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ultiple Primary cancers

검색결과 54건 처리시간 0.024초

A Case of Canine Colorectal Carcinoma In Situ with Regulatory T Cell Infiltration

  • Yunhee Joung;Jiwoong Yoon;Dong Ju Lee;Woo-Jin Song;Jongtae Cheong;Hyunjung Park;Young-min Yun;Gee Euhn Choi;Myung-Chul Kim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207-214
    • /
    • 2024
  • An adult castrated male dog was presented with persistent hematochezia. Digital rectal examination and endoscopy found multiple colorectal masses. Complete blood count and serum biochemical results were within the reference interval. Fine needle aspirate of the masses indicated a diagnosis of inflamed polyps with a primary differential of malignancy. Histopathologic examination using endoscopy-guided incisional biopsy of the masses revealed an inflamed neoplasm with ossification. A colectomy was performed to remove the tumor. Subsequent histopathologic examination of the surgically resected masses resulted in a diagnosis of colorectal carcinoma in situ (CiS) with immune infiltrates, which were subject to immunohistochemical and flow cytometric immunophenotyping. The immunohistochemistry confirmed intraepithelial CD3+ T cells within CiS. The flow cytometric analysis indicated tumor-infiltrating CD4+ T, CD8+ T, and CD11b+ myeloid subsets. The flow cytometric analysis of circulating and tumor-infiltrating leukocytes demonstrated a preferential expansion of CD25+FOXP3+ regulatory T cells within CiS. To the author's knowledge, this is the first report to show clinical evidence emphasizing the immunogenicity and immune-suppressive environment of canine colorectal CiS. Our case will be valuable in providing a rationale for basic research that dissects the immune environment for canine colorectal cancers for the future development of cancer immunotherapy.

143례의 기저세포암에 대한 임상적 고찰 (A Clinical Review on 143 Cases of Basal Cell Carcinoma)

  • 이태성;변재경;문구현;방사익;오갑성;임소영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35권6호
    • /
    • pp.698-702
    • /
    • 2008
  • Purpose: Basal cell carcinoma is one of the most common cancers in the western population and the annual incidence rate is still on an increasing course. In Asian countries such as Korea, the incidence of basal cell carcinoma is reported to be remarkably low but is estimated to be in a steep increase nowadays.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cent clinical trends of basal cell carcinoma in Korea by reviewing a single institution's experience. Methods: Throughout an 11-year period, the surgical excision of 143 cases of basal cell carcinoma was performed in our department. General data of these cases such as the primary site of cancer, age and sex of the patient, operative methods, recurrence rate were reviewed retrospectively. Results: Among the 143 patients included in this study, 82 patients were men and 61 patients were women. The ages ranged from 27 to 89 years with a mean age of 64.0 years. The head and neck region was the most frequently involved primary site for the cancer as 95.1% of the total cases occurred in this area. Especially the nose and perinasal area were the most frequent region, which was followed by the periorbital area, cheek, and perioral area. During this study period, 9 cases showed recurrence of the cancer as the overall recurrence rate was 6.3%. Conclusion: Gradual increase in the incidence of basal cell carcinoma was demonstrated in this study. Basal cell carcinoma showed high incidence in the old-age population as 68.5% of the total patients were more than 60 years of age. High recurrence rate was noted in the nasal region especially after local flap reconstruction. A more cautious approach is to be required when handing such high risk lesions. Multiple factors such as extended life span, increased outdoor leisure activity and exposure to sunlight, higher accessibility to medical services and increased understanding of the public about skin cancer are assumed to be the main reasons for this increase of basal cell carcinoma.

운동중추 주변에 위치한 전이성 뇌종양의 수술 후 운동 기능에 대한 평가 (Evaluation of the Postoperative Motor Function for Metastatic Brain Tumors Around the Motor Cortex)

  • 김상효;정신;강삼석;이정길;김태선;김재휴;김수한;이제혁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30권sup1호
    • /
    • pp.25-29
    • /
    • 2001
  • Objective : Intracranial metastasis is responsible for nearly 50% of mortalities of systemic cancers. Although its frequency is increasing and there is little doubt that improving the quality and expectancy of life is the final goal, the mode of treatment is still disputed. The authors report the postoperative motor function after surgery in patients with metastatic tumors around the motor cortex. Materials and Methods : We studied 24 patients with metastatic tumors around the central sulcus during the last 22 months. Motor function was assessed pre- and post-operatively as well as its response to corticosteroids. MRI, neuronavigation system and intraoperative ultrasonography were used for tumor localization and functional MRI and cortical stimulator were used to define the motor cortex. Results : Single metastasis was found in 13 cases(54%) and 11 cases(44%) had multiple foci. Thirteen cases were located in precentral, 7 in postcentral, and 4 in superior or middle-frontal lobe. The most common primary focus was the lung(16 cases). There was no difference in postoperative motor function improvement between the steroid responsive group and non-responsive group(92% versus 90%). Ninty-two percent of the patients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of motor function and lived independently but there was worsening in the upper extremity in one and in another no improvement. Whole brain radiation of 3000cGy was given in all cases and 4 patients died of recurrence in primary or intracranial focus during mean follow-up periods of 14 monthes. Conclusion : Surgery may provide substantial improvement of the motor function and quality of life of the patients with metastatic tumors around the motor cortex.

  • PDF

전이성 골종양의 역학적 연구 (An Epidemiologic Study of Metastatic Bone Tumor)

  • 김재도;이덕희;박정호;손영찬;홍영기;손정환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38-44
    • /
    • 1995
  • 1988년부터 1993년까지 최근 6년간 고신의료원에서 전이성 골종양으로 진단받고 치료받았던 환자중 조직학적으로 확진되었던 417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 조사를 통하여 연령별, 성별, 골전이 부위별 분포와 원발성 암에 따른 전이의 양상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골전이를 가장 잘 일으키는 원발성 암은 폐암(29.5%), 위암(15.3%), 유방암(11.3%), 자궁경부암(5.3%), 간암(4.8%)등의 순이었으며, 원발 부위 미상의 전이성 골종양은 7.7%였다. 2. 연령 분포는 40대 이후에서 발생한 경우가 85.3%로 대부분을 차지하였으며, 평균 연령은 54.8세였다. 남자의 경우 50대(39.4%), 60대(27.5%), 40대(14.3%)의 순이었으며, 여자의 경우는 50대(31.9%), 40대(21.7%), 60대(20.5%)의 순으로 발생하였다. 3. 골전이 부위별 분포는 척추(25.2%), 골반골(16.0%), 늑골(15.3%), 대퇴골(14.5%), 두개골(8.3%), 상완골(5.5%), 견갑골(5.1%)등의 순이었으며, 골전이의 분포 양상은 체간골이 75.8%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 근위부의 장관골이 19.8%, 슬관절과 주관절 이하의 원위 골격계가 4.4%의 순으로 나타났다. 척추 중에서는 흉추(42.1%), 요추(39.1%), 경추(13.2%), 천추(5.6%)의 순으로 나타났다. 4. 골전이 부위별 분포는 원발성 암의 종류에 관계없이 다발성 전이(73.1%)가 단발성 전이(26.9%) 보다 많았다. 5. 원발성 종양에 따른 분포 양상은 폐암의 경우 연령 분포는 50대, 60대, 40대의 순이었고, 남녀비는 2.3 : 1이었으며, 골전이는 척추, 골반, 대퇴골의 순으로 발생하였다. 위암의 경우 연령 분포는 50대, 60대, 40대의 순이었고, 골전이 부위는 척추, 대퇴골, 골반의 순이었다. 유방암의 경우 연령 분포는 40대, 50대, 30대의 순이었고, 골전이 부위는 척추, 늑골, 골반의 순이었다. 6. 원발 부위 미상의 전이성 골종양의 경우는 60대가 가장 많았으며, 30대부터 70대까지 분포되어 있었다. 골전이 부위는 척추, 대퇴골, 골반골, 늑골, 견갑골의 순이었으며, 조직학적으로는 선암, 편평세포암이 많았다.

  • PDF

위암의 근치적 절제술 후 간재발의 임상병리학적 위험인자 (Clinicopathologic Risk Factors of Hepatic Recurrence after Curative Resection for Gastric Cancer)

  • 황정환;김찬영;김종훈;황용;양두현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5권4호
    • /
    • pp.266-272
    • /
    • 2005
  • 목적: 위암의 근치적 절제술 후에 재발은 여러 형태로 발생한다. 특히 현행성 재발은 간 부위에서 주로 나타나는데 이러한 간계발의 임상병리학적 위험인자를 예측하기 위해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2년 1월부터 1999년 12월까지 전북대학교병원에서 위암으로 근치적 수술치료를 받았던 838명의 환자 중 201명의 재발환자를 대상으로 간 재발과 관련된 임상병리학적 위험인자를 찾기 위해 후향적 연구를 하였다. 결과: 201명의 재발환자 중 59명이 간재발을 보였다.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한 다변량분석에서 간재발의 독립적인 위험인자로는 Lauren의 분류에서 장형인 경우(OR, 6.66; 95% Cl, 1.53 to 28.9; P=0.011), 근위부 절제연의 길이가 6cm 미만인 경우(OR, 3.76; 95% Cl, 1.03 to 13.67; P=0.045)가 관련되어 있었다. 결론: 위암의 수술 치료 후 간재발의 임상병리학적 위험인자들의 다양한 연구 조사와 더불어 분자생물학적인 연구가 더해진다면 간 재발에 대한 예측이 가능할 것이며 고위험 환자에게 적절한 치료법의 개발에도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Metastatic Colorectal Cancer Treatment and Survival: the Experience of Major Public Hospitals in South Australia Over Three Decades

  • Roder, David;Karapetis, Christos S;Wattchow, David;Moore, James;Singhal, Nimit;Joshi, Rohit;Keefe, Dorothy;Fusco, Kellie;Buranyi-Trevarton, Dianne;Sharplin, Greg;Price, Timothy J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6권14호
    • /
    • pp.5923-5931
    • /
    • 2015
  • Background: Registry data from four major public hospitals indicate trends over three decades from 1980 to 2010 in treatment and survival from colorectal cancer with distant metastases at diagnosis (TNM stage IV). Materials and Methods: Kaplan-Meier product-limit estimates and Cox proportional hazards models for investigating disease-specific survival and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for indicating first-round treatment trends. Results: Two-year survivals increased from 10% for 1980-84 to 35% for 2005-10 diagnoses. Corresponding increases in five-year survivals were from 3% to 16%. Time-to-event risk of colorectal cancer death approximately halved (hazards ratio: 0.48 (0.40, 0.59) after adjusting for demographic factors, tumour differentiation, and primary sub-site. Survivals were not found to differ by place of residence, suggesting reasonable equity in service provision. About 74% of cases were treated surgically and this proportion increased over time. Proportions having systemic therapy and/or radiotherapy increased from 12% in 1980-84 to 61% for 2005-10. Radiotherapy was more common for rectal than colonic cases (39% vs 7% in 2005-10). Of the cases diagnosed in 2005-10 when less than 70 years of age, the percentage having radiotherapy and/or systemic therapy was 79% for colorectal, 74% for colon and 86% for rectum (&RS)) cancers. Corresponding proportions having: systemic therapies were 75%, 71% and 81% respectively; radiotherapy were 24%, 10% and 46% respectively; and surgery were 75%, 78% and 71% respectively. Based on survey data on uptake of offered therapies, it is likely that of these younger cases, 85% would have been offered systemic treatment and among rectum (&RS) cases, about 63% would have been offered radiotherapy. Conclusions: Pronounced increases in survivals from metastatic colorectal cancer have occurred, in keeping with improved systemic therapies and surgical interventions. Use of radiotherapy and/or systemic therapy has increased markedly and patterns of change accord with clinical guideline recommendations.

Evaluation of MiR-34 Family and DNA Methyltransferases 1, 3A, 3B Gene Expression Levels in Hepatocellular Carcinoma Following Treatment with Dendrosomal Nanocurcumin

  • Chamani, Fatemeh;Sadeghizadeh, Majid;Masoumi, Mahbobeh;Babashah, Sadegh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7권sup3호
    • /
    • pp.219-224
    • /
    • 2016
  • Hepatocellular carcinoma (HCC) is the most common primary malignancy of the liver making up more than 80 percent of cases. It is known to be the sixth most prevalent cancer and the third most frequent cause of cancer related death worldwide. Epigenetic regulation constitutes an important mechanism by which dietary components can selectively activate or inactivate target gene expression. The miR-34 family members including mir-34a, mir-34b and mir-34c are tumor suppressor micro RNAs, which are expressed in the majority of normal tissues. Several studies have indicated silencing of miR-34 expression via DNA methylation in multiple types of cancers. Bioactive nutrients like curcumin (Cur) have excellent anticarcinogenic activity and minimal toxic manifestations in biological systems. This compound has recently been determined to induce epigenetic changes. However, Cur is lipophilic and has a poor systemic bioavailability and poor absorption. Its bioavailability is increased through employing dendrosome nanoparticles. The aim of the curr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dendrosomal nanocurcumin (DNC) on expression of mir-34 family members in two HCC cell lines, HepG2 and Huh7. We performed the MTT assay to evaluate DNC and dendrosome effects on cell viability. The ability of DNC to alter expression of the mir-34 family and DNA methyltransferases (DNMT1, DNMT3A and 3B) was evaluated using semi-quantitative and quantitative PCR. We observed the entrance of DNC into HepG2 and Huh7 cells. Gene expression assays indicated that DNC treatment upregulated mir34a, mir34b and mir34c expression (P<0.05) as well as downregulated DNMT1, DNMT3A and DNMT3B expression (P<0.05) in both HepG2 and Huh7 cell lines. DNC also reduced viability of Huh7 and HepG2 cells through restoration of miR-34s expression. We showed that DNC could awaken the epigenetically silenced miR-34 family by downregulation of DNMTs. Our findings suggest that DNC has potential in epigenetic therapy of HCC.

대퇴골 근위부 악성 골종양 환자에서 종양 대치물을 이용한 사지 구제술 (Limb Salvage Surgery with Tumor Prosthesis for the Malignant Bone Tumors Involving the Proximal Femur)

  • 전영수;백종훈;이승혁;이충환;한정수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7-13
    • /
    • 2014
  • 목적: 대퇴골 근위부에 발생한 악성 골 종양의 치료로 사지 구제술을 시행하는 경우 환자의 생존과 더불어 술 후 보행 등의 기능회복이 중요하다. 대퇴골 근위부의 악성 골 종양에 의한 통증 또는 병적 골절이 발생한 환자에 대하여 종양 대치물을 이용한 사지 구제술 시행 후 임상 결과에 대해서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5년 2월부터 2014년 1월까지 대퇴골 근위부 악성 골 종양을 진단 받고 통증 또는 병적 골절이 발생하여 대퇴골 근위부 절제술 및 종양 대치물을 이용한 사지 구제술을 시행한 20예(19명)를 대상으로 하였다. 평균 연령은 63.1세(범위 35-86세)였으며 남자가 14예, 여자가 6예였다. 평균 추시 기간은 20개월(1-94개월)이었고, 전이성 골 종양 15예, 골육종 4예, 다발성 골수종 1예였으며, 전이성 병변의 원발 암은 폐암 4예, 간암 3예, 신장암 3예였고, 유방암, 갑상선암, 대장암, 전립선암, 악성 방추 세포암이 각각 1예씩 이었다. 사용된 종양 대치물은 모두 조립형 종양 대치물로 Kotz's$^{(R)}$ Modular Tumor prosthesis (Howmedica, Rutherford, New Jersey)가 3예에서 사용되었고, MUTARS$^{(R)}$ proximal femur system (Implantcast, Munster, Germany)이 17예에서 사용되었다. 수술 전 후의 동통 정도를 Visual Analogue Scales(VAS)로 평가하였으며, 술 후 하지의 기능적 평가를 위해 Musculoskeletal Tumor Society score(MSTS) grading system 을 이용하였다. 결과: 최종 추시 시 20예(19명) 중 11예(10명)가 생존하고 9예(9명)가 사망하였으며 사망한 환자의 술 후 평균 생존기간은 10.1개월(1-38개월) 이었다. VAS 점수는 술 전 평균 8.40점(5-10점)에서 술 후 평균 1.35점(0-3점)으로 호전 되었고, 수술 후 MSTS 기능적 평가는 평균 19.65점(65.50%) (7-28점)이었다. 수술과 관련된 합병증으로는 국소 재발 2예, 혈종 3예, 감염 3예, 음낭 종창 2예, 탈구 1예였고 치환물 주위 골절이나 해리는 없었다. 결론: 대퇴골 근위부에 발생한 악성 골 종양에 의한 통증 또는 병적 골절이 발생한 경우 종양 대치물을 이용한 사지 구제술은 조기의 통증 감소 및 기능 회복을 위한 적절한 치료로 생각된다.

하지 관절 부위에 발생한 전이성 종양 환자의 종양 대치물 및 골시멘트와 인공관절 삽입술 (Tumor Prosthetic Arthroplasty and Arthroplasty with Bone Cement for the Metastatic Malignant Bone Tumor in the lower Extremity)

  • 양준영;이준규;황득수;신현대;곽상구;김경천;남대철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12-17
    • /
    • 2003
  • 목적: 전이성 종양이 사지에 발생한 경우 여러 가지 치료 방법이 있으나 종양 대치물 삽입술을 시행한 예를 중심으로 기능적 평가 및 환자의 치료 경과를 살펴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1998년 6월부터 2001년 12월까지 전이성 종양으로 진단 받은 환자 중 종양대치물 삽입술을 시행 받은 9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환자의 나이는 49세부터 63세까지로 평균 56.3세였다. 평균 추시 기간은 23.4개월이었다. 원발 부위의 암으로는 폐암 2명, 유방암 3명, 신장암 2명, 대장암 1명 그리고 다발성 골수종이 1명이었다. 전이된 부위는 대퇴 근위부가 6명, 대퇴 원위부가 2명, 경골 근위부가 1명이었다. 종양의 절제는 생검 후 원발성 종양의 치료 원칙대로 가능한 한 광범위 절제술을 시행하였으며, 6례는 종양 대치물로, 나머지 3례는 골 시멘트와 인공관절을 이용하여 재건하였다. 결과: 사지 기능 평가는 Enneking 등의 하지 평가기준 6항목에 대하여 환자의 최종 추시 시에 평가하였다. 최고 점수는 26점이었고 최하는 10점으로 평균 19.5점이었으며 최종 추시 시까지 7명이 생존하였으며 대장암 환자 1례는 술후 68일째 사망하였고 유방암 환자 1례는 술후 15일째 사망하였다. 평가 기준 항목 중 수술 후 기능에 대한 환자의 만족도와 통증의 경감 부분이 다른 항목에 비하여 높은 점수를 보였다. 결론: 전이성 종양이 관절 부위에 발생 시에는 원발성 종양과 동일한 원칙으로 치료 방법의 접근이 필요하며, 종양대치물의 삽입으로 환자의 사지 기능의 개선과 통증의 제거 등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따라서 이 부분에 대한 의료 혜택 등이 반드시 고려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종양 환자에서 초고에너지(511 keV) 조준기를 이용한 전신 F-18-FDG 평면 영상: Coincidence 감마카메라 단층 촬영 영상과의 비교 (F-18-FDG Whole Body Scan using Gamma Camera equipped with Ultra High Energy Collimator in Cancer Patients: Comparison with FDG Coincidence PET)

  • 배문선;박찬희;조철우;윤석남;양승대;임상무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65-75
    • /
    • 1999
  • 목적: 종양 환자의 평가에 있어서 초고에너지 조준기를 장착하여 511 keV에 적용시킨 감마카메라로 FDG 전신 평면 영상(FDG W/B scan)을 얻어 충분한 정보를 얻을 수 있는지 알아보고 동시에 같은 카메라로 동시계수 회로를 이용한 양전자 방출 단층촬영(FDG CoDe PET)을 실시하여 그 결과를 비교하였다. 대상 및 방법: F-18 FDG를 이용하여 초고에너지 조준기와 동시계수 양전자 방출영상에 대해 각각 팬텀 실험을 실시하였고, 악성종양이 의심되거나 진단된 환자 14명을 대상으로 FDG 전신 평면 영상과 양전자 방출 단층 영상을 얻어 방사선학적 검사, 임상적 추적관찰, 조직학적 검사 등과 비교하였다. 결과: 평면 영상에서는 해상력 13.1 mm, 민감도 2638 cpm/MBq/ml, 동시계수 영상에서는 공간 해상력 7.49 mm, 민감도 5351 cpm/MBq/ml로 측정되었다. FDG CoDe PET에서 14명의 환자 중 8명에서 FDG의 섭취가 있었다. 두 방법 모두에서 FDG 섭취가 없었던 병변은 모두 CT에서 1 cm 이하 였으나 한 예에서 2 cm 크기의 전이성 림프절을 찾지 못하였다. FDG 섭취를 보였던 병변은 모두 CT상 1.5cm 이상이거나 여러 개가 모여 있는 병변이었다. FDG W/B scan은 FDG CoDe PET와 거의 비슷한 결과를 보였으나 위음성과 위양성이 1예씩 더 있었다. FDG CoDe PET에서 보였던 다수의 폐 결절과 간 결절들이 FDG W/B scan에서 한 예를 제외하고는 모두 발견되었다. 결론: 감마카메라에 의한 FDG 영상들은 악성 종양의 감별, 병기 결정, 추적검사 등에 유용하게 쓰일 수 있을 것으로 간주되며, SPECT 카메라가 널리 보급되어 있으므로 FDG 전신 평면영상과 동시계수 양전자 방출영상은 서로 보완적으로 쓰이면서 FDG의 지역 분배 공급을 통해 기존의 PET를 대신하여 FDG를 이용한 더 많은 임상적 이용 및 영상진단을 가능하게 할 것이다.

  • PDF