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ATURE CONSERVATION

검색결과 440건 처리시간 0.027초

경기도 동부권 광역자원 회수시설 조경설계 (A Landscape Design of Metro-politan Resources Withdrawal Institution of East Area, Gyeonggi-Do)

  • 이수동;장종수;강현경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113-127
    • /
    • 2006
  • As the local self-government are stabilized and the environmental value is becoming more important among local residents, the occurrence of the anti-movements against waste treatment facilities is getting more frequent. Opposing to build the reuse facilities of wastes takes place because of concerning of health and hygiene, as well as matters of unclear policy making process. However, these facilities must be built in somewhere for the convenience and profit of the public. The NIMBY phenomenon against reuse facilities of wastes could be a burden for the city operation system, and it could worsen citizens' quality of life in the long run. In these lights, reuse and recycling facilities of wastes in East region are necessary facilities improving citizens' quality of life and enhancing the growth of cities in the region. However, there have been concerning of deforestation during the construction process of the facilities. The landscape design presented here for these facilities considers the features of the environmental ecosystem and tries to establish a plan to preserve the natural environment of the City of Ichon. This paper presents methods minimizing adverse effects of the facilities on the existing environments and promoting the city image with integrating culture, tourism, landscape and environment of the city. The landscape design makes efforts to harmonize natural environments in the site, human activities and culture. Well-being park was aimed to lead healthy and energetic outdoor activities of local residents. Ecological park was aimed to enhance the ecological functions of the forests and restore the valley ecology. Culture park was aimed to capture the city identity by creating a place that contains all the variety of meanings of the City of Ichon.

에너지 효율적 센서 데이터 수집을 위한 리포팅 허용 지연시간 적응형 센서 제어 기법 구현 및 성능평가 (Implementation and Performance Evaluation of Reporting Interval-adaptive Sensor Control Scheme for Energy Efficient Data Gathering)

  • 손태식;최효현
    • 정보처리학회논문지C
    • /
    • 제17C권6호
    • /
    • pp.459-464
    • /
    • 2010
  • 다양한 응용에 적용될 수 있는 특성을 가진 무선 센서 네트워크는 적용되는 응용에 따라 데이터 리포팅 허용 지연시간이 다양하다. 따라서, 각 응용별로 센서를 제어하는 설계 패러다임을 적용하여 에너지 효율을 최대화하고 네트워크의 생존기간을 최대화할 수 있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2단계 클러스터링 (Two Phase Clustering:TPC) 방식을 기반으로 하여 센서 데이터 수집시 에너지 효율을 극대화 하는 리포팅 허용 지연시간 적응형 센서 스케쥴링 방안을 구현하고 성능을 평가한다. 센서 Mote상에 직접 구현된 스케쥴링 기법은 제어 메시지나 시간에 민감한 센서 데이터들을 포워딩하는 직접 링크와 릴레이 링크의 두 가지 링크를 활용하며 실제 환경에서의 에너지 효율을 측정하여 센서들이 두 링크를 사용함으로서 갖는 에너지-절약 효과를 보인다.

평택-음성간 고속도로의 에코로드 조성을 위한 환경생태계획 (Ecological Planning for the Preparation of an Eco-Road on the Pyungtak-Eumsung Highway)

  • 강현경;민권식;장종수;한봉호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32-42
    • /
    • 2004
  • This study aims at establishing an ecological planning for road construction. which is considered to be a main cause of damage to the natural environment in Korea. This study focuses on the Pyungtak-Eumsung Highway development project. It considers the ecological factors and status of the site and its surrounding area. The study site is a four-way highway with a width of 23.4m and a length of 5.7km that spans from Hyungok-ri, Anseong City, Kyeonggi Province to Jukhyun-ri, Jincheon-gun, Chungbuk Province. The objective of the plan is "the establishment of an eco-road in harmony with nature." The plan is divided into five detailed goals: 1) restoration of river morphology and ecosystem through ecological planning; 2) establishment of wet biotopes; 3) construction of ecological corridors; 4) restoration of damaged forest ecosystems; and 5) ecological restoration of the roadside slopes that are linked with the surrounding forest. A master plan has been developed based on the detailed goals. The master plan involves: 1) establishment of a natural river, wet biotopes, and ecological corridors that facilitate the movement of amphibians, wild fowls, mammalians and fish; 2) development of a planting plan for the visitor center, the tunnel entrance, and soundproof banks; and 3) the presentation of a planting model for restoring roadside slopes that are connected to the surrounding forest. The eco-road plan needs to entail ecological conservation and restoration plans. In addition, a monitoring plan for ecological corridors and habitats should be included in the comprehensive plans, along with the continuous development of environmentally friendly technologies.

우리나라의 희귀 및 멸종위기식물 평가기준 선정의 필요성 (The Neccesity of Evaluation Criteria Selections for Korean Rare and Endangered Plant Species)

  • 김용식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1-10
    • /
    • 1994
  • 본 논문에서는 현행 우리나라의 희귀 및 멸종위기식물의 평가에 관한 몇 가지 문제점을 살피고, 이러한 문제점의 제시와 함께, 최근 I. U. C. N. 의 S. S. C. 에서 시안을 작성 중인 희귀 및 멸종위기식물에 대한 새로운 분류안에 대한 내용을 소개하였다. 본 시안에 의하면 멸종종, 자생지 멸종종. 멸종위기종, 위기종, 취약종, 민감종, 안전/저위험종, 자료 불충분종 및 미평가종 등 모두 9개 분류군으로 구분되어 있다. 본 시안이 더욱 다듬어지고 공식화되기 위해서는 앞으로 얼마간의 기간이 소요되리라 판단되며, 이 같은 움직임을 염두에 두고, 앞으로 우리나라의 희귀 및 멸종위기식물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인 평가기준의 작성에 대해 관심을 가져야 할 것으로 믿는다. 아울러 새로이 도입된 몇 가지 용어의 우리말 번역에 대해서도 앞으로 충분한 검토를 거친 후에 통일을 기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 PDF

Proposal for an Analysis to Illustrate Research Trends on National Parks in Korea

  • Ko, Byung June;Eo, Soo Hyung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34권2호
    • /
    • pp.169-172
    • /
    • 2018
  • National parks are designated and managed for the purpose of preserving natural ecosystems, nature and cultural scenery, and promoting sustainable utilization in Korea. Since we designated Jirisan as the first Korean national park in 1967, we have now designated and managed 22 national parks. Because these national parks are the core protected areas of the nation and the ecological recreation center for the people, the interests of researchers related to national parks and citizens have steadily increased over the last 50 years. Especially, various natural science researches and social studies on national parks have been conducted with the launch of the Korea National Park Service in 1987, which is dedicated to national park management. However, we still lack research on national park research trends in Korea in spite of the increase in scientific research and public interest. It is important to know who and what institutes are leading national parks research, what research topics have been conducted, what kinds of researches are important in each national park, and how these researches relate to national park management policies. We propose a study to review the national parks related studies that have been carried out so far and identify the research trends. In the pilot study, we collected about 700 research papers on national parks published between 2002 and 2016 through the Korea Citation Index of Korean journals. We are analyzing the number of papers published, research institutes and research topics related to national parks. Analysis of these national park research trends will be necessary for efficient national park management and policy making for future generations.

고등학교 생물과 교육 과정의 변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Historical Development of the Biological Science Curriculum for High Schools in Korea)

  • 정완호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15-27
    • /
    • 1978
  • First: The common points from "syllabus" period to that of "Course of study" are as follows: 1) with no introduction explained. the "Syllabus" or "Course of study" was made to be completed in accordance with the allotment of time (unit). 2) To teach how to rear animals and grow plants, and to make specimens with collected samples formed a great significant field of learning, which meant giving more emphasis on learning classification, life-centered education and basic field of learning than discipline-centered education. 3) The reason why the field of applied biology was emphasized on was that both periods had ideals in Common to educate persons more necessary and useful to the society than to major the pure academic field. 4) Both periods mainly dealt with problems of diseases, and physical health discussed all over the world in 1950's which accounts for necessity of the society to free from ignorance. Second; "The first curriculum period" and "the second one" are observed as follows: 1) The former took the unit (credit) system for the first time. It tried to lay down the conceptual hierarchy with "Biology I" and "II" divided, while "Biolgy I" is better systematized than "Biology II". 2) Discipline-centered education and structure fo knowledge are put more emphasis on especially in "the 2nd curriculum period". 3) And also in this period are included serious problems such as urgency of pollution, importance of nature conservation, population due to the development of industry. 'Third; With the recent curriculum laid down, experiments and teaching contents of subjects are put in harmony with each other and accordingly the process of Inquiry is laid emphasis on. Fourth; It is necessary to set up conceptual sequence and scope effectively in the curriculum.

  • PDF

CVM을 활용한 충북지역 자연휴양림의 보전가치 추정연구 (Estimating the Conservation Value of Recreation Forests in Chungbuk through CVM)

  • 강기래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9권6호
    • /
    • pp.900-907
    • /
    • 2010
  • 자연휴양림은 개인의 자아개발과 자연에 대한 교육, 숲 속에서의 심신의 휴양공간을 방문객에게 제공하는 공익적 시설중의 하나다. 이러한 방문객이 누리는 휴양의 가치는 단순히 방문비용만으로 그 가치를 추정하기 곤란하다. 이러한 환경재, 또는 비시장재의 가치를 측정하기 위해 많이 적용되어진 기법 중의 하나가 조건부가치측정법 또는 가상적 가치추정법이라고 불리는 CVM 이다. 모집단으로 설정한 충북지역 12개소 자연휴양림 중 6개소를 조사 대상지로 선정하여 경제학적인 접근법으로 측정한 충북지역의 일인당 연간 휴양의 가치는 약 14,000원에서부터 약 16,500원 사이로 추정하였다. 그리고 연간이용객을 적용한 충북지역 자연휴양림 1개소의 휴양가치는 약 12억 원에서 약 13억 원, 충북지역 전체 자연휴양림이 제공하는 휴양의 가치는 연간 약 150억 원에서 약 169억 원으로 추정하였다.

비슬산 계류의 어류상과 군집구조 (Fish Fauna and Community Structure of the Mountain Streams in the Mt. Biseul)

  • 채병수;남명모;김한순;강영훈
    • 생태와환경
    • /
    • 제38권3호통권113호
    • /
    • pp.289-296
    • /
    • 2005
  • 2003년 6월부터 2004년 5월까지 비슬산 일대의 계류의 20개 조사지점에서 담수어류상과 군집구조를 조사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9과 25속 29종의 어류가 채집 확인되었다. 잉어과 어류가 14종 (48.3%), 미꾸리과 어류는 4종 (13.8%) 이었으며, 한국고유종은 참몰개, 긴몰개, 치리, 기름종개, 미유기, 자가사리, 동사리의 6종 (22.2%)이었고, 외래도입종으로 베스와 블루길이 조사되었다. 기세곡천과 신천에서는 버들치가 우점종이고, 금포천은 참붕어, 현풍천은 피라미, 차천은 끄리가 우점종이었다. 낙동강본류의 영향을 받는 기세곡천, 금포천, 현풍천 그리고 차천의 하류역은 우리나라의 다른 수계에서 이입된 육식성 어종인 끄리의 밀도가 높게 나타나, 어류군집이 교란된 것으로 판단된다. 비슬산 일대의 소하천의 다양도지수는 금포천, 차천, 현풍천이 각각 0.936, 0.954, 1.023으로 신천과 기세곡천의 0.553과 0.727보다 높게 나타나 상대적으로 안정된 군집구조를 이루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낙동간 상류부의 하천변 관목 및 초본성 식생의 식물사회학적 연구 (A Phytosiciological Study of the Shrubby and Herbaceous Vegetation of the Riverside in the Upper Stream of Nak-dong River, Korea)

  • 송종석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04-117
    • /
    • 2001
  • 경상북도 낙동상 상류부에 위치한 하천변 식물군락에 대해 식물사회적 조사를 하였다. 그 결과 아래처럼 10군강에 속하는 30군락단위와 상급단위 미결정의 1군락단위를 식별하였다. 특히, 과거에 인위적 영향을 반영하여 쑥군강에 속하는 군집 군락이 가장 많이 출현하였다. A. 관목식물군락-A-1나도버들군장, 버드나무군단: 버드나무-왕버들군집, 버드나무군집, 시무나무군집, 갯버들군집, 눈갯버들군집, 선버들군집, A-2 찔레꽃 군강: 국수나무군락, 구기자나무군락: A-3 상급단위 미결정의 군락: 누리장나무군락; B, 초본식물군락 B-1 가래군강: 노랑어리연꽃군집, 마름군락, B-2 좀개구리밥군강: 좀 개구리밥-개구리밥군랍, B-3 가막사리군강: 고마리군집, 미꾸라지낚시-여뀌군집, 개기장-여뀌군집, B-4 갈대군강; 창포군집, 갈풀-미나리군집, 달뿌리풀군집, 물억새군집, 갈대군락, B-5 쑥군강:물쑥군집, 쑥군락, 물봉선군락, 왕고들빼기-환삼덩굴군집, 칡-환삼덩굴군집, 수크려군랑, B-6 명아주군강: 물피군락, 바랭이군란, 큰개여뀌군락, B-7 억새군강: 억새군락, B-8 질경이군강: 비노리-질경이군락, 이들 식생단위는 거의가 일본의 것과 공통하고 있어 한국에 고유한 하천변 식생은 매우 드물다는 사실을 나타내었다. 한편 하천에는 고유한 군강의 군집, 군락은 하류에서 상류로 감에 따라 양적으로 증가 하였으마, 귀화식물의 수는 그 반대였다. 또, 각 군락과 환경과의 관계, 하천변 식생의 복원생태 및 자연보호 등에 관해 상세히 논하였다.

  • PDF

소록도의 식물상 (The Flora of Sorok Island)

  • 박선주;박성준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392-414
    • /
    • 2004
  • 소록도의 식물상 조사는 2001년 12월부터 2002년 11월 까지 총 8번 시행하였다. 본 조사결과 관속식물은 총128과 397속 524종 1아종 65변종 13품종 총 604분류군이 동정하였다. 멸종 위기 및 보호식물은 애기등이 관찰되었으며, 한국특산식물은 개비자나무, 소사나무, 섬벚나무, 수양벚나무 등 10과 10속 9종 3변종 총 12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은 왕벚나무, 애기등을 포함 87종 3변종 총 90분류군이 관찰되었다. 그 외에 귀화식물은 소리쟁이, 자리공, 미국자리공, 흰명아주 등 12과 21속 25종 1변종으로 우리나라 전체 귀화식물종 284종에 대한 도시화지수(U.I)및 귀화율은 9.15%와 4.30%이다. 조사지역은 남해안아구로 자연경관이 뛰어나 방문객의 수가 갈수록 급증할 것으로 예상되어 귀화식물의 종류와 수는 앞으로 더욱더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따른, 본 섬의 강력한 보전대책 수립이 있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