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usa sapientum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2초

바나나 잎 추출물의 주름개선 효과 (Antiaging Effects of Musa sapientum L. (Banana) Leaf Extract)

  • 유대성;장수진;박윤정;김승회;황형서
    • KSBB Journal
    • /
    • 제31권2호
    • /
    • pp.126-134
    • /
    • 2016
  • To examine the possibility of using Musa sapientum L. (Banana) leaf extract as a cosmetic raw material, banana leaves grown in Jeju Island were extracted with 70% ethanol. Polysaccharides present in banana leaf extract were discarded by precipitation with cold ethanol. Polysaccharide-discarded banana leaf extract promoted procollagen and COL1A1 gene expression, but inhibited matrix metalloproteinase (MMP)-1 and MMP-2 gene expression in human skin fibroblasts when examined by real-time reverse-transcription 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 and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 The active compound in banana leaves was identified by fractionation with various solvents. The chloroform fraction showed the highest anti-wrinkle efficacy and the active compound of chloroform fraction was identified as corosolic acid by NMR, FT-IR, EA, and HPLC-MS. In addition, banana leaf extract showed anti-oxidative efficacy with an IC50 value of 67.91 ppm, as determined by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ssay. Finally, the anti-wrinkle efficacy of banana leaf extract-containing cream was confirmed by clinical tests. Based on these results, banana leaves could have an application as a cosmetic raw material with anti-wrinkle efficacy.

Rhizopus stolonifer에 의한 바나나 무름병 발생 (Occurrence of Rhizopus Soft Rot on Musa sapientum Caused by Rhizopus stolonifer in Korea)

  • 권진혁
    • 한국균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54-57
    • /
    • 2007
  • 2005년부터 2006년까지 2년 동안 경남 진주시 농산물 도매시장에 유통 판매중인 바나나에서 이상증상이 발생하였다. 병징은 상처난 부위의 과실이 수침상으로 물러지면서 검은색으로 빠르게 부패되었다. 균총은 처음 흰색에서 연한 갈색으로 되며 검은색의 포자낭을 많이 형성하며 균사생육 적온은 $30^{\circ}C$였다. 포자낭경은 처음 흰색에서 연한 회색을 나타내며 폭은 $12{\sim}26\;{\mu}m$이었다. 포자낭은 처음 흰색에서 검은색으로 되며 모양은 구형 또는 반구형이며 크기는 $83{\sim}195\;{\mu}m$이었다. 주축은 반구형이며 크기는 $72{\sim}125\;{\mu}m$이었다. 포자낭포자는 담갈색으로 단포이며 구형 또는 타원형으로 불규칙한 것이 많으며 크기는 $9{\sim}20{\times}7{\sim}8\;{\mu}m$이었다. 이상과 같이 바나나에 발생한 병징과 병원균의 균학적 특징 및 병원성을 검정한 결과, 본 병해를 Rhizopus stolonifer에 의한 바나나 무름병으로 명명할 것을 제안한다.

바나나 과실 함유탄닌이 소화효소 작용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ondensed Tannins Prepared from Banana (Musa Sapientum L.) fruit on Digestive Enzyme In vitro)

  • 정정한;류충호;조영수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9권6호
    • /
    • pp.477-481
    • /
    • 1996
  • 바나나 과실을 시중에서 구입하여 미숙과실과 황숙과실로 구별하고 이것들을 과육부분과 과피부분으로 나누어서 동결건조 및 열풍건조시켜 실험 시료로서 사용하였다. 탄닌 함량을 분석한 결과 황숙과실 보다도 미숙과실에서 높았으며, 과육보다는 과피에서 열풍건조 보다는 동결건조시킨 시료에서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탄닌의 분획은 Sephadex LH-20칼럼을 사용하여 분획하였다. 바나나 과실에 함유하고 있는 탄닌은 prodelphinidin, procyanidin을 구성 단위로 하는 proanthocyanidin류의 축합성 탄닌으로 이러한 탄닌은 소화효소인 trypsin(EC 3. 1. 1. 3), ${\alpha}-amylase$(EC 3. 4. 21. 4), lipase(EC 3. 2. 1. 1)에 대하여 in vitro에 있어서 저해작용을 가지고 있는 것이 확인되었으며 또한 탄닌은 중합도가 높을수록 저해율이 높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 PDF

바나나에서 분리한 Fusarium moniliforme Sheld.의 병원성 (Pathogenicity of Fusarium moniliforme Sheld. Isolated from Banana(Musa sapientum L.))

  • 김완규;김장규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137-138
    • /
    • 1987
  • 1985년에서 1986년, 전남지방과 제주지방에서 채집한 바나나의 이병엽과 이병과에서 Fusarium moniliforme Sheld. 가 빈번하게 분리되었다. 분리된 F. moniliforme의 대형분생포자는 대부분 3개 내지 5개의 격막이 있고, 크기는 $20.0-50.0\times2.0-3.5{\mu}m$였으며, 소형분생포자의 크기는 $5.0-12.0\times1.5-2.5{\mu}m$였다. 병원성검정 결과, 이 균의 분리균주 중에는 병원성인 계통과 비병원성인 계통이 있음을 발견하였다. 접종시험에 의해 병원성인 계통의 균주들은 바나나의 잎에 잎끝마름병을 일으켰으며, 열매에는 열매끝썩음병과 수관썩음병을 일으켰다.

  • PDF

여드름 외용약의 실제적 응용에 관한 고찰(여성 월간지에 여드름 미용도포제로 소개된 본초를 중심으로) (A Practical Application on the External Treatment of Acne (A Focus on the Medical Herbs Published in the Woman's Monthly Magazines))

  • 유현정;최인화
    •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34-44
    • /
    • 2004
  • Objective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teach patients clinically useful external application of acne. Methods: We investigated the effects and manufacturing methods of the medical herbs published in the woman's monthly magazines according to "Zhong-Yao-Da-Ci-Dian(中藥大辭典)". Results: We investigated that Saururus chinensis Baill.(三白草), Houttuynia cordata Thunb.(魚腥草), Coix lachrymajobi L.(薏苡仁) were discovered 3 times, Brassica oleracea L.(甘藍), Raphanus sativus L.(래복), Daucus carota L. var. Sativa DC.(홍래복), Oryza sativa L.(米皮糠), Spinacia oleracea L.(파래), Cucumis sativus L.(黃爪) 2 times, and Glycyrrhiza uralensis Fisch.(甘草), Gallus gallus domesticus Braisson.(?子白), Aloe vera L.(노회), Phascolus radiatus L.(綠豆), Prunus persica Batsch.(桃葉), Lycopersicon esculentum Mill.(番茄), Taraxacum mongolicum Hand.-Mazz.(蒲公英), Prunus armeniaca L.(杏仁), Musa paradisiaca L. var. Sapientum O. ktze.(香蕉) and Malus pumila Mill.(평과) were discovered once in woman's monthly magazine during last two years. According to the effects, we classificated four groups which were defervescence(淸熱), subsidence of edema(消腫), pyorrhea(排膿) and gloss(滋潤) group. Conclusion & discussion : We suggested the use of each medical herbs on the Consensus conference on acne classification. We needed the further study on the manufacturing method, the time of use and the dose

  • PDF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Colletorichum musae from Imported Bananas

  • Lim, Jin-Young;Lim, Tae-Heon;Cha, Byeong-Jin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18권3호
    • /
    • pp.161-164
    • /
    • 2002
  • Colletotrichum musae was isolated from dark-brown anthracnose lesions on commercial banana (Musa sapientum L.) to establish the causal agent of the symptom. The fungus grew fast and produced white aerial mycelium on PDA. Acervuli developed abundantly on culture plates after incubation for 10 days at $25^{\circ}C$. Pinkish conidial masses were produced on the acervuli, which mostly coalesced together, Conidia were aseptate, hyaline, straight, ellipsoid to globose, and 14.5$\times$6.9 $\mu\textrm{m}$ in size. Black, clavate, round, or irregular-shaped appressoria measuring 8.8$\times$6.8 $\mu\textrm{m}$ were readily formed from germ tubes. Setae-like structures were not found either on the lesion or on the cultures. Sclerotia were also absent. Among the media, PDA medium was the best for mycelial growth. The optimum temperature for mycelial growth was $28^{\circ}C$, while the optimum pH ranged from pH 5.5 to 6.5. The isolates of C musae caused black necrotic lesions on banana fruits by needle-wound inoculation, and orange-colored spore masses were produced on the lesions. The fungus also caused discoloration on apple fruits inoculated.

과채류의 항산화 활성에 미치는 열처리 효과 (Effects of Heat Treatments on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Fruits and Vegetables)

  • 김현영;우관식;황인국;이연리;정헌상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166-170
    • /
    • 2008
  • 열처리가 과채류의 유용성분 변화와 항산화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멜론, 사과, 토마토, 참외 및 수박을 시료 로 110, 120, 130, 140 및 150$^{\circ}C$에서 2시간 열처리한 후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 그리고 전자공여능(EDA) 및 총항산화력(AEAC)을 측정하였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6가지 과채류 모두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참외의 경우 무처리에서 0.40 mg/g이었던 것이 150$^{\circ}C$에서는 2.80 mg/g으로 증가하였다.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도 열처리온도의 증가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무처리 멜론에서 4.54 ${\mu}$g/g이었던 것이 150$^{\circ}C$에서는 148.80${\mu}$g/g으로 무처리 멜론보다 약 37배 이상 증가하였다. 또한 DPPH assay에서 항산화 활성은 열처리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수박의 경우 110$^{\circ}C$ 처리에서는 4.52%(500 ${\mu}$g/mL)이었던 것이 150$^{\circ}C$ 처리에서 84.37%(500 ${\mu}$g/mL)로 증가하였다. 총 항산화력도 모든 열처리 시료에서 무처리 시료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무처리 멜론에서 0.51 mg AA eq/100 g이었던 것이 150$^{\circ}C$에서는 12.95 mg AA eq/100g으로 증가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