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F-L

검색결과 487건 처리시간 0.027초

흑마늘 발효물의 항염증 활성 (Anti-inflammatory Activities of Fermented Black Garlic)

  • 탁현민;강민정;김경민;강다원;한선규;신정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3권10호
    • /
    • pp.1527-1534
    • /
    • 2014
  • Lactobacillus rhamnosus로 발효시킨 흑마늘 발효물의 항염증 효능을 검증하기 위해 LPS로 염증 유도된 RAW 264.7 cells를 이용하여 관련 인자들을 분석하였다. 100, 200, 400 및 $800{\mu}g/mL$ 농도에서 세포독성은 유발되지 않았으며, 오히려 농도 의존적으로 세포 생존율은 증가하였다. LPS에 의해 염증 유도된 RAW 264.7 cells에서 흑마늘 발효물은 농도 의존적으로 NO와 $PGE_2$의 생성 감소와 염증성 사이토카인인 TNF-${\alpha}$, IL-$1{\beta}$ 및 IL-6의 단백질 생성을 감소시켰다. 또한 iNOS, COX-2, NF-${\kappa}B$$I{\kappa}B$ 단백질의 발현을 감소시키고 HO-1의 단백질의 발현을 증가시켰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 흑마늘 발효물은 염증에 의한 NF-${\kappa}B$의 활성과 TNF-${\alpha}$, IL-$1{\beta}$와 IL-6의 생성을 억제시키고, iNOS 및 COX-2의 발현을 억제시키는 메커니즘을 통해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개선 효능을 나타내는 것으로 판단된다.

붉은 장미꽃잎 에탄올 추출물의 활성 분획물 분석 및 항염증 활성 효과 (The Effects of Anti-Inflammatory Activities and Active Fractions Analysis of Ethanol Extract from Red Rose Petals)

  • 김현경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6권2호
    • /
    • pp.543-551
    • /
    • 2020
  • 붉은 장미꽃잎 에탄올 추출물은 효과가 풍부한 페놀 성분의 공급원이며 전통적으로 식품 보충제 및 약초로 사용되고 있다. 또한 다양한 식물페놀 성분은 항암, 항산화 및 항염증 특성을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붉은 장미꽃잎 에탄올추출물(GRP) 유래 활성 분획물 분석 및 lipopolysaccharide(LPS)로 유도된 마우스 대식세포주인 RAW264.7 세포와 마우스 폐포 대식세포주인 MH-S 세포에서 붉은 장미꽃잎 에탄올추출물의 항염증 활성 효과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GRP(500 ㎍/mL)의 전처리 LPS 자극 세포에서 iNOS 단백질 및 염증성 싸이토카인 mRNA 발현을 크게 억제하였다. 빨간 장미꽃잎 에탄올 추출물에 의한 항균활성 효과는 다음과 같이 관찰되었다. 붉은 장미꽃잎은 IκB-α 인산화의 억제를 통해 시토졸에서 핵으로의 NF-κB의 전좌를 억제하고 또한 LPS로 자극된 NF-κB 전사 활성을 억제 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빨간 장미꽃잎 에탄올 추출물이 항염증 작용을 발휘 하고 빨간 장미꽃잎의 잠재적인 치료 가치성 및 기본 메커니즘을 규명 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붉은 장미꽃잎 에탄올 추출물이 다양한 활성 성분 함유 및 천연 항염증제의 잠재적 공급원으로 활용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 하였다.

LPS 자극 RAW 264.7 대식세포에 있어서 아로니아 열매 열수 추출물의 항염증 효과 (Anti-Inflammatory Effect of Hot Water Extract of Aronia Fruits in LPS-Stimulated RAW 264.7 Macrophages)

  • 양혜;오광훈;유영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7-13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아로니아 열매 추출물(AF-H)의 항염증 활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LPS 자극에 의해 유도된 RAW 264.7 macrophage의 염증반응에서 AF-H의 염증매개인자 및 염증성 사이토카인 분비 억제활성과 이에 관련된 세포 내 작용기전 해석을 수행하였다. LPS($1{\mu}g/mL$)로 RAW 264.7 세포를 24시간 자극하는 염증모델에서 세포독성을 나타내지 않는 안전한 농도의 AF-H($0{\sim}500{\mu}g/mL$)를 LPS 처리 12시간 전에 처리하여 NO 및 PGE2의 분비 억제활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AF-H 처리에 의해 NO와 PGE2의 생성이 처리 농도에 의존하여 유의하게 억제되었으며, 이들 염증매개인자의 생합성 효소인 iNOS 및 COX-2의 세포 내 발현도 현저하게 억제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또한 AF-H의 처리에 의해 염증성 사이토카인인 $TNF-{\alpha}$와 IL-6의 분비도 유의하게 억제되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이러한 AF-H에 의한 항염증 활성의 세포 내 기전을 해석하기 위하여 LPS 자극에 의해 유도되는 MAPK와 $NF-{\kappa}B$ 전사인자의 활성화에 대한 억제 효과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AF-H는 MAPK의 인산화에는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않고 $NF-{\kappa}B$의 활성화($I{\kappa}B$ 인산화)를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한편 LPS에 의한 in vivo 패혈증 모델에서 AF-H에 의한 패혈증 억제활성을 측정한 결과 비록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으나 AF-H 투여에 의해 생존율과 50% 사망률의 연장 효과가 관찰되었다. 이들 결과를 종합해 보면 아로니아 열매 열수추출물은 $NF-{\kappa}B$의 활성화 억제를 통해 NO, PGE2, $TNF-{\alpha}$ 및 IL-6 등의 염증매개인자와 사이토카인의 생성을 억제하는 항염증 활성을 지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RAW 264.7 세포에서 조팝나무 에탄올 분획물의 항염 활성 (Anti-inflammatory effects of the ethanol fraction of Spiraea prunifolia var. simpliciflora in RAW 264.7 cells)

  • 서진형;이한솔;김수환;이성진;배은영;이선영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5권1호
    • /
    • pp.59-69
    • /
    • 2022
  • 본 연구실의 선행 연구에서 항산화 활성이 가장 높았던 조팝나무 H2O-EtOH (40:60) 분획물(SP60)의 항염 효능을 확인하여 기능성 소재로의 개발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항염활성 측정을 위해 RAW 264.7 세포에서 먼저 WST assay를 실시하여 SP60이 125 ㎍/mL 농도까지 세포 생존율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 Raw264.7 세포에 LPS와 SP60을 동시에 처리하여 NO, TNF-α, IL-6, IL-1β 생성과 iNOS, COX-2, NF-κB 발현을 측정하였다. SP60은 NO, TNF-α, IL-6, IL-1β 생성량을 모두 유의하게 억제시켰으며 western blot으로 iNOS, COX-2의 발현과 NF-κB의 활성을 측정한 결과 SP60을 처리한 군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그 발현량과 활성을 억제하였다. 따라서 조팝나무 분획물은 항염 효능을 가진 것으로 판단되며 항염 관련 기능성 식품 및 소재로의 개발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Dexmedetomidine and LPS co-treatment attenuates inflammatory response on WISH cells via inhibition of p38/NF-kB signaling pathway

  • Kim, Tae-Sung;Yoon, Ji-Young;Kim, Cheul-Hong;Choi, Eun-Ji;Kim, Yeon Ha;Kim, Eun-Jung
    • Journal of Dental Anesthesia and Pain Medicine
    • /
    • 제22권4호
    • /
    • pp.277-287
    • /
    • 2022
  • Background: Inflammatory dental diseases that occur during pregnancy can cause preterm labor and/or intrauterine growth restriction. Therefore, proactive treatment of dental diseases is necessary during pregnancy. Dexmedetomidine (DEX) is a widely used sedative in the dental field, but research on the effect of DEX on pregnancy is currently insufficient.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co-treatment with DEX and lipopolysaccharide (LPS) on inflammatory responses in human amnion-derived WISH cells. Methods: Human amnion-derived WISH cells were treated with 0.001, 0.01, 0.1, and 1 ㎍/mL DEX with 1 ㎍/mL LPS for 24 h. Cytotoxicity of WISH cells was evaluated by 3-(4,5-dimethylthiazo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MTT) assay. The protein expression of cyclooxygenase-2 (COX-2), prostaglandin E2 (PGE2), p38, and nuclear factor kappa B (NF-𝜅B) was examined by western blot analysis. The mRNA expression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such as interleukin (IL)-1𝛽 and tumor necrosis factor (TNF)-𝛼 was analyzed by real-time quantitative polymerase chain reaction. Results: Co-treatment with DEX and LPS showed no cytotoxicity in the WISH cells. The mRNA expression of IL-1𝛽 and TNF-𝛼 decreased after co-treatment with DEX and LPS. DEX and LPS co-treatment decreased the protein expression of COX-2, PGE2, phospho-p38, and phospho-NF-𝛋B in WISH cells. Conclusion: Co-treatment with DEX and LPS suppressed the expression of COX-2 and PGE2, as well as pro-inflammatory cytokines such as IL-1𝛽 and TNF-𝛼 in WISH cells. In addition, the anti-inflammatory effect of DEX and LPS co-treatment was mediated by the inhibition of p38/NF-𝜅B activation.

사플라워와 마더워트 등 에탄올복합추출물의 항균활성과 항염증 효과 (The Anti-Bacterial Activity and Anti-Inflammatory Effect of Ethanol Complex Extracts of Safflower and Mother Wort)

  • 김현경;이윤기;최수빈;김도완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1호
    • /
    • pp.717-724
    • /
    • 2023
  • 사플라워와 마더워트 등 에탄올복합추출물(SEC)을 lipopolysaccharide(LPS)로 유도된 마우스 대식세포주인 RAW264.7 세포와 마우스 폐포 대식세포주인 MH-S 세포에서 사플라워와 마더워트 등 에탄올복합추출물((SEC)의 항균과 항염증 활성 효과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SEC(500 ㎍/mL)의 전처리 LPS 자극 세포에서 iNOS 단백질 및 염증성 사이토카인 mRNA 발현을 크게 억제하였다. 사플라워와 마더워트 등 에탄올복합추출물(SEC)에 의한 항염증활성 효과는 다음과 같이 관찰되었다. 사플라워와 마더워트 등 에탄올복합추출물(SEC)은 IκB-α 인산화의 억제를 통해 시토졸에서 핵으로의 NF-κB의 전좌를 억제하고 또한 LPS로 자극된 NF-κB 전사 활성을 억제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사플라워와 마더워트 등 에탄올복합추출물(SEC)이 항염증 작용을 발휘 하고 사플라워와 마더워트 등 에탄올복합추출물(SEC)의 잠재적인 치료 가치성 및 기본 메커니즘을 규명 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사플라워와 마더워트 등 에탄올복합추출물(GRP)이 다양한 항염증 활성성분 함유 및 천연 항염증제의 잠재적 공급원으로 활용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 하였다.

The Evaluation of the Effect of Herbal Extract on Osteoarthritis: In Vitro and In Vivo Study

  • Kim, Jaeyong;Yang, Siyoung;Choi, Chul-yung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21권4호
    • /
    • pp.310-316
    • /
    • 2016
  • In this study, the anti-osteoarthritis effects of Cynanchum wilfordii, Phlomis umbrosa, and Angelica gigas extract (CPAE), observed and confirmed in previously clinical studies were further investigated by in vitro and in vivo studies. Anabolic biomarkers related to healthy cartilage maintenance, such as aggrecan, type II collagen ${\alpha}$-1 (Col2a1), sex determining region Y-box-9 (Sox-9), and catabolic biomarkers related to osteoarthritis, such as cyclooxygenase-2 (Cox-2), matrix metalloproteinase-13 (Mmp13), and nuclear factor kappa-light-chain-enhancer of activated B cells ($Nf{\kappa}b$), were evaluated by quantitative reverse transcriptase polymerase chain reaction and reporter gene assay. In vitro study results showed significant changes in both anabolic and catabolic biomarkers. For anabolic factors, significant changes in the level of aggrecan (P<0.05), Col2a1 (P<0.05), and Sox-9 (P<0.01) activation were shown after treatment of cartilage cells with CPAE (50 ng/mL) with similar efficacy compared to insulin growth factor, the positive control (100 ng/mL). For catabolic factors, significant changes in the inhibition activity of Cox-2 (P<0.05), Mmp13 (P<0.01), and $Nf{\kappa}b$ (P<0.05) were shown for CPAE (50 ng/mL) with similar efficacy compared to Celecoxib, the positive control ($10{\mu}M$). In the in vivo carrageenan-induced paw edema model study results showed that CPAE-treated groups (100 mg/kg) and Celecoxib-treated groups (60 mg/kg) showed comparably significant efficacy of inhibition by 37.1% and 52.1%, respectively. Furthermore, CPAE (200 mg/kg) showed similar effect to Celecoxib (60 mg/kg) with an inhibition rate of 54.3%. This result confirms that CPAE effectively inhibited the inflammation-induced osteoarthritis symptoms.

건조 상추 에탄올 추출물의 항염증 활성 (Anti-inflammatory Activities of Ethanol Extracts of Dried Lettuce (Lactuca sativa L.))

  • 이은주;서유미;김용현;정정욱;성화정;손호용;박종이;김종식
    • 생명과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325-331
    • /
    • 2019
  • 상추는 가장 선호하는 녹색 채소 중 하나이다. 상추는 폴리페놀성 화합물을 비롯한 다양한 성분을 함유하고 있으며, 항균, 항산화, 항염증 등의 생리활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건조상추의 에탄올 추출물(DLE)을 제조하고 이들의 항염증 활성을 연구하였다. DLE의 항염증 활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LPS로 활성화된 마우스 대식세포 RAW 264.7 세포주에서 nitric oxide (NO) 생성을 측정하였다. DLE는 세포주의 생존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NO 생산을 현저하게 저해하였다. DLE에 의해 염증 유전자인 iNOS와 COX-2의 유전자와 단백질의 발현이 모두 감소하였으며, 6개의 염증관련 cytokine 유전자($IL-1{\alpha}$, $IL-1{\beta}$, IL-1F6, $TNF-{\alpha}$, CSF2, 그리고 CXCL10)의 발현이 모두 감소하였다. 또한, DLE의 처리는 MAPKs 경로의 인산화를 모두 저해하였으며, $NF-{\kappa}B$ p65의 핵으로의 이동을 저해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DLE의 항염증 활성은 MAPKs 경로와 $NF-{\kappa}B$ 경로를 조절함으로써 이루어짐을 시사한다. 또한, DLE는 농도의존적으로 reactive oxygen species (ROS)의 생산을 저해하였으며, hemeoxygenase-1 (HO-1) 단백질의 발현을 증가시켰으며, HO-1의 전사조절인자인 Nrf2의 핵으로의 이동을 증가시켰다. 결론적으로, 이러한 연구결과는 DLE가 염증관련 유전자의 발현을 감소시키며, MAPKs, $NF-{\kappa}B$, 그리고 Nrf2/HO-1 등 다양한 경로를 조절함으로써 항염증 활성을 가지는 것을 제시한다.

구절초(Chrysanthemum zawadskii var. latilobum)에서 분리된 다당류의 대식세포 면역조절 활성 (Immuno-Modulatory Activities of Polysaccharides separated from Chrysanthemum zawadskii var. latilobum in Macrophage Cells)

  • 성낙윤;박우용;김이은;조은지;김미환;류기형;변의홍;박윤제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431-437
    • /
    • 2016
  • 본 연구는 전통약재로 주로 사용되는 구절초에서 분리한 다당류(CZPS)가 선천 및 적응면역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대식세포의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관찰하였다. 구절초에서 분리한 다당류를 마우스 유래 대식세포주인 RAW 264.7 cell에 처리하였을 때, iNOS의 발현을 조절하여 NO의 생성이 증가되었으며, 또한 면역활성 물질인 TNF-${\alpha}$, IL-$1{\beta}$ 및 IL-6 등의 cytokine의 분비능이 증가되었으며, 이러한 면역활성 매개자인 NO 및 cytokine의 증가의 원인에 관한 정확한 면역세포내 신호전달에 관하여 알아본 결과, CZPS 처리는 MAPKs(ERK, p38)의 인산화를 촉진시키며, 이로 인한 전사인자인 NF-${\kappa}B$의 인산화를 증가시켜, 대식세포의 활성화를 유도시키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Inhibition of inflammatory responses in lipopolysaccharide-induced RAW 264.7 cells by Pinus densiflora root extract

  • Lee, Jae-Eun;Lee, Eun-Ho;Park, Hye-Jin;Kim, Ye-Jin;Jung, Hee-Young;Ahn, Dong-Hyun;Cho, Young-Je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1권3호
    • /
    • pp.275-281
    • /
    • 2018
  • Pinus densiflora root (PDR) is used as a medicinal plant.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whether the PDR extract has anti-inflammatory activities. Cell viability assays showed that the extract was not toxic toward RAW 264.7 cells at concentrations up to $10{\mu}g/mL$. At $10{\mu}g/mL$, the extract decreased nitric oxide (NO) content to 40% of the control level. The protein expression of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 which generates NO, decreased with increasing concentrations of the extract. Prostaglandin $E_2$ ($PGE_2$) levels were significantly inhibited by over 50% in the presence of $10{\mu}g/mL$ of the extract. The protein expression of cyclooxygenase-2 (COX-2), which generates $PGE_2$, decreased with increasing concentrations of the extract. Proinflammatory cytokines, such as tumor necrosis factor-alpha ($TNF-{\alpha}$), interleukin-6 (IL-6), and $IL-1{\beta}$, were detected in RAW 264.7 cells after lipopolysaccharide (LPS) treatment. The extract did not affect the levels of $TNF-{\alpha}$ and IL-6, but it significantly inhibited the level of $IL-1{\beta}$. It also completely inhibited the transcription of nuclear factor-kappaB ($NF-{\kappa}B$).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PDR extract reduces inflammatory response-related proteins, such as NO, $PGE_2$, iNOS, and COX-2, in LPS-induced RAW 264.7 cells via the regulation of $NF-{\kappa}B$. Consequently, we have provided a mechanism to explain the anti-inflammatory effect of the PDR extract; that is, it exerts such an effect by regulating $NF-{\kappa}B$. The PDR extract can therefore be considered as an effective anti-inflammatory ag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