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unicipal Solid Waste (MSW)

검색결과 94건 처리시간 0.027초

생활폐기물의 발생원과 최종 매립장에서 물리화학적 특성 비교 분석 - 충주시를 중심으로 - (A Comparative Analysis on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MSW (Municipal Solid Waste) from Dwelling Site and Landfill Site - A Case Study of the Chungju City -)

  • 조병렬;연익준;이병찬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0권3호
    • /
    • pp.47-52
    • /
    • 2009
  • 폐기물을 적절히 관리하고 처리하기 위해 기본 자료가 되는 폐기물의 물리적 특성과 화학적 특성 분석을 위해 충주시에서 발생된 생활폐기물을 대상으로 발생원과 매립장에서 시료채취를 채취하여 겉보기밀도, 폐기물의 물리적 조성, 삼성분, 화학적 조성 및 발열량을 조사 분석하였다. 발생원별조사결과와 매립장 반입폐기물의 물리적 특성 값들은 차이가 있으나, 화학적 조성 값은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환경부에서 도입예정인 생활폐기물전처리시설(MBT(mechanical biological treatment))과 같은 폐기물중간처리 장치를 도입할 경우 물리적 조성 값을 알기위해서는 발생원별 조사가 필수적이지만, 소각로 설계를 위한 폐기물조사에서는 주로 화학적 특성 값을 이용하기 때문에 간단히 매립장에 반입되는 폐기물의 분석치만 조사하여도 큰 문제가 없는 것으로 판단된다. 폐기물의 중간처리에 중요한 생활폐기물의 물리적 성상은 가연성과 비가연성 성분으로 분석할 경우 가연성은 연평균 87.4%로 나타났고, 비가연성의 경우 연평균 12.6%이며, 생활폐기물의 발생원별 겉보기 밀도 평균은 $0.150ton/m^3$이다. 생활폐기물의 삼성분 분석결과 평균은 수분 27.6%, 가연분 60.5%, 회분 11.9%이고, 원소분석 결과 평균 원소성분에 대한 값은 C: 50.1%, H: 6.%, O: 39.5%, N: 1.9%, S: 0.5%, Cl: 1.3%이며, 저위발열량은 2,441kcal/kg이다.

  • PDF

도시고형폐기물 소각시설에서 발생하는 N2O 발생량 조사 및 저감효과에 관한 연구 (Investigation of N2O Emission and Reduction Effect from MSW Incineration Plant)

  • 송현옥;고재철;최상현;김덕현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9권12호
    • /
    • pp.672-678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도시고형폐기물 소각시설을 대상으로 3회에 걸쳐 도시고형폐기물을 수거하여 폐기물의 성상 및 물리화학적 조성을 조사하였다. 또한 소각시설에서 배출되는 $N_2O$를 연속적으로 측정하여 발생량을 조사하였으며, IPCC에서 제시한 폐기물의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방법으로 산출된 발생량과 비교하였다. 도시고형폐기물 소각시설에서 발생하는 $N_2O$ 발생량은 IPCC 산출방법에 의한 발생량보다 2배 이상 크게 조사되었다. 도시고형폐기물 소각시설에서 $N_2O$ 저감설비가 도입될 경우 온실가스 저감목표를 만족하기 용이하고, 탄소배출권 거래제도를 활용하여 경제적인 효과도 발생할 수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하수슬러지와 생활폐기물 혼합소각시 하수슬러지 정량공급에 관한 연구(II) - 실증플랜트 중심으로 (A study on Quantitative Supply of Sewage Sludge for Co-Incineration of Municipal Solid Waste and Sewage Sludge(II) - Based on Actual Incineration Plant)

  • 조재범;김우구;장훈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5권12호
    • /
    • pp.960-966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하수슬러지 처분대안으로서 하수슬러지를 생활폐기물과 혼합소각시 안정적 소각로 운전을 위한 하수슬러지의 정량공급방안에 대하여 실증플랜트를 중심으로 고찰하고자 하수슬러지의 원활한 공급방안으로 이송배관에 수분을 공급 하는 경우와 공급하지 않는 경우, 공급 모노펌프의 인버터 조절(Hz)에 따라 하수슬러지 정량공급 여부를 측정하고자 한다. 실험결과, 함수율 85%에서 인버터 조절(Hz)에 따른 이론적 슬러지 공급량과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나 소각시설의 안정적 운영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음식물류폐기물 배출에 관한 춘천시민의 의식 (Attitude of Chuncheon Citizens on Food Waste Generation)

  • 김정대;박준석
    • 유기물자원화
    • /
    • 제13권1호
    • /
    • pp.90-99
    • /
    • 2005
  • 본 연구는 음식물류폐기물 발생에 관한 춘천시민의 의식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조사결과 춘천시민의 약 50%가 일주일에 $5{\sim}10{\ell}$의 생활폐기물을 배출하고 있었으며 배출자 대부분이 35세이하였다. 또한, 일주일간 가정에서 배출되는 생활폐기물 중 음식물류폐기물 비율이 10~30%이었고, 배출형태로는 '물기제거 후 규격봉투에 담아 배출한다'가 약 30%, '물기제거 후 일반쓰레기와 함께 배출한다'가 약 10%이었다. 음식물류폐기물의 발생은 필요이상의 식품구매와 과량의 조리가 주된 요인이었으며 집주변이나 골목에 버려진 음식물류폐기물로 인한 가장 심각한 문제점은 악취 및 해충인 것으로 나타났다. 음식물류폐기물의 감량을 위한 중점관리대상은 주로 소규모 개인음식점으로 나타났다. 춘천시민들은 음식물류폐기물 감량을 위해 노력해야 할 주체로 응답자의 절반이상이 '시민 개개인'이라 생각하면서도 '감량을 위한 노력은 하지 않고 있다'고 응답하였다. 또한, 춘천시민들은 '음식물류폐기물이 자원이라는 의식'이 부족하였고 '음식물을 남기는 것이 예의'라고 생각하는 시민들이 많아 이에 대한 개선책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플라즈마를 이용한 도시 쓰레기 소각재 용융처리 기술 (Slagging treatment of MSW incineration ash by plasma system)

  • 박현서;지규일;장준섭;전석구;배희주;김형진;이시창;주성준;신범수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1999년도 추계학술발표회
    • /
    • pp.65-68
    • /
    • 1999
  • A plasma melting system to vitrify ny ash from MSW(Municipal Solid Waste) incinerator has been operated in SHI(Samsung Heavy Industries) since 1996. Waste feeding rate was 200kg/hr. with maximum working power of 500㎾. Because of high melting temperature of fly ash, bottom ash was used as an additive to decrease melting temperature. Data analysis for discharged slag shows volume reduction up to 30% and no leaching of heavy metals such as Pb, Cd, Cr which were an obstacle for landfill and recycle. Atmospheric pollution gas like nitrogen oxides, carbon monoxide, and PCDD/PCDF were restrained below the regulatory limit.

  • PDF

생물학적 방법에 의한 도시생활폐기물 매립지의 침출수 독성특성 평가 (Biological Evaluation for Characteristics of Leachate Toxicity from Municipal Solid Waste Landfill)

  • 황인영;류경무
    • Environmental Analysis Health and Toxicology
    • /
    • 제11권1_2호
    • /
    • pp.31-39
    • /
    • 1996
  • Leachate from municipal solid waste (MSW) landfill, effluent from leachate treatment plant, and ground water sample from a monitoring well near landfill site were tested for an acute toxicity. Microtox toxicity test was used for testing the acute toxicity of leachate and other samples. EC$_{50}$ values which a concentration of pollutant for reducing 50% light output from luminescent bacteria, Photobacterium phosphoreum were determined to assess the toxicity of pollutants as well as the relative toxicity. In addition, characteristics of leachate were studied and compared to those of phenol and pentachlorophenol (PCP) which are typical aquatic toxic pollutants. For leachate, EC$_{50}$ for 30 min incubation was 10.8%, while for phenol and PCP, 46 ppm and 1.2 ppm, respectively. the relative toxicity of treated leachate by in situ aeration with activated sludge was reduced to more than 75% of toxicity of the untreated leachate. Microtox toxicity test was failed to figure out EC$_{50}$ values for groundwater from a monitoring well since the relative toxicity of the unconcentrated sample was too low to estimate EC$_{50}$. Addition of activated carbon to leachate was reduced the relative toxicity. The reduction Pattern of the relative toxicity of leachate by mechanical aeration was similar to that of PCP, but different from that of phenol.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toxicity of leachate may come from PCP-like toxic compounds rather than phenol-like one. In conclusion, the process of aeration with activated sludge might be very important to reduce the environmental toxicity of leachate. And Microtox test could be a reasonable bioassay for screening and monitoring the environmental toxicity of leachate from municipal solid waste landfill as well as for determining the reduction efficiency of the leachate toxicity by various treatment processes in leachate treatment plant.

  • PDF

하수슬러지와 생활폐기물 혼합소각시 열부하 변화 및 대기오염물질 부하 변화를 통한 혼합소각 가능성에 관한 연구 (The Feasibility of Co-Incineration for Municipal Solid Waste and Sewage Sludge through the Change of Heat Loading and Atmospheric Pollutants Loading)

  • 조재범;김우구;연경호;신정훈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4권9호
    • /
    • pp.583-589
    • /
    • 2012
  • 하수슬러지의 처분 방안으로서 하수슬러지를 생활폐기물과 혼합소각시의 가능성을 타진하기 위해 전체폐기물 중 하수슬러지를 20%까지 혼합하여 실험한 결과, 열부하 및 대기오염물질(질소산화물, 황산화물)부하에 영향을 크게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생하수슬러지(함수율 78.8%) 및 건조하수슬러지(함수율 60%)를 혼합소각한 결과, 건조하수슬러지를 혼합한 경우에는 열부하변동이 거의 없었으나 생하수슬러지를 혼합소각한 경우는 열부하가 다소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나 전처리를 한슬러지 혼합소각이 평상시와 같은 운전조건으로 소각로 연소를 이룰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나 고발열 생활폐기물 발열에 의한 소각로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에너지 비용 및 슬러지 경화현상에 의한 국부소각 방지 등을 고려하여 생하수슬러지에 수분을 공급하여 소각하는 방안도 고려해 볼만 하다고 판단된다.

과열증기 반응에 의한 생활폐기물 유기성분 입도특성 (Characteristics of Particle Size Distribution in the Organic Fraction of Municipal Solid Waste by the Reaction of Super-heated Steam)

  • 장하나;민태진;노선아;김우현;성현제;박성범
    • 유기물자원화
    • /
    • 제18권4호
    • /
    • pp.64-68
    • /
    • 2010
  • 최근, 국내에서 MBT(Mechanical Biological Treatment) 처리시설이 건설되어 운영 중에 있으며, 생활폐기물 등이 분리선별되어 재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생활폐기물의 입도가 불균질하고, 분리선별을 하기 위해서 일정입도 이하로 파쇄하여야 하므로 운영상의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생활폐기물내 유기성분의 분리선별이 어려워서, 재활용 물질의 이용이 어려운 실정이라 이에 대한 대책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1ton/batch 규모의 반응기에 과열증기를 사용하여 각 반응인자에 따른 생활폐기물 분리선별 효율을 파악하였으며, 유기성분 분해에 따른 생활폐기물 입도특성의 변화를 고찰하였다.

불량 매립지에서 굴착된 폐기물의 물리화학적 특성평가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Landfill Mined Wastes from Old Landfill Site)

  • 남궁완;이노섭;박준석;인병훈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99-108
    • /
    • 2002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mined waste(separated waste and soil) and to predict environmental effect of an old landfill site located at north of Seoul. Municipal solid waster(MSW) had been disposed of at the old landfill site used in this study for about 2 years(1990-1992). The old landfill site selected for this study had accepted mainly municipal solid waste. The landfill-mined waste contained separated waste (40.9%) and soil(59.1%) by wet weight basis. The separated waste consisted of combustible(91.0%) and non-combustible(9.0%). The combustible waste was mainly non-biodegradable plastics. The low heating value of the separated combustible waste, which is calculated by Dulong's equation, was as high as 3,470kcal/kg. According to the Korean Extraction Procedure, separated waste and soil were proved to be not hazardous. The total content of heavy metal in the separated waste and soil met standard of California State, USA. Therefore the separated waste may be relandfilled at a sanitary landfill site and/or burned up at an incinerator, and the separated old soil may be used ad landfill cover-soil at a sanitary landfill site. Water quality of two streams was grade IV, of which water could be used as industrial and agricultural water. The streams near the landfill site might not be contaminated by leachate from the old landfill site. It was estimated that organic matter in the old landfill site would not be actively biodegraded within a short period of time.

생활폐기물 특성 분석 및 소각시설의 CO2 배출량 평가 (Property Analysis of Municipal Solid Waste and Estimation of CO2 Emissions from Waste Incinerators)

  • 김병순;김신도;김창환;이태정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26권6호
    • /
    • pp.657-665
    • /
    • 2010
  • Carbon dioxide ($CO_2$) is known to be a major greenhouse gas partially emitted from waste combustion facilities. According to the greenhouse gas emission inventory in Korea, the quantity of the gas emitted from waste sector in 2005 represents approximately 2.5 percent of all domestic greenhouse gas emission. Currently, the emission rate of greenhouse gas from the waste sector is relatively constant partly because of both the reduced waste disposal in landfills and the increased amounts of waste materials for recycling. However, the greenhouse gas emission rate in waste sectors is anticipated to continually increase, mainly due to increased incineration of solid wast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property of Municipal Solid Waste (MSW) and estimate $CO_2$ emissions from domestic MSW incineration facilities. The $CO_2$ emission rates obtained from the facilities were surveyed, along with other two methods, including Tier 2a based on 2006 IPCC Guideline default emission factor and Tier 3 based on facility specific value. The $CO_2$ emission rates were calculated by using $CO_2$ concentrations and gas flows measured from the stacks. Other parameters such as waste composition, dry matter content, carbon content, oxidation coefficient of waste were included for the calculation. The $CO_2$ average emission rate by the Tier 2a was 34,545 ton/y, while Tier 3 was 31,066 ton/y. Based on this study, we conclude that Tier 2a was overestimated by 11.2 percent for the $CO_2$ emission observed by Tier 3. Further study is still needed to determine accurate $CO_2$ emission rates from municipal solid waste incineration facilities and other various combustion facilities by obtaining country-specific emission factor, rather than relying on IPCC default emission fact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