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 domestica

검색결과 26건 처리시간 0.02초

남천(Nandina domestica) 열매 분획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Antioxidative Effects of Solvent Fractions from Nandina domestica Fruits)

  • 서수정;심규봉;김남우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0권10호
    • /
    • pp.1371-1377
    • /
    • 2011
  • 남천(Nandina domestica) 열매를 물과 에탄올 추출 후 극성이 상이한 유기용매를 순차적으로 분획하여 각 추출물의 생리활성을 측정하였다. 폴리페놀은 EE(ethyl acetate fraction of ethanol extract)에서 922.22 mg/g이었으며, 플라보노이드는 EB(butanol fraction of ethanol extract)에서 282.49 mg/g을 함유하였다. WA(aqueous of water extract)와 EH(n-hexane fraction of ethanol extract)는 0.1 mg/mL에서 93% 이상의 전자공여활성을 나타내었으며, 분획물의 농도 증가에 따른 전자공여능의 유의적 차이는 없었다. SOD 유사활성은 1.0 mg/mL의 EA(aqueous of ethanol extract)에서 56.36%로 가장 우수하였으며, EH와 EC(chloroform fraction of ethanol extract)에서도 50% 이상의 활성을 나타내었다. 아질산염 소거는 pH 1.2의 EC에서 82.03%로 가장 높았다. Xanthine oxidase 저해율은 0.5 mg/mL에서 WE를 제외한 모든 분획물에서 90% 이상의 저해율을 나타내었으나, WE는 46.75%로 가장 우수한 tyrosinase 저해효과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 남천 열매 분획물은 다량의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를 함유하고 생리활성 효과가 우수하여 천연 항산화 제재 및 이를 이용한 의약품 개발 가능성을 지닌 약용 식물자원인 것으로 판단된다.

Characterization of an Apple Polygalacturonase-Inhibiting Protein (PGIP) That Specifically Inhibits an Endopolygalacturonase (PG) Purified from Apple Fruits Infected with Botryosphaeria dothidea

  • Lee Dong-Hoon;Bae Han-Hong;Kang In-Kyu;Byun Jae-Kyun;Kang Sang-Gu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6권8호
    • /
    • pp.1192-1200
    • /
    • 2006
  • An apple polygalacturonase-inhibiting protein (PGIP), which specifically inhibits endopolygalacturonase (PG, EC 3.2.1.15) from Botryosphaeria dothidea, was purified from Botryosphaeria dothidea-infected apple (Malus domestica cv. Fuji) fruits. The purified apple PGIP had a molecular mass of 40 kDa. The N-terminal amino acid sequence of the purified protein showed high homologies to those of PGIP from pear (100%), tomato (70%), and bean (65%). We also purified polygalacturonase (PG) from B. dothidea. The PG hydrolyzes pectic components of plant cell walls. When the extracted apple pectic cell wall material was treated with purified apple PGIP and B. dothidea PG, the amount of uronic acid released was lower than that treated with B. dothidea PG alone. This result demonstrates that PGIP functions specifically by inhibiting cell wall maceration of B. dothidea PG Furthermore, we characterized the de novo function of the PGIP against PG on the solubilization and depolymerization of polyuronides from cell wall of apple fruits inoculated with B. dothidea. This result demonstrated that the PGIP of plants exhibits one of the direct defense mechanisms against pathogen attack by inhibiting PGs that are released from pathogens for hydrolysis of cell wall components of plants.

한국산 집가게거미속(Tegenaria)의 1신종 (A new species of genus Tegenaria Latreille, 1804 (Araneae : Agelenidae) from Korea)

  • 김주필
    • 한국토양동물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17-18
    • /
    • 1998
  • So far, two species, T. domestica(Clerk, 1757), T. secunda Paik, 1971 have been reported from Korea. In the present paper, the auther would like to describe a new species, T. daiamsanensis n. sp. The type of new species is deposited in the collection of the Arachnological Institute of Korea. Measurements are millimeter.

  • PDF

Energized 기능수 처리에 따른 후지사과의 잎, 뿌리 및 과실특성 (Characteristics of Leaves, Roots, and Fruit as Influenced by Energized-Functional Water Supply in Fuji Apple Trees)

  • 김월수;정순주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16권2호
    • /
    • pp.233-235
    • /
    • 1998
  • Energized 기능수는 미약 에너지 발생 신소재로서 다음과 같은 공정을 거쳐서 경원생명과학연구소에서 제조되었다; 지하수 순수화 처리촉매제 첨가 에너지 imprinting in platinum column 재료혼합 energized water + 특수처리된 zeolite + 광합성 세균균주 발효 (25C) 여과 최종산물 energized 기능수 (여과액) + energized powder (잔유물), 후지사과 나무가 발아하기 전에 주당 3kg의 energized power를 수관하부에 살포하여 토양과 혼합하고 energized 기능수를 생육기 동안 3회에 걸쳐 토양관주한 결과 수확된 과실의 과피와 과육에 Ca 함량이 증가된 반면 잎과 신초 수피조직중의 Ca 및 N함량은 감소되었다. Energized 기능수 처리는 사과나무 잎의 순광합성율과 뿌리활성을 촉진시켰다. 또한 과실특성에 있어서 가용성 고형물과 안토시아닌 함량이 현저히 증가되었고, 과실의 저온저장중 과실경도가 높게 유지되었으며 과심부 갈변현상이 감소되었다. 과실의 유기산 함량은 처리간에 차이가 없었다.

  • PDF

토양수분영역을 달리한 double pot-lysimeter에서 자라는 '후지'/M.26 사과나무의 수분이용과 신초 생장에 미치는 잔디피복의 영향 (Influence of Grass Cover on Water Use and Shoot Growth of Young 'Fuji'/M.26 Apple Trees at Three Soil Water Regimes in Double Pot Lysimeters)

  • 노희명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357-364
    • /
    • 1999
  • 본 연구는 사과나무의 수분이용, 신초 생장 및 작물계수에 미치는 토양수분영역과 잔디 피복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비가림 시설하에 3년생 사과 '후지'/M. 26 (Malus domestica Borkh.)을 재식한 3반복 double pot-lysimeter 실험을 수행하였다: (A) 토양 매트릭 포텐셜 -50 kPa의 점적관수 (IR50), (B) 토양 매트릭 포텐셜 -80 kPa의 점적관수 (IR80), 및 (C) 지하 0.45 m의 정체 자유수면 (WT45), 각 처리에 나지와 잔디 피복의 두 가지 지표상태를 두었다. 평균 월별 수분이용은 IR50 처리에서 IR80 처리보다 컸으며, WT45 처리에서 가장 컸다. 점적관수 처리 사과나무의 월별 작물계수는 시간의 1차 함수로 증가하였으나 ($r^2=0.953^{***}$, 잔디 피복 $r^2=0.862^{***}$, 나지), WT45 처리 사과나무의 작물계수는 변동하였다. 신초생장은 잔디 피복 IR50 처리에서 가장 컸으며, 나지 WT45 처리에서 가장 작았다. 토양의 Kjeldahl 질소는 처리에 관계없이 동일하였으나 8월 10일 측정한 엽중 Kjeldahl 질소는 WT45 처리보다 점적관수 처리에서 높았다.

  • PDF

Investigation on Antibacterial and Antioxidant Activities, Phenolic and Flavonoid Contents of Some Thai Edible Plants as an Alternative for Antibiotics

  • Lee, J.H.;Cho, S.;Paik, H.D.;Choi, C.W.;Nam, K.T.;Hwang, S.G.;Kim, Soo-Ki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7권10호
    • /
    • pp.1461-1468
    • /
    • 2014
  • This study was aimed to examine the antibacterial and antioxidative properties of seven edible plants from Thailand to develop alternative antibiotics as feed additives. The plants include Citrus aurantifolia Swingle (Lime) fruits and its leaves, Sesbania grandiflora L. (Agati sesbania) leaves, Piper sarmentosum Roxb (Wild betal) leaves, Curcuma domestica Valeton (Turmeric) roots, Morinda citrifolia L. (Beach mulberry) leaves, Cassia siamea britt (Siamea cassia) leaves, and Cocos nucifera L. (Coconut) peels. The plants were extracted by methanol, n-hexane, chloroform, ethyl acetate, butanol and water. Antibacterial activities with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MIC) were determined by agar diffusion assay against Escherichia coli, Burkholderia sp., Haemopilus somnus, Haemopilus parasuis, and Clostridium perfringens that were considered pathogenic strains in livestock infection. Methanol extracts of C. aurantifolia Swingle fruits and leaves showed the broadest spectrum of antibacterial activities except for C. perfringens. Butanol extract of S. grandiflora L. leaves showed the strongest activity against Burkholderia sp. with MIC, $135{\mu}g/mL$. P. sarmentosum Roxb leaves showed antibacterial activities against E. coli, Burkholderia sp. and H. parasuis. Ethyl acetate and water extracts from C. domesitca Valeton roots showed MIC of $306{\mu}g/mL$ and $183{\mu}g/mL$, respectively against only C. perfringens. Antioxidative activity was determined by 2-diphenyl-2-picryl hydrazyl photometric assay. The methanol extracts of C. aurantifolia Swingle fruits and P. sarmentosum Roxb leaves showed the highest antioxidant activity among all the extracts with 3.46 mg/mL and 2.70 mg/mL effective concentration 50% ($EC_{50}$) values, respectively. Total contents of phenolics and flavonoids were measured from the plant extracts. Methanol extracts of S. grandiflora L. and chloroform extracts of C. domestica Valeton were found to have the highest amount of total phenolics, 41.7 and $47.8{\mu}g/mL$, respectively. Flavonoid content of methanol extracts in S. grandiflora L. T was $22.5{\mu}g/mL$ and the highest among plant extracts tested.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C. aurantifolia Swingle, S. grandiflora L., P. sarmentosum Roxb, and C. domestica Valeton have antibacterial and antioxidant activities and can be used as alternative antibiotics or potential feed additives for the control of animal pathogenic bacteria.

화살, 남천, 차, 초피나무 4유용수종(有用樹種)의 종자(種子) 발아촉진처리(發芽促進處理)가 포지발아(圃地發芽)와 유묘(幼苗) 생장(生長)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the Seed Treatment on Field Germination and Seedling Growth in four useful species, Euonymus alatus, Nandina domestica, Thea sinensis and Zanthoxylum piperitum)

  • 구관효;최재식;윤기식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4권1호
    • /
    • pp.87-96
    • /
    • 1995
  • 새 순(筍)이나 수피(樹皮), 열매 등(等) 식(食) 약용(藥用)으로 이용(利用)하고 있는 화살나무를 비롯한 4수종(樹種)의 종자(種子)에 대하여 포지(圃地) 발아율(發芽率)을 높이는 방법(方法)을 알아보기 위행 화살나무, 차나무, 초피나무의 종자(種子)는 10월(月) 중순(中旬)에서 11월(月) 중순(中旬) 사이에 채취(採取)하여 정선(精選)한 후(後) Pon-Pon, $H_2O_2$, $GA_3$, 종피파쇄(種皮破碎) 등(等)으로 처리(處理)하여 노천매장(露天埋藏)(119일(日)-134일(日))을 하였다가 3월(月) 29일(日) 시험포지(試驗圃地) 파종(播種)하였으며, 남천 종자(種子)는 11월(月) 하순(下旬에) 채취(採取)하여 Growth chamber에서 저장온도(貯藏溫度)($4^{\circ}C$, $25^{\circ}C$, $32^{\circ}C$), 저장기간(貯藏期間)(7일(日), 15일(日), 21일(日))별(別)로 처리(處理)한 후(後) 유리온실(溫室) 내(內)의 파종상자(播種箱子)($55{\times}45{\times}15cm$)에 파종(播種)하여 보관(保管)하던 중(中) 5월(月) 초(初)부터는 노지(露地)에서 관리(管理)하였다. 수종별(樹種別), 종자(種字) 발아촉진처리별(發芽促進處理別)로 발아(發芽) 생장(生長)한 묘목(苗木)을 파종(播種)한 당년(當年) 10월(月) 중순(中旬)에 굴취(掘取)하여 발아율(發芽率)과 유묘(幼苗) 생장(生長)을 조사(調査) 분석(分析)하였다. 종자(種子) 발아촉진처리별(發芽促進處理別) 포지(圃地) 발아율(發芽率)에서 화살나무는 $GA_3$ 처리(處理) 후(後) 노천매장(露天埋藏)한 처리구(處理區)에서 당년(當年) 발아율(發芽率) 67.1%로 일반(一般) 노천매장(露天埋藏) 처리구(處理區) 18.4%보다 높은 발아율(發芽率)을 보여 유의적(有意的)인 발아촉진(發芽促進) 효과(效果)가 인정(認定)되었다. 차나무 종자(種子)는 종피파쇄(種皮破碎)나 $H_2O_2$ 처리(處理) 후(後) 노천매장(露天埋藏)한 처리구(處理區)와 일반(一般) 노천매장처리구(露天埋藏處理區) 간(間)에 뚜렷한 차이(差異)를 보이지 않아 노천매장(露天埋藏) 만으로도 충분한 발아촉진(發芽促進) 효과(效果)가 인정(認定)되었다. 초피나무 종자(種子)의 경우 Pon-Pon 처리(處理) 후(後) 노천매장(露天埋藏)한 처리구(處理區)에서 당년(當年) 발아율(發芽率) 80.3%로 일반(一般) 노천매장(露天埋藏)한 처리구(處理區)의 12.4% 보다 유의적(有意的)인 차이(差異)가 있었다. 남천 종자(種子) $32^{\circ}C$에서 7일간(日間) 저장(貯藏)한 처리구(處理區)가 $4^{\circ}C$에서 7일간(日間) 저장(貯藏)한 처리구(處理區)보다 5개월(個月) 정도 조기(早期)에 발아(發芽)되면서 발아율(發芽率)도 높게 나타났다. 포지(圃地)에 파종(播種)한 종자(種子)의 발아최성기(發芽最盛期)는 화살나무(32일(日))>초피나무(49일(日))>차나무(83일(일))>남천(87일(日)) 순(順)이었다. 포지(圃地)에서 발아(發芽)한 실생묘목(實生苗木) 생장량(生長量)은 종자(種子) 발아촉진처리(發芽促進處理)의 효과(效果)로 발아(發芽)가 빠른 처리구(處理區)에서 양호(良好)하였다. 실생묘(實生苗)의 연(年) 생장시간(生長時間) 중(中)에서 가장 왕성(旺盛)한 생장(生長)을 보인 최대생장(最大生長) 기간(期間)은 화살나무는 종자발아(種子發芽) 후(後) 72일(日) 경(傾)인 6월(月) 하순(下旬)부터 7월(月) 중순(中旬)사이이고, 초피나무는 59일(日)째인 6월(月) 하순(下旬)부터 7월(月) 중순(中旬) 사이였으며 차나무는 54일(日)째인 8월(月) 중순(中旬)부터 9월(月) 중순(中旬)사이로 나타났다.

  • PDF

Growth Characteristics of Woody Plants for Irrigation Management of Container Gardens

  • Jeong, Na Ra;Han, Seung Won;Kim, Jae Soon
    • 인간식물환경학회지
    • /
    • 제23권5호
    • /
    • pp.507-519
    • /
    • 2020
  • Background and objective: This study analyzed the growth characteristics, in relation to the soil moisture content, of trees planted in an environment with limited soil depth to provide the baseline data for effective irrigation management. Methods: The experimental treatment was divided into soil moisture contents (SMC) of 20%, 15%, 10%, 5%, and 1%, and the respective watering times were set accordingly. As for plant materials, Nandina domestica, Euonymus alatus, Thuja occidentalis, Hibiscus syriacus, Pinus densiflora, and Pyracantha angustifolia, were chosen for this study, because they are highly likely to be used in urban street environments. Results: The minimum irrigation point suitable for each species was determined by considering various aspects of visual quality and water efficiency in terms of plant growth, including characteristics such as height, root diameter, rootlet development, and weight. Our results indicate that N. domestica should be watered so that the moisture content of the soil is of at least 5%, based on the balance between the stem and roots, as well as on visual quality. E. alatus and P. angustifolia are suitable for watering that results in at least 10% SMC, considering the height, root growth, weight, and visual quality of plants. As for T. occidentalis, it showcases moderate growth with a soil moisture content of at least 5%. Finally, the minimum irrigation time required to obtain 15% SMC is appropriate, in terms of plant growth, fresh weight, and visual quality, for H. syriacus and P. densiflora.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ed a basic irrigation guideline for container gardens where trees planted in environments with limited soil depth can be managed so that they are visually appropriate and in good condition of growth.

칼슘엽면살포 및 점적관수에 의한 사과 고두병 발생억제 (Studies on the Control of Bitter Pit by Calcium Foliar Application and Drip Irrigation in Apples(Malus domestica Borkh.))

  • 김몽섭;고광출
    • 현장농수산연구지
    • /
    • 제6권1호
    • /
    • pp.73-80
    • /
    • 2004
  • 칼슘 엽면살포와 점적관수에 의한 고두병 방지방법을 구명하고자 시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엽면살포용 칼슘 화합물중 CaCl2가 과실내 칼슘 함량을 가장 많이 증가시켰으며, 생육후기 살포가 생육전기 살포보다 효과가 높아 고두병 발생도 유의하게 억제시켰다. 생육기중의 한발기 관수처리는 과육의 칼슘함량을 증가시켰고, 고두병 발생도 유의하게 억제 시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