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Na-24

검색결과 2,650건 처리시간 0.023초

한국대학생(韓國大學生)의 Sodium과 Potassium섭취량(攝取量) 및 대사(代謝)에 관(關)한 연구(硏究) (A Study on the Sodium and Potassium Intakes and Their Metabolism of University Students in Korea)

  • 박태선;이기열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18권3호
    • /
    • pp.201-208
    • /
    • 1985
  • 본 연구에서는 한국인 남녀 대학생 집단의 1인 1일 Sodium(Na) 및 Potassium(K)섭취량을 뇨 성상분석과 식이 조사방법에 의해 평가하고 이들과 혈압 및 기타 요인들과의 상관성 유무를 검토하였다. 조사 결과를 요약해 보면 다음과 같다. 1) 1일 뇨중의 Na 배설량은 남자 대학생의 경우 199.1mEq(11.63g NaCl), 여자 대학생의 경우 174.5mEq(10.21g NaCl)이었고 식이 조사법에 의해 산출된 1인 1일 Na 섭취량은 남녀 각기 218.5mEq(12.77g NaCl), 218.1mEq(12.75g NaCl)로 나타났다. 2) 1일 뇨중의 K 배설량은 남자 대학생이 48.3 rnEq(1889mg), 여자 대학생이 43.9mEq(1,772mg)로 추정되었고, 식이 조사법에 의한 1인 1 일 K 섭취량은 남녀 각기 48.6mEq(1,897mg), 47.4mEq(1,850mg)인 것으로 나타났다. 3) 뇨중 Na/K 비을은 남자 대학생이 $4.67{\pm}2.42$, 여자 대학생이 $4.58{\pm}2.22$로 나타나 평균 $4.62{\pm}2.3$이었다. 4) 1일 총 뇨량은 남자 대학생의경우 1,228ml$($677ml/m^{2}/24hr$), 여자 대학생의 경우 1,116m1$($703ml/m^{2}/24hr$)$인 것으로 나타났다. 5) 뇨중 Na 및 K 배설량, Na/K비율과 혈압간에는 상관 관계가 존재하지 않았다. 이상의 뇨 분석 결과와 식이 조사결과를 종합해 본다면 이전의 동일 연령의 한국인을 대상으로 한 보고에 비해 서울지역 대학생 집단의 Na 섭취량이 현저히 감소된 반면, K 섭취량은 증가하여 Na/K 비율이 크게 감소하였고, 또한 Na 섭취량의 감소로 인한 1일 뇨 부피의 감소가 있었다. 그러나 아직도 미국인에 비해 Na 섭취량은 높고 K 섭취량은 낮아 Na/K비율이 높은 경향에 있다고 보겠다.

  • PDF

Development of objective indicators for quantitative analysis of sodium intake: the sodium to potassium ratio of second-void urine is correlated with 24-hour urinary sodium excretion

  • Kim, Jung Gon;Han, Sang-Woong;Yi, Joo Hark;Park, Hyeong Cheon;Han, Sang Youb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14권1호
    • /
    • pp.25-31
    • /
    • 2020
  • BACKGROUND/OBJECTIVES: To date, sodium intake has been evaluated based on spot urine instead of 24-hour (hr) urine collection. Nevertheless, the optimal method for assessing daily sodium intake remains unclear. SUBJECTS/METHODS: Fifteen male (age 32.7 ± 6.5 years) participants were offered 3 meals with a total of 9-10 g salt over 24 hours, and 24-hr urine was collected from the second-void urine of the first day to the first-void urine of the second day. Twenty-four-hr urinary sodium (24UNa) was estimated using Tanaka's equation and the Korean formula, and spot urine Na, potassium (K), chloride (Cl), urea nitrogen (UN), creatinine (Cr), specific gravity (SG) and osmolality (Osm) were measured. The ratios of urinary Na to other parameters were calculated, and correlations with total measured 24UNa were identified. RESULTS: Average 24-hr urine volume was 1,403 ± 475 mL, and measured 24UNa was 143.9 ± 42.1 mEq (range, 87.1-239.4 mEq). Measured 24UNa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urinary Na/UN (r = 0.560, P < 0.01), urinary Na/Osm (r = 0.510, P < 0.01), urinary Na/Cr (r = 0.392, P < 0.01), urinary Na/K (r = 0.290, P < 0.01), 24UNa estimated using Tanaka's equation (r = 0.452, P < 0.01) and the Korean formula (r = 0.414, P < 0.01), age (r = 0.548, P < 0.01), weight (r = 0.497, P < 0.01), and height (r = 0.393, P < 0.01) in all spot urine samples. Estimated 24UNa based on the second-void spot urine of the first day tended to be more closely correlated with measured 24UNa than were estimates from the other spot urine samples. The significant parameters correlated with the second-void urine of the first day were urinary Na/K (r = 0.647, P < 0.01), urinary Na/Cr (r = 0.558, P < 0.05), and estimated 24UNa using Tanaka's equation (r = 0.616, P < 0.05) and the Korean formula (r = 0.588, P < 0.05). CONCLUSIONS: Second-void urine is more reliable than first-void urine for estimating 24UNa. Urinary Na/K in the second-void urine on the first day i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24UNa.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establish the most reliable index and the optimal time of urine sampling for predicting 24UNa.

한국산 천연 제올라이트로부터 제올라이트 NaX로의 전환 (Transformation of Korean Natural Zeolite to Faujasite NaX)

  • 박윤희;하백현
    • 공업화학
    • /
    • 제5권1호
    • /
    • pp.24-29
    • /
    • 1994
  • 모더나이트와 크리노프티로라이트가 혼재되어 있는 한국산 천연 제올라니트(경북 구룡포산)로부터 제올라이트 X를 합성하였다. 원료를 열처리한 결과 크리노프티로라이트는 없어지고 모더나이트만 남았다. 2N-8N의 염산으로 알루미늄을 추출하거나 혹은 열처리한 국산 천연 제올라이트에 NaCl과 $NaAlO_2$ 및 NaOH를 첨가한 혼합용액을 $95^{\circ}C$에서 12~36시간 동안 반응시켜 제올라이트 X를 얻었다. 염산으로 전처리한 시료 25g을 3.5g NaCl, 8g $NaAlO_2$와 6N NaOH 50ml의 혼합용액으로 $95^{\circ}C$에서 24시간 반응시킨 것이 제올라이트 NaX의 최대수율을 나타내었다.

  • PDF

한국젊은 성인 여성과 중년 여성의 짠 맛에 대한 기호도와 Na 섭취량 비교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Optimum Gustation of Salt and Sodium Intake in Young and Middle-Aged Korean Women)

  • 김경숙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25권1호
    • /
    • pp.32-41
    • /
    • 1992
  • A study was conducted to estimate Na intake in 30 young and 62 middle-aged female Koreans. For each subject, nondiscretionary Na intake was estimated from 2-day dietary records optimum gustation of salt was tested using beef broth with different salt concentra-tions. and 24-hour urinary Na excretion was measeured from pooled 2-day urine samples. Total daily Na intake was calculated from 24-hour urinary excretion and discretionary Na intake was calculated as difference between total and nondiscretionary Na intake was calculated as difference between total and nondiscretionary Na intake. Mean daily 24-hour urinary Na excretion of the young and middle-aged women was 184.6mEq and 224.6mEq. Mean values of optimum gustation of salt in young and middle-aged subjects were 0.431% and 0.489%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were significant. Nodiscre-tionary Na intakes of the two group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 Calculated total and discretionary Na intake of middle-aged women(245.1mEq)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young women(220.3mEq and 211.0mEq)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young women(210, 3mEq and 169, 7mEq) Percent of discretionary to total Na intake was 85.7% in middle-aged and 79.4% in young women. Age BMI urinary Na and K excretions optimum gustation of salt were signficantly correlated with blood pressure of the subjects.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confirms the high level of sodium intake especia-lly of discretionary Na intake among Korean women.

  • PDF

겨울철 개구리 (Rana temporaria)의 $Na^{+}$이온 대사 ($Na^{+}$ Metabolism in the Frog in the Winter Time)

  • 이중우;강두희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 /
    • 제7권1호
    • /
    • pp.41-47
    • /
    • 1973
  • $Na^{+}$ balance was studied in Rana temporaria, which hibenates in fresh water in the winter time. $Na^{+}$ uptake rate, skin $Na^{+}$ loss rate, urinary $Na^{+}$ loss rate and $Na^{+}-K^{+}$ adenosine triphosphatase(ATPase) were measured at two different temperatures $1{\sim}2^{\circ}C\;and\;20{\sim}24^{\circ}C$ respectively.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1. $Na^{+}$ uptake rates in the frog in an artificial Pond water (APW) were found to be $8.28{\pm}0.73\;and\;2.19{\pm}0.37\;{\mu}Eq/g/day\;at\;20{\sim}24^{\circ}C\;and\;1.0{\sim}2.5^{\circ}$ respectively. 2. $Na^{+}$ loss rate through the frog skin to APW were found to be $4.26{\pm}0.72\;and\;0.93{\pm}0.21\;{\mu}Eq/g/day$ at the same temperatures. 3. Mean rates of urinary $Na^{+}$ loss at $20{\sim}24^{\circ}C\;and\;3{\sim}4^{\circ}C$ were found to be $3.02{\pm}0.73\;and\;0.78{\pm}0.13\;{\mu}Eq/g/day$ respectively. 4. The activities of $Na^{+}-K^{+}$ activated ATPase of frog skin fragments were found to be $258{\pm}39.4\;and\;49.6{\pm}7.1\;{\mu}M\;Pi/g$ protein/hr at $24^{\circ}C\;and\;2^{\circ}C$ respectively. From the above results, it may be concluded that frogs can take up enough $Na^{+}$ through the skin from APW exceeding skin loss Plus urinary loss at $1{\sim}2^{\circ}C$. It is suggested that $Na^{+}$ transport across frog skin is closely related with $Na^+-K^+$ ATPase since $Q_{10}\;of\;Na^{+}$ uptake is much similar to that of the activities of $Na^{+}-K^{+}$ ATPase.

  • PDF

고순도알루미늄의 비파괴 중성자방사화분석 (Determination of Trace Impurities in High Purity Aluminum by Instrumental Neutron Activation Analysis)

  • Cho, Seung-Yeon;Kim, Young-Kuk;Chung, Yong-Sam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24권2호
    • /
    • pp.163-167
    • /
    • 1992
  • 고순도알루미늄중 불순물의 Parameter로 이용될수 있는 구리의 비파괴 방사화분석법의 고찰 및 23종의 극미량불순성분원소의 함량을 분석하였다. 즉 구리의 분석은 원자로의 속중성자에 의한 27Al(n,$\alpha$)24Na반응으로 생성되는 24Na의 방사능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Thermal Column을 이용하였고 다른 조사공을 이용한 경우보다 약 100 배 정 도 방해 요인을 감소시킬 수 있었다. 24Na 에 의한 영향은 2-3 %범위 이하이었다. 이 방법에 의해 표준알루미늄(6 nine class)시료로부터 구리를 정량하였고 아울러 기타 불순원소들을 일상 방사화분석법에 의해 정량하였다. 구리의 함량은 0.54$\pm$0.08 ppm이었다. 이러한 결과는 문헌값과 비교할때 타당성이 있었고 일상분석에 이용할 수 있는 좋은 방법으로 여겨진다.

  • PDF

볏짚을 이용한 Glucose Isomerase 생산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Utilization of Straw for Production of Glucose Isomerase)

  • Han, Youn-Woo;W. P. Chen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9-14
    • /
    • 1979
  • 독보리짚을 NaOH로 처리하여 헤미셀로오즈 부분을 추출하여 이것을 Streptomyces flavogriseus에 의한 글루코오스 이성질화효소를 생성하는데 사용하였다. 짚을 1%~24%의 NaOH를 처리함으로써 천연 헤미셀룰로오즈를 농도 25%까지 얻을 수 있었고 헤미셀룰로오즈 수율은 NaOH농도를 4%까지 증가시킬 때까지는 비례적으로 증가하였다. 그러나 증가율은 NaOH 농도가 더 증가하면 낮았다. 독보리짚에서 헤미셀룰로오즈를 추출하는 최적조건은 짚을 4% NaOH로 9$0^{\circ}C$에서 3시간 처리하거나 3$0^{\circ}C$에서 24시간 처리하여 균체를 2% 짚-헤디미셀룰로즈에서 3$0^{\circ}C$, 2일간 키웠을 때, 글루코오스 이성질화 효소활성도(3.04 units/ml 배양액)가 최고값에 달하였다. 또한 균체를 xylan, xylose 또는 짚의 황산가수분해물에 키웠을 때 글루코오스 이성질화 효소를 상당한 량을 생성되었다. 헤미셀룰르오즈를 추출해내고 남은 짚 찌꺼기는 동물 사료로 사용할 수 있는데, 이는 젖을 갖 뗀 초원 들쥐에 그 찌꺼기를 사료로 주었을 때, 처리하지 않은 짚을 준 경우보다 75%나 더 높은 소화가 능도를 나타내며 사료로서의 효율은 20%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음으로 알 수 있었다.

  • PDF

NaCl 처리와 감마선조사가 자주달개비 수술털 세포의 분홍돌연변이 유기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NaCl Treatment and Gamma Ray Irradiation on the Induction Pink Mutations in Hairs of Tradescantia Stamen)

  • 김진규;김원록;김재성;김기남;홍광표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41-47
    • /
    • 1999
  • NaCl과 방사선이 자주달개비 수술털 세포 분홍돌연변이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포트에서 생육된 Tradescantia 4430 식물체에 코발트 선원으로부터 0.3, 0.5, 1.0 및 2.0Gy의 감마선을 조사하였다. NaCl 용액(170mM)의 분무처리는 방사선 조사 24시간전 및 후에 이루어졌다. CT 실험군, NaCl+${\gamma}$실험군 및 ${\gamma}$+NaCl 실험군에 있어서의 돌연변이 빈도가 증가한 고조기간은 방사선 조사 후 6∼12일로 나타났으며 돌연변이 빈도는 방사선량 증가에 따라 선형적으로 증가하는 반응관계를 보였다. CT 실험군에서의 선량반응식 기울기(증가계수)는 5.99($r^2$=0.99)이었으나, NaCl+${\gamma}$실험군의 증가계수는 4.55($r^2$=0.98), ${\gamma}$+NaCl 실험군은 4.33($r^2$=0.99)으로 CT실험군의 값에 비해 낮았다. 즉, 방사선 조사 전후에 NaCl을 처리한 실험군들이 방사선만 조사한 CT 조사군에 비하여 방사선에 의한 돌연변이 유발증가율이 24% 이상 억제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는 NaCl 자체가 방사선에 의한 DNA 손상에 대하여 방어효과를 갖기 때문인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 PDF

NaF 전해용액을 이용한 양극산화에 의한 타이타늄 표면의 나노튜브구조의 형성에 관한 연구 (Investigation on Formation of Nanotube Titanium Oxide Film by Anodizing on Titanium in NaF Electrolytes)

  • 임현필;박남순;박상원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25권2호
    • /
    • pp.183-190
    • /
    • 2009
  • 본 연구의 목적은 NaF와 $H_3PO_4$를 사용하여 양극산화과정을 통해 나노튜브 제작 조건을 찾는 것이다. 절삭된 직경 15 mm, 두께 1.5 mm의 티타늄 디스크를 양극에, 백금을 음극에 연결하고 전극간의 거리는 10 mm가 되도록 하였다. $H_3PO_4$와 NaF 용액을 전해질로 하여 양극산화를 시행하였는데 전압, 전해질 농도, 산화시간을 달리하여 티타늄 디스크에 나노튜브를 형성하였다. 양극산화 후 24시간 동안 증류수로 세척한 후 24시간 동안 $40^{\circ}C$ 오븐에서 건조하고 시편의 표면구조 형상을 관찰 분석하였다. 실험 결과 0.5 wt % NaF에서 전압과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pore 형태의 초기 나노튜브 형성되었다. 1.0 wt % NaF에서 20 V, 20 분과 25 분에서 나노튜브가 생성되었고, 30 V에서 튜브의 형태가 커지면서 터지는 양상을 보였다. 2.0 wt % NaF에서 전압과 시간에 상관없이 적절한 나노튜브형태가 형성되지 않았다. $1M\;H_3PO_4$, 1.0 wt % NaF 전해용액, 20 V, 20분 양극산화 조건에서 티타늄 디스크 상에 가장 잘 정렬된 형태의 나노튜브 구조가 형성되었다. 양호한 형태의 나노튜브 형성을 위해서는 전해질의 종류에 따라 적절한 농도, 전압, 시간의 형성조건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