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a-P

검색결과 7,942건 처리시간 0.04초

Supported Liquid Membrane을 이용한 Short Peptide의 추출 (Extraction of Short Peptide Using Supported Liquid Membranes)

  • 이재흥;박기문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340-343
    • /
    • 2005
  • SLM을 이용한 short peptide의 분리를 목적으로 donor phase의 pH 및 acceptor phase의 염농도, membrane의 carrier 농도 차에 따른 peptide의 이동속도를 확인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즉, pH 7.0 이하에서는 acceptor phase의 NaCl 농도나 carrier 농도에 상관없이 Gly-Tyr의 이동속도는 거의 영향을 끼치지 않았고, pH 7.0 이상에서는 이동속도가 급격히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Aliquat가 $8\%$ 함유된 D-SLM과 $20\%$ 함유된 H-SLM의 경우 Gly-Tyr의 이동속도는 H-SLM이 D-SLM보다 pH 9.0, 0.25 M NaCl 용액에서는 약 3배, pH 8.0, 1.0 M NaCl용액에서는 10배 정도 빠르게 이동하였다. 또한 H-SLM에서 acceptor phase의 NaCl 농도가 1.0 M 인 경우 0.25 M에 비해 10배 정도 이동속도가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short peptide인 Gly-Tyr의 SLM을 이용한 추출에서 donor phase의 pH 7.0 이상, carrier 농도가 높은 H-SLM 사용, acceptor phase의 염 농도가 높을수록 이동속도가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NaCl 농도가 인삼의 ginsenoside 함량과 pH 및 색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 on the change of ginsenosides, pH and color by NaCl concentration)

  • 박명한;이종원;이종태;김교창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6권4호
    • /
    • pp.260-264
    • /
    • 1993
  • 인삼을 조미제품의 첨가성분으로 이용할 때 그 NaCl 농도에서 인삼성분의 안정성을 규명하기 위하여, 미삼과 홍삼정을 NaCl 농도별로 처리하여 pH, 색상 및 ginsenosides 함량을 조사한 결과, 미삼의 경우 NaCl 농도가 증가 할수록 pH는 높아졌으나 홍삼정 시험구에서는 유의적인 변화가 없었다. 색상은 NaCl 농도가 증가 될수록 감소하였다. n-BuOH extract 수율은 5% NaCl 농도에서 감소하였고 그 이상의 농도에서는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증감 범위는 홍삼정이 컸다. Ginsenosides 함량은 diol계 saponin인 ginsenoside-Re, $-Rb_1$, $-Rb_2$, -Rc, -Rd 및 triol계 saponin인 ginsenoside-Re 모두 5% NaCl 농도에서 감소하였고 그 이상의 농도에서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며, 특히 ginsenoside-Re가 가장 민감한 증감의 변화를 보였다.

  • PDF

BSA, Egg Albumin, 분리대두단백질의 용해도에 미치는 Neutrase에 의한 탈아미드 효과 (Effect of Deamidation with Neutrase on the Solubility of BSA, Egg Albumin, and Soy Protein Isolate)

  • 강영주;김효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4권5호
    • /
    • pp.811-815
    • /
    • 1995
  • BSA, egg albumin (EA), 그리고 분리대두단백질(SPI)의 Neutrase에 의한 탈아미드화가 용해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보았다. BSA는 탈아미드화로 pH 4~8 사이의 물에 대한 용해도가 천연 BSA에 비하여 98~83%로 감소하였으며, pH 6 부근에서 가장 낮은 용해도를 보았다. 천연 BSA와 탈아미드화된 BSA 모두 0.2M NaCl 용액에서는 100%의 용해도를 보였으나, 산성 1.0M NaCl용액에서는 용해도가 모두 크게 떨어졌다. EA의 용해도는 탈아미드화로 pH3 이하와 6 이상의 수용액에서는 증가하였으나, 산성 NaCl용액에서는 크게 감소하였다. SPI는 탈아미드화로 수용액에서의 용해도가 모든 pH 범위에서 크게 증가하였으나, NaCl용액에 대한 용해도는 pH 6 이상에서는 증가하였고, pH 5 이하에서는 변화가 없었다.

  • PDF

고나트륨과 저나트륨 식이시 성인 여성의 혈중 아미노산 농도변화에 관한 연구 (Effects of High and Low Sodium Diet on Plasma Amino Acid Levels in Korean Adult Women)

  • 홍원주;승정자;김미현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7권2호
    • /
    • pp.108-114
    • /
    • 2004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dietary Na levels on plasma amino acid levels. Plasma amino acid levels were compared in 20 adult healthy women subjects who were given high Na diet (290.48 mEq/day : NaCl 17g) or low Na diet (51.26 mEq/day : NaCl 3g) for subsequent 6 days. Plasma essential amino acids level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36%) while plasma non-essential amino acids level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22%) when subjects were given low Na diet (p<0.001). Among essential amino acids, threonine was decreased (74%) significantly when subjects were given low Na diet (p<0.01). Among nonessential amino acids, serine (49%), proline (20%) and aspartic acid (14%) were increased (p<0.01), while arginine (48%) and glutamic acid (27%) were decreased (p<0.001). In conclusion, dietary Na contents seemed to be an important factor to affect plasma amino acid levels. It would be appropriate to decrease the dietary Na intakes level considering the various clinical effects of dietary Na on the body fluid. For the patients who need low Na diet, it would be suggested that the level of dietary proteins should be carefully considered along with dietary Na manipulation. (Korean J Nutrition 37(2) : 108-114, 2004)

단기간의 나트륨 섭취수준이 정상 성인 여성의 혈청 지질과 혈당에 미치는 영향 (Short Term Effects of Sodium Intakes on Serum Lipids and Glucose in Adult Women)

  • 이영근;승정자;최미경;이윤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1035-1042
    • /
    • 2002
  • 본 연구는 나트륨 섭취수준이 혈중 지질과 혈당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해보기 위하여 정상 성인 여성 20명을 대상으로 고나트륨식과 저나트륨식을 각각 6일씩 공급한 후 혈중 지질, 혈당 및 기타 혈액성상의 변화를 비교분석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연구대상자들의 평균연령은 22.9$\pm$2.5세였으며 평균 체중과 신장은 54.7$\pm$6.6kg과 160.0$\pm$4.8cm였고 수축기/이완기 혈압은 110.3$\pm$7.7/67.5$\pm$9.7 mm Hg로 정상범위에 속하였다. 나트륨 섭치수준에 따른 평균 체중의 변화는 고나트륨식이 54.7$\pm$6.4 kg으로 저나트륨식의 53.8$\pm$6.2 kg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01). 평균 신장은 고나트륨식과 저나트륨식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이완기혈압은 고나트륨식(65.5$\pm$8.3 mmHg)보다 저나트륨식(60.8$\pm$8.6 mmHg) 이후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5). 혈청 콜레스테롤,LDL-콜레스테롤,HDL-콜레스테롤 함량은 나트륨 섭취 수준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중성지질은 고나트륨식의 89.4$\pm$27.3 mg/dL보다 저나트륨식이시 73.8$\pm$12.5mg/dL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5). 혈청 아포 A-I은 고나트륨식의 183.7$\pm$32.7 mg/dL보다 저나트륨식에서 167.5$\pm$22.8 mg/dL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나(p<0.001), 아포 B는 고나트륨식의 83.3$\pm$13.9 mg/dL보다 저나트륨식에서 90.8$\pm$12.9 mg/dL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01). 아포 A-I/B는 저나트륨식이 1.9$\pm$0.2로 2.2$\pm$0.3을 보인 고나트륨식보다 유의하게 낮았으나(p<0.001),AI(atherogenic index)는 나트륨 섭취수준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았다 혈액 응고시간으로 thrombin time과 Prothrombin time은 저나트륨식이 각각 9.6$\pm$1.1초, 11.6$\pm$0.7초로 나타나 고나트륨식의 11.3$\pm$1.3초, 12.0$\pm$0.4초보다 유의하게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p<0.001, p<0.05). 나트륨 섭취수준에 따른 혈당 농도는 고나트륨식과 저나트륨식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인슐린 함량은 저나트륨식이 10.3$\pm$5.0 $\mu$IU/mL로 고나트륨식의 6.0$\pm$2.6$\mu$IU/mL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1). 이상의 결과를 종합할 때 저나트륨식에서 이완기 혈압, 혈청 중성지질, 아포A-1, 혈액 응고시간은 감소되었으나, 혈청 아포 B와 인슐린함량은 유의하게 증가되어 지속적인 저나트륨식 처방시 지질과 당질대사의 변화를 초래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보여진다. 따라서 혈압 저하를 목적으로 하는 나트륨 제한식의 실시는 다양한 체내의 생화학적 변화를 고려해서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앞으로 이에 대한 보다 다각적인 연구가 요구된다.

반도체 클린룸용 세라믹 Rotor 흡착제 개발 (The Development of Absorption Elements of Ceramic Rotors for the Semiconductor Clean Room System)

  • 서동남;하종필;정미정;문인호;조상준;김익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권2호
    • /
    • pp.33-40
    • /
    • 2000
  • 본 연구는 반도체 크린룸에서 VOC(volatile organic compound)과 수분을 제거하기 위한 흡착로타에 관한 것이다. 흡착로타는 세라믹 페이퍼 허니컴 기질에 NaX 제올라이트와 TS-1 제올라이트로 만들어졌다. NaX 제올라이트는 수열합성법으로 합성되어졌으며, NaX 제올라이트 결정(2∼3 ㎛)을 seed로 합성 조성에 3∼5 wt%까지 첨가하여 5 ㎛의 균일한 NaX 제올라이트를 성장시켰다. Seed의 첨가는 seed를 첨가하지 않은 합성용액과 비교하여 결정의 크기가 크며, 균일한 NaX 제올라이트 결정을 성공적으로 합성하였다. TS-1 제올라이트는 초기 반응액의 pH를 변화시켜 합성하였다. 반응물의 pH는 10.0에서 11.5 까지의 범위를 가지며, PH 10.4에서 큰 기공(8∼10 (equation omitted))을 가진 TS-1 제올라이트(ETS-10)가 합성되는 반면 pH가 11.5에서는 작은 기공 (3∼5 (equation omitted))을 갖는 TS-1 제올라이트(ETS-4)가 합성되었다.

  • PDF

제올라이트로부터 스멕타이트 수열 합성에 대한 연구 (Hydrothermal Synthesis of Smectite from Zeolite)

  • 채수천;김유동;장영남;배인국;류경원;이성기
    • 한국광물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301-310
    • /
    • 2006
  • 수열합성법에 의하여 Na-P 형 및 Na-A형 제올라이트로부터 스멕타이트를 합성하였고 이들의 물리화학적 특성을 연구하였다. 제올라이트로부터 스멕타이트의 최적 합성조건은 반응온도 $290^{\circ}C$, 반응시간 72 h, 자생압력 $75{\sim}100kgf/cm^2$였으며, 스멕타이트의 합성을 위한 초기 반응 용액의 pH는 Na-P형 제올라이트의 경우, pH 6, 그리고 Na-A형 제올라이트의 경우, pH 10이었다. Na-P형 및 Na-A 형 제올라이트로부터 합성된 스멕타이트에 대한 부정방위, 정방위, 에티렌 그리콜 및 Greene-Kelly 시험법 등을 통하여 합성된 스멕타이트가 $12{\AA}$-바이델라이트임을 확인하였으며, 이들의 특성을 연구하였다.

Carcass and body organ characteristics of broilers supplemented with dietary sodium and sodium salts under a phase feeding system

  • Mushtaq, Mirza Muhammad Haroon;Parvin, Rana;Kim, Jihyuk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6권1호
    • /
    • pp.4.1-4.7
    • /
    • 2014
  • The effect of sodium and sodium salts on carcass and body organ characteristics of broilers under a four phase feeding program were investigated. A basal diet (0.08% dNa with NaCl) was formulated and one of two sources of dNa ($NaHCO_3$ and $Na_2SO_4$) were supplemented to obtain four different percentages of dNa (0.17, 0.26, 0.35, and 0.44%) for each treatment. There was a linear decrease in dressing percentage (DP) with source ${\times}$ level interaction ($p{\leq}0.001$), while there was a linear increase in breast yield and thigh yield with increasing dNa supplementation ($p{\leq}0.001$). Chicks fed 0.35% $NaHCO_3$ and 0.44% dNa $Na_2SO_4$ supplemental salts had lower abdominal fat ($p{\leq}0.04$). Chicks that received increasing levels of dNa (from 0.17 to 0.44%) showed increasing gizzard weight ($p{\leq}0.02$) and decreasing spleen weight ($p{\leq}0.02$). When both salts were supplemented at 0.26% dNa, the chicks showed their lowest bursa weight ($p{\leq}0.001$). Consequently, chicks at higher dNa showed an increase in breast and thigh meat yield, and increasing capacity of their digestive organ. The higher levels of dNa should be tested with other cations and anions to fully understand acid base homoeostasis.

Effect of Ethanol on $Na^+-P_i$ Uptake in Opossum Kidney Cells: Role of Membrane Fluidization and Reactive Oxygen Species

  • Park, In-Ho;Hwang, Moon-Young;Woo, Jae-Suk;Jung, Jin-Sup;Kim, Yong-Keun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and Pharmacology
    • /
    • 제3권5호
    • /
    • pp.529-538
    • /
    • 1999
  •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examine the effect of ethanol on $Na^+ -dependent$ phosphate $(Na^+-P_i)$ uptake in opossum kidney (OK) cells, an established renal proximal tubular cell line. Ethanol inhibited ^Na^+-dependent$ component of phosphate uptake in a dose-dependent manner with $I_{50}$ of 8.4%, but it did not affect $Na^+-independent$ component. Similarly, ethanol inhibited $Na^+-dependent$ uptakes of glucose and amino acids (AIB, glycine, alanine, and leucine). Microsomal $Na^+-K^+-ATPase$ activity was not significantly altered when cells were treated with 8% ethanol. Kinetic analysis showed that ethanol increased $K_m$ without a change in $V_{max}$ of $Na^+-P_i$ uptake. Inhibitory effect of n-alcohols on $Na^+-P_i$ uptake was dependent on the length of the hydrocarbon chain, and it resulted from the binding of one molecule of alcohol, as indicated by the Hill coefficient (n) of 0.8-1.04. Catalase significantly prevented the inhibition, but superoxide dismutase and hydroxyl radical scavengers did not alter the ethanol effect. A potent antioxidant DPPD and iron chelators did not prevent the inhibition. Pyrazole, an inhibitor of alcohol dehydrogenase, did not attenuate ethanol-induced inhibition of $Na^+-P_i$ uptake, but it prevented ethanol-induced cell death. These results suggest that ethanol may inhibit $Na^+-P_i$ uptake through a direct action on the carrier protein, although the transport system is affected by alterations in the lipid environment of the membrane.

  • PDF

Effects of Dietary Addition of Bentonite on Manure Gas Emission, Health, Production, and Meat Characteristics of Hanwoo (Bos taurus coreanae) Steers

  • Lee, Sang-Moo;Kim, Young-Il;Kwak, Wan-Sup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3권12호
    • /
    • pp.1594-1600
    • /
    • 2010
  • A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dietary effects of a clay mineral (sodium bentonite, NaB) on manure gas emission, health, production, and meat characteristics of Hanwoo steers. Two diets fed to steers included a control diet (concentrate mix and rice straw) and a treatment diet (control diet+1.0% clay mineral/concentrate mix). Dietary NaB addition considerably reduced concentrations of gases ($H_2S$, $SO_2$ and $NH_3$) in the manure of Hanwoo steers. Growing steers fed NaB had similar blood profiles with the exception of lower (p<0.05) concentrations of blood alkaline phosphatase and lactate dehydrogenase. Dietary NaB addition tended to increase (p = 0.10) live weight by 30 kg at slaughtering and did not affect carcass yield and quality traits. Dietary NaB addition increased concentrations of P (p<0.01), Mg (p<0.01), Na (p<0.01), Zn (p<0.005), K (p = 0.08), Fe (p = 0.08) and Cu (p = 0.07) in the longissimus muscle compared to the control but did not affect (p>0.05) fatty acid composition. The study demonstrated that the dietary addition of a clay mineral could be effective in improving mineral bioavailability to Hanwoo steers, which could be one of the reasons for their improved performa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