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R Method

검색결과 1,657건 처리시간 0.037초

Selection of Vaccinia Virus-Neutralizing Antibody from a Phage-Display Human-Antibody Library

  • Shin, Yong Won;Chang, Ki-Hwan;Hong, Gwang-Won;Yeo, Sang-Gu;Jee, Youngmee;Kim, Jong-Hyun;Oh, Myoung-don;Cho, Dong-Hyung;Kim, Se-Ho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9권4호
    • /
    • pp.651-657
    • /
    • 2019
  • Although smallpox was eradicated in 1980, it is still considered a potential agent of biowarfare and bioterrorism. Smallpox has the potential for high mortality rates along with a major public health impact, eventually causing public panic and social disruption. Passive administration of neutralizing monoclonal antibodies (mAbs) is an effective intervention for various adverse reactions caused by vaccination and the unpredictable nature of emerging and bioterrorist-related infections. Currently, vaccinia immune globulin (VIG) is manufactured from vaccinia vaccine-boosted plasma; however, this production method is not ideal because of its limited availability, low specific activity, and risk of contamination with blood-borne infectious agents.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VIG production from human plasma, we isolated two human single-chain variable fragments (scFvs), (SC34 and SC212), bound to vaccinia virus (VACV), from a scFv phage library constructed from the B cells of VACV vaccine-boosted volunteers. The scFvs were converted to human IgG1 (VC34 and VC212). These two anti-VACV mAbs were produced in Chinese Hamster Ovary (CHO) DG44 cells. The binding affinities of VC34 and VC212 were estimated by competition ELISA to $IC_{50}$ values of $2{\mu}g/ml$ (13.33 nM) and $22{\mu}g/ml$ (146.67 nM), respectively. Only the VC212 mAb was proven to neutralize the VACV, as evidenced by the plaque reduction neutralization test (PRNT) result with a $PRNT_{50}$ of ~0.16 mg/ml (${\sim}1.07{\mu}M$). This VC212 could serve as a valuable starting material for further development of VACV-neutralizing human immunoglobulin for a prophylactic measure against post-vaccination complications and for post-exposure treatment against smallpox.

의암호 및 팔당호에 유입되는 주요 하수처리 방류수의 수질 비옥도 생물검정: Algal Growth Potential(AGP) Test (Cyanobacterial Bioassay (AGP test) on the Water Fertility of Treated Wastewater Effluents Discharged into Euiam and Paldang Reservoirs, Korea)

  • 서완범;이수웅;김건희;박채홍;최봉근;심연보;황순진;신재기
    • 생태와환경
    • /
    • 제50권1호
    • /
    • pp.79-95
    • /
    • 2017
  • 국내에서 의암호와 팔당호는 하수처리수($90.6{\times}10^4m^3\;d^{-1}$)를 통해 부영양화, 녹조현상 및 이취미의 수질문제를 빈번하게 겪고 있는 대표적인 수역이었으나, 이에 대한 생물학적 검정은 전무하였다. 본 연구는 2014년 9월, 2015년 3월 및 9월에 의암호와 팔당호에 유입되는 4개 하수처리수의 수질 비옥도를 파악하기 위해 조류성장잠재력을 테스트하였다. 시험조류는 현장에서 직접 분리 배양한 남조류 Anabaena circinalis를 이용하였다. 하수처리수에서 T-N과 T-P의 평균 농도는 각각 $3,956.7{\mu}g\;N\;L^{-1}$, $50.8{\mu}g\;PL^{-1}$ 이었고, 이 중에서 $NO_3$$PO_4$의 비율은 각각 72.1%, 40.8%를 차지하였다. 하수처리수에서 N과 P 농도가 동시에 높았으나, N이 더욱 풍부하여 P 제한성이 강하였다. AGP의 평균값은 $15.4mg\;dw\;L-1$로써 전체 하수처리수에서 부영양 또는 과영양 수준이었고, 특히 $PO_4$의 양에 의해 최대 조류성장잠재력이 결정되었다(r=0.998, p<0.01). 과거(2012년 이전)에 비해 P 농도가 매우 격감되었는데 그 이유는 최근 들어 하수를 총인처리하기 때문이었다. 그러나 여전히 하수처리수에서 P 농도가 높아서 상수원의 부영양화와 녹조현상을 야기하는 데 의심할 여지가 없었다. 따라서 P가 조류발생에 결정적 원인이라고 한다면, 상수원에 직접 방류되는 하수처리수를 P-free 수준까지 실행하는 정책과정이 필요한 것으로 본다.

월(月) 평균유역증발산량(平均流域蒸發散量) 추정(推定)에 관(關)한 연구(硏究) (A Study on the Estimation of Monthly Average River Basin Evaporation)

  • 김태철;안병기
    • 농업과학연구
    • /
    • 제8권2호
    • /
    • pp.195-202
    • /
    • 1981
  • 회개, 수자원획(水資源劃) 등(等) 이수(利水)를 목적(目的)으로 하는 장기유출해석(長期流出解析)에 있어 가장 중요(重要)한 인자(因子) 중(中)의 하나인 유역증발산량(流域蒸發散量)을 Water budget방법(方法)에 의(依)하여 산정(算定)하여, Pan, Potential, Regional evaporation과 Temperature와의 관계(關係)를 구명(究明)하여 유출기록(流出記錄)이 없는 무계기(無計器) 지역(地域)의 유역증발산량(流域蒸發散量)과 장기유출량(長期流出最)을 추정(推定)하기 위하여 금강수계(錦江水系) 용담지점(龍潭地點)의 5 개년(個年) 자료(資料)를 분석(分析)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Pan evaporation과 River basin evaporation과의 비(比)($E_w/E_{pan}$)가 계절별(季節別) 성향(性向)을 가장 질서(秩序)있게 나타났으며, Pan evaporation으로부터 River basin evaporation을 Fig. 9 또는 Table-7로부터 추정(推定)할 수 있다. 2. Penman의 Potential evaporation을 적용하기 위하여 cloudness effect와 Wind function의 지역상수(地域常數)를 결정한 결과, 용담지역(龍潭地域)의 지역상수(地域常數)는 다음과 같다. $R_A=R_C(0.13+0.52{\frac{n}{D}})$ $E_a=0.35(e_s-e)(1.8+1.0U)$ 3. Regional evaporation [$E_R=(1-a)R_C-E_P$]는 유도과정의 가정에 따른 functional error가 큰 것으로 보여지나, 유역(流域)전반의 물리(物理), 화학(化學), 생물학적(生物學的)인 증발(蒸發)기구를 포괄적(包括的)으로 포용(包容)하고 있는 이와같은 이론적(理論的)인 함수개발(函數開發)이 요망된다. 4. 기상자료(氣象資料)가 미비(未備)한 지역(地域)에서는 기온(氣溫)만으로 Fig-11과 같이 개락적(槪略的)인 월(月) 평균(平均) 증발산(蒸發散)을 구(求)할 수 있다.

  • PDF

용액인상법에 의한 $Cr:Al_2O_3$$Ti:Al_2O_3$ 단결정 육성 (Crystal Growth of $Cr:Al_2O_3$ and $Ti:Al_2O_3$ by Czochralski Technique)

  • 유영문;이영국;박로학
    • 한국결정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1-13
    • /
    • 1995
  • 융액인상법에 의해 Cr:A12O3 및 Ti:A12O3 단결정을 육성한 후 인상속도, 회전속도, 주입이온 및 결정육성 분위기와 같은 결정육성요소가 결정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 육성된 결정의 레이저 효율과 분광학적 물성을 측정하였다. 직경 20mm, 길이 100-135mm 크기의 결정을 <001>방위로 육성하였다. Cr:A12O3의 주입농도 0.5w/o, 인상속도 2.0mm/hr, 회전속도 30rpm으로 할 때 질소기체에 의한 비활성 분위기하에서 양질의 Cr:A12O3 결정이 얻어졌다. Ti:A12O3 단결정은 TiO2를 0.25w/o 주입하고 인상속도 1.5mm/hr, 회전속도 30rpm으로 육성할 때, 수소기체에 의한 환원성 분위기하에서 양질의 결정이 얻어졌다. 원자가가 변화하지 않는 Cr3+이온은 원자가가 변화하는 Ti4+이온을 주입할 때보다 효과적으로 탈포되었으며, Fe3+이온은 Ti3+이온에 대해 탈포를 촉진하는 효과가 있었다. Ti:A12O3 단결정 육성시 90% N2 - 10% H2 혼합기체를 사용하여 환원성 분위기를 조성하는 것이 원자가 변화 및 탈포에 좋은 효과를 나타내었다. 흡수 및 형광방출 스펙트럼 조사 결과 Cr:A12O3 단결정에서 4A2 → 4F2 및 4F1 천이에 의한 흡수와 E→4A2(R1) 및 2A→4A2(R2) 천이에 의한 형광방출 천이를 확인하였다. R1 및 R2 천이의 레이저 주파장은 각각 696±5nm 및 692 ±5nm이고, 각 천이의 형광선폭은 12A, 형광수명은 152 μsec로 측정되었다. Ti:A12O3 단결정에서는 4T2→ 4E의 흡수천이와 4E→4T2의 천이에 의해 650nm-1050nm 범위에서 파장가변이 가능한 형광방출천이가 일어남을 확인하였으며 형광수명은 147μsec, figure of merit는 125.4로 측정되었다. Ti:A12O3 단결정으로부터 제조한 레이저봉을 이용하여 레이저 공진한 결과 레이저 발진효율은 9%로 측정되었다.

  • PDF

매몰 시간의 경과에 따른 구제역 가축 매몰지 침출수 특성에 관한 연구 (Characterization of Water Quality and Bacteria of Leachate from Animal Carcass Disposal on the Disposal Lapse Time)

  • 최낙철;최은주;김봉주;박정안;김성배;박천영
    • 자원환경지질
    • /
    • 제46권4호
    • /
    • pp.345-350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매몰경과시간에 따라 4지점의 가축매몰지 침출수에 대하여 물리화학적 특성과 분자미생물학적 방법을 이용하여 침출수내 미생물을 분석하였다. 침출수에 대한 물리화학적 분석 결과, 매몰중기 (매몰경과 20개월)에서 매몰초기 (매몰경과 5개월) 자료에 비하여 EC, DO, $HCO_3{^-}$, TOC, T-N 과 $SO_4{^{2-}}$ 의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16S rRNA방법을 이용한 침출수의 미생물을 동정한 결과, 매몰초기에 Lysinibacillus sphaericus, Bacillus pumilus, Pseudoclavibacter helvolus, Pseudochrobactrum saccharolyticum 과 Corynebacterium callunae 이 동정되었으며, 매몰중기에는 Bacillus cereus, Lysinibacillus sphaericus, Bacillus circulans 과 Corynebacterium glutamicum이 검출되었고, Bacillus cereus, Lysinibacillus sphaericus과 같은 병원성 미생물이 발견되었다. 본 연구는 가축매몰지로부터 형성되는 침출수에 대한 지질 매체 내에서의 거동특성, 처리 및 위해성 평가에 대한 기초자료로 활용 가능할 것이다.

조합화학을 이용한 Y(As, Nb, P, V)O4:Eu3+ 적색형광체의 합성 및 광 특성 분석 (Synthesis and Luminescent Properties of Y(As, Nb, P, V)O4:Eu3+ Red Phosphors by Combinatorial Chemistry Method)

  • 전일운;손기선;박희동;류승곤
    • 대한화학회지
    • /
    • 제45권6호
    • /
    • pp.577-588
    • /
    • 2001
  • 조합화학 기법을 적용하여 $YRO_4$ (R=As, Nb, P, V)계 모체에 Eu을 활성하여 적색형광체를 합성하였다. 합성된 형광체는 UV PL,VUV PL, 및 색좌표 분석을 하였고, 254nm 및 147nm 여기하에서의 발광세기 및 색좌표 사면체 라이브러리를 완성하였다. Eu이 0.1 mol 도핑된 적색 형광체는 254nm로 여기 시켰을 때 $YRO_4$를 중심으로 다른 중심으로 다른 성분이 미량 첨가되었을 때 가장 좋은 발광 세기를 나타내었으나. 147nm에서는 $YRO_4$를 중심으로 좋은 발광 세기가 나타났다. 합성된 형광체 중 $Y_{0.9}$(A$S_{0.06}$N$B_{0.06}$$P_{0.83}$$V_{0.06}$) $O_4$: $Eu_{0.1}$의 조성으로 1200$^{\circ}C$에서 소성하였을 때 상용 형광체와 대등한 발광세기가 색순도가 우수하였다.

  • PDF

비치오놀 설폭사이드, C12H6Cl4O3S의 결정구조 (Crystal Structure of Bithional Sulfoxide, $C_{12}H_6Cl_4O_3S$)

  • 신현소;송현
    • 대한화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283-287
    • /
    • 1994
  • 비치오놀 설폭사이드, $C_{12}H_6Cl_4O_3S$의 결정구조를 흑연으로 단색화된 $Mo-K\alpha방사선을$ 이용하는 CAD-4 회절기를 사용하여 수집한 2295개의 독립된 회절반점을 이용하여 해석하였다. 결정계는 단사정계이며, 공간군은 P2$_1$/n이고, 격자상수는 a = 12.448(4), b = 9.740(1), c = $11.815(2)\AA$, $\beta$ = $100.06^{\circ}$, $\mu$ = 9.02 $cm^{-1}$, Dm = 1.76 g/$cm^3$, Dc = 1.75 g/$cm^3$, F(000) = 744, and Z = 4이다. 구조는 직접법으로 해석하였으며, 최소자승법으로 정밀화하여 최종 신뢰도 R=0.037인 모형을 구하였다. 분자의 전체적인 형태는 비치오놀의 경우와 비교하여 2개의 페닐링 중 한 개와 설폭사이드기를 축으로 삼아 대략 $180^{\circ}$ 정도로 회전하였음을 알 수 있었으며, 이와 같은 구조적인 변화는 S-O(3)---H-O(1)형의 분자내 수소결합의 존재와 설폭사이드기와 다른 페닐링간의 입체장에 현상 때문이다. 두 개의 페닐링은 평면구조를 나타내며, 두 평면간의 이면각은 $99.22^{\circ}$이다. 결정구조는 O(3)---H-O(2)형 분자간 수소결합에 의해 결합되어 있다.

  • PDF

졸-겔법에 의해 제작된 적외선 센서용 $(Pb,La)TiO_3$ 강유전체 박막의 특성 (Properties of $(Pb,La)TiO_3$ Ferroelectric Thin Films by Sol-Gel Method for the Infrared Sensors)

  • 서광종;장호정;장지근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9권5호
    • /
    • pp.484-490
    • /
    • 1999
  • Pt/SiOz!Si의 기판위에 $(Pb,La)TiO_3$(PLT) 박막을 졸-겔 방법으로 제작하여 La 첨가량 및 후속열처리 온도에 따른 결정학적, 전기적 특성율 조사하였다. $600^{\circ}C$ 이상의 온도에서 열처리된 PLT 박막 시료의 경우 La 도핑량에 관계없이 전형적인 perovskite 결정구조를 보여 주었다. La이 전혀 첨가되지 않은 $(Pb,La)TiO_3$(PT) 시료에 10 mole% La을 첨가할 경우 (PLT-I0 시료) c축 배향도는 약 63%에서 26%로 크게 감소하였다. PLT-1O 박막시료의 깊이에 따른 AES 분석결과 박막내의 각 성분원소 들이 비교척 균일하게 분포되어 았고 하부전극(Pt)과 PLT 박막층 사이에는 상호반응없이 비교적 안정된 막을 형성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600^{\circ}C$에서 열처리된 PLT-1O 박막의 유전상수$({\varepsilon}r)$ 와 유전정접 (tan$\delta$) 은 약 193과 0.02의 값을 나타내였다. 후속열처리 온도를 $600^{\circ}C 에서 700^{\circ}C$로 증가함에 따라 잔류분극$(2Pr,Pr_+-Pr_-)$은 약 $4\muC\textrm{cm}^2 에서 약 16\muC\textrm{cm}^2$로 크게 증가하였으며 잔류 분극값의 증가는 후속열처리에 의해 결정성이 개선되었기 때문이라 판단된다. $30^{\circ}C$ 온도부근에셔 초전계수($\gamma$)는 약 $4.0nC/\textrm{cm}^2{\cdot}^{\circ}C$의 값을 냐타내었다.

  • PDF

수종토양중(數種土壤中)에서 3, 4-DCA 및 TCAB의 변화(變化)에 관(關)한 연구(硏究)제1보(第一報)-$^{14}C$-환표식(換標識) 및 비표식(非標識) TCAB의 신합성방법(新合成方法)- (A Study on the Evolution of 3, 4-DCA and TCAB in Some Selected Soils [Part I]-A New Method of Synthesizing $^{14}C-ring-labeled$ and Non labeled TCAB-)

  • 이재구;제씨포로니엘;지카트로씨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0권1호
    • /
    • pp.109-116
    • /
    • 1977
  • Phenyl carbamates, phenyl ureas 및 acylanilides등의 제초제(除草劑)는 토양중(土壤中)에서 미생물(微生物)의 작용(作用)에 의(依)하여 발암성(發癌性) 물질(物質)로 알려진 Azo 화합물(化合物)을 형성(形成)하여 많은 주목(注目)을 끌고있다. 따라서 많은 연구자(硏究者)들은 이의 연구(硏究)에 있어 azo화합물(化合物)의 일종(一種)인 TCAB를 3,-dichloro nitrobenzene으로부터 합성(合性)하였으나 탈염소화(脫鹽素化) 작용(作用) 등(等)의 결점(缺點) 있고 또한 본(本) 연구(硏究)에서는 환표식(環標識) $^{14}C-3,4-DCA$로부터 환표식(環標識) $^{14}C-TCAB$를 합성(合成)할 필요(必要)가 있었으므로 본방법(本方法)을 고찰(考案)하였다. 즉(卽) 3,4-DCA를 Pyridine에 녹인후 공기(空氣) 존재하(存在下)에서 $60^{\circ}C$로 5-12 시간(時間) 동안 CuCl과 반응(反應)시켜 80.2% 수율(收率)로 표식(標識) 및 비표식(標識) TCAB를 합성(合成) 하였으며 그의 정제과정(精製過程)을 상세(詳細)히 기술(記述)하였다. 또한 TCAB 이성체(異性體)의 성질(性質)을 Autoradiography, TLC, GLC, IR 및 M.S로 검토(檢討) 확인(確認)하였다.

  • PDF

ESTP 표지를 이용한 국내 소나무 집단의 유전변이 (Genetic Variation of Pinus densiflora Populations in South Korea Based on ESTP Markers)

  • 안지영;홍경낙;이제완;홍용표;강호덕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279-289
    • /
    • 2015
  • 소나무의 유전다양성과 유전구조를 추정하기 위해 9개의 ESTP 표지를 13개 소나무 집단에 적용하였다. 소나무 집단의 유전다양성은 관찰된 대립유전자 수(A)가 2.2개, 유효 대립유전자 수(Ae)가 1.8개, 다형적 유전자좌 비율(P)이 98.8%, 이형접합도 관찰치(Ho)가 0.391, 이형접합도 기대치(He)가 0.402로 나타났다. 안강과 강릉 집단을 제외한 11개 집단이 하디-바인베르그 평형을 만족하였다. 집단간 유전분화도(FST)는 0.057으로, 동위효소나 nSSR 표지분석 결과보다 강하게 나타났다. 군집분석에서 집단의 유전적 거리와 지리적 분포간에 뚜렷한 연관성은 확인할 수 없었으며, 집단의 유전분화와 지리적 인접성도 상관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Mantel 검증, r = 0.017, P = 0.344). 유전자좌에 대한 FST-outlier 분석을 실시한 결과, 빈도주의 방법에서는 FST 값이 신뢰하한 이하인 3개 유전자좌와 신뢰상한 이상인 3개 유전자좌가 특이값으로 추정되었고, 베이즈 방법에서는 3개 유전자좌들만 특이값으로 확인되었다. 두 방법에서 공히 특이값으로 판정된 3개 유전자좌(sams2+AluⅠ, sams2+RsaⅠ, PtNCS_p14A9+HaeⅢ)중 sams2 표지에서 유래된 2개 유전자좌는 balancing selection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추정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