있어서 중합억제제와 촉매의 영향에 대해서 조사하였다. 촉매로서 triethylamine(TEA), $FeCl_3{\cdot}6H_2O$, $Cu(NO_3)_2$, $2H_2O$, $AlCl_3$, $Na_2Cr_2O_7$을 선택하였으며, 중합억제제로는 p-Methoxyphenol(PMP) 또는 $NaNO_3$ 수용액을 각각 사용하였다. $NaNO_3$ 수용액을 중합억제제로 사용한 경우, triethylamine(TEA), $FeCl_3{\cdot}6H_2O$, $Na_2Cr_2O_7$는 좋은 촉매 효과를 보여 주었다. p-Methoxyphenol(PMP)를 중합억제제로 사용한 경우, 반응은 매우 느렸고 PMP가 $Fe^{3+}$ 또는 $Cr^{6+}$ 이온을 환원시키기 때문에 효과적이지 못했다. 이와는 달리, $NaNO_3$ 수용액을 중합억제제로 사용한 경우, 반응은 매우 빨랐으며 금속 촉매의 비활성화도 없었다.

  • PDF

Characterization of two plasma membrane protein 3 genes (PutPMP3) from the alkali grass, Puccinellia tenuiflora, and functional comparison of the rice homologues, OsLti6a/b from rice

  • Chang-Qing, Zhang;Shunsaku, Nishiuchi;Shenkui, Liu;Tetsuo, Takano
    • BMB Reports
    • /
    • 제41권6호
    • /
    • pp.448-454
    • /
    • 2008
  • Two full-length cDNAs, PutPMP3-1 and PutPMP3-2, encoding PMP3 family proteins were isolated from Puccinellia tenuiflora, a monocotyledonous halophyte. Expression of both genes was induced by low temperature, salt stress, dehydration, ABA, and $NaHCO_3$. Transcripts of PutPMP3-2 were more strongly induced by these stresses relative to those of PutPMP3-1, particularly under low temperature and dehydration conditions. Expression of PutPMP3-1 and PutPMP3-2 in yeast mutants lacking the PMP3 gene can functionally complement the membrane hyper-polarization and salt sensitivity phenotypes resulting from PMP3 deletion. To compare the functions of PutPMP3-1 and PutPMP3-2, the orthologous genes in rice (OsLti6a and OsLti6b) were isolated. Both OsLti6a and OsLti6b could functionally complement the loss of PMP3 in yeast. PutPMP3-2 and OsLti6a were more effective in reversing membrane hyperpolarization than PutPMP3-1 and OsLti6b. However, the four yeast transformants each showed similar levels of salt tolerance. These results imply that these PMP3 family members don't function identically under different stress tolerance conditions.

가슴형상 측정을 위한 PMP Moire 방법 활용 (A Study on the Measurement of the Breast Shape on Living Body by Using a PMP Moire Method)

  • 이가나;육근철;김병미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1-21
    • /
    • 2009
  • Recently, as custom-made demand about female underwear is increased, securing of a various dimension system is urgent, and satisfaction of each customer cannot be heightened with established dimensions. If we could measure shape of a living body with a fast and simple method, the custom-made demand of customers could be satisfied in the underwear as well as a clothing industry by using the method. One of the alternatives is shape measurement of the living body by a Moire fringe method. If we put a grating in front of an object to be measured and illuminate light, a Moire fringe with contour line shape is generated in the object, so we can conveniently measure object shape without touching directly by using the pattern. The Moire fringe and three-dimensional shape of the breast of the living body was acquired by a PMP method using a polygon mirror, and height and bottom width of the breast of the living body were measured by using obtained data in this study. Data of breast shape measurement through a mannequin was collected in a previous step as basic material for measuring the breast shape measurement of the living body. Three women in the twenties were selected as one of methods for measuring breast shape of a woman. As a result of the breast shape measurement of a living body A, it was measured that height of the breast was about 67.24mm and the bottom width was $13781.60mm^2$. This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for collecting basic data of a female underwear industry and establishing a specification of a dimension system.

  • PDF

PMP 모델을 활용한 시판 Salad의 Short-term Temperature Abuse 시 미생물학적 유통기한 예측에의 적용성 검토 (Application of Predictive Microbiology for Microbiological Shelf Life Estimation of Fresh-cut Salad with Short-term Temperature Abuse)

  • 임정호;박기재;정진웅;김현수;황태영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9권5호
    • /
    • pp.633-638
    • /
    • 2012
  • 시판 샐러드제품의 구입부터 가정까지의 이동 및 소비직전까지 적정하지 않은 온도관리를 예상하여 단기간의 온도 abuse 상황을 설정하고 미생물적 유통기한을 도출하였다. 보다 효율적인 유통기한 설정을 위해 예측미생물학의 3단계 모델인 PMP 7.0을 활용하여 그 활용가능성을 조사하였다. 부적절한 온도에서의 abuse 시간이 증가할수록 미생물은 빠르게 증식하여 샐러드 제품의 유통기한 시점으로 판단되는 log 7 CFU/mL에 도달하는 시간이 짧아졌다. 온도가 증가할수록 0.020에서 1.083까지 grow rate도 증가했으며, 이 모델의 적합도를 나타내는 $r^2$의 값은 전 실험구에서 0.9 이상을 나타내었다. PMP 7.0으로 예측된 미생물의 증식양상은 온도에 따라 0.017~0.235 CFU/mL/hr로 나타났으며, 모든 구에서 0.994~1.000까지 높은 수준의 $r^2$을 나타내었다. 또 PMP를 활용하여 도출한 유통기한의 경우도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다. 실측된 값을 바탕으로 한 샐러드 제품의 유통기한은 유통매장에 도착하기까지 48시간 소요될 것으로 예상할 경우 유통기한은 109.1~63.0시간까지로 추정되며 PMP로 도출된 유통기한(24.1~626.5시간)에 비해 짧게 나타났다. 이는 온도 abuse에 의한 영향 및 fail safe에 해당하는 결과로 안전성 측면에서는 유리하나 관리적 측면에서 과도한 기준의 설정 등을 통해 관리비용의 증가 등의 단점이 발생할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즉, 예측미생물학을 활용하여, 유통기한 설정 및 품질관리를 위한 초기 미생물 기준 설정시 특정 식품에 적용하는 것은 효율적인 시도가 될 것이나, 이를 전반적인 기준으로 설정하는 것은, 통계적, 실제적 오류 발생이 가능할 것으로 오히려 관련 효율을 저해할 수 있을 것이다.

Radiological Characteristics of Materials Used in 3-Dimensional Printing with Various Infill Densities

  • Park, So-Yeon;Choi, Noorie;Choi, Byeong Geol;Lee, Dong Myung;Jang, Na Young
    • 한국의학물리학회지:의학물리
    • /
    • 제30권4호
    • /
    • pp.155-159
    • /
    • 2019
  • Radiological properties of newly introduced and existing 3-dimensional (3D) printing materials were evaluated by measuring their Hounsfield units (HUs) at varying infill densities. The six materials for 3D printing which consisted of 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ABS), a unique ABS plastic blend manufactured by Zortrax (ULTRAT), high impact polystyrene (HIPS), polyethylene terephthalate glycol (PETG), polylactic acid (PLA), and a thermoplastic polyester elastomer manufactured by Zortrax (FLEX) were used. We used computed tomography (CT) imaging to determine the HU values of each material, and thus assess its suitability for various applications in radiation oncology. We found that several material and infill density combinations resembled the HU values of fat, soft tissues, and lungs; however, none of the tested materials exhibited HU values similar to that of bone. These results will help researchers and clinicians develop more appropriate instruments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radiation therapy. Using optimized infill densities will help improve the quality of radiation therapy by producing customized instruments for each field of radiation therapy.

Status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Recommendations for Protection Design and Evaluation of Medical Linear Accelerator Facilities

  • Choi, Sang Hyoun;Shin, Dong Oh;Shin, Jae-ik;Kwon, Na Hye;Ahn, So Hyun;Kim, Dong Wook
    • 한국의학물리학회지:의학물리
    • /
    • 제32권4호
    • /
    • pp.83-91
    • /
    • 2021
  • Various types of high-precision radiotherapy, such as intensity-modulated radiation therapy (IMRT), tomotherapy (Tomo), and stereotactic body radiation therapy have been available since 1997. After being covered by insurance in 2015, the number of IMRT cases rapidly increased 18-fold from 2011 to 2018 in Korea. IMRT, which uses a high-beam irradiation monitor unit, requires higher shielding conditions than conventional radiation treatments. However, to date, research on the shielding of facilities using IMRT and the current understanding of its status are insufficient, and detailed safety regulation procedures have not been established.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commended criteria for the shielding evaluation of facilities using medical linear accelerators (LINACs), including 1) the current status of safety management regulations and systems in domestic and international facilities using medical LINACs and 2) the current status of the recommended standards for safety management in domestic and international facilities using medical LINAC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introduce a safety management system for facilities using LINACs for clinical applications that is suitable for the domestic medical environment and corresponds to the safety management systems for LINACs used overseas.

우유의 HACCP 시스템에서 Predictive Food Microbiology Model 이용 (Application of Predictive Food Microbiology Model in HACCP System of Milk)

  • 박경진;김창남;노우섭;홍종해;천석조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03-110
    • /
    • 2001
  • 예측식품미생물학(PFM)은 1980년대 후반 이후 식품미생물학 분야에서 새롭게 발생한 신학문 분야이다. PFM은 특별한 환경적 요인에 따른 미생물 특히, 병원성미생물의 반응(사멸과 생존)을 예측하기 위하여 수학적인 모델을 이용한 것이다. 현재까지 개발된 PFM모델중 완전한 것은 없지만, 어떤 특정 조건하에서는 신속하고 객관적으로 미생물의 반응을 예측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는 장점 때문에, HACCP시스템, Risk Assessment 등에서 응용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본 연구는 PFM 모델중 PMPwin5.1을 이용하여, 우유 저장에 대한 HACCP시스템 중 미생물학적 위해요소 분석, CCP 및 CL설정에 대한 방법론적 예를 제시하였다. 모델에 대한 초기조건으로 우유와 동일한 물리화학적 조건인 pH 6.7, Aw 0.993, NaCl 1.3%을 고정변수로 하고, 저장온도(4~15$^{\circ}C$)를 변이변수로 선정하여, 온도에 따른 주요 병원성미생물의 generation time, lag phase duration, infective dose에 도달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산출하였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온도의 변화에 따른 각 병원성미생물의 성장을 안전정도에 따라 “안전온도범위(Safe temperature zone)”, “주의온도범위(Caution temperature zone)”, “위험온도범위(Danger temperatue zone)”로 분류하였으며, 이들 분류는 우유의 유통기간인 5일을 기준으로 각 병원성미생물의 lag phase duration, infective dose에 도달하는 시간에 따라 결정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우유의 HACCP시스템에 있어, 위해요인 분석시 위해요인의 분류 및 위해요소간의 위해 정도의 우선순위 부여에 보조적인 수단으로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유통.저장단계에서 병원성미생물의 상징에 대한 온도수준을 나타내므로, 이 단계를 CCP로 설정할 수 있고, CCP에 대한 CL은 주위온도범위내에서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허용수준에 대한 온도의 범위를 제시하므로 모니터링이나 검증에서도 이용할 수 있다.

  • PDF

GATE 시뮬레이션을 통한 고해상도 저선량용 소동물 영상화를 위한 CdTe 검출기 기반의 SPECT 기기 연구 (A Low-Dose High-Resolution SPECT System with CdTe for Small-Animal Imaging Applications: A GATE Simulation Study)

  • 박수진;유아람;김예슬;이영진;김희중
    • 한국의학물리학회지:의학물리
    • /
    • 제24권3호
    • /
    • pp.162-170
    • /
    • 2013
  • 인간의 질병연구를 위한 소동물용 픽셀화 반도체 검출기 기반의 단일광자단층촬영(SPECT, single photon emission computed tomography)시스템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CdTe검출기 기반의 SPECT시스템의 고해상도 및 저선량 소동물 영상화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NaI(Tl) 섬광결정 검출기로 구축된 SPECT 시스템과 비교 평가하였다. CdTe 검출기는 $44.8{\times}44.8$ mm의 크기이며 $0.35{\times}0.35{\times}5$ mm크기의 픽셀로 구성되어 있다. 검출기의 내인성 분해능은 0.35 mm 이며 이는 픽셀 크기와 동일하다. GATE 시뮬레이션 방법을 통하여 두 시스템간의 성능 평가를 수행하고 비교 분석하였다. 시스템의 공간 분해능과 민감도는 10 MBq의 $^{99m}Tc$ 점 선원을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복셀화된 MOBY (mouse whole-body) 팬텀을 사용하여 정량적 평가 및 흡수선량을 계산하였다. 점선원과 조준기 사이의 거리가 30 mm 일 때, NaI(Tl) 섬광결정 검출기 기반의 SPECT의 분해능은 1.54 mm, 민감도는 83 cps/MBq였으며, CdTe검출기 기반의 SPECT시스템의 분해능은 1.32 mm, 민감도는 116 cps/MBq로 더욱 향상된 공간 분해능과 민감도를 나타내었다. 두 시스템의 정량적 통계 분석은 CNR 계산을 통해 이루어졌으며, 주입 선량을 다양하게 설정하여 두 시스템에서의 CNR을 획득하였다. Mouse brain내 striatum의 주입선량이 160 Bq/voxel일 경우, CdTe검출기 기반의 SPECT에서 획득한 CNR은 2.30이었으며 섬광결정 검출기 SPECT에서 획득한 CNR은 1.85로 CdTe검출기 기반의 SPECT에서 더욱 큰 CNR을 지니고 있었다. 또한, CdTe기반의 SPECT를 사용할 경우 NaI(Tl) 섬광결정 검출기 기반의 SPECT 시스템을 사용하는 것보다 동일한 정량적 수치획득을 위한 소동물의 피폭선량을 감소시켜줄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반도체 검출기 CdTe기반의 SPECT은 NaI(Tl) 섬광결정 검출기 SPECT 시스템보다 공간 분해능과 민감도 측면에서 높은 성능을 보였음을 증명하였다. 실제 시스템과의 검증 등의 추가 연구가 필요하지만, 본 연구 결과는 향후 피폭 선량을 줄이는 동시에 영상의 질을 높일 수 있는 소동물용 SPECT 시스템 구축에 응용될 수 있을 것이다.

Analysis of Physical Properties for Various Compositions of Reusable LMG and LCV Micelle Gel

  • Kang, Jin Mook;Lee, Dong Han;Cho, Yu Ra;Hwang, Seon Bung;Ji, Young Hoon;Ahn, So Hyun;Keum, Ki Chang;Lee, Re Na;Cho, Sam Ju;Noh, Insup
    • 한국의학물리학회지:의학물리
    • /
    • 제27권4호
    • /
    • pp.175-179
    • /
    • 2016
  • 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 reusable leuco malachite green (LMG) micelle gel properties dependent on various components of chemical concentration and compared with leuco crystal violet (LCV). The gels were delivered to 10, 20, 30, 40 and 50 Gy at 6 MV photon beam from linear accelerator and analyzed using spectrophotometry. We confirmed that the reusable LMG and LVC absorbance wavelength peak were made up at 630 nm and 600 nm respectively. The transparency of reusable LMG decreased with higher amount of trichloroacetic acid (TCAA) and lower reusable LMG dyes. 1 mM reusable LMG was the lowest transparency. The sensitivity was increased depending on lower trichloroacetic acid (TCAA) concentrations and the amount of suitable surfactant (Triton X-100), which was found to be 7 mM. However, we were not able to investigate sensitivity effects factor from reusable LMG dyes. The gel dosimeter containing 16 mM TCAA, 7 mM Triton X-100 gel dosimeter showed the highest sensitivity at $0.0021{\pm}0.0001cm^{-1}.Gy^{-1}$. The sensitivity of LCV was found to be higher than reusable LMG at $0.0037{\pm}0.0005cm^{-1}.Gy^{-1}$. The reusable LMG and LCV dose responses were shown to be $R^2=0.997$, $R^2=0.999$ respectively, as stable measurement results. Future research is necessary to improve dose sensitivity, dose rate dependency and gel fading with extensive chemical formul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