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Mycorrhizal

검색결과 250건 처리시간 0.029초

The Observation of Arbuscular Mycorrhizal Roots in Horticultural Plants

  • Kim, Yee;Eom, Ahn-Heum;Tae, Moon-Sung;Lee, Sang-Sun
    • Mycobiology
    • /
    • 제28권3호
    • /
    • pp.115-118
    • /
    • 2000
  • To determine the degree of variability among the host plant species in their abilities to become colonized by arbuscular mycorrhizal fungi (AMF), the inoculum for AMF was collected from the various sites in Korea and was inoculated to the three horticultural plants; Tagetes patula, Torenia fournieri, and Salvia splendens. After 4-month growth under greenhouse, mycorrhizal root colonization rates and spore density were measured. The roots of T. patula showed higher colonization rate than both plants of T. fournieri and Salvia splendens. The mycorrhizal root colonization was influenced by both of the AM fungal inoculum and the host species or their interactions. The combination of the host and fungal species was suggested to be important for the application of AMF to horticultural crops.

  • PDF

Effects of Soils Containing Arbuscular Mycorrhizas on Plant Growth and Their Colonization

  • Eom, Ahn-Heum;Kim, Yee;Lee, Sang-Sun
    • Mycobiology
    • /
    • 제30권1호
    • /
    • pp.18-21
    • /
    • 2002
  • Four arbuscular mycorrhizal fungal(AMF) inocula collected from three arable sites in Korea were used to determine plant growth, mycorrhizal root colonization rate and spore production in three different host plant species; Sorghum bicolor, Allium fistulosum, Tagetes patula. Growth of plant treated with AMF differed from those without AMF. Different AMF inocula showed significantly different root colonization rates and spore production of AMF on the wild plants, A. fistulosum and T. patula, but did not on the cultivated plant, S. bicolor. Results suggested that indigenous mycorrhizal fungal community would be important factors in mycorrhizal symbiosis, and play important roles in the plant succession.

Acaulosproa koreana, a New Species of Arbuscular Mycorrhizal Fungi (Glomeromycota) Associated with Roots of Woody Plants in Korea

  • Lee, Eun-Hwa;Park, Sang-Hee;Eo, Ju-Kyeong;Ka, Kang-Hyeon;Eom, Ahn-Heum
    • Mycobiology
    • /
    • 제46권4호
    • /
    • pp.341-348
    • /
    • 2018
  • A new species of arbuscular mycorrhizal fungi (Glomeromycota), Acaulospora koreana, was isolated from forest soils in South Korea. This novel fungus was collected from the rhizosphere of Lindera obtusiloba and Styrax obassia in forest and propagated with Sorghum bicolor in pot.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spores of A. koreana are rarely distinguished from Acaulospora mellea, which is reported as one of the most abundant mycorrhizal species in Korea. However, molecular evidence of rDNA sequence using improved primers for glomeromycotan fungal identification strongly supported that A. koreana is different from A. mellea but also any other species belonging to the genus Acaulospora. This is the first novel glomeromycatan fungus introduced in South Korea, but it suggests that there is a high possibility for discovering new arbuscular mycorrhizal fungi considering the abundance of plant species and advanced phylogenetic analysis technique.

땅찌만가닥버섯균(菌)의 접종(接種)이 참싸리 묘목(苗木)의 균근형성(菌根形成)과 생장(生長)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s of Lyophyllum shimeji Inoculation on the Mycorrhizal Formation and Seedling Growth of Lespedeza cyrtobortya)

  • 이상용;정주해;이종규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4권3호통권160호
    • /
    • pp.146-152
    • /
    • 2005
  • 훼손된 비탈면의 조림에 균근균의 이용가능성을 타진하기 위하여, 땅찌만가닥버섯(Lyophyllum shimeji)의 배양학적 특성 및 인공접종에 의한 참싸리(Lespedeza cyrtobotrya)에서의 균근 형성 특성을 조사하였다. L. shimeji는 MP (1% malt extract, 0.1% peptone, 1% glucose, 1.5% agar)배지에서 균사 생장이 가장 왕성하였으며, 균사 최적 배양 온도 및 pH는 각각 $25^{\circ}C$ 및 pH 6 이었다. 인공접종에 의한 참싸리에서의 균근 형성 특성을 조사한 결과, L. shimeji는 Hartig net을 형성하는 외생균근의 특성을 나타내었으며, 균근 접종 실생 묘목 뿌리의 생장율은 대조구에 비하여 우수하였다. 균근 접종 실생 묘목을 비탈면에 이식하였을 때의 생존율 및 건중량은 각각 62% 및 850 mg/본 이었으나, 균근을 접종하지 않은 실생 묘목의 생존율 및 건중량은 각각 11% 및 430 mg/본 이었다.

포도 삽목에서 내생 균근균 접종효과 (Effectiveness on the Inoculation of Arbuscular Mycorrhizal Fungi in Cutting of Grapevine)

  • 위치도;안기홍;김홍림;손보균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3권6호
    • /
    • pp.1002-1007
    • /
    • 2010
  • 본 연구는 균근균 접종이 포도삽목묘의 생장에 미치는 영향과 균근 형성율 그리고 형성 양상을 구명하고자 수행하였다. 포도 삽목시, 균근균 접종원을 처리한 거봉과 탐나라 품종은 무 접종처리 보다 엽수, 엽면적, 총 뿌리길이 그리고 뿌리 표면적이 크게 증가하였다. 그러나 켐벨어리 품종의 총 뿌리길이와 뿌리 표면적은 무처리구 (AMF-)와 비교하여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접종 8주후 균근균 접종 처리구 (AMF+)의 형성율은 22.5-32.5%이었으며, 12주 후 켐벨어리, 탐나라 그리고 거봉의 균근 형성율은 각각 29.6%, 28.8% 그리고 48.8%이었다. 반면 균근균 무처리구 (AMF-)는 균근형성 수준이 매우 낮았다.

시설원예(施設園藝) 작물(作物)에서 토착(土着) VA균근균(菌根菌)에 관한 연구(硏究) -III. 토착(土着) VA 균근균(菌根菌) 접종효과 (Studies on the Indigenous Vesicular-Arbuscular Mycorrhizal Fungi(VAMF) in Horticultural Crops Grown Under Greenhouse -III. Effects of the Indigenous VAMF Inoculation on the Early Growth and the Subsquent Growth after Transplanting of Greenhouse Grown Crops)

  • 손보균;양원모;김광식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99-107
    • /
    • 1992
  • 공시작물(供試作物) 오이, 토마토, 가지, 고추 및 멜론의 육묘단계(育苗段階)를 포함(包含)한 초기생육(初期生育)에 토착(土着) VA균근균(菌根菌)의 접종효과를 구명(究明)하기 위해 수행(遂行)한 실험결과(實驗結果)는 다음과 같다. 건물중(乾物重), 초장(草長), 엽면적(葉面積) 등에서 공시(供試)된 5개 작물(作物) 모두 VA균근균(菌根菌)의 접종효과를 보였는데 오이의 경우 엽면적(葉面積)에서 유의성(有意性)있는 차이(差異)를 보이고, 초장(草長)은 정식(定植) 후인 출아(出芽) 후 6주부터 고도(高度)의 유의성(有意性)이 인정(認定)되었다. 토마토의 경우는 엽면적(葉面積)과 초장(草長)에서 전(全) 조사기간(調査時期)에 토착(土着) VA균근균(菌根菌) 접종처리(接種處理)에서 지상부(地上部) 건물중(乾物重)에 대한 VA균근균(菌根菌) 접종효과는 정식(定植) 후에 유의성(有意性)있는 차이(差異)가 인정(認定)되었다. 멜론의 초장(草長)과 지상부(地上部) 건물중(乾物重)에서 전(全) 조사기간(調査期間)에 유의성(有意性)있는 VA균근균(菌根菌) 접종효과를 보이고 인정(認定)되었고 뿌리 신선중(新鮮重)에서도 출아(出芽) 후 4주부터 고도(高度)의 유의성(有意性)이 인정(認定)되었다. 가지의 경우에 지상부(地上部) 건물중(乾物重)의 경시적(經時的) 조사결과(調査結果) 출아(出芽) 후 4주부터 유의성(有意性)있는 VA균근균(菌根菌) 접종효과가 인정(認定)되었으며, 초장(草長)의 경우도 이식(移植) 후에 유의성(有意性)있는 차이(差異)를 나타냈으며, 엽면적(葉面積)과 지상부(地上部) 신성중(新鮮重)은 출아(出芽)후 8주, 12주 조사시(調査時)에 유의성(有意性)이 인정(認定)되었다. 고추의 엽면적(葉面積)에서 VA균근균(菌根菌) 접종효과가 초기(初期)부터 크게 나타났고 지상부(地上部) 건물중(乾物重) 및 신선중(新鮮重)도 출아(出芽) 후 4주를 제외(除外)한 전(全) 조사기간(調査時期)에 유의성(有意性)있는 차이(差異)를 나타냈다. 공시(供試)된 작물(作物)의 VA균근균(菌根菌) 감염률(感染率)은 생율(生育)의 진전(進展)에 따라 증가(增加)되었으며, 고추를 제외(除外)한 나머지 작물(作物)에서 이식(移植) 후 1주경에는 떨어졌으나 출아(出芽) 후 8주의 조사시(調査時)에는 다시 회복(回復)되어 출아(出芽)후 12주에 50% 내외(內外)의 감염률(感染率)을 보였고, 출아(出芽) 후 12주의 공시작물(供試作物) 근권(根圈)중 포자밀도(胞子密度)는 건토(乾土) 50g당 $72.7{\pm}26.3{\sim}100{\pm}10.3$개의 수준(水準)이었으며 오이와 토마토에서 높은 경향(傾向)이었다. 지상부(地上部) 식물체(植物體)의 무기성분(無機成分) 분석결과(分析結果)에서 전(全) 질소(窒素)는 VA균근균(菌根菌) 접종처리(接種處理)에서 낮은 함량(含量)을 보였고, 인산(燐酸)은 토마토와 고추에서, 가리(加里)는 오이와 가지에서, 석회(石灰)는 토마토, 고토(苦土)는 토마토와 멜론에서 가장 높은 함량(含量)을 나타냈으며, 미량질소(微量窒素)인 철(鐵), 아연(亞鉛), 망간 및 구리 등의 함량(含量)에서도 VA균근균(菌根菌) 접종효과가 인정(認定)되었지만 가지에서는 오히려 낮은 흡수량(吸收量)을 보였다.

  • PDF

화산회토양에서 인산 시용수준별 탱자 유묘의 공생균근 형성과 무기양분 흡수 (Arbuscular-Mycorrhizae Colonization and Mineral Nutrient Uptake of Poncirus trifoliata Seedling in Volcanic Ash Soil)

  • 강석범;문두길;정종배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283-291
    • /
    • 2000
  • 공생균근은 인산을 비롯한 무기영양소의 흡수 촉진을 통하여 작물의 생육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토양 중의 유효 인산함량은 이러한 공생균근의 형성에 크게 영향을 미친다. 일반적으로 유효인산 함량이 증가할수록 공생균근 형성율은 낮아 지는데, 제주도 화산회 토양에서 인산 시용 수준을 달리하여 탱자 유묘의 공생균근 형성율과 인산 등 무기영양소의 흡수관계를 조사하였다. 비경작지 화산회 토양에 중과석과 복합비료로 40,573, 1,106, 1,373, $1,640mg\;P\;kg^{-1}$ 수준으로 인산을 처리하였으며 탱자 유묘를 5개월 동안 온실에서 재배하였다. 공생균근 형성율은 인산 시용 수준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으며, 토양 유효 인산 함량이 $100mg\;P\;kg^{-1}$ 이상인 조건에서는 공생균근의 형성은 크게 저해되었다. 탱자 유묘의 인산 흡수와 공생균근 형성을 사이에는 토양 중의 유효 인산 함량이 낮을수록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공생균근에 의한 인산 흡수 촉진 효과 또한 유효 인산 함량이 낮을수록 증가하였다. 인산 외 질소, 칼륨, 칼슘, 마그네슘, 아연 등의 무기영양소 흡수 또한 공생균근에 의해 촉진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구리에 대한 흡수 촉진 효과는 인정되지 않았다.

  • PDF

A study on pearl millet (Pennisetum glaucum L.) plant Biochemical and histochemical changes inoculated with indigenous AM fungi under Barren soil

  • Pal, Ajay;Pandey, Sonali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44권2호
    • /
    • pp.203-206
    • /
    • 2017
  • The soil organisms that develop beneficial Symbiotic relationships with plants roots and contribute to plant growth are mycorrhizal (AM) fungi. Arbuscular mycorrhizal inoculations change the growth and biochemical composition of the host plant and soil. Mycorrhizal root systems do augment the absorbing area of roots from 10 to 100 times thereby greatly improving the ability of the plants to utilize the soil resources. A pot experiment was conducted during the kharif seasons at Jaipur, Rajasthan, to find out the effects of three different indigenous AM fungi i.e. Glomus mosseae, Glomus fasciculatum and Gigaspora decipiens either single and in combination inoculation on biochemical and histochemical changes of Pearl millet (Pennisetum glaucum L.) grown under barren soil conditions. The AM fungus has shown to improve the tolerance of plant to drought stress. Experimental results showed that AM fungi treated plants improved their plants growths, biochemical and histochemical changes as compared to non-mycorrhizal treatments. The AM fungi inoculated plant was found to be attaining maximum plant biochemical and histochemical substances in Glomus mosseae (alone) and also Glomus mosseae + Glomus fasciculatum treatments.

한국 자생란에 난 균근균의 분리와 유묘난에 접종 (Isolations of the Orchid mycorrhizal Fungi from the Roots of the Korean native Orchids and Inoculations of the Isolates to Four different Orchids)

  • 이상선;오창호;백기엽;이태수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14권5호
    • /
    • pp.536-542
    • /
    • 1998
  • Ten isolates of the orchid mycorrhizal fungi were isolated from the roots of Korean native orchid plants (Cymbidium goeringii) which inhabitate mainly in southern and western areas of Korea. The growth rates and color of the isolates in potato dextrose agar (PDA) were various. Microscopic observations of the hyphae isolated were identified as Rhizoctonia repens and R. endophytica var endophytica or their related species. R. repens was isolated from the roots of the Korean native orchids, but R. endophytica var endophyica was only isolated from the roots of the commercial orchids introduced from foreign countries. Also, the polymorephic patterns of genomic DNA extracted from selected isolates were compared with those of DNA extracted from the orchid mycorrhizal fungi isolated previously and similar band patterns were observed among those isolates. Five isolates of R. repens were selected and cultured at the oatmeal agar for investigating their symbiosis with orchid plants. The symbiotic specificity between orchid plants and isolated orchid mycorrhizal fungi was observe by growing orchids about six months in the greenhouse. The symbiotic responses of the commercial orchid plants with selected isolates were quite different form different isolates due to the genetic variation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