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a$^{+}$ -montmorillonite

검색결과 101건 처리시간 0.026초

Na-Montmorillonite와 Octadecylenetrimethylammonium Ion에 의한 Organophilic Montmorillonite 층간화합물의 형성과 그 팽윤거동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ynthesis of Organophilic Montmorillonite from Na-Montmorillonite and Octadecylenetrimethylammonium Ion and on itls Swelling Behavior)

  • 조성준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32권6호
    • /
    • pp.703-709
    • /
    • 1995
  • Octadecylenetrimethylammonium-montmorillonite as an organophilic montmorillonite intercalations complex was formed by cation exchange reaction between Na-montmorillonite and 9-octadecylenetrimethylammonium cation. After drying of this organophilic montmorillonite at $65^{\circ}C$ in high vacuum, the complexes were reacted with various swelling-solutions such as benzene, toluene, o-xylene, pyridine, $\alpha$-picoline, 2-ethyl-pyridine, 2-vinyl-pyridine and styrene, and the corresponding basal spacing obtained were 43.9$\AA$, 54.3$\AA$, 51.7$\AA$, 41.5$\AA$, 42.5$\AA$, 39.9$\AA$, 39.8$\AA$, 44.8$\AA$, respectively.

  • PDF

천연 Ca-몬모릴로나이트와 이로부터 합성된 Al-가교몬모릴로나이트의 특성 비교연구 (Comparison of Properties of Natural Ca-Montmorillonite and its Al-pillared Montmorillonites)

  • 이정현;김수진
    • 한국광물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273-282
    • /
    • 2002
  • 국내산 Ca-몬모릴로나이트와 이것으로부터 이온치환에 의하여 합성된 Al-가교몬모릴로나이트의 특성을 비교하였다. Ca-몬모릴로나이트와 Al-가교몬모릴로나이트를 저면간격, 비표면적, 탈수 및 이온치환 등의 관점에서 그 특성을 비교 연구하였다. d(001) 간격은 Ca-몬모릴로나이트에서는 15.1 $\AA$이었으나 Al-가교몬모릴로나이트에서는 18.3 $\AA$으로 나타났다. 탈수는 Ca-몬모릴로나이트에서는 $350^{\circ}C$ 이하에서 일어났지만, Al-가교몬모릴로나이트에서는 $550 ^{\circ}C$까지도 선형적으로 일어났다. BET 비표면적은 Al-가교몬모릴로나이트( $192\m^2$/g)가 Ca-몬모릴로나이트보다 5~6배 높은 값을 보여주었다. Ca-Na 이온 용액과의 반응에서 Ca-몬모릴로나이트는$ Na^{+}$ 에 대하여, 그리고 Al- 가교몬모릴로나이트는 $Ca^{2+}$ 에 대하여 선택성을 보여주었다. Ca-몬모릴로나이트는 $Na^{+}$ /가 증가할수록 d(001)간격이 감소하다가 $Ca^{ 2+}$$Na^{+}$ /가 같은 양일 경우에 구조적으로 불규칙한 혼합층구조 상태를 보여주었으며 Al-가교몬모릴로나이트는 $Ca^{2+}$ 의 증가와 함께 d(001) 간격이 선형적으로 감소한 양상을 보여주었다.

(TEACOOH)-Montmorillonite 층간화합물의 형성 및 층 내에서의 고분자화 반응 (Formation of (TEACOOH)-Montmorillonite Intercalations Complex and Polycondensation between the Layers of the Complex)

  • 윤도우;조성준
    • 공학논문집
    • /
    • 제7권1호
    • /
    • pp.79-87
    • /
    • 2005
  • Na-Montmorillonite와 10-Carboxy-n-decyltriethylammonium bromide (유기 양이온) 사이의 양이온 교환반응에 의해 얻어진 [TEACOOH]-Montmorillonite 층간화합물을 유기 단분자인 $\varepsilon$-caprolactone을 반응시켜 [TEACOOH]-$\varepsilon$-caprolactone-Montmorillonite 층간화합물을 형성하였다. 이렇게 얻어진 [TEACOOH]-$\varepsilon$-caprolactone-Montmorillonite 층간화합물을 $220^{\circ}C$의 온도 하에서 48시간 동안 가열하여 고분자화시켜 무기물질인 몬모릴로나이트와 유기 고분자인 폴리카프로락톤이 화학적으로 결합된 몬모릴로나이트/폴리카프로락톤 나노복합재료를 제조하였다. 고분자화반응을 수행한 후 얻어진 시료를 메탄올을 이용하여 추출한 뒤 고진공 하에 $65^{\circ}C$로 24 시간 동안 건조시킨 후에 얻은 층간거리 값으로는 34.24 $\AA$이 얻어졌다.

  • PDF

몬모리노나이트와 란탄족 원소들과의 인터카레이숀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Intercalation between Montmorillonite and Lanthanides)

  • 하영구
    • 대한화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488-492
    • /
    • 1986
  • 경북 원성군 감포 78에서 산출되는 벤토나이 중 몬모리노나이트를 분리하여 Ca, Mg-형을 NaCl용액으로 처리하여 Na-형 몬모리노나이트를 만들었다. 이때 가장 적당한 조건은 0.05M NaCl용액으로 80${\circ}C$에서 24시간 반응시켜 치환되는 $Ca^{2+}$, $Mg^{2+}$량을 EDTA로 적정하여 양이온 교환 용량을 구하였다. Na-형에 $Ln^{3+}$이온용액과 같은 조건하에서 반응시켜 $Ln^{3+}$-형 몬모리노나이트를 만들었다. 치환되는 량은 $Ln^{3+}$이온들의 이온 크기에는 무관함을 알 수 있었고, X-선 회절 실험결과 순수한 몬모리노나이트를 얻을 수 있음을 밝혔고, 또한 $Ln^{3+}$형은 새로운 결정모양이 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단순한 틈새끼우기 반응이 아니 새로운 결정형이 생성됨을 알 수 있다.

  • PDF

점토광물(粘土鑛物)이 정수(淨水)에 미치는 영향(影響)에 관한 연구(硏究) (A Study on the Effect of clay Minerals on Clarification of Water)

  • 박병윤;최정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6권
    • /
    • pp.93-97
    • /
    • 1988
  • 경수(硬水)나 오수(汚水)로부터 청정(淸淨)하고 안전(安全)한 음용수(飮用水)를 얻기 위한 기초자료(基礎資料)를 제공할 목적으로 한국산 점토광물(粘土鑛物)(Kaolinite, Montmorillonite)의 이화학적(理化學的) 특성(特性)과 이들에 의한 각종 양이온들의 경쟁흡착(競爭吸着)을 조사(調査)하였다. 양이온들간의 흡착력(吸着力)의 세기는 Kaolinite나 Montmorillonite의 두 점토광물(粘土鑛物) 공(共)히 $Ca^{{+}{+}}$ > $Mg^{{+}{+}}$ > $K^+$ > $Na^+$의 순(順)이었으며 Kerr의 공식에 의한 Montmorillonite에서의 양(陽)이온 선택성계수(選擇性系數)(K)는 $^KCa^{{+}{+}}/K$ > $^KMg^{{+}{+}}/K$, $^KCa^{{+}{+}}/Mg$ > $^KK^+/Mg$의 순(順)이었다. 한편 $Na^+$으로 포화(飽和)된 Montmorillonite의 경우 양(陽)이온의 흡착량(吸着量)이 가장 많았다. 따라서 경수(硬水)나 오수(汚水) 중의 각종 양(陽)이온들을 보다 효과적으로 제거(除去)하기 위해서는 Montmorillonite에 $Na^+$을 포화(飽和)시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하겠다.

  • PDF

Synthesis and Charactrization of Polycaprolactone Nanocomposites Reinforced with Montmorillonite

  • Cho, Sung-Jun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41권6호
    • /
    • pp.425-429
    • /
    • 2004
  • [DEACOOH]-Montmorillonite intercalations complex obtained from Na-Montmorillonite and 10-Carboxy-n-decyldimethylethylammonium bromide (organic cation) was reacted with the monomer ($\varepsilon$-caprolactone) to achieve the [DEACOOH]-$\varepsilon$-caprolactone-Montmorillonite intercalations complex. From this intercalations complex Montmorillonite/Polycaprolactone nanocomposites in which montmorillonite (inorganic polymer) is chemically linked with the polycaprolactone (organic polymer) were formed at 240$^{\circ}C$ by three different methods such as in stoichiometric amounts between monomer and organic cation, in excess of only the monomer and in excess of both organic cation and monomer. The products obtained after polymerization were analyzed with X-ray diffractometer and TEM.

폴리카보네이트와 몬모릴로나이트 나노복합체의 층간삽입 (Intercalation of Polycarbonate/Montmorillonite Nanocomposites)

  • 이양훈;홍성권;윤광수;최일석;이성구
    • 폴리머
    • /
    • 제25권6호
    • /
    • pp.818-825
    • /
    • 2001
  • 폴리카보네이트 (PC)와 몬모릴로나이트 (montmorillonite, MMT)의 나노복합체를 용액 및 용융 혼합 방법으로 층간삽입시켜 제조하여 X-ray 실험으로 MMT의 층간간격 변화를 조사하였다. MMT로는 $Na^+$를 양이온으로 갖는 순수 MMT (MMT-Na)와 도데실암모늄 (MMT-DA) 및 dimethyl hydrogenated tallow 2-ethylhexyl ammonium으로 개질된 MMT (MMT-25A)를 사용하였다. PC/MMT-25A와 PC/MMT-DA가 PC/MMT-Na보다 층간거리의 증가폭이 컸으며, 혼합방법에 따라 최대 $37AA$까지 층간간격이 증가하였다. 또 PC의 분자량이 작을수록, 혼합시간이 증가할수록 삽입이 잘 일어났다. 열중량분석법 (TGA)으로 측정한 열안정성은 PC/MMT-25A가 PC/MMT-Na와 순수한 PC보다 우수함을 나타내었다.

  • PDF

Interface control in polymer/clay nanocomposites

  • Lee, Sang-Soo;Park, Min;Kim, Junkyung
    • 한국복합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복합재료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11-15
    • /
    • 2003
  • In order to suppress a repulsive interfacial energy between hydrophilic clay and hydrophobic polymer matrix in preparing a polymer/clay nanocomposite, a third component of amphiphilic nature such as poly($\varepsilon$-caprolactone) (PCL) was introduced into the model system of styrene-acrylonitrile copolymers (SAN)/Na-montmorillonite. Once $\varepsilon$-caprolactone was polymerized in the presence of Na-rnontmorillonite, the successful ring-opening polymerization of $\varepsilon$-caprolactone and the well-developed exfoliated structure of PCL/Na-montmorillonite mixture were confirmed, Thereafter, SAN was melt-mixed with PCL/Na-montmorillonite nanocomposite, which resulted in that SAN matrix and PCL fraction were completely miscible to form homogeneous mixture with retention of the exfoliated state of Na-montmorillonite, exhibiting that PCL effectively stabilizes the repulsive polymer/clay interface and contributes the improvement of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nanocomposites.

  • PDF

A Study on the Synthesis of Organophilic [TEACOOH]-Montmorillonite Intercalations Complex and its Swelling Properties

  • Cho, Sung-Jun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39권5호
    • /
    • pp.427-432
    • /
    • 2002
  • In this research an organic cation, [TEACOOH] Br, with a long alkyl chain was synthesized which will replace the metal ion between the layers of Na-Montmorillonite and an organophilic [TEACOOH]-Montmorillonite intercalations complex was formed by the cation exchange reaction between the Na-Montmorillonite and the synthesized [TEACOOH] Br. After drying of this intercalations complex in high vacuum we have tried to experiment on the probability whether it will form complexes with various swelling solutions such as dist. water, methano, ethanol, toluene, acetonitrile and propionitrile and the corresponding basal sp acings measured were $17.41{\AA}$, $31.90{AA}$, $34.42{AA}$, $30.52{AA}$ and $32.36{AA}$, respectively.

[RCOOH]-$\varepsilon$-Caprolactam-Montmorillonite 층간화합물의 합성과 고진공상태하에서의 등온 분해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ynthesis of [RCOOH]-$\varepsilon$-Caprolactam-Montmorillonite Intercalations-complex and its Isothermal Decomposition in High Vacuum)

  • 조성준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33권8호
    • /
    • pp.909-914
    • /
    • 1996
  • In this research [RCOOH]-$\varepsilon$-Caprolactam-Montmorillonite was synthesized by reaction between Na-Mont-morillonite (10-Carboxy-n-decyl)dimethylethylammonium (=RCCOH) ion and $\varepsilon$-Caprolactame-Motmorillonite ob-tained was 3.62$\AA$ After heat treatment of this intercalations complex at 37$^{\circ}C$ in high vacuum for 12 h 24 h, 40 h and 90 h the basal spacing was reduced to 35.8$\AA$, 34.2, 17.5 $\AA$ and 16.6$\AA$ respectively. The calculated amount of free $\varepsilon$-caprolactame included int he intercaltions complex and that of $\varepsilon$-caprolactame which is interca-lated into the interlayer space of montomorillonite and still remained after heat treatment are 4.6~4.9 and 0.5 molecules per unite cell of montmorillonite respectivel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