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O radical scavenging activity

검색결과 1,066건 처리시간 0.028초

정금나무(Vaccinium oldhami) 열매의 항산화 효과 (The Anti-Oxidant Effect of Extracts from the Vaccinium oldhami)

  • 채정우;공혜진;이미지;박정연;김지향;김영훈;이창언;김경환
    • 생명과학회지
    • /
    • 제20권8호
    • /
    • pp.1235-1240
    • /
    • 2010
  • 천연물들은 현재까지 합성 항산화제들을 대체하기 위하여 많은 연구가 이뤄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천연 항산화제로서 화장품과 바이오산업에 적용하기 위해 정금나무 열매 70% 아세톤 추출물의 항산화능을 측정하였다. 정금나무 열매의 항산화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폴리페놀의 함량을 측정, 전자공여능, $ABTS{\cdot}^+$, nitric oxide, hydrogen peroxide들의 소거 측정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폴리페놀의 총 함량은 55.972 mg TAE/g로 정량 되었다. 전자공여능 실험에서는 농도 의존적으로 DPPH radical 소거능이 증가 하였으며 500 ${\mu}g/ml$에서 98% 이상의 활성을 나타내어 양성 대조군인 BHA의 활성을 초과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ABTS{\cdot}^+$에 대한 소거활성은 500 ${\mu}g/ml$에서 66.7%의 결과로 나타났고, nitric oxide radical 소거능은 100 ${\mu}g/ml$에서 57%의 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정금나무 열매 70% 아세톤 추출물의 hydrogen peroxide의 소거활성은 50 ${\mu}g/ml$에서 정금나무 열매 추출물은 70% 이상의 활성을 나타났으며, BHA 보다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천연물의 산업화 가능성에 있어 가장 중요한 것은 재료의 영속적인 수급과 적은 농도를 첨가하여도 높은 효과를 나타내는지의 여부이다. 매년 수확이 가능한 정금나무 열매를 이용한 본 연구의 결과에서 열매의 항산화능 확인 및 화장품 등 바이오산업에 천연항산화제 원료로서의 적용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국내산 품종별 쑥의 항산화 및 암세포성장 억제활성 (Antioxidant and Cancer Cell Growth Inhibition Activity of Five Different Varieties of Artemisia Cultivars in Korea)

  • 김라정;강민정;황초롱;정우재;신정혜
    • 생명과학회지
    • /
    • 제22권6호
    • /
    • pp.844-851
    • /
    • 2012
  • 섬애약쑥, 인진쑥, 약쑥, 강화사자발쑥 및 개똥쑥 열수 추출물을 제조한 다음 항산화 및 항암활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5종의 쑥 추출물 중 총 페놀 함량은 인진쑥에서 유의적으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섬애약쑥, 개똥쑥, 약쑥 및 강화사자발쑥 순이었다. 플라보노이드 함량도 인진쑥이 가장 높았고, 섬애약쑥은 인진쑥과 유의차가 없었다. 추출물의 농도를 달리하여 항산화능을 측정한 결과, DPPH 라디칼 소거능은 50 ${\mu}g/ml$ 농도에서 섬애약쑥의 활성이 가장 높았고, NO 라디칼 소거능은 200 ${\mu}g/ml$ 농도에서 약쑥, 강화사자발쑥 및 개똥쑥이 약 50% 이상의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이들 시료간에 유의차는 없었다. FRAP법에 의한 항산화능은 섬애약쑥 및 인진쑥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beta}$-carotene 존재 하에서의 항산화능 또한 섬애약쑥 및 인진쑥이 100 ${\mu}g/ml$ 농도에서 50% 이상의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400 ${\mu}g/ml$ 농도에서 인체 자궁경부 상피암 세포인 HeLa의 증식억제 활성은 인진쑥이 80% 이상으로 활성이 높았고, 유방암 세포인 MCF-7의 대해서는 강화사자발쑥과 섬애약쑥이 80% 이상의 증식억제 활성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 쑥 추출물은 높은 항산화 활성과 암세포 증식억제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특히 항산화 활성은 ascorbic acid 이상의 높은 활성을 나타내어 천연 기능성 식품 소재로써 활용 가치가 높을 것으로 생각된다.

오자연종환(五子衍宗丸)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에 관한 연구 (Study of the Antioxidant Effect of Ojayeonjong-hwan)

  • 정유진;박상은;홍상훈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344-362
    • /
    • 2022
  • Objective: In this study, the antioxidant activity of Ojayeonjong-hwan extracts was compared, and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Methods: For hydrothermal and ethanol extracts, DPPH free radical and ABTS cationic radical erasing activity and reducing power using the FRAP method were compared, and the association between the antioxidant power of each extract and total phenol content was investigated. Significant results were obtained through in vitro apoptosis analysis through FFITC staining, mitochondrial membrane potential analysis, and ROS level measurement using C2C12 myoblastoma. Results: 1. In a comparison of DPPH free radical and ABTS cationic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ater, and 70% ethanol extracts of Ojayeonjong-hwan (WEO and EEO) showed superior radical scavenging ability. 2. In the results of reducing power using the FRAP method, WEO and EEO showed antioxidant activity, which was shown to be dependent on the total phenol content contained in the extracts. 3. In comparison to the protective effect against H2O2-induced oxidative stress in C2C12 myoblasts, water extracts had no significant effect, but 70% ethanol extracts inhibited H2O2-mediated cytotoxicity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4. The cytotoxic protective effect of EEO against oxidative stress in C2C12 myoblasts was correlated with its inhibitory effects on H2O2-induced apoptosis and cell-cycle arrest. 5. In H2O2-treated C2C12 myoblasts, the apoptosis inhibitory effects of EEO were associated with the suppression of mitochondrial dysfunction and DNA damage. 6. The protective effects of EEO against H2O2-induced oxidative stress in C2C12 myoblasts were directly related to the inhibition of ROS generation. Conclusions: Ojayeonjong-hwan extracts all have protective potential against oxidative stress.

제주산 로즈마리와 라벤더(Rosmarinus officinalis L., Lavandula angustifolia Mill.)로부터 추출한 essential oil과 hydrosol의 성분 분석 및 항산화 활성 (Composition Analysi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the Essential Oil and the Hydrosol Extracted from Rosmarinus officinalis L. and Lavandula angustifolia Mill. Produced in Jeju)

  • 전덕현;문정용;현호봉;김소미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6권3호
    • /
    • pp.141-146
    • /
    • 2013
  • 제주도에서 생산된 로즈마리(Rosmarinus officinalis L.)와 라벤더(Lavandula angustifolia Mill.) 두 종의 허브 에센셜 오일과 하이드로졸 성분을 GC-MS로 분석하였다. 로즈마리 에센셜 오일에는 ${\alpha}$-pinene (40.96%)의 함량이 가장 높았으며, 라벤더 에센셜 오일에는 camphor (34.44%)가 가장 높았다. 로즈마리 하이드로졸에는 verbenone이 (45.31%)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라벤더 하이드로졸에서는 camphor (67.04%)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로즈마리와 라벤더 에센셜 오일과 하이드로졸의 항산화 효능을 검증해 본 결과, 두 종류의 에센셜 오일 모두 DPPH, ABTS 라디칼 소거능과, $Fe^{2+}$ ion 킬레이팅 활성을 나타냈으나, alkyl 소거능은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DPPH 라디칼 소거능은 로즈마리 에센셜 오일이 라벤더 에센셜 오일보다 우수한 반면, $Fe^{2+}$ ion 킬레이팅 실험에서는 라벤더 에센셜 오일이 로즈마리 에센셜 오일보다 더 우수했다. 로즈마리, 라벤더 하이드로졸 모두 alkyl 라디칼 소거능을 나타냈으나, 라벤더 하이드로졸만이 $Fe^{2+}$ ion 소거능을 나타냈다. 특히 $H_2O_2$에 의해 유도된 Fibroblast와 HaCaT에서의 세포독성 실험에서 하이드로졸이 에센셜 오일보다 우수한 세포사멸 억제능을 나타냈다.

청동풍탱이(Anomala albopilosa)추출물의 항산화성 및 생리기능 (Antioxidant Activity and Physiological Function of the Anomala albopilosa Extracts)

  • 윤원종;이정아;김지영;김상범;박수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6권6호
    • /
    • pp.670-677
    • /
    • 2007
  • 산화적인 스트레스(oxidative stress)는 신경염증의 발병 요인 중의 하나로 알려져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약용곤충으로 알려진 청동풍뎅이(Anomala albopilosa) 성충과 3령 유충(궁벵이) 에탄올 추출물을 대상으로 항산화활성을 비교 측정하였으며, 또한 대식세포인 RAW 264.7 세포에서의 NO 의 생성억제 효과 및 세포독성 그리고 분자 염증관련 인자인 iNOS, COX-2와 $PGE_2$ 생성 및 활성 억제를 조사하여 항염 증효과 등의 생리활성을 측정 비교하였다. 우선, 분자염증은 활성산소 관련의 물질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므로 향산화 실험과 관련하여 청동풍탱이 성충과 3령 유충 에탄올 추출물 의 DPPH(1,1-diphenyl-2-picrylhydrazyl) radical 소거능, superoxide radical 소거능, xanthine oxidase 저해활성 그리고 nitric oxide 소거능에 대한 항산화활성 등의 assay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청동풍뎅이 에탄올 추출물은 항산화능을 갖고 있었으며, 3령 유충 추출물에서보다는 성충 추출물에서 다소 높은 항산화활성을 보여주었다. 또한 RAW 264.7 세포에 LPS로 자극을 주고 청동풍뎅이 성충과 3령 유충 에탄올 추출물을 처리하여 항염증관련 활성을 확인해본 결과, 고농도에서는 다소 세포독성을 나타냈지만 농도의존적으로 NO, iNOS, COX-2 그리고 $PGE_2$의 생성 억제효과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유용곤충자원을 이용한 유효성분 추출을 통한 항산화 및 항염증 물질의 연구 또는 예방하거나 치료할수 있는 염증 억제 성분의 분리 및 그 작용기전 연구에 중요한 기초 자료가 될 것이라 사료된다.

Chemical Constituents of Gymnopilus spectabilis and Their Antioxidant Activity

  • Lee, In-Kyoung;Cho, Sung-Min;Seok, Soon-Ja;Yun, Bong-Sik
    • Mycobiology
    • /
    • 제36권1호
    • /
    • pp.55-59
    • /
    • 2008
  • Gymnopilus spectabilis, a hallucinogenic mushroom belonging to the family Cortinariaceae, is found growing in dense clusters on stumps and logs of hardwoods and conifers. It contains the hallucinogenic alkaloid psilocybin and its strongly bitter taste makes it undesirable as an edible. In an effort to identify chemical constituents of Korean native wild mushrooms, 4,6-decadiyne-1,3,8-triol (1), ergosta-4,6,8(14), 22-tetraen-3-one (2), bisnoryangonin (3), and hispidin (4) were isolated from the methanolic extract of the fruiting bodies of G. spectabilis. Their structures were assigned on the basis of various spectroscopic studies. Compounds 3 and 4 displayed significant scavenging activity against the ABTS radical cation, DPPH radical, and superoxide radical anion, while 1 and 2 exhibited no antioxidant activity.

참조팝나무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항염증 효과 (Anti-Oxidant Activity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f Spiraea fritschiana Schneid Extract)

  • 최은영;허성일;권용수;김명조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31-37
    • /
    • 2016
  • Background : We studied the anti-oxidant activity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f Spiraea fritschiana Schneid extract (SFSE). Methods and Results : The SFSE was prepared using methanol and was evaluated for its total phenol and flavonoid content, DPPH (1,1-diphenyl-2-picrylhydrazyl) free-radical scavenging activity, reducing power, and effect on nitric oxide (NO) production, and cell viability by using real-time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The total phenol content was $212.78{\mu}g{\cdot}galli$c acid equivalent (GAE)/mg and the total flavonoid content was $66.84{\mu}g{\cdot}quercetin$ equivalent (QE)/mg. The extract showed antioxidant activity (DPPH free-radical scavenging activity) with $RC_{50}$ value of $76.61{\mu}g/m{\ell}$. The reducing power of the extract was Abs 0.58 at $250{\mu}g/m{\ell}$. Cell viability was determined using the MTT 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assay. To evaluate anti-inflammatory activity, we examined the inhibitory effects on lipopolysaccharide-(LPS)-induced NO production in RAW 264.7 cells. The NO inhibition rate was 90% at $200{\mu}g/m{\ell}$ SFSE. At the same concentration, the expression of pro-inflammatory genes such as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 and cyclooxygenase (COX)-2 also decreased. Conclusions : Our results suggest that SFSE is a novel resource for the development of foods and drugs that possess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activity.

까치버섯(Polyozellus multiplex)으로부터 분리한 polyozellin과 thelephoric acid의 항산화 활성 (Antioxidative Effects of Polyozellin and Thelephoric Acid Isolated from Polyozellus multiflex)

  • 정신교;전소영;이희주;김숙경;김상인;김금숙;권순호;김자영;송경식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7권2호
    • /
    • pp.283-286
    • /
    • 2004
  • In the course of screening for reactive oxygen species scavengers from natural products, two antioxidants were isolated from the edible mushroom Polyozellus multiflex and identified as polyozellin and thelephoric acid. Thelephoric acid inhibited 45.7% of the super oxide anion radical, 74.6% of the hydroxyl radical, and 44.0% of the DPPH radical at 0.1 mM, while the positive control ${\alpha}-tocopherol$ did 22.1%, 75.6%, and 26.5% of each radical, respectively. Polyozellin, the reductive acetylated form of thelephoric acid, showed almost same scavenging activity against above mentioned radicals. The isolated compounds showed scavenging activity on the superoxide anion radical in the ESR method ($IC_{50}$ of polyozellin and thelephoric acid were $218.0\;{\mu}M$ and $21.1\;{\mu}M$, respenctively). However, they showed no significant activity on the hydrogen peroxide radical.

비타민나무(Sea Buckthorn, Hippophae rhamnoides) 잎 에탄올 농도별 추출물의 항산화활성 비교 (Comparison of antioxidant activities of sea buckthorn (Hippophae rhamnoides) leaf extracts at different ethanol ratios)

  • 박민규;주신윤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3권1호
    • /
    • pp.55-62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에탄올 농도를 달리한 비타민나무 잎 추출물의 항산화 물질 및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였다. 에탄올 농도별 비타민나무 잎 추출물의 총 페놀 함량은 40% 에탄올 추출물과 80% 에탄올 추출물이 각각 285.06, 285.64 mg GAE/g으로 높은 함량을 보였으며, 총 플라보노이드, 총 비타민 C, 클로로필 a, 클로로필 b, 총 클로로필 함량은 각각 100% 에탄올 추출물이 123.78 mg NE/g, 807.11 mg/100 g, 30.65, 49.20, 77.58 g/mL로 높은 함량을 보였다. 항산화 활성은 40% 에탄올 추출물과 80% 에탄올 추출물이 DPPH 라디칼 소거능(IC50 49.18, 49.03 ㎍/mL), ABTS+ 라디칼 소거능(IC50 67.52, 65.71 ㎍/mL), 아질산염 소거능(IC50 5.15, 4.24 ㎍/mL) 및 환원력(0.90-2.60, 0.97-2.73 O.D.)에서 가장 활성이 좋았고 superoxide- 라디칼 소거능은 40% 에탄올 추출물이 IC50 60.80 ㎍/mL로 활성이 좋았다. 또한 아질산염 소거능과 ABTS+ radical 소거능의 경우 비교군보다 활성이 좋거나 비슷하여 비타민나무 잎의 천연 항산화 물질로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항산화 물질과 항산화 활성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상관계수가 0.715-0.990으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따라서 비타민나무 잎 추출물 제조 시 40% 에탄올 및 80% 에탄올 용매를 사용할 경우 높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어 천연 항산화제로 활용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사료된다.

반총산의 항산화, 항염증, 항소양증, 항균효능에 관한 실험 연구 (The Experimental Study on Antioxidant, Anti-inflammatory, Antipruritic and Antibacterial Effects of the Banchong-san (BCS))

  • 조은진;조성희;양승정
    •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29-48
    • /
    • 2021
  • Objectives: Banchong-san (BCS) is a herbal formula composed of 13 korean medicinal herbs and is traditionally used to treat inflammatory diseases and pain. The object of this study was to research the antioxidant, anti-inflammatory, antipruritic and antimicrobial effects of the BCS in lipopolysaccharide (LPS)-stimulated RAW 264.7 macrophages. Methods: In this experiment, effects of BCS on the following four were measured as follows: (1) Anti-oxidative effects were evaluated by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2) Anti-inflammatory effects were evaluated by the production amount of Reactive oxygen species (ROS), Nitric oxide (NO), Interleukin-1β (IL-1β), Interleukin 6 (IL-6), tumor necrosis factor-α (TNF-α), Prostaglandin E2 (PGE2),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 cyclooxygenase-2 (COX-2)(the previous two are "mRNA"), extracellular signal-regulated kinase (ERK), c-Jun N-terminal kinase (JNK), p38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s (p38), inhibitor of nuclear factor kappa B (IκBα), nuclear factor kappa B (NF-κB) (the previous five are "Protein") in LPS-Stimulated RAW 264.7 cells. (3)Antipruritic effects were evaluated by the production amount of histamine, Leukotriene B4 (LTB4), LeukotrieneC4 (LTC4) Levels in phorbol 12-myristate 13-acetate(PMA)/ionomycin-stimulated MC/9 mast cell. (4) Anti-microbial effects were evaluated by the growth suppression of Escherichia coli, Staphylococcus aureus, Pseudomonas aeruginosa and Aspergillus niger. Results: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through each measurement: (1)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evoked a significant concentration-dependent increase. (2) ROS, NO, IL-1β, IL-6, TNF-α, PGE2 production amount, iNOS, COX-2 mRNA expression were significantly reduced in the BCS extraction group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and significantly decreased the amount of ERK, JNK, p38, NF-κB Protein expression. The amount of IκB-α Protein Expression have increased significantly. (3) The amounts of histamine, LTB4, LTC4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4) The antibacterial efficacy, BCS inhibited the growth of Escherichia coli, Pseudomonas aeruginosa at concentrations of 5 ㎍/ml, but did not suppress the growth of staphylococcus aureus and aspergillus niger. Conclusions: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BCS has anti-oxidant, anti-inflammatory, antipruritic and antimicrobial propert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