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a-24

검색결과 2,650건 처리시간 0.037초

나일틸라피아 치어에 미치는 염화나트륨, 포르말린 및 과망간산칼륨의 금성독성 (Acute Toxicity of Sodium Chloride, Formaline and Potassium Permanganate to Nile Tilapia Fry)

  • 박인석;최경철;노재구;김동수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19-121
    • /
    • 2002
  • 염화나트륨(NaCl), 포르말린 및 과망간산칼륨(KMnO$_4$)에 대한 나일틸라피아, Oreochromis niloticus의 24시간 급성 독성을 조사하였다. 1. NaCl의 24시간 $LC_{50}$ 값은 18.6$\textperthousand$이었고 95% 신뢰한계의 상한치는 18.7$\textperthousand$ 하한치는 18.5$\textperthousand$었다. 포르말린의 24시간 $LC_{50}$ 값은 152 ppm 이었고, 상한치는 156ppm, 하한치는 148 ppm 이었다. KMnO$_4$의 24시간 $LC_{50}$ 값은 2.09 ppm 이었고 상한치는 2.11 ppm, 하한치는 2.07ppm 이었다. 2. 모든 처리 화합물은 본 종에 대해 좁은 농도 범위 내에서 급성독성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아울러 뚜렷한 농도 의존성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본 연구에서 사용된 3가지 화합물의 틸라피아 양식에서의 유용성과 연관시켜 논의하였다.

APPLICATION OF WHOLE BODY COUNTER TO NEUTRON DOSE ASSESSMENT IN CRITICALITY ACCIDENTS

  • Kurihara, O.;Tsujimura, N.;Takasaki, K.;Momose, T.;Maruo, Y.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26권3호
    • /
    • pp.249-253
    • /
    • 2001
  • Neutron dose assessment in criticality accidents using Whole Body Counter (WBC) was proved to be an effective method as rapid neutron dose estimation at the JCO criticality accident in Tokai-mura. The 1.36MeV gamma-ray of $^{24}Na$ in a body can be detected easily by a germanium detector. The Minimum Detectable Activity (MDA) of $^{24}Na$ is approximately 50Bq for 10miniute measurement by the germanium-type whole body counter at JNC Tokai Works. Neutron energy spectra at the typical shielding conditions in criticality accidents were calculated and the conversion factor, whole body activity-to-organ mass weighted neutron absorbed dose, corresponding to each condition were determined. The conversion factor for uncollied fission spectrum is 7.7 $[(Bq^{24}Na/g^{23}Na)/mGy]$.

  • PDF

Comparison between 24-hour diet recall and 24-hour urine collection for estimating sodium and potassium intakes and their ratio among Korean adults

  • Taisun Hyun;Mi-Kyeong Choi;Young-Ran Heo;Heekyong Ro;Young-Hee Han;Yeon-Kyung Lee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17권2호
    • /
    • pp.284-296
    • /
    • 2023
  • BACKGROUND/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compare 24-h diet recall (DR) and 24-h urine collection (UC) for estimating sodium and potassium intakes and their ratio (Na/K), identifying factors associated with sodium and potassium intakes and Na/K, and identifying those who were likely to underestimate sodium and potassium intakes by DR. SUBJECTS/METHODS: A total of 640 healthy adults aged 19-69 yrs completed a questionnaire survey, salty taste assessment, anthropometric measurement, two 24-h DRs, and two 24-h UCs. RESULTS: The mean sodium and potassium intakes and Na/K were 3,755 mg/d, 2,737 mg/d, and 1.45 according to DR, and 4,145 mg/d, 2,812 mg/d, and 1.57 according to UC, with percentage differences of -9.4%, -2.7%, and -7.6% in the values between the two methods, respectively. Men, older adults, smokers, obese individuals, those who consumed all the liquid in the soup, and those who were found to be salty in the salty taste assessment consumed significantly more sodium; older adults, the heavy- activity group, and obese individuals consumed more potassium; and men, younger adults, smokers, and obese individuals had a significantly higher Na/K, according to UC. Compared with UC, DR was more likely to underestimate sodium intake in older adults, smokers, obese individuals, those who consumed all the liquid in the soup, and those who consumed eating-out/delivery food at least once a day, and potassium intake in older adults, the heavy-activity group, and obese individuals. CONCLUSIONS: The mean sodium and potassium intakes and Na/K estimated by DR were comparable to those measured by UC. However, the association of sodium and potassium intakes with sociodemographic and health-related factors showed inconsistent results when estimated by DR and UC. Factors influencing the underestimation of sodium intake by DR compared to UC should be further investigated.

조피볼락, Sebastes schlegeli에 경구투여된 nalidixic acid 및 piromidic acid의 약물동태에 미치는 수온의 영향 (Effect of temperature on pharmacokinetics of nalidixic acid and piromidic acid in black rockfish Sebastes schlegeli following oral administration)

  • 정승희;서정수;지보영;김진우;박명애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29-37
    • /
    • 2011
  • Nalidixic acid(NA), piromidic acid(PA)를 사육수온 ($13{\pm}1.5^{\circ}C$, $23{\pm}1.5^{\circ}C$)에 따라서 조피볼락(평균체중 $500{\pm}30\;g$)에 60 mg/kg의 농도로 1회 경구투여한 다음, 시간경과에 따라 혈청 내 잔류농도를 분석하였다. $23{\pm}1.5^{\circ}C$의 경우, 투여 후 NA는 24시간째($5.87\;{\mu}g/ml$), PA도 24시간째($0.43\;{\mu}g/ml$)에 각각 최대혈중농도에 도달하였다. $13{\pm}1.5^{\circ}C$의 경우, 투여 후 NA는 10시간 째($6.22\;{\mu}g/ml$), PA도 10시간째($1.57\;{\mu}g/ml$)에 각각 최대혈중농도에 도달하였다. PA의 조피볼락 혈중 내 흡수정도는 $23{\pm}1.5^{\circ}C$보다 $13{\pm}1.5^{\circ}C$에서 매우 높게 나타났으며, NA는 수온에 따른 차이가 크지 않았다. NA 및 PA의 조피볼락 혈중 내 소실정도는 $13{\pm}1.5^{\circ}C$ 보다 $23{\pm}1.5^{\circ}C$에서 두드러지게 빨랐다. NA 및 PA는 one-compartment model로 해석(WinNonlin program)하여 약물동태학적 변수(parameter)를 조사하였다. $23{\pm}1.5^{\circ}C$의 경우, 혈장농도-시간곡선하 면적(AUC)은 NA, PA가 각각 161.25 및 $41.57\;{\mu}g{\cdot}h/ml$, 반감기($T_{1/2}$)는 0.15 h 및 0.58 h, 혈중최고농도의 도달 시간($T_{max}$)은 12.29 및 8.24 h, 혈중최고농도($C_{max}$)는 3.85 및 $0.21\;{\mu}g/ml$로 계산되었다. $13{\pm}1.5^{\circ}C$의 경우, AUC는 NA, PA가 각각 134.42 및 $40.36\;{\mu}g{\cdot}h/ml$, $T_{1/2}$은 0.18 h 및 0.59 h, $T_{max}$는 10.67 및 21.15 h, $C_{max}$는 8.91 및 $3.09\;{\mu}g/ml$로 계산되었다.

벼 유묘에서 NaCl처리에 따른 식물 호르몬의 변동 (Phytohormones Responses to NaCl Treatment in Rice Seedling)

  • 민경수;황태익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42-48
    • /
    • 1997
  • 벼의 10일된 유묘에 0, 50, 100, 150m㏖의 NaCl을 처리하여 수분 흡수와 생육 그리고 GA$_3$와 ABA, IAA, zeatin의 내생 호르몬 수준을 단일클론 항체를 이용한 ELISA에 의해서 분석하였다. 1. 수분 함량은 50mM NaCl 처리에 의해서 동진벼, 삼강벼, 안나프르나 모두 시간이 지남에 따라서 감소하였다. 처리 5일째 수분함량은 동진(71%), 삼강(75%) 안나프르나(79%)순으로 높았다. 2. 염분처리에 의해서 지상부와 지하부 생육은 모두 억제되었다. 지하부가 지상부보다 억제되었다. 지상부와 지하부는 안나프르나 <삼강벼<동진벼 순으로 생육이 억제되었다. 3. GA$_3$와 IAA는 염분처리에 의해서 시간이 지남에 따라서 감소되었으며 zeatin도 감소 경향을 나타내었다. 4. ABA는 염분 농도와 시간에 따라 증가되었으며 염분처리 24시간에 크게 증가되었다. 특히 동진벼는 2n㏖에서 31n㏖ 까지 증가되었으나 안나프르나는 4.5n㏖에서 15n㏖까지만 증가되었다. 5. 수분 함량의 증감에 따라 식물호르몬의 함량이 변동됨을 알 수가 있었다.

  • PDF

Fly ash의 NaOH 용융처리에 의한 고순도 Na-P1 Zeolite의 합성 (Synthesis of Highly Pure Na-P1 Zeolite by NaOH Fusion Treatment of Fly Ash)

  • 최충렬;이동훈;이인중;신동현;김장억;박만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232-237
    • /
    • 2005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lucidate the effects of NaOH fusion treatment on Na-P1 zeolite synthesis from fly ash and to evaluate its optimal condition. NaOH fusion treatment of fly ash led to Na-P1 zeolite with shorter reaction time and higher quality compared that of simple hydrothermal method. Mixed zeolite phases of Na-P1 and hydroxy sodalite were formed by the fusion treatment below $450^{\circ}C$, whereas only Na-P1 zeolite was formed above $550^{\circ}C$. Ratio of NaOH/fly ash, reaction times, fusion temperature and solid/liquid ratio strongly affected the kind and crystallinity of the zeolite formed. The CEC of Na-P1 zeolite formed at the optimum reaction conditions of NaOH/fly ash ratio 0.9 and solid/liquid ratio $1/5.0{\sim}1/7.5$ after NaOH fusion treatment at $550^{\circ}C$ for 2 hours was about $398cmol^+kg^{-1}$ which was 40% higher than those of control products. Therefore, it is clear that NaOH fusion treatment of fly ash in open system could lead to Na-P1 zeolite with high purity.

종결정 코팅층이 다공성 ${\alpha}$-알루미나 지지체 표면에 성장되는 NaA 제올라이트 분리층의 미세구조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eed Coating Layer on the Microstructure of NaA Zeolite Separation Layer Grown on ${\alpha}$-alumina Support)

  • 김민지;;한문희;조철희
    • 멤브레인
    • /
    • 제24권5호
    • /
    • pp.375-385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종결정 코팅층이 NaA 제올라이트 분리막 형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NaA 제올라이트 분리막은 평균입경 100 nm 종결정을 다공성 ${\alpha}$-알루미나 표면에 진공여과 코팅하고 $100^{\circ}C$에서 24시간 수열처리하여 합성되었다. 이때 지지체 표면에 분포된 종결정 양을 조절한 후 형성된 NaA 제올라이트 분리층의 두께와 결정입 크기 등 미세구조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종결정 코팅 양은 지지체를 통과한 종결정 수용액의 여과 양을 조절하여 제어하였다. 종결정을 단일층으로 코팅한 후 합성하였을 경우, 코팅 양이 증가함에 따라 분리층 단면에서의 두께와 균일도는 증가하였으며, 표면에서의 결정입 크기는 감소하면서 균일도는 증가하였다. 반면, 종결정을 다층으로 코팅한 후 합성하였을 경우, 균일한 분리층을 형성하였지만 단일층으로 코팅된 경우에 비하여 불균일하였으며 두꺼운 분리층이 형성되었다. 균일하고 초박형의 결함이 없는 제올라이트 분리층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종결정을 균일하고 단일층으로 코팅하여야 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로부터 종결정의 코팅 상태가 이차성장에 의한 NaA 제올라이트 분리층의 미세구조를 결정하는 중요한 인자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Rat에서 $Na^{+}-K^{+}$ATPase 활성도와 $Na^{+},\;K^{+}$ 배설에 미치는 질산 우라늄의 영향 (Effects of Uranyl Nitrate on $Na^{+}-K^{+}$Adenosine Triphosphatase Activity and Excretion of $Na^{+}\;and\;K^{+}$in Rats)

  • 이기호;윤택구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14권1호
    • /
    • pp.1-7
    • /
    • 1989
  • 우라늄 피폭으로 발생하는 다뇨증과 급성 신부전증의 원인을 밝히기 위하여, 질산 우라늄을 정맥주사한 후 소변으로 배설되는 $Na^{+},\;K^{+}$의 전해질 양과 $Na^{+}-K^{+}$ adenosine triphosphatase($Na^{+}-K^{+}$ATPase) 활성도 변화를 측정하였다. 질산 우라늄 투여 24시간 이내에 $Na^{+},\;K^{+}$의 배설량이 크게 증가 하였고, 투여 3일 후에는 대조군과 비교하여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이때 $Na^{+},\;K^{+}$의 소변내 농도도 정상 대조군 범위 이하였다. 한편 $Na^{+}-K^{+}$ATPase활성은 투여 3일후에 고농도 질산 우라늄 투여 (30mg/kg BW) 시에만 감소 하였고, 저농도 투여군(5mg/kg BW, 15mg/kg BW) 에서는 활성 변화가 없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