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Nitrosodimethylamine (NDMA)

검색결과 76건 처리시간 0.027초

Salmonella / Microsome Assay 에서의 N-nitrosodimethylamine의 돌연변이 유발성과 N-nitrosodimethylamine의 생성에 대한 비타민 C의 영향 (Mutagenicity of N-Nitrosodimethylamine in Salmonella / Microsome Assay and the Effect of Vitamin C on the Formation of N-Nitrosodimethylamine)

  • 김소희;박건영;서명자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260-265
    • /
    • 1991
  • Salmonella/microsome assay system을 이용하여 N -nitrosodimethylamine (NDMA)의 돌연변이유발성을 검토하는 효과적인 방법과 비타민 C가 NDMA자체의 돌연변이유발과 nitrite와 2급아민으로부터의 NDMA 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NDMA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S9중 Aroclor1254로 induce시킨 hamster S9이 가장 효과가 있었으며 Aroclor 1254나 phenobarbital로 induce시킨 rat 59 mix에 의하여서는 활성화가 약하였다. DMSO와 ethanol에 NDMA를 녹였을 때는 돌연변이유발실험에서 저해효과가 나타났으나 phosphate buffer(pH 7. 4), 증류수, 95% methanol, Tween 80 + water(l : 4)는 저해 효과가 없었다. 비타민 C는 이미 생성환 NDMA에 대해서는 돌연변이 유발저해 효과를 나타내지 않았지만 nitrite와 2급 아민(dimethylamine)으로 부터의 NDMA 생성은 크게 저해하였다. 반응물에 비타민C를 첨가한 경우 Salmonella typhimurium TAl00의 revertant 수가 spontaneous숫자 수준으로 감소되었으며 HPLC를 이용한 NDMA의 분석에서도 거의 95% 까지의 정량적인 감소를 관찰할 수 있었다.

  • PDF

상하수에서 N-Nitrosodimethylamine (NDMA) 발생 및 처리법 비교 분석 (Formation and Treatment Methods of N-Nitrosodimethylamine (NDMA) in Water and Wastewater)

  • 김종오;이우범;박수호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95-101
    • /
    • 2014
  • Overall studies for the N-nitrosodimethylamine (NDMA) formation and treatment methods were conducted. In this study, occurrence in several countries and emerging treatment technologies of NDMA were generally reviewed. The NDMA formation was dependent on pH, contact time, and molar ratio (monochloramine/dimethylamine). The formation was rapidly increased when the molar ratio was greater than 1. It was likely that monochloramine could be related to stimulate NDMA formation. NDMA concentrations in water supply and wastewater plants after disinfection were approximately 10 ng/L and 100 ng/L, respectively. UV oxidation and adsorption processes are regarded as effective technologies for the NDMA removal. It is suggested that the UV oxidation with proper lamps is applied in water supply system.

N-Nitrosodimethylamine(NDMA) 생성에 관한 예측과 비교 연구 (Prediction and Comparison for the N-Nitrosodimethylamine(NDMA) Formation)

  • 김종오;김동수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402-406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pH가 7과 8인 조건에서 디메칠아민 농도를 0.05 mM로 고정시키고 클로라민 농도 변화에 따른 NDMA 생성농도를 측정하여 회귀식을 개발하였다. 클로라민/디메칠아민 비율이 1보다 클 때와 작을 때에 NDMA 생성에 큰 차이를 보여 통계분석에서 구분하여 회귀식을 제시하였다. NDMA 생성 농도는 클로라민/디메칠아민 비율에 높은 상관성을 보여 주었다. 개발한 회귀식을 근거로 하여 NDMA 생성 농도를 기존 연구에 적용한 결과 상대오차는 $-79{\sim}163%$로 조사되었다. 상수 처리장에서 원수의 디메칠아민 농도를 알 경우 이 식을 적용 하면 NDMA 발생 범위를 제시하여 주입할 클로라민 농도나 전처리 필요성을 결정하는데 도움을 줄 것으로 생각된다.

pH 변화에 따른 N-Nitrosodimethylamine (NDMA) 생성에 대한 고찰 (A Study on N-Nitrosodimethylamine (NDMA) Formation According to pH Variation)

  • 김종오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390-393
    • /
    • 2005
  • 최근 발암 가능성 물질로 알려진 N-Nitrosodimethylamine (NDMA)가 미국 및 캐나다 상수도 공급시설에서 발견되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pH가 6, 7, 8인 조건에서 디메칠아민 농도를 0.05 mM로 고정시키고 클로라민 농도(0.001-0.1 mM) 변화에 따른 NDMA 생성 농도를 측정하였다. 디메칠아민 농도에서 NDMA 최대 생성율은 pH 7과 8에서 각각 2.4% 및 1.5%로 나타났으며, 주입 클로라민 농도가 증가할수록 생성율은 크게 증가하는 경향을 보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리고, pH가 7, 8인 조건에서 NDMA 생성농도와 클로라민/디메칠아민 비율 사이에 높은 연관성을 얻었다($r^2>0.99$). NDMA 생성은 클로라민 농도와 선형 연관성이 있었다.

극저농도 NDMA(N-nitrosodimethylamine) 물리적/생물학적 처리 효율 비교 평가 (Evaluation and Comparative Physical/Biological Removal Performance for Extremely Low-Concentration NDMA(N-nitrosodimethylamine))

  • 박세용;김희주;김문일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2권2호
    • /
    • pp.55-61
    • /
    • 2011
  • NDMA(N-Nitrosodimethylamine)는 극저농도(10ng/L)에서도 암을 일으킬 수 있는 물질로 알려져 있지만, 기존의 NDMA 제거율 평가 연구는 고농도의 NDMA를 대상으로 한 것이 대부분이었다. 따라서 극저농도의 NDMA 제거효율 평가가 필요하며 그 기초연구로써 호기성/혐기성 조건에서의 분말활성탄, GS(Granular Sludge), MF(Microfiltration), UF(Ultrafiltration)를 이용한 제거효율과 Silica gel(MCM-41, Diatomite, Spherical silica gel)을 이용한 제거효율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혐기성 조건에서 GS, PAC를 접촉한 후 UF membrane을 이용한 고액분리가 65%의 제거율로 가장 높았으며, Silica gel(MCM-41)이 6%의 제거율로 가장 낮았다. 본 연구는 극저농도의 NDMA 제거의 기초 연구로서 향후 관련 연구의 기초자료로써 활용을 기대한다.

다양한 항목에 따른 N-Nitrosodimethylamine(NDMA) 생성에 관한 비교 (N-Nitrosodimethylamine(NDMA) Formation according to Various Factors)

  • 김종오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92-196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수처리에서 모노클로라민을 주입 할 경우 살균 부산물로 NDMA 발생정도를 조사하였다. 이를 위하여 pH, 디메칠아민 및 모노클로라민 농도, 질소비율의 변화에 따른 NDMA 생성 농도를 측정하였다. 디메칠아민 농도를 0.01 mM또는 0.05 mM로 고정시킨 조건에서 모노클로라민/디메칠아민 비율이 1보다 클 때와 작을 때에 따라 NDMA 생성에 큰 차이가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NDMA 생성 농도는 일반적으로 pH와 모노클로라민에 존재하는 질소비율 증가에 따라 높게 나타나는 상관성을 보여 주었으며, pH 7과 8에서는 디메칠아민을 5배 증가시킨 결과 거의 모든 조건에서 NDMA 생성도 5배 이상 증가하였다. 수 처리장에서 염소살균 결과 모노클로라민이 존재 할 경우 NDMA 생성을 촉진시킬 수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고도산화공정(UV공정)을 이용한 NDMA의 효율적인 처리와 독성 평가 (Effective Treatment of N-Nitrosodimethylamine using Advanced Oxidation Process (UV Process) and Toxicity Evaluation)

  • 송원용;장순웅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90-95
    • /
    • 2009
  • This study investigates the oxidative degradation of N-nitrosodimethylamine (NDMA), a probable human carcinogen, by advanced oxidation process (i.e., UV process). The experiments were performed with various pH, initial concentration, UV intensity, and addition of $H_2O_2$ or $TiO_2$ on UV proces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direct UV photolysis was the most effective treatment method. The lower pH, intial concentration and higher intensity of UV stimulated higher NDMA removal. However, addition of oxidant ($H_2O_2$, $TiO_2$) slows down photochemical treatment of NDMA since the oxidant can filter out the UV light and block it to reach the NDMA molecules. Dimethylamine (DMA) and nitrite were found to be a major byproduct from NDMA oxidation. To evaluate the chronic toxicity effects of UV-treated NDMA on the growth of microalgae, "Skeletonema costatum", was studied as long term experiments. Results demonstrated that after the 13 days exposure the chronic toxicity was decreased about 15% with application of UV process on NDMA degradation.

UV공정을 이용한 NDMA처리 통계적 최적화 연구 (The Study of Statistical Optimization of NDMA Treatment using UV-Process)

  • 송원용;장순웅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96-101
    • /
    • 2009
  • The aim of this research was to apply experimental design methodology to optimizetion the photolytic degradation of N-nitrosodimethylamine (NDMA). Reactions were mathematically described as a function of parameters such as pH, initial NDMA concentration, and UV intensity using the Box-Behnken metho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responses of NDMA removal (%) in photolysis were significantly affected by the synergistic effect of linear term of pH, initial NDMA concentration and UV intensity. The application of Response Surfase Methodology (RSM) using the Box-Behnken method yielded the following regression equation, which is an empirical relationship between the removal (%) of NDMA and test variables in coded unit: Y = 50.929 + 16.073(UV) - 7.909(NDMA) - 27.432(pH) - 11.385(UV)(NDMA) - 7.363(UV)(pH) +13.811(NDMA)(pH). The model predictions agreed well with the experimentally observed result ($R_2(ad.)=89%$).

N-Nitrosodimethylamine Concentrations in Domestic and Imported Beer in Korea

  • Ahn, Hyun-Joo;Kim, Jae-Hyun;Cheorun Jo;Kim, Myung-Chul;Hong, Jin-Hwan;Byun, Myung-Woo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7권2호
    • /
    • pp.219-221
    • /
    • 2002
  • N-Nitrosodimethylamine (NDMA) was determined in both domestic Korean and imported beers, from the Netherlands, USA, Japan, Belgium and Germany. Among the 8 kinds of Korean beers, 4 were contaminated with NDMA, and 4 were not. The average concentration of NDMA detected in Korean beers was 0.78 $\mu\textrm{g}$/kg and the maximum NDMA concentration was 5.73 $\mu\textrm{g}$/kg. NDMA was only detected in one imported beer, which had a concentration of 5.29 $\mu\textrm{g}$/kg. Assuming an average concentration of 0.78 $\mu\textrm{g}$/kg NDMA in Korean domestic beer, the average daily intake of NDMA through domestic beer consumption by a typical Korean is approximately 0.58 $\mu\textrm{g}$/person/day.

N -Nitrosodimethylamine의 자외선 광분해 시 질소산화물 생성에 미치는 반응성 화학종의 형성 (The Formation of Reactive Species on the Nitrogen Oxide in the Ultraviolet Photolysis of N-Nitrosodimethylamine)

  • 권중근;김종오;권범근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3권2호
    • /
    • pp.75-81
    • /
    • 2012
  • NDMA는 잠재적인 발암 물질로 잘 알려져 있기 때문에 UV를 활용한 처리기술과 분해경로에 대해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다. 그러나 NDMA가 ${NO_2}^-$, ${NO_3}^-$ 와 같은 산화물을 형성하는 메커니즘은 아직 명확하게 알려져 있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NDMA의 광반응에 의해 생성되는 핵심 반응기들을 검토하였다. 주요 반응기들에 대한 연구는 질소 산화물들의 형성과 메탄올과 NDMA의 광분해에 의해 형성되는 미지의 반응기들 사이에서의 반응을 통하여 간접적으로 수행하였다. NDMA의 직접적인 UV 광반응에 의해서 생성된 $ONOO^-$ 가 질소 산화물(중간생성물)들의 산화로 인한 ${NO_2}^-$${NO_3}^-$ 의 핵심 반응기인 것으로 확인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