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O의생성

검색결과 194건 처리시간 0.018초

RAW 264.7 Cell에서 납에 의한 NO 생성의 조절에 미치는 Glutathione의 효과 (Effect of Glutathione on Lead Induced Modulation of NO Synthesis in RAW 264.7 Cell)

  • 오경재;권근상;윤욱희;신새론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35권4호
    • /
    • pp.269-274
    • /
    • 2002
  • Balb/c 마우스의 복강내에 Abelson leukemia virus (A-MuLV)를 주입하여 발생시킨 대식세포주 RAW 264.7 세포의 배양조건에 납과 NAC및 BSO를 첨가하여 세포생존율과 NO 및 ATP 생성량의 변화를 관찰한 결과, 납을 처리한 기본배양조건에서 RAW 264.7 세포의 생존율은 각 농도에서 차이가 없었으며 NO의 생성량은 $0.5{\mu}M$의 납농도에서부터 용량 의존적으로 감소하였으나 ATP의 생성량은 각 농도군에서 차이가 없었다. NAC을 전처리하고 납을 처리한 배양조건에서의 NO 및 ATP의 생성량은 대조군과 차이가 없었다. BSO를 전처리하고 납을 처리한 배양조건에서의 NO의 생성량은 납만 처리했을 때와 달리 각각의 농도군에서 대조군과 차이가 있었다. ATP생성량은 역시 차이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납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ATP의 생성량은 변화가 없으면서 NO가 감소하는 것을 볼 때, 납에 의한 대식세포에서 NO생성의 억제기전은 수은 및 카드뮴 등과 같이 미토콘드리아에 영향을 미쳐 ATP생성이 억제됨으로 L-arginine-NO경로에서 ATP를 필요로 하는 iNOS가 작용을 못하여 NO 생성이 저하되는 기전과는 다른 기전이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iNOS의 조효소인 세포내 GSH를 증가시키는 NAC을 전처리했을 때 NO의 생성량이 대조군 수준으로 회복되고 세포내 GSH를 감소시키는 BSO를 전처리했을 때는 오히려 NO의 생성량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납의 농도에서조차 NO 생성의 감소가 일어난 것으로 볼 때 GSH는 대식세포에서 NO생성을 저하시키는 납의 독성에 보호작용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LPS에 의해 활성화된 미세아교세포에서 미역쇠 추출물의 신경염증 보호 효과 (Inhibitory effect of Petalonia binghamiae on neuroinflammation in LPS-stimulated microglial cells)

  • 박재현;김성훈;이선령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0권1호
    • /
    • pp.25-31
    • /
    • 2017
  • 퇴행성 뇌신경 질환의 원인이 되는 것으로 알려진 미세아교세포의 과도한 활성화에 의한 신경염증반응에 미치는 미역쇠의 보호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LPS를 처리한 BV2 세포에서 미역쇠에서 얻은 에탄올 추출물을 이용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미세아교세포의 활성화를 유도하는 LPS의 처리는 신경염증반응의 지표인 NO의 생성량과 이들을 조절하는 iNOS, COX-2의 발현을 증가시켰다. 미역쇠 추출물의 처리는 LPS가 유도하는 NO의 생성량을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하였고 iNOS와 COX-2의 발현을 억제하여 NO 생성량 저해와 유사한 양상의 결과를 나타내었다. 미역쇠 추출물의 신경 염증반응 저해 효과가 $NF-{\kappa}B$의 활성화 조절을 통해 일어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NF-{\kappa}B$의 핵으로의 전이, $I{\kappa}B$의 인산화, $NF-{\kappa}B$ 억제제인 PDTC를 이용한 NO의 생성량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였다. 미역쇠 추출물 처리에 의해 핵분획물에서의 $NF-{\kappa}B$ 발현은 현저히 감소하였고 $I{\kappa}B$의 인산화를 억제하였으며 PDTC의 처리로 NO의 생성량은 감소하였다. 이상의 결과는 미세아교세포의 활성화로 인해 발생되는 신경염증반응에 미역쇠 추출물이 $NF-{\kappa}B$의 활성 억제를 통해 NO의 생성을 저해함으로써 항신경염증 효과가 있음을 보여주는 것으로 미역쇠 추출물이 신경염증 관련 뇌신경 질환의 제어하는데 있어서 치료효과를 가지는 소재로서 이용 가능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사료된다.

Plasma반응에 의한 NOx와 Ozone의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haracteristics of NOx and Ozone by Plasma Reaction)

  • 최재욱;산외서수;최재진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1-6
    • /
    • 2000
  • 가스중에 포함되어 있는 NOx를 안전하게 처리하기 위하여 침상전극을 취부한 플라즈마 반응기를 제작하여 장치의 특성을 실험적으로 조사하여 유효성을 검정하였다. 반응가스는 $NO/N_2$ 혼합가스와 $N_2/O_2$ 혼합가스를 이용하여 초기 NO농도를 설정하고, 유속을 2${\iota}$/min으로 공급하였다. NOx의 반응특성은 방전주입전력이 높을때는 NO의 농도가 감소하였으며, 산소의 농도 증가시에 NO의 분해가 용이하고 NO의 분해에너지 효율이 높았다. 또한 NO의 농도가 증가할 수록 NO의 분해에너지 효율은 높으나 분해율은 낮았다. 오존의 특성은 방전주입전력이 높을수록 오존의 생성이 증가하고, $NO/N_2$의 농도가 증가할 수록 오존의 생성량이 감소하였다.

  • PDF

예혼합 및 대향류확산 화염에서 NO의 생성에 미치는 소반응의 역할 (Roles of Key Elementary Reaction for NO Formation in Premixed Flame and Counterflow Diffusion Flame)

  • 최낙정;윤석범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22권1호
    • /
    • pp.108-116
    • /
    • 1998
  • In this paper it is investigated the roles of key elementary reactions for NO formation in methane-air one-dimensional premixed flame and counterflow diffusion flame, which were studied numerically by using NO kinetics and $C_{2}$ -chemistry complied by Miller and Bowman. The spatial distributions of the reaction rates of 9 main elementary reactions directly related to NO formation and destruction were calculated. Integration of the rates of all reactions in the NO formation across the flame yields the quantitative reaction path diagram, which shows clearly relative importance of each reaction path in NO formation and how it changes with the type and parameters of the flame. The results show that the thermal and Fenimore mechanisms are dominant respectively for learn and rich premixed flames, and the latter is dominant for diffusion flames.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HCN recycle route is important for diffusion flame, and that the routes of mutual transformation between NO and NO$^{2}$, and between NO and HNO do not contribute to the net NO formation.

  • PDF

The Effects of Cninnire(L)Cuss on the Esscnrial Elements to the Activated Macrophages

  • 박세봉;고우신
    •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30-43
    • /
    • 2000
  • 外治에 응용되는 蛇床子의 抗炎症效果를 살펴보고자 NO의 生成濃度, 細胞 生存度, iNOS의 합성 및 $TNF-{\alpha}$의 生成濃度를 實驗하였다. 그 結果 NO의 濃度는 顯著하게 減少하였고, 細胞 生存度는 蛇床子에 의하여 影響을 받지 않았으며, iNOS의 합성에 있어서 iNOS의 濃度가 顯著하게 낮아졌고, $TNF-{\alpha}$의 濃度는 顯著하게 減少하였다. 以上을 살펴볼 때 蛇床子가 iNOS 및 $TNF-{\alpha}$의 생성자체의 억제를 통하여 NO의 合性을 조절함으로써 蛇床子가 충분한 抗炎症效果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향후 蛇床子의 성분분석등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되며, 이를 통하여 앞으로 抗炎症效果가 우수한 약제의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思料된다.

  • PDF

상호작용하의 층류 확산 화염에서 NO의 생성 (Production of NO in Interacting Laminar Diffusion Flames)

  • 전철균
    • 대한기계학회논문집
    • /
    • 제17권1호
    • /
    • pp.190-199
    • /
    • 1993
  • 본 연구에서는 화염간 상호작용이 연소생성물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한 작업의 일환으로 대표적 연소 생성 공해 물질의 하나인 NO를 택하여 상호작용하 의 층류 확산화염에서 NO의 생성이 어떻게 이루어지는가를 검토 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기본적 다화염계인 2-화염계를 모사하는 수학적 모델을 수립하고 수치 계산을 통한 이론적 방법을 위주로하여 2개의 층류 확산 화염이 나타내는 상호작용 특성과 화 염간 상호작용이 NO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한다.

소염방 약침이 흰쥐 시상하부 면역 조절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Herbal Acupuncture on Immuno-regulatory Action of the Hypothalamus in Rats)

  • 이태후;박히준;임사비나
    • Korean Journal of Acupuncture
    • /
    • 제20권2호
    • /
    • pp.47-54
    • /
    • 2003
  • 목적 : 본 연구는 염증유발 내독소인 LPS 자극을 통한 면역 스트레스에 대한 약침의 치료효과와 기전을 알아보기 위해 설계되었다. LPS를 통한 염증반응은 다양한 기전을 통해 이루어지는 데 특히, 산화질소(NO)를 생성하는 효소인 iNOS의 활성은 시상하부에서 NO의 생성을 촉진함으로써 염증반응을 발현시키는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약침이 LPS로 인해 활성화된 iNOS의 발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실험방법 : 흰쥐에 LPS를 투여하고 2시간 경과한 후 약침 (소염방, 대한약침학회)을 경혈 (합곡, 족삼리)에 좌,우 각각 0.2cc 씩 피하 투여하고 RT-PCR 방법을 통하여 면역활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시상하부에서의 iNOS의 mRNA 발현을 알아 보았다. 실험결과 : LPS 투여로 인하여 증가하였던 iNOS mRNA가 약침치료를 통해 현저하게 감소하였다. 그러나 비경혈점 (미추부위 임의혈)에 약침을 투여한 군 경혈점에 생리식염수를 투여한 군에서는 iNOS mRNA 가 감소하지 않았다. 이는 약침이 LPS를 투여한 흰쥐의 시상하부에서 iNOS의 mRNA 발현에 조절작용을 가지고 있는 것을 보여주는 결과로 약침이 면역활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NO의 생성을 억제함으로써 면역 스트레스에 치료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보여진다. 결론 : 본 연구는 약침치료가 면역반응의 중추기관인 시상하부에서 면역반응의 중요한 조절인자인 NO의 생성을 조절하는 기전을 통해 그 치료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밝혔고 더 나아가 약침에 대한 현대과학적 연구에 중요한 발판을 마련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가지고 있다고 사료된다.

  • PDF

RAW264.7 대식세포에서 Heme Oxygenase-1의 유도에 의한 개망초 (Erigeron annuus L.) 꽃 Methanol 추출물의 항염증 효과 (Anti-Inflammatory Effect of Erigeron annuus L. Flower Extract through Heme Oxygenase-1 Induction in RAW264.7 Macrophages)

  • 성미선;김영화;최용민;함현미;정헌상;이준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0권11호
    • /
    • pp.1507-1511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LPS에 의해 활성화된 RAW264.7 대식세포에서의 NO 생성 및 iNOS와 HO-1 단백질 발현의 변화를 측정하여 개망초(Erigeron annuus L.) 꽃(EAF) methanol 추출물의 항염증 효과를 확인하였다. RAW264.7 대식세포에 LPS를 처리한 결과 NO의 함량이 11.48 ${\mu}m$ 수준으로 증가하였다. 그러나 EAF methanol 추출물(25, 50, 100, 200 ${\mu}g$/mL)을 처리하였을 때 NO의 함량이 12.82, 9.61, 6.83, 2.52 ${\mu}m$로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하였다. 또한 EAF methanol 추출물은 NO의 생성에 관여하는 iNOS 단백질의 발현을 농도 의존적으로 저해하였으며 HO-1 단백질의 발현을 유도하였다. EAF methanol 추출물에 의한 HO-1 발현이 NO 생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확인하기 위해 HO-1의 inhibitor인 ZnPP를 사용하였다. 실험결과 ZnPP를 처리하여 HO-1의 발현을 저해하였을 때 추출물에 의해 감소된 NO의 함량이 다시 증가되었다. 본 연구 결과, EAF methanol 추출물은 염증을 유발하는 중요 인자인 NO를 저해하였고, iNOS의 발현을 억제시켰으며 산화적 손상으로부터 세포 보호 방어 기작에 관여하는 HO-1의 발현 등 항염증에 우수한 효과를 보였으며 항염증 연구의 기초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예상된다.

야채스프의 RAW 264.7 세포에서 항염증 효과 (Anti-Inflammatory Effects of Vegetable Soup in Murine Macrophage RAW 264.7 Cells)

  • 심재근;이재혁;신태용;신혜영;정숙희;김미혜;구호준;박정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9권8호
    • /
    • pp.1097-1101
    • /
    • 2010
  • 본 연구의 목적은 일상생활에서 쉽게 섭취할 수 있는 당근, 무, 무청, 우엉, 표고버섯을 재료로 한 야채 스프의 항염증성을 검토하기 위한 것으로, RAW264.7 세포에서 LPS에 의해 유도되는 염증물질 중 NO와 염증성 사이토카인 TNF-$\alpha$에 대한 억제력을 관찰하였다. 실험결과 실험에 사용된 야채스프는 세포독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세포독성이 없음을 확인 한 후 LPS로 처리한 RAW264.7 세포에서 야채스프의 NO 생성억제를 평가한 결과 RAW264.7 세포만 배양한 대조군에서 NO의 농도는 매우 낮게 측정되었으며, LPS를 처리한군에서 NO의 농도는 현저히 증가되었다. 또한 야채스프를 처리한 실험군은 NO 생성이 유의성 있게 억제되었으며, RAW264.7 세포를 LPS로 처리 시 iNOS가 발현되어 NO를 생성하게 되므로 iNOS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LPS 처리 시 iNOS 유전자 발현이 유의하게 증가되었으나, 야채스프를 전 처리한 실험군에서 iNOS의 양이 감소하였다. 야채스프에 의한 iNOS의 발현억제는 NO 생성억제를 유도를 의미한다. Proinflammatory cytokines인 TNF-$\alpha$ 분비 억제를 살펴본 결과 LPS를 처리한 군에서 TNF-$\alpha$의 분비가 현저하게 증가되었으나 야채스프를 처리한 군에서는 유의한 억제를 나타냈다. 이상과 같이 야채스프는 RAW264.7 세포에서 LPS에 의해 유도되는 NO의 생성억제, iNOS의 발현을 억제시켰으며, proinflammatory cytokines인 TNF-$\alpha$의 분비량도 억제시켰다. 이는 야채수프의 항염증성을 입증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이 가능하다고 사료된다.

인삼과 팽화홍삼의 Ginsenoside 함량 및 항염효과 비교 (Comparisons of Ginsenosides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f White Ginseng and Puffed Red Ginseng)

  • 신용서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475-480
    • /
    • 2010
  • 인삼과 팽화홍삼은 인삼의 가공방법에 따라 구분되어지며, 가공처리과정중 인삼의 효능을 나타내는 사포닌 함량의 변화가 생긴다. 본 연구에서는 인삼과 팽화홍삼을 이용하여 마우스 대식세포인 RAW 264.7세포에서 LPS에 의한 염증에 대한 항염 효과와 그 기전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서 인삼과 팽화홍삼 모두 LPS에 의한 NO의 생성을 억제시키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TNF-$\alpha$ 및 INF-$\gamma$의 생성 또한 억제시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인삼과 팽화홍삼 모두 COX-2의 발현 및 LPS에 의한 $I{\kappa}B$의 인산화를 억제시킴으로써 NF-${\kappa}B$의 활성을 억제시키는 것임을 알 수 있었으나 인삼에 비하여 팽화홍삼의 항염 효과가 더욱 높았다. 그러므로 팽화홍삼이 인삼에 비하여 NO의 생성을 더 효과적으로 억제시키는 것은 팽화가공을 통하여 특정 진세노사이드($Rb_1,\;Rg_5+Rk_1$)의 증가에 의한 것으로 추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