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ycological study

검색결과 39건 처리시간 0.024초

Root Rot of Balloon Flower (Platycodon grandiflorum) Caused by Fusarium solani and Fusarium oxysporum

  • Jeon, Chi Sung;Kim, Gyoung Hee;Son, Kyeong In;Hur, Jae-Seoun;Jeon, Kwon-Seok;Yoon, Jun-Hyuck;Koh, Young Jin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29권4호
    • /
    • pp.440-445
    • /
    • 2013
  • Balloon flower (Platycodon grandiflorum) is a kind of mountain herbs whose roots have restorative properties and the cultivating acreage of balloon flower has been steadily increasing in Korea. More frequent rain and high amount of rainfalls as a result of climate changes predisposed balloon flower to the outbreaks of root rot at high-density cultivation area in recent years. Root crowns were usually discolored into brown to blackish brown at first and the infected plants showed slight wilting symptom at early infection stage. Severely infected roots were entirely rotted and whole plants eventually died at late infection stage. The overall disease severities of root rot of balloon flower were quite variable according to the surveyed fields in Jeonnam, Gyeongnam and Jeju Provinces, which ranged from 0.1% to 40%. The root rot occurred more severely at the paddy or clay soils than the sandy soils and their severities were much higher at lowland than upland in the same localty. The disease increased with aging of the balloon flower. The causal fungi were identified as Fusarium solani and F. oxysporum on the basis of their mycological characteristics. The optimum temperature ranges of their mycelial growths was found to be $24^{\circ}C$. The pathogenic characters of F. solani and F. oxysporum treated by artificial wounding inoculation on healthy roots of balloon flower revealed that F. solani was more virulent than F. oxysporum. This study identified the causal agents of root rot of balloon flower as Fusarium solani and F. oxysporum, probably for the first time.

개 피부병의 병인학적 및 역학적 특성 연구 (Etiological and epidemiological features of canine dermatitis)

  • 최원필;이순일;이근우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94-100
    • /
    • 2000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causative agent and the epidemiological features of canine dermatitis in Tae-gu, Korea from 1997 to 1998. Specimens of collected from skin lesions were examined mycologically, parasitologically and bacteriologically. In all, 70 dogs of differing ages, gender and living environment were sampled. In mycological examination during this period, pathogenic fungi were cultured from 29(41.3%) of 70 canine specimens. Dermatophytes were cultured from 15(21.4%) and Malassezia pachydermatis were 14(20.0%) of the specimens. The frequent dermatophytes isolated were Microsporum canis (12.9%). Trichophyton mentagrophytes (4.3%), T rubrum (2.9%), T raubitschekii and M gypseum (each 1.4%). There was a high proportion of positive cultures from dogs less than 1 year and over than 3 years of age, and in some long haired breeds,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sexes, and the living environments. Although dermatophytes were more frequently isolated in spring and winter,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detected in the seasonal distribution of the canine dermatophytosis. Out of 70 dogs, dermatitis ectoparasites(27.1%; Demodex canis 18.6% and Sarcoptes scabie 8.6%) and bacterial pyoderma(40.4%) were diagnosed. Demodex canis and Sarcoptes scabie were common canine ectoparasites, with a higher incidence in short haired breeds and in summer and winter. Bacterial pyoderma was a higher incidence in long haired breeds, and in summer. In the pathogenic agents isolated from 57 dogs(81.4%), single infection rate was 66.7%(38 dogs) and mixed infection rate was, 35.1%(19 dogs). In the majority of mixed infection cases, Gram positive cocci and Malassezia pachydermatis (in 5 cases, 8.8%), as well as ectoparasites(in 6 cases, 10.5%) were demonstrated simultaneously.

  • PDF

Yeast Associated with the Ambrosia Beetle, Platypus koryoensis, the Pest of Oak Trees in Korea

  • Yun, Yeo Hong;Suh, Dong Yeon;Yoo, Hun Dal;Oh, Man Hwan;Kim, Seong Hwan
    • Mycobiology
    • /
    • 제43권4호
    • /
    • pp.458-466
    • /
    • 2015
  • Oak tree death caused by symbiosis of an ambrosia beetle, Platypus koryoensis, and an ophiostomatoid filamentous fungus, Raffaelea quercus-mongolicae, has been a nationwide problem in Korea since 2004. In this study, we surveyed the yeast species associated with P. koryoensis to better understand the diversity of fungal associates of the beetle pest. In 2009, a total of 195 yeast isolates were sampled from larvae and adult beetles (female and male) of P. koryoensis in Cheonan, Goyang, and Paju; 8 species were identified by based on their morphological, biochemical and molecular analyses. Meyerozyma guilliermondii and Candida kashinagacola were found to be the two dominant species. Among the 8 species, Candida homilentoma was a newly recorded yeast species in Korea, and thus, its mycological characteristics were described. The P. koryoensis symbiont R. quercusmongolicae did not show extracelluar CM-cellulase, xylanase and avicelase activity that are responsible for degradation of wood structure; however, C. kashinagacola and M. guilliermondii did show the three extracellular enzymatic activities. Extracelluar CM-cellulase activity was also found in Ambrosiozyma sp., C. homilentoma, C. kashinagacola, and Candida sp. Extracelluar pectinase activity was detected in Ambrosiozyma sp., C. homilentoma, Candida sp., and M. guilliermondii. All the 8 yeast species displayed compatible relationships with R. quercus-mongolicae when they were co-cultivated on yeast extract-malt extract plates. Overall, our results demonstrated that P. koryoensis carries the yeast species as a symbiotic fungal associate. This is first report of yeast diversity associated with P. koryoensis.

형태 및 분자적 특징에 의한 때죽나무 녹병균(Pucciniastrum styracinum)의 재확인 (Rust Fungus Pucciniastrum styracinum on Styrax japonicus in Korea Confirmed by Morphological and Molecular Data)

  • 박지현;정복남;이재성;최영준;신현동
    • 한국균학회지
    • /
    • 제49권4호
    • /
    • pp.531-537
    • /
    • 2021
  • 때죽나무는 때죽나무과에 속하는 낙엽 소교목으로 우리나라와 중국, 일본, 대만이 원산이나 캐나다, 미국, 영국 등에도 도입되어 분포하고 있다. 1990년 이후 전국에 분포하는 때죽나무에서 녹병균이 지속적으로 발견되었다. 한국의 때죽나무 녹병균의 형태적 특성은 일본의 쪽동백나무에서 보고된 Pucciniastrum styracinum의 형태적 특성과 가장 유사하였으며 internal transcribed spacer (ITS) 및 28S large subunit (LSU) rDNA의 염기서열의 분자계통학적 분석을 통해 동정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때죽나무에서 발견한 녹병균 P. styracinum의 존재를 재확인하였고, 균학적 특성과 형태적 측정치 및 분자적 특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였다.

청양 지역 고추와 구기자에서 분리한 탄저병균의 동정, 균학적 특징 및 살균제 저항성 (Identification, Mycological Characteristics and Response to fungicides of Anthracnose Pathogen Isolated from Pepper and Boxthorn in Cheongyang)

  • 김가혜;김주형;김흥태
    • 농약과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335-344
    • /
    • 2015
  • 병든 고추와 구기자 열매에서 분리한 탄저병균 11균주와 36균주를 동정한 후, 몇 가지의 균학적 특징과 살균제에 대한 반응을 조사하였다. 고추에서 분리한 병원균은 모두 Colletotrichum acutatum의 A2 그룹으로 동정되었다. 구기자에서 분리한 병원균은 14균주가 C. gloeosporioides, 22균주가 C. acutatum으로 동정되었으며, C. acutatum 균주는 15균주가 A1 그룹, 7균주가 A3 그룹에 속하였다. $25^{\circ}C$의 PDA 배지에서 10일간 배양한 후 병원균 균총의 색깔을 조사한 결과, 분리한 기주에 관계없이 C. acutatum은 회백색의 균총을 보였으며, C. gloeosporioides는 균총의 중앙은 주황색을, 주변부로 갈수록 회백색과 주황색이 혼재된 색깔을 나타냈다. 고추에서 분리한 C. acutatum의 분생포자 중에서 양끝이 둥근 형태을 나타내는 포자의 비율은 95% 이상이었으나, 구기자 균주는 75%로, 약 25%의 분생포자가 최소한 한 쪽이 뾰족한 형태를 나타내었다. 실험에서 사용한 모든 균주는 Colletotrichum의 종에 관계없이 $25^{\circ}C$가 생장 적온이었다. 한천희석법을 통해서 조사한 고추의 C. acutatum A2 그룹에 속하는 균주의 carbendazim과 carbendazim/diethofencarb 대한 평균 $EC_{50}$값은 0.68과 $3.16{\mu}g/ml$이었으며, 구기자의 C. acutatum A1과 A3 그룹은 carbendazim에 대해서 0.21과 $0.24{\mu}g/ml$, 그리고 합제에 대해서는 1.52와 $3.35{\mu}g/ml$이었다. 또한 구기자에서 분리 한 C. gloeosporioides의 평균 $EC_{50}$값은 각각의 살균제에 대해서 0.12와 $0.92{\mu}g/ml$이었다. 두 살균제에 대한 저항성 요인 값(Rf값)은 구기자에서 분리한 C. acutatum 균주 집단이 고추 균주 집단보다 더 높았다.

Metalaxyl에 대한 저항성 고추 역병균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Phytophthora capsici Causing Pepper Phytophthora Blight Resistant to Metalaxyl)

  • 이수민;신진호;김선보;김흥태
    • 농약과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283-289
    • /
    • 2009
  • 고추 재배지에서 시들음 증상을 보이는 고추에서 2008년에 총 95개의 역병균(Phytophthora capsici)을 분리하여 metalaxyl에 대한 저항성 검정을 실시한 결과, 저항성 균주의 분리 비율이 38.9%에 달하였다. 감수성 균주와 저항성 균주를 모두 4균주씩 선발하여 metalaxyl의 효과를 비교한 결과, 유주포자낭의 발아와 유주포자의 나출에 영향이 거의 없으나 균사 생장 억제 효과는 뚜렷한 차이가 있었다. 감수성 균주 P. capsici 06-119, 06-143, P08-7, P08-31에서 metalaxyl의 균사 생장 억제에 대한 $EC_{50}$값은 0.204, 0.151, 0.379, $0.215\;{\mu}g\;mL^{-1}$인데 비하여 저항성 균주 P. capsici 06-125, 06-155, P08-50, P08-60의 $EC_{50}$값은 5.242, 5.724, 6.621, $5.377\;{\mu}g\;mL^{-1}$으로 나타났다. 각 균주의 기주 식물을 침입하는 중요한 요인이 되는 균사생장, 유주포자낭 발아, 유주포자의 나출, 그리고 고추 품종에 대한 병원력을 조사하였지만, 두 그룹 간의 차이는 발견할 수 없었다. 그러나 저항성 균주의 경우가 포장에서의 생존력에 관여하는 유주포자낭과 난포자의 형성량이 감수성 균주보다 높게 나타났는데, 이러한 이유가 포장에서 저항성 균주의 비율이 증가하는 원인 중 하나로 생각한다.

난소 종양의 임상적 양상을 보인 소아 복막 결핵 (A Case of Abdominal Tuberclosis Mimicking Ovarian Cancer)

  • 염정숙;김재희;조재민;이정희;박은실;서지현;임재영;박찬후;우향옥;윤희상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제8권2호
    • /
    • pp.238-242
    • /
    • 2005
  • 복부 팽만과 복수, 복부 종괴 및 혈청 CA-125가 상승하는 경우 반드시 복막 결핵을 의심해야 하며 보다 정확하고 빠른 진단을 위해 복막 천자를 통한 염색 및 균 배양뿐 아니라 ADA, 중합 효소 연쇄 반응 및 진단적 복강경 검사 등이 필요하다. 저자들은 난소 종양의 임상 양상을 보인 5세 여아에서 복막 결핵을 진단한 예가 있어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PDF

들잔디 재배지에 발생한 총생 증상 및 형태적 특성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Occurrence of Yellow Tuft on Zoysiagrass (Zoysia japonica) in Cultivation Fields)

  • 전창욱;한정지;김동수;곽연식;배은지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5권1호
    • /
    • pp.17-22
    • /
    • 2016
  • 장성지역 잔디 재배지에서 총생 증상의 들잔디가 발생하였다. 총생 증상의 들잔디는 작고 다발형태로 유의한 형태적인 변화를 보였고, 병징은 여러 개의 잎이 짧은 포복경 마디에 무더기로 발생되어 빗자루처럼 총생 형태를 보였으며, 총생 형태의 잔디는 잎이 황화되면서 연녹색이나 노란색을 띄었다. 총생 증상을 보이는 들잔디는 건전한 들잔디에 비해 포복경 1개 마디당 약 5.8배 이상의 잎이 발생하였다. 또한 과도한 지상부 생육으로 인해 포복경과 지하부 생장이 저조하였다. 총생 병징의 들잔디를 채집하여 병원균을 배양한 후 관찰한 결과 포자낭의 모양은 레몬모양이었으며, 포자낭 축의 끝이 뾰족하게 튀어나와 있었고, 크기는 $60{\sim}96{\times}42{\sim}51{\mu}m$로 관찰되었다. 이는 Sclerophthora macrospora 병원균이 형성하는 포자낭의 균학적 특징과 유사하였고, 봄과 가을에 병징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하여 국내 잔디 재배지 총생 증상에 대한 기초적인 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큰느타리버섯의 자실체 생육특성 (The Growth Characteristics of Pleurotus eryngii)

  • 류재산;김민근;권진혁;조숙현;김낙구;노치웅;이춘희;노현수;이현숙
    • 한국균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47-53
    • /
    • 2007
  • 큰느타리버섯의 균학적인 특성과 더불어 자실체의 배양과 생육특성을 조사하여 우량품종육성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본 실험을 수행하였다. 고체배지를 이용한 균사생장길이는 MCM 배지가 PDA 배지보다 생장속도가 뛰어났고, KNR2501 계통이 $25^{\circ}C$, MCM상에서 가장 잘 자랐다. 균사체생성량은 PDB 배지가 MCM과 YMG 배지보다 적합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배양이 가장 빠른 계통은 KNR2515와 2516이 19일 이었다. 발이와 수학소요일수는 KNR2503이 6.5일, 15.3일로서 가장 우수하였다. 계통별 자실체 특징은 길이에 있어서 KNR2312와 2322가 122.7, 121.0 mm으로 가장 길었고, 대두께는 KNR2322가 39.8 mm로 우수하였다. KNR2513도 31.3 mm으로 야생버섯으로 육종소재로의 가치가 인정되었다. 수확량은 야생계통으로 KNR2504가 36.3으로 우수하였다. 품질에 있어서 KNR2503이 4.0이었고, 재배계통들은 보통 7.0 이상이었다. 갓의 색도에 있어서 KNR2512의 L값이 43.6으로 가장 짙은 색을 보였다. 밝은 계통은 L값이 80 이상으로 KNR2511, 2513, 2515로 대체적으로 느린 생육을 보였다. 형태적인 특징은 주름색이 흰색인 KNR2511, 2513, 2515이 편평형으로 같은 그룹에 속하고, KNR2516, 2518이 가까운 계통으로 추정된다. 농가에서 재배되는 계통의 특징은 평반구형이고, 깔대기형인 KNR2502, 2503, 2504, 2521, 2525를 제외하고 편평형으로 분류되었다. 육종학적 가치가 있는 것으로는 생육속도에 있어서 KNR2503, 갓색은 KNR2512, 품질은 KNR2312, 2322, 2503, 2513이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