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D2

검색결과 8,722건 처리시간 0.037초

전기방사 공정을 이용하여 1차원 Nd2Fe14B섬유로부터의 Nd2Fe14B 자석분말 합성 (Synthesize of Nd2Fe14B Powders from 1-D Nd2Fe14B Wires using Electrospinning Process)

  • 엄누시아;노수;학 무하마드 아닉;김범성
    • 한국분말재료학회지
    • /
    • 제26권6호
    • /
    • pp.477-480
    • /
    • 2019
  • Magnetic 0-D Nd2Fe14B powders are successfully fabricated using 1-D Nd2Fe14B nanowire formed by an efficient and facile electrospinning process approach. The synthesized Nd-Fe-B fibers and powders are investigated for their microstructural, crystallographic, and magnetic properties according to a series of subsequent heat treatments. Each heat-treatment process leads to the removal of organic impurities and the formation of the respective oxides/composites of Nd, Fe, and B, resulting in the formation of Nd2Fe14B powders. Nd-Fe-B fibers exhibit the following magnetic properties: The coercivity (Hci) of 3260 Oe, a maximum magnetization at 3T of 109.44 emu/g, and a magnetization remanence (Mr) of 44.11 emu/g. This process easily mass produces hard magnetic Nd2Fe14B powders using a 1-D synthesis process and can be extended to the experimental design of other magnetic materials.

Convergent 열처리를 통한Nd23Dy10Fe64TM2B1 소결자석의 보자력 향상 (Coercivity Enhancement of Nd23Dy10Fe64TM2B1 Sintered Magnet by Convergent Heat Treatment)

  • 김훈섭;김세훈;김진우;김영도
    • 한국분말재료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1-6
    • /
    • 2010
  • In this study, a convergent heat treatment was performed in certain temperature regions in order to control the microstructures of Nd-rich phases and to reduce thermal stress on grain boundaries which could be caused during expansion and shrinkage of Nd-rich and $Nd_2Fe_{14}B$ phases. The difference of thermal expansion coefficient between $Nd_2Fe_{14}B$ and Nd-rich phases is the mechanism for convergent heat treatment. The Nd-rich phases which were located in junctions could penetrate into the grain boundaries between $Nd_2Fe_{14}B$ phases due to the difference of thermal expansion coefficient. Through the convergent heat treatment, the microcracks that were observed in cyclic heat treatment were not observed and coercivity was increased to 34.05 kOe at 8 cycles.

영남육괴 북동부 덕구온천지구 우백질 화강암의 희토류원소 분포도, Sm-Nd, Rb-Sr 연대 및 지구화학적 의의 (Rare Earth Element, Sm-Nd and Rb-Sr Age and its Geochemical Implication of Leucogranite in the Deokgu Hot Spring Area, Yeongnam Massif, Korea)

  • 이승구;김통권;이태종
    • 암석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207-217
    • /
    • 2011
  • 이 논문에서는 영남육괴 북동부에 위치한 덕구온천지역 주변 우백질 화강암의 주성분조성, 희토류원소를 포함한 미량원소의 함량 그리고 Sm-Nd과 Rb-Sr 동위원소비를 토대로 덕구지역 주변에 분포하는 우백질 화강암의 생성시기, 조구조 환경과 중국대륙과의 연관성에 대해 토의하였다. 희토류원소 분포도는 Eu의 이상과 분포도의 형태에 따라 3종류로 분류되며, $SiO_2$의 함량과도 연관성이 깊다. 이와 같은 특성은 동일기원 마그마내 장석의 분화과정에 의한 것임을 지시해주는 것이다. 영남육괴 북동부의 덕구지역 주변 우백질 화강암의 Rb-Sr 및 Sm-Nd의 등시선 연대는 각각 $1,735{\pm}260Ma$ ($^{87}Sr/^{86}Sr$ 초기치 = $0.702{\pm}0.046,\;2{\sigma}$), $1,785{\pm}180Ma$ ($^{143}Nd/^{144}Nd$ 초기치 = $0.51003{\pm}0.00016,\;2{\sigma}$; ${\varepsilon}_{Nd}(T)=-5.9$)로서, 초기 ${\varepsilon}_{Nd}$ 값은 우백질 화강암의 마그마가 지각 물질로부터 기원되었음을 지시해준다. 특히 초기 $^{143}Nd/^{144}Nd$ 비를 토대로 한 한반도의 선캠브리아기 기반암과 중국내 북중국지괴 혹은 남중국지괴와의 비교에서는, 영남육괴의 선캠브리아기 기반암은 북중국 지과와 유사한 Nd 동위원소 지구화학적 특성을 갖는 기원물질로부터 유래되었음을 지시해준다.

$\alpha$-(Fe, Co)기 Nd-(Fe, Co)-B-Nb-Cu 초미세결정립합금의 자기특성에 미치는 Nd의 영향 (Influence of Nd Content on Magnetic Properties of Nanocrystalline $\alpha$-(Fe, Co)-Based Nd-(Fe, Co)-B-Nb-Cu Alloys)

  • 조덕호;조용수;김택기;송민석;김윤배
    • 한국자기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154-158
    • /
    • 1999
  • Nd 함유량을 2~6at.%로 변화시킨 $\alpha$-(Fe, Co)-B-Nb-Cu 초미세결정립합금의 미세조직 및 자기특성을 조사하였다. 급속응고된 Ndx(Fe0.9Co0.1)90-xB6Nb3Cu1(2$\leq$x$\leq$6, 1at.% 간격) 합금은 x=3 이상에서 비정질상으로 제조되었다. 제조된 비정질합금은 열처리에 의해 $\alpha$-(Fe, Co) 및 Nd2(Fe, Co)14B1상으로 구성된 초미세결정립합금으로 결정화 되었다. 최적열처리조건에서 잔류자화는 Nd의 증가에 따라 감소하며, x=3에서 1.55T로 최대 값을 나타내었다. 보자력은 Nd함유량 증가에 따라 직선적으로 증가하여 x=6에서 4.6kOe이었으며, 최대에너지적은 10.6MGOe였다.

  • PDF

광주-나주지역 화강암류에 대한 네오디움 표본연령 및 동위원소 특성연구 (Nd Model Age and Nd Isotopic Evidence of Granitoid Rocks in the Gwangju-Naju Area, Korea)

  • 박영석
    • 자원환경지질
    • /
    • 제30권2호
    • /
    • pp.153-161
    • /
    • 1997
  • Diagrams of $^{87}Sr/^{86}Sr$ versus Ba/Nb and MgO/FeO are scattered, and $^{87}Sr/^{86}Sr$ variation with the increase of $SiO_2$ are scattered in Gwangju granitoid. Diagrams of $(^{87}Sr/^{86}Sr)$i versus $(^{143}Nd/^{144}Nd)$i and ${\varepsilon}Nd$ versus 1/Nd variation are also scattered in Gwangju granitoid. It shows that the source magma of Gwangju granitoid are derived from partial melting materials of heterogeneous upper crust. Very low ${\varepsilon}Nd$ values (-15.19~-19.49) and very high ${\varepsilon}Sr$ values (92.72~308.85) mean that the source magma of Gwangju granitoid is derived from sedimentary substance melting. According to $(^{87}Sr/^{86}Sr)$ 180Ma, and the plot of ${\varepsilon}Sr$ versus ${\varepsilon}Nd$, the Gwangju granitoid shows that the source magma is derived from upper crust materials. Nd model ages of Gwangju granitoid (1.82~2.42G.A.) are older than meta-sediments of Okcheon formation (1.15~1.60G.A.) and similar or close to Pre-Cambrian gneiss complex of Ryoungnam massif (2.17~2.47G.A.or 2.11~2.38G.A.).Therefore, the source magma of the Gwangju granitoid could be derived from the partial melting of Pre-Cambrian gneiss complex of Ryoungnam massif.

  • PDF

Effect of Cu-Addition and Die-Upset Temperature on Texture in Die-Upset Nd-Lean Nd-Fe-B Alloys

  • Kwon, H.W.;Yu, J.H.
    • Journal of Magnetics
    • /
    • 제15권1호
    • /
    • pp.32-35
    • /
    • 2010
  • The effects of Cu-addition and die-upset temperature on the texture in the die-upset Nd-lean $Nd_xFe_{93.5-(x+y)}-Cu_yGa_{0.5}B_6$ (x = 9-12, y = 0-2) alloys were investigated. The die-upset Cu-containing Nd-lean $Nd_{12}Fe_{81.5-y}-Cu_yGa_{0.5}B_6$ (y = 1, 2) alloys showed a considerable texture. Texture in the Nd-lean alloys developed through basal plane slip deformation. The Cu-addition reduced the melting point of grain boundary phase facilitating grain gliding during the die-upsetting, and providing a greater chance for the $Nd_2Fe_{14}B$ grains to meet the deformation conditions. Die-upsetting at higher temperature facilitated grain gliding and plastic deformation, thus enhancing texture.

하악 이공부에 조사된 Nd:YAG 레이저가 감각신경전도변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Nd:YAG Laser Irradiation to Mental Region for Sensory Nerve Conduction Change)

  • 전재우;김경희;고명연;안용우;박준상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0권4호
    • /
    • pp.447-455
    • /
    • 2005
  • 이 연구의 목적은 하악 이공부에 Nd:YAG 레이저 조사시 통증의 전달과 관련하여 감각신경전도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지 조사하는 것이다. 각각 10 Hz와 20 Hz에 100 mJ/pulse의 조건으로 Nd:YAG 레이저를 하악 이공부에 비접촉식으로 5분간 조사하였다. 조사부위는 하악 이공부의 30 mm 지름을 가지는 원으로 설정하였고 조사부와 레이저 팁사이의 거리는 10 mm로 유지하여 원을 그리듯 움직이며 조사하였다. 이때의 출력밀도는 각각 $212\;mW/cm^2$$424\;mW/cm^2$이었다. Nd:YAG 레이저 조사 전과 후의 감각신경전도는 $Neurometer^{(R)}$ CPT/C를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그 결과 레이저 조사 전과 후 이공부에서의 전류인지역치(CPT)와 통증내성역치(PTT)를 얻었으며 통계처리를 거쳐 다음의 결과를 얻었다. 1. 2 W, 20 Hz 조건과 1 W, 10 Hz 조건으로 Nd:YAG 레이저를 조사한 경우 레이저 조사 전과 조사 후의 유의한 전류인지역치의 차이는 없었다. 2. 2 W, 20 Hz 조건과 1 W, 10 Hz 조건으로 Nd:YAG 레이저를 조사한 경우 레이저 조사 전과 조사 후의 유의한 통증내성역치의 차이는 없었다. 3. 1 W, 10 Hz 조건과 2 W, 20 Hz 조건으로 Nd:YAG 레이저를 조사하였을 때 두 군 사이 전류인지역치와 통증내성역치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따라서 우리는 하악 이공부에 Nd:YAG 레이저 조사가 이신경의 감각신경전도에 유의한 변화를 보이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Variation of microstructures and magnetic properties of nanocomposite Nd-Fe-B alloys by small cobalt and dysprosium additions

  • Kim, Moon-Bae;Park, J. H.;Lee, D. H.;Taesuk Jang
    • 한국자기학회:학술대회 개요집
    • /
    • 한국자기학회 2002년도 동계연구발표회 논문개요집
    • /
    • pp.240-241
    • /
    • 2002
  • Tetragonal 구조를 갖는 정량적 Nd$_2$/Fe$_{14}$B (~Nd$_{12}$Fe$_{82}$B$_{6}$) 화합물에서의 Nd 양보다 적은 양의 Nd를 함유하는 Nd-Fe-B 합금에서는, 일반적으로 입자크기가 큰 연자성 $\alpha$-Fe가 과다하게 존재하면서 외부에서 가해주는 자장에 대해 강자성 Nd$_2$/Fe$_{14}$B와 별개의 자기적 거동을 보여주기 때문에, 보자력이 아주 적어 실용성이 없다. 그러나 이러한 합금을 급랭응고하여 미세 결정화하거나, 비정질화한 후 적절히 열처리 해주면 a-Fe와 Nd$_2$/Fe$_{14}$B 입자가 나노화하면서 이들 사이에 상호교환작용이 일어나 등방성 상태에서도 M$_{s}$ /2 보다 큰 잔류자화와 함께 적절한 크기의 보자력도 얻을 수 있다. (중략중략

  • PDF

청색 $\textrm{Ca}\textrm({Al}_{0.97}\textrm{B}_{0.03})_2\textrm{O}_4$: $\textrm{Eu}^{+2},\;\textrm{Nd}^{+3}$ 형광체의 잔광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hosphorescent Characteristics of Blue $\textrm{Ca}\textrm({Al}_{0.97}\textrm{B}_{0.03})_2\textrm{O}_4$: $\textrm{Eu}^{+2},\;\textrm{Nd}^{+3}$ Phosphor)

  • 김대수;이임렬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3-7
    • /
    • 1999
  • The change of phosphorescent property with chemical modification and co-doping of Nd as an auxiliary activator in CaAl$_2$$O_4$: Eu\ulcorner, Nd\ulcorner phosphor, employing Nd\ulcornerion(0.6%) and an co-activator maintained its afterglow for 4.5 hours. And also the initial persistent brightness and phosphorescent property were further improved both by substituting Al by B atoms and incorporation of Nd\ulcorner ion. It was found that the persistent time was 30 hours for&Ca(Al_{0.97}\;B_{0.03}) $_2$$O_4$:EU\ulcorner(0.3%), Nd\ulcorner(0.6%) phosphor.

  • PDF

Czochralski법에 의해 성장시킨 Nd : $LiNbO_3$ 단결정의 주기적인 domain제어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eriodical domain obtained in Nd : $LiNbO_3$ sinlgle crystals grown by czochralski method)

  • 최종건
    • 한국결정성장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50-55
    • /
    • 2002
  • $LiNbO_3$ 단결정에 $Nd_2O_3$0.2~0.5 wt.%를 칭량하여 결정을 성장 시켰다. 그리고 광손상을 억제하기 위해 ZnO 2~8 mole%를 첨가하여 광손상에 대한 저항성을 높였다. 본 연구에서는 Nd가 doping된 단결정을 성장시켜 주기적인 domain을 만들고자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